KR102066581B1 -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6581B1
KR102066581B1 KR1020180054238A KR20180054238A KR102066581B1 KR 102066581 B1 KR102066581 B1 KR 102066581B1 KR 1020180054238 A KR1020180054238 A KR 1020180054238A KR 20180054238 A KR20180054238 A KR 20180054238A KR 102066581 B1 KR102066581 B1 KR 102066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
band
support
tank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4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29499A (ko
Inventor
김권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일이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일이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일이앤지
Priority to KR1020180054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6581B1/ko
Publication of KR201901294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294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6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6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4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2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orientating th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19/00Machines for simply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metal parts or objects, or metal and non-metal par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Tools or devices therefor so far as not provided for in other classes
    • B23P19/001Article feeders for assembling machines
    • B23P19/006Holding or positioning the article in front of the applying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63Arrangement of tanks
    • B60K15/067Mounting of ta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7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the articles being treated, e.g. manufactured, repaired, assembled, connected or other operations covered in the subgroups
    • B23P2700/50Other automobile vehicle parts, i.e. manufactured in assembly 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띠 형상의 양단이 접혀져 중첩영역이 형성된 밴드를 성형하여 탱크를 고정하는 고정용 밴드를 제조하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지지부; 지지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고정용 밴드를 일방향을 따라 정렬시키는 트레이부; 지지부와 트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이 접혀진 밴드의 절곡 위치 각각에 핀을 삽입하는 핀 삽입부; 및 핀이 삽입된 위치에서, 밴드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압착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핀 삽입 및 압착부를 통해 고정용 밴드의 생산 정밀도를 향상시키겨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작업속도를 증가시켜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용차 또는 대형버스에 사용되는 연료탱크 또는 에어 탱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용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lock band of tank}
본 발명은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용차 또는 대형버스에 사용되는 고정용 밴드의 생산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작업속도를 증가시켜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정용 밴드를 제조할 수 있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연료탱크(T)는 도 1과 같이 복수로 구비되는 지지 밴드(B)에 의하여 차체에 고정 지지된다.
이때, 지지 밴드(B)는 도 2와 같이 좁은 폭과 긴 길이를 가지는 스트립(S) 형상으로 형성되어 소정의 가공단계를 거쳐서 형성된다. 먼저 스트립(S)의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슬롯홀의 장홀(H)을 형성하고, 장홀(H)의 소정영역이 겹쳐지도록 절곡한 후에, 절곡된 영역에 핀(P)을 삽입 한 후에 서로 겹쳐지는 영역을 압입시켜 지지밴드를 가공하는 단계를 거쳐야 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지지밴드의 양단에 구비된 핀을 체결 부재로 연결함으로써 연료탱크를 차량의 하부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종래에는 이러한 탱크 고정용 지지밴드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절곡된 영역에 핀을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끼워넣어야 하며, 핀을 끼운 상태에서 밴드의 양단을 압착 고정시키기 때문에 작업공정이 매우 느려 생상효율이 저하되는 큰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핀을 끼워 넣기 때문에 절곡된 영역에 끼워넣는 정도에 따라 제품의 품질에 차이가 발생하여 제품의 균일도가 떨어지고 불량률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1997-0001784호 (1997년 03월 15일)
본 발명의 목적은 상용차 또는 대형버스에 사용되는 고정용 밴드의 생산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작업속도를 증가시켜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고정용 밴드를 제조할 수 있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띠 형상의 양단이 접혀져 중첩영역이 형성된 밴드를 성형하여 탱크를 고정하는 고정용 밴드를 제조하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는 지지부; 지지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고정용 밴드를 일방향을 따라 정렬시키는 트레이부; 지지부와 트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이 접혀진 밴드의 절곡 위치 각각에 핀을 삽입하는 핀 삽입부; 및 핀이 삽입된 위치에서, 밴드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압착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압착부는 지지부의 상면에서 서로 이웃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어 밴드의 양단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받침부의 상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핀을 구비하여 받침부에 배치된 밴드의 양단을 압착시켜 삽입된 핀의 분리를 방지하는 핀 압입부;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핀 삽입부는 한 쌍의 받침부의 바깥측에 각각 배치되며, 핀을 일방향을 따라 정렬시켜 정렬방향을 따라 핀을 이동시키는 핀 구동부; 핀 구동부의 종단에서 받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일방향을 따라 정렬된 핀의 정렬방향에 직각방향으로 핀을 이동시키는 핀 안내부; 및 압착부 후방의 지지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핀 안착부를 따라 이동하여 받침부에 이동한 핀을 양단이 접혀진 밴드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이동 유압실린더;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트레이부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 및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의 지지기둥 상단에 결합되며, 적층배열되어 복수의 고정용 밴드를 수용시키는 안내레일;을 구비한다.
