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946B1 - 자동사진현상기 - Google Patents

자동사진현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946B1
KR100190946B1 KR1019960027587A KR19960027587A KR100190946B1 KR 100190946 B1 KR100190946 B1 KR 100190946B1 KR 1019960027587 A KR1019960027587 A KR 1019960027587A KR 19960027587 A KR19960027587 A KR 19960027587A KR 100190946 B1 KR100190946 B1 KR 10019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guide
rack
turn guide
top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7478A (ko
Inventor
가즈노리 즈무라
준이치 미야이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고오끼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70007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7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9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3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long films or prints in the shape of strips, e.g. fed by roller assembly
    • G03D3/132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long films or prints in the shape of strips, e.g. fed by roller assembly fed by roller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불완전하게 세트된 어떠한 톱턴가이드라도 떨어져서 정확한 세트위치로 되어 잠금되게하는 잠금기구를 구비하며 용이하게 착탈가능한 톱턴가이드를 갖는 자동 사진현상기. 톱턴가이드는 처리탱크에 현수된 레크의 최상부에 제공된 핸들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각각의 톱턴가이드는 핸들의 최상표면에서 지지되는 지지편과, 한쌍의 전방 및 후방 제어편을 갖는다. 각각의 제어편은 돌기부를 갖는다. 핸들은 리세스로 형성된다. 각각의 톱턴 가이드는 양쪽으로부터 놀러잡음으로써 내부방향으로 변형되는 제어편으로 한쌍의 인접 핸들사이에 삽입된다. 제어편은 돌기부가 리세스내에서 맞물리도록 하기 위해 핸들의 최상표면에서 지지되는 지지편과 해방된다. 톱턴 가이드는 따라서 제위치에서 잠금된다. 어떠한 톱턴가이드 불완전하게 세팅되었을지라도 톱턴가이드는 톱커버를 닫음으로써 톱커버에 제공된 푸셔에 의해 정확한 소정의 세팅위치로 하향으로 눌려진다.

Description

자동사진현상기
제1도는 본발명에 따른 자동 사진현상기의 개략도.
제2도는 자동 사진현상기의 래크가 장착된 상태의 수직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선 III-III을 따라 취했을때의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IV-IV을 따라 취했을때의 단면도.
제5도는 래크 및 래크의 톱턴가이드의 분해투시도.
제6a도는 톱턴가이드가 불완전한 세팅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톱턴가이드의 단면도.
제6b도는 톱턴가이드가 완전한 세팅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톱턴가이드의 단면도.
제7도는 입구가이드 및 래크의 분해투시도.
제8도는 종래의 자동 사진현상기의 개략도.
제9도는 톱턴가이드중의 하나의 프레서 놉을 도시하는 단면도.
본발명은 사진필름 또는 인화지와 같은 사진감광재료를 처리탱크내의 상이한 종류의 처리액을 통해 통과시킴으로써 이 사진감광재료를 현상하는 자동사진현상기에 관한 것이다.
제8도에 도시한 것처럼, 전형적인 종래 자동현상기는 현상상자(60)내에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처리탱크(61)를 구비하고 있다. 사진감광재료(A)는 이 열의 한 끝에 있는 탱크로부터 다른 끝에 있는 탱크로 이송되고 있다. 래크(62)는 각각의 처리탱크(61)내에 삽입되어 사진감광재료를 안내한다. 입구가이드(63)는 현상상자(60)의 입구끝 부근에 제공된 처리탱크(61)의 입구에 구비되어 현상상자(60)내에 삽입된 사진감광재료(A)를 제1래크(62)로 안내한다.
또한 톱턴가이드(top turn guide)(64)는 그 위치가 래크(62)의 상방이면서도 래크(62)사이이고, 톱턴가이드(64)는 각각의 래크(62)로 부터 나온 사진감광재료(A)를 다음 래크(62)로 안내한다.
각각의 래크(62)는 사진감광재료(A)를 공급하기 위한 공급기구(65)를 갖고 있다.