여기서, 안내레일은 후방에서 압착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는 핀 삽입 및 압착부를 통해 고정용 밴드의 생산 정밀도를 향상시켜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작업속도를 증가시켜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상용차 또는 대형버스에 사용되는 연료탱크 또는 에어 탱크를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고정용 밴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상용차량에 고정용 밴드를 이용하여 탱크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탱크 고정용 밴드의 제조 공정에 따른 고정용 밴드의 성형 형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는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띠 형상의 양단이 접혀져 중첩영역이 형성된 밴드(도 2의 c)를 도 1의 (e)의 상태로 성형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지지부(110), 트레이부(120),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지지부(110)는 바닥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되어 테이블 형상으로 형성되며, 트레이부(120),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를 지지하는 것으로서, 임시 거치부(111) 및 이동바퀴(112)를 구비할 수 있다.
임시 거치부(111)는 트레이부(120)에 적층배치된 밴드(B)를 압착부(140)로 이동시키기 전에 임시로 거치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한 쌍이 테이블의 바닥면에 고정되어 테이블의 외주면 바깥측으로 연장 돌출형성된다. 임시 거치부(111)는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를 통해 밴드(B)의 압입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트레이부(120)에서 밴드(B)를 인출하여 임시 거치부(111)에 배치시킴으로써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 공정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작업공정을 준비할 수 있다. 이동바퀴(112)는 작업공간 내에서 지지부(110)의 이동을 보다 원활하게 한다.
트레이부(120)는 지지부(110)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고정용 밴드(B)를 일방향을 따라 정렬시키는 것으로서, 복수의 지지기둥(121) 및 안내레일(122)을 구비한다.
복수의 지지기둥(121)은 지지부(110)의 상면에 상측으로 연장되어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며, 전후방으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안내레일(122)은 복수의 지지기둥(121) 상단에 결합된다. 안내레일(122)은 수직방향으로 적층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5단으로 적층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적층배열은 가변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전방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21a)의 높이가 후방에 위치하는 지지기둥(121b)의 높이보다 낮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안내레일(122)은 후방에서 전방향을 향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되기 때문에 안내레일(122)에 배치되는 밴드(B)를 인출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외부로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핀 삽입부(130)는 지지부(110)와 트레이부(120) 사이에 배치되며, 양단이 접혀진 밴드(B)의 절곡 위치(C) 각각에 핀(P)을 삽입한다.
압착부(140)는 핀(P)이 삽입된 위치에서, 밴드(B)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압착시킨다.
제어부(150)는 트레이부(120),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의 작동 시간 및 작동간격 등의 작동 상태를 제어한다.
이하에서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에 대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의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핀 삽입부(130)는 핀 구동부(131), 핀 안내부(132), 유압실린더(133) 및 핀 수용부(134)를 구비할 수 있다.