이 사진감광재료(A)가 필름인 경우, 공급기구(65)는 리더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과 맞물리는 복수개의 스프로켓으로 이루어진다. 이 구멍에 필름의 선단부가 연결된다. 사진감광재료가 쉬트상의 인화지인 경우, 공급기구는 인화지를 사이에 끼우기 위한 한 쌍의 이송로울러로 이루어진다. 이송로울러 또는 스프로켓이 외부구동수단에 의해 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와같은 자동현상기는 사용에 따라 더러워진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또는 필요할때마다 세정되어야 한다. 이 세정작업을 쉽게하기 위하여 그리고 현상기에 정체된 사진감광재료(A)가 쉽게 제거될 수 있도록 래크(62), 입구가이드(63) 및 톱턴가이드(64)는 현상상자(60)의 톱커버(64)를 개방함으로써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8도 및 제9도에 도시된 것처럼, 래크(62)는 처리탱크(61)에 단지 현수되어 있는 한편, 입구가이드(63)와 톱턴가이드(64)는 래크(62)의 최상부에 제공된 핸들(67)의 최상표면상에 지지된 자신들의 상부지지편(68 및 69)을 가지고 있다. 핸들(67)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놉(70)을 회전시킴으로써, 입구가이드(63)과 톱턴가이드(64)가 하방으로 눌려진다.
이 종래 자동현상기의 한 결점은 입구가이드(63)과 톱턴가이드(64)를 장착 또는 탈거하기 위해서는 모든 놉(70)을 회전시켜야만 하므로 입구가이드(63)와 톱턴가이드(64)를 장착 또는 탈거하는 것이 번거롭다는 점이다. 또다른 문제점은 조작자가 놉(70)을 잠근 것을(록킹한 것을) 자주 잊어버리는 경향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입구가이드(63)또는 톱턴가이드(64)가 불완전하게 세팅된 경우, 대응하는 놉(70)을 회전시킬수 없다. 따라서 불완전하게 세팅된 입구가이드 또는 톱턴가이드는 제거되어 다시 세팅되어야 하며, 이것은 지극히 귀찮은 일이다.
본발명의 목적은 입구가이드와 톱턴가이드가 제자리에 세팅되었을 때, 입구가이드와 톱턴가이드를 동시에 잠그는 잠금수단과, 불완전하게 세팅된 입구가이드와 톱턴가이드 중 어느것이라도 톱커버를 닫음으로써 완전하게 세팅된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갖고 있는 자동 사진현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발명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발명에 따르면, 현상상자, 현상상자내에 수용된 복수개의 처리탱크, 처리탱크를 통해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핸들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처리탱크내에 장착된 래크 및 현상상자의 입구에 위치된 한 처리탱크의 전방벽과 이 처리탱크중 하나에 삽입된 핸들 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입구가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가이드는 래크의 핸들에 대향하여 제공된 탄성변형가능한 가동 제어편과 고정제어편을 가지고 있고, 래크의 핸들의 최상표면위에 지지된 지지부재를 가지고 있고, 가동제어편에는 핸들의 전방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내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사진현상기가 제공된다.
제2의 본발명에 따르면, 현상상자, 현상상자내에 수용된 복수개의 처리탱크, 처리탱크를 통해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안내하기 위하여 각각의 처리탱크 장착되어 있고, 각각 그것의 최상부에 핸들을 가지고 있는 래크 및 각각의 래크로부터 상방으로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다음 래크로 안내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사이에 장착된 톱턴가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톱턴가이드는 톱턴가이드가 정밀하게 제위치에 세팅되면서 각각의 핸들의 최상표면에 지지되는 지지부재와, 각각의 핸들에 대해 대향하고 있고, 각각의 핸들의 전방 또는 후방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내에 결합되는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탄성변형 가능한 한쌍의 제어편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사진현상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기타 특징과 목적은 첨부도면과 관련된 다음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발명의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7도와 연관시켜서 설명한다.
우선 제1도와 제2도를 보면, 현상상자(1)는 최상개구(2)와 이 개구(2)를 덮기 위해 현지(4) 주위에서 피벗가능한 톱커버(3)를 가지고 있다. 현상상자(1)는 사진감광재료(A)가 이송되는 방향에서 일렬로 배열된 복수개의 처리탱크(5)를 수용하고 있다. 래크(10)는 처리탱크(5)를 통해 이송된 사진감광재료(A)를 안내하기 위해 각각의 처리탱크(5)내에 세팅되어 있다.