핀 구동부(131)는 한 쌍의 받침부(141)의 바깥측에 각각 배치되며, 컨베이어 밸트와 같이 형성되어 구동한다. 이와 같이, 핀 구동부(131)는 상측에 일방향을 따라 정렬된 핀(P)을 핀 구동부(131)의 종단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때, 핀 구동부(131)는 종단에 핀 공급스토퍼(1311)가 구비될 수 있다. 핀 공급스토퍼(1311)는 핀 구동부(131)의 종단에서 핀 안내부(132)를 따라 핀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핀 구동부(131)의 종단에 대기 상태에 있는 핀은 핀 공급스토퍼(1311)를 통해 핀 안내부(132)를 따라 기설정된 시간간격에 따라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핀 안내부(132)를 따라 핀(P)이 일정하게 제공되도록 함으로써 핀 안내부(132)에 핀이 과하게 공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핀 안내부(132)는 핀 구동부(131)의 종단에서 받침부(141)를 향하여 연장되어 핀(P)을 핀 구동부(131)의 정렬된 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때, 핀 안내부(132)는 상측면이 핀 구동부(131)에서 받침부(141)를 향하여 하방향으로 기울어지도록 형성되어 핀을 자유낙하를 통해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경사는 5 ~ 10° 이내로 형성되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경사도가 10°를 초과하여 형성되는 경우, 급 경사로 인해서 핀이 빠른 속도로 이동하면서 하측에 도달했을 때에, 받침부(141)의 일측면에 부딪치면서 반발력으로 튕겨나오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5°미만으로 형성되는 경우, 핀과 핀 안내부(132) 표면간의 마찰력에 의해서 기설정된 위치까지 핀이 도달하지 않아서 핀을 효과적으로 삽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이때, 핀(P)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 종단이 원통형상의 직경보다 넓게 형성되는 확공되는 확공부분을 구비하게 된다. 그리고, 양단에 구비된 확공영역이 핀 안내부(132)의 폭 방향으로 안착되어서 핀이 핀 안내부(132)를 따라 이동할 때에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유압실린더(133)는 압착부(140) 후방의 지지부(110)의 상면에 배치되며, 핀 안착부(132)를 따라 이동하여 받침부(141)에 이동한 핀을 양단이 접혀진 밴드(B)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유압실린더(133)는 피스톤 로드(1331)가 직선운동하면서 핀을 일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또한, 핀 수용부(134)는 핀 구동부(131)의 일측면에 배치되며, 핀(P)을 수용하는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압착부(140)는 양단이 접혀진 밴드(B)에 핀이 배치되면, 밴드(B)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압착시키는 것으로서, 받침부(141) 및 핀 압입부(142)를 구비한다.
받침부(141)는 지지부(110)의 상면에서 서로 이웃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측으로 연장되어 밴드의 양단을 지지한다. 받침부(141)는 상면에 후술하는 핀 압입부(142)의 핀이 밴드(B)를 압착하면서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도 2 (e)와 같이 소성변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방향을 따라 핀의 개수에 대응되도록 복수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핀 압입부(142)는 받침부(141)의 상측면에 마주보도록 이격 배치되고, 복수의 핀(미도시)을 구비하여 받침부(141)에 배치된 밴드(B)의 양단을 압착시켜 밴드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압착시켜 일체화되도록 함으로써 핀의 분리를 방지한다. 즉, 핀 압입부(142)는 구비된 복수의 핀이 하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밴드(B)의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압착하면서 중첩영역이 소성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볼트 또는 리벳이음과 같은 추가적인 연결부재없이 띠 형상의 밴드(B)를 견고하게 결합시키면서 핀(P)이 분리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핀 압입부(142)를 통해 소성경합되는 영역이 도 2의 (e)와 같이 4개가 형성되도록 도시하였으나, 5개가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핀 압입부(142)의 핀 형상이 삼각형과 같은 다각형으로 형성됨으로써 더욱 견고한 결합을 유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는 핀 삽입부(130) 및 압착부(140)를 통해 핀을 삽입시킨 후에 밴드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바로 압착시키기 때문에 생산의 정밀도를 증가시켜 불량율을 감소시키고, 작업속도를 증가시켜 생산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통해 성형된 탱크 고정용 밴드는 상용차 또는 대형버스에 사용되는 연료탱크 또는 에어 탱크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활용될 수 있으나, 그 적용 범위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11 : 수직부재 111 : 임시 거치부
112 : 이동 바퀴 120 : 트레이부
121 : 지지기둥 122 : 레일
130 : 핀 삽입부 131 : 핀 구동부
1311 : 핀 공급스토퍼 132 : 핀 안내부
133 : 유압실린더 134 : 핀 수용부
140 : 압착부 141 : 받침부
142 : 핀 압입부

Claims (5)

  1. 일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금속재질의 띠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띠 형상의 양단이 접혀져 중첩영역이 형성된 밴드를 성형하여 탱크를 고정하는 고정용 밴드를 제조하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에 있어서,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서 상측으로 이격되어 복수의 고정용 밴드를 일방향을 따라 정렬시키는 트레이부;