제2도 내지 제5도를 보면, 레크(10)는 단면이 직사각형이다.
복수개의 행거핀(12)은 래크의 외부상부에서 각각의 래크(10)의 측판(11)을 통해 뻗어 있다. 이 행거핀은 래크(10)를 처리탱크(5)로 부터 끌어낼 수 있도록 각각의 처리탱크(5)의 측판(6)상에 제공된 지지부(7)상에 지지되어 있다.
센터가이드(14)는 각각의 래크(10)의 전·후방에 위치된 래크판(13a 및 13b)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사진감광재료(A)용 하향이송로(15)는 센터가이드(14)와 후방래크판(13)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한편, 상향이송로(16)는 센터가이드(14)와 전방래크판(13a)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사진감광재료(A)는 최정상에서 하향이송로(15)로 삽입되어 래크(10)에 있는 이송가구(17)에 의해 하향이송로(15)에서 아래로 이송된다.
래크(10)의 바닥에서 사진감광재료(A)는 바닥턴가이드(18)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서 이송기구(17)에 상향이송로(16)에서 위로 이송된다. 한쌍의 출구로울러(19)는 상향이송로(16)의 최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출구로울러를 회전시킴으로써, 사진감광재료(A)는 래크(10)로부터 위로 이송된다.
사진감광재료의 종류에 따라 이송기구(17)의 종류가 결정된다. 예컨대, 그것이 필름이라면 이송기구(17)는 필름의 선단부에 연결된 리더에 형성된 사각형 구멍과 결합하는 복수개의 스프로켓(20)으로 이루어진다. 인접스프로켓(20)은 리더의 길이보다 짧은 거리만큼 이격되어 외부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된다.
사진감광재료가 쉬트상의 인화지인 경우, 이송기구(17)는 하향 및 이송로를 따라 배치된 복수쌍의 이송로울러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래크(10)의 측판(11)은 전방·후방래크판(13a 및 13b)의 최상에지로부터 위로 돌출한 최상단부를 가지고 있다. 핸들(21)은 측판(11)의 최상단부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제5도 및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쇼울더(22)는 핸들의 전·후방측에서 핸들(21)의 최상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핸들(21)은 그것의 최상부 근처에서 그것의 전·후방 표면에 리세스(23)를 가지고 있다.
제1도와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개구(24a)는 사진감광재료를 삽입하기 위한 현상상자(1)의 입구에 위치된 처리탱크(5)의 전방벽(24)에 형성되어 있다. 입구가이드(25)는 개구(24a)를 통해 처리탱크(5)로 이송되어진 사진감광재료(A)를 안내하기 위해 처리탱크에 삽입된 래크(10)의 핸들(21)과 전방벽(2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가이드(25)는 개구(24a)를 통해 처리탱크(5)로 이송된 사진감광재료(A)를 90도만큼 회전시키기 위한 아치형 가이드표면(25a)과, 그 축이 가이드표면(25a)의 곡률중심에 위치한 회전가능한 가이드표면(25b)를 가지고 있다.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입구가이드(256)는 지지플랜지(26)와 돌기부(27)를 그것의 최상에지를 따라 가지고 있다. 지지플랜지(26)는 핸들(21)의 쇼울더(22)상에 지지되는 한편, 돌기부(27)는 처리탱크(5)의 최상에지상에 지지된다.
입구가이드(25)는 고정제어편(28a)과, 이 고정제어편에 대향하고 있고 탄성변형가능한 가동제어편(28b)을 가지고 있다.
가동제어편(28b)은 핸들(21)에 형성된 전방리세스(23)에 결합되는 리브(29)를 가지고 있다. 입구가이드(25)의 플랜지(26)가 핸들(21)의 쇼올더(22)상에 지지되고, 입구가이드(25)의 돌기부(27)가 처리탱크(5)의 최상에 지상에 지지되는 위치로 입구가이드(25)가 세팅되면, 리브(29)는 리세스(23)와 결합되어 입구가이드(25)가 적당한 위치에 잠금된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톱턴가이드(30)는 래크(10)의 인접 핸들(21)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래크(10)으로부터 상방으로 이송되고 있는 사진감광자료(A)를 안내한다.
제5도와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톱턴가이드(30)은 각각 측판(32)을 가지고 있는 상자형 부재(31)와 측판(34)을 가지고 있는 가이드프레임(3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측판(34)은 아치형 바닥가이드에지(35)를 가지고 있다. 이 가이드에지(35)밑에 설치된 복수개의 가이드로울러(36)는 측판(32)의 외측에 제공된 지지편(37)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양 단부를 가지고 있다. 상자형부재(31)는 인접한 래크(10)의 핸들(21) 사이에 끼워진다. 상자형부재(31)에는 그것의 전방 및 후방판(38)의 최상 외부에지를 따라서 지지플랜지(39)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톱턴가이드(30)는 플랜지(39)를 인접한 핸들(21)의 쇼울더상에 위치시킴으로써 또는 쇼울더(22)를 생략한채 핸들(21)의 최상표면상에 위치시킴으로써 적당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다.
판(38)은 그것의 최상에지로부터 하향으로 뻗어있는 두 슬롯(40)을 가지고 있다. 슬롯(40) 사이에 한정된 부분은 안쪽으로 굽혀질 수 있는 제어편(41)으로서 작용한다. 톱턴가이드(30)이 각각 핸들(21) 사이에 정확하게 세팅되면, 리브(42)는 핸들의 전방 및 후방표면에 형성된 리세스(23)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현상상자(1)의 톱커버(3)는 입구가이드(25)와 톱턴가이드(30)를 그것의 정확한 세팅위치로 하향으로 누르기 위한 푸셔(8)를 가지고 있다. 이 실시예의 자동현상기를 조립하기 위해, 래크(10)를 처리탱크(5)내에 매달음으로써 입구가이드(25)와 톱턴가이드(30)는 입구근처에서 처리탱크(5)의 전방벽(24) 사이와 인접한 래크(10)의 핸들(21) 사이에 각각 세팅된다.
입구가이드(25)를 장착하기 위해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가동제어편(28b)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고정제어편(28a)과 가동제어편(28b) 양쪽으로부터 눌러서 잡는다. 이 상태에서 입구가이드(25)는 전방벽(24)과 핸들(21) 사이에 삽입된다.
지지플랜지(26)를 핸들(21)의 쇼울더(22)상에 지지시키고 돌기부(27)를 처리탱크(5)의 최상 에지상에 지지시킴으로써, 가동제어편(28b)가 그것의 본래 형상을 되찾을 수 있도록 고정 및 가동제어편(28a 및 28b)은 해방된다. 그래서 리브(29)는 리세스(23)내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각각의 톱턴가이드(30)를 장착하기 위해서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한쌍의 제어편(41)을, 상자형 부재(51)의 안쪽으로 탄성변형시키기 위해 양쪽으로부터 눌러서 잡는다. 이 상태에서 톱턴가이드(30)는 지지플랜지(39)가 핸들(21)의 쇼울더(22)상에 지지될 때까지 인접한 핸들(21) 사이에 끼워진다. 그런 후 이 제어편은 해방된다.
제어편(41)이 해방됨으로써, 이 제어편은 본래 형상을 되찾을 수 있고 그래서 리브(42)는 리세스(23)내에 들어가 결합하므로, 톱턴가이드(30)는 적당한 위치에 잠금된다.
어떤 톱턴가이드(30)가 제6a도에 도시한 것처럼 완전하게 삽입되지 않아서 지지플랜지(39)가 쇼울더(22)로부터 떨어져 있는 경우라도 그것은 톱커버(3)을 닫음으로써 톱커버(3)의 푸셔(8)에 의해 제6b도에 도시된 것처럼 정확한 세팅위치로 하향으로 눌려지게 된다. 이 상태에서 리브(42)는 리세스(23)내로 들어가서 결합하므로 톱턴가이드(30)는 잠금된다.
리브(42)가 톱턴가이드(30)을 하향으로 누름으로써 리세스(23)내로 들어가서 결합되는것을 확실히 보장하기 위해 각각의 리브(42)는 그 바닥표면에 테이퍼가 형성되어 있다.