    상기 지지부와 상기 트레이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양단이 접혀진 밴드의 절곡 위치 각각에 핀을 삽입하는 핀 삽입부; 및
    상기 핀이 삽입된 위치에서, 상기 밴드의 내측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어 상기 중첩영역의 소정영역을 압착시키는 압착부;를 포함하며,
    상기 압착부는,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서 서로 이웃하여 한 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밴드의 양단을 지지하는 받침부; 및
    상기 받침부의 상측면에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복수의 핀을 구비하여 상기 받침부에 배치된 상기 밴드의 양단을 압착시켜 상기 삽입된 핀의 분리를 방지하는 핀 압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핀 삽입부는,
    상기 한 쌍의 받침부의 바깥측에 각각 배치되며, 핀을 일방향을 따라 정렬시켜 정렬방향을 따라 핀을 이동시키는 핀 구동부;
    상기 핀 구동부의 종단에서 상기 받침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 핀 구동부에 정렬된 핀을 정렬방향에 대해서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 안내부; 및
    상기 압착부 후방의 상기 지지부의 상면에 배치되며, 상기 핀 안내부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받침부에 이동한 핀을 상기 양단이 접혀진 밴드에 삽입되도록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핀이동 유압실린더;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레이부는,
    서로 이웃하여 배치되는 복수의 지지기둥; 및
    상기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 복수의 지지기둥 상단에 결합되며, 적층배열되어 상기 복수의 고정용 밴드를 수용시키는 안내레일;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은,
    후방에서 상기 압착부를 향하여 소정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KR1020180054238A 2018-05-11 2018-05-11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KR1020665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38A KR102066581B1 (ko) 2018-05-11 2018-05-11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4238A KR102066581B1 (ko) 2018-05-11 2018-05-11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99A KR20190129499A (ko) 2019-11-20
KR102066581B1 true KR102066581B1 (ko) 2020-01-15

Family

ID=68729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4238A KR102066581B1 (ko) 2018-05-11 2018-05-11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658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49B1 (ko) * 2009-11-17 2012-04-02 우무웅 전기 케이블 밴드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제조장치
KR101632905B1 (ko) 2015-04-02 2016-06-23 길엔지니어링(주) 연료탱크 지지밴드 제조시스템의 핀 공급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1393B1 (ko) 1996-11-14 1999-06-15 박준욱 형틀구석각부들의 조립장치
KR101406342B1 (ko) * 2012-07-13 2014-06-11 광일이노텍 주식회사 연료탱크 지지 밴드 제조장치
KR101709059B1 (ko) * 2015-04-06 2017-02-23 일진복합소재 주식회사 연료탱크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2649B1 (ko) * 2009-11-17 2012-04-02 우무웅 전기 케이블 밴드 제조방법과 이를 위한 제조장치
KR101632905B1 (ko) 2015-04-02 2016-06-23 길엔지니어링(주) 연료탱크 지지밴드 제조시스템의 핀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29499A (ko) 2019-1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9573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a knuckle bracket
CN104492877B (zh) 筒体自动成型焊接机
CN104220184B (zh) 由金属板制至少局部闭合的型材或管状构件的装置和方法
US7210727B2 (en) Trailer roof bow with clinched end pieces
CN105939794A (zh) 冲压成型品的制造方法、冲压成型品的制造装置、心轴以及冲压成型品
CN105328058A (zh) 一种自动扩管机
KR102066581B1 (ko) 탱크 고정용 밴드 제조장치
KR102111545B1 (ko) 파이프 벤딩 장치
CN109326489A (zh) 熔断器熔片加工设备
CN105328053A (zh) 自动扩管机的压紧装置
KR101369185B1 (ko) 토션빔용 금형장치
CN105344854A (zh) 一种自动扩管机的落料装置
KR102174261B1 (ko) 스트레치 성형품의 제조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2299843B1 (ko) 케이블 트레이 지지대 제조 장치
CN110524651B (zh) 一种用于展平生产宽竹板的设备
CN111922657B (zh) 一种制动主缸皮碗的自动装配装置
CN211089384U (zh) 一种定子铁芯装配机
CN110624987B (zh) 一种压线框自动弯折机
KR102253810B1 (ko) 차량용 헤드라이닝 검사구
CN109433867B (zh) 一种建筑扣件折弯设备及使用方法
CN107666974A (zh) 半开口式冲压件的成型
KR101182760B1 (ko) 금속재의 테이퍼 관 성형장치 및 이를 이용한 테이퍼 관 성형방법
CN117680568B (zh) 新能源汽车底盘系统部件圆弧折弯工艺
CN210586556U (zh) 卷圆机构及卷圆机
CN110465611B (zh) 钢丝冲压机以及钢丝冲压机加工铝块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