입구가이드(25)가 불완전하게 장착된 경우, 톱턴가이드(30)와 마찬가지로 톱커버(3)를 닫음으로써 톱커버(3)의 푸셔(8)에 의해 정확한 세팅위치로 하향으로 눌려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리브(29)는 리세스(23)내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입구가이드(25)와 톱턴가이드(30)를 탈거하기 위해 톱커버(3)를 열고 고정제어편(28a)과 가동제어편(28b) 및 한쌍의 제어편(41)을 양쪽으로부터 눌러서 잡아서 리브(29 및 42)를 리세스(23)로부터 빠져나오게 하고, 그 후 가이드(25 및 30)를 현상상자로부터 상승시킨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청구된 장치에서, 입구가이드는 고정 및 가동제어편을 양쪽으로부터 눌러서 잡음으로써 가동제어편을 탄성변형시키면서 입구가이드는 입구부의 처리탱크의 전방벽과 이 탱크에 장착된 래크의 핸들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편을 해방시킴으로써, 가동편상에 형성된 돌기부는 리세스에 들어가서 결합된다. 따라서, 입구가이드는 단지 이것을 소정위치에 세팅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잠금되므로 용이하게 적당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에 청구된 장치에서, 입구가이드가 불완전하게 세팅된 경우라도 이것은 톱커버를 닫음으로써 푸셔에 의해 그것의 정확한 위치로 하향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입구가이드는 재세팅할 필요없이 용이하고도 신뢰성있게 적당한 위치에 세팅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장치에서, 각각의 톱턴가이드는 한쌍의 제어편을 양쪽으로 부터 눌러서 잡음으로써 이것을 탄성변형시키면서 래크의 핸들사이에 삽입된다. 이 상태에서 제어편을 해방시킴으로써, 제어편상에 헝성된 돌기부는 리세스내에 들어가서 결합될 것이다. 따라서, 톱턴가이드는 단지 이것을 소정위치로 세팅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잠금되므로 용이하게 적당한 위치로 세팅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장치에서, 톱턴가이드가 불완전하게 세팅된 경우라도 이 톱턴가이드는 톱커버를 닫음으로써 푸셔에 그것의 정확한 위치로 하향으로 눌려진다. 따라서 톱턴가이드는 리세팅할 필요없이 용이하고도 신뢰성있게 제자리에 세팅될 수 있다.

Claims (4)

  1. 현상상자, 상기 현상상자내 수용된 복수개의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를 통해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핸들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처리탱크내에 장착된 래크, 및 상기 현상상자의 입구에 위치된 상기 처리탱크중의 하나의 처리탱크의 전방벽과 상기 처리탱크중의 상기 하나의 처리탱크의 상기 래크내부로 상기 현상상자내에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안내하기 위해 상기 처리탱크중의 상기 하나의 처리탱크에 삽입된 상기 핸들사이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된 입구가이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입구가이드는 상기 래크의 상기 핸들에 대향하여 제공된 탄성변형 가능한 가동 제어편과 고정 제어편을 가지고 있고 상기 래크의 상기 핸들의 최상표면상에서 지지된 지지부재를 가지고 있고, 상기 가동 제어편은 상기 핸들의 전방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내에 결합되도록 응용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사진현상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상자의 최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덮기 위한 톱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커버는 상기 톱커버가 닫혔을 대 상기 핸들의 최상표면에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되는 위치로 상기 입구가이드를 하향으로 누르는 푸셔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사진현상기.
  3. 현상상자, 상기 현상상자에 수용된 복수개의 처리탱크, 상기 처리탱크를 통해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안내하기 위한 각각의 상기 처리탱크내에 장착된 래크, 각각의 상기 래크로부터 상향으로 이송된 사진감광재료를 다음 래크로 안내하기 위한 상기 핸들 사이에 장착된 톱턴가이드와, 각각의 상기 핸들에 대향하는 탄성변형 가능한 한쌍의 제어편으로 구성되어 있고, 각각의 상기 래크는 자신의 최상부에 핸들을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톱턴가이드는 상기 톱턴가이드가 정밀하게 제위치에 세팅된채 각각의 상기 핸들의 최상표면상에서 지지되는 지지부재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상기 제어편은 각각의 상기 핸들의 전방 또는 후방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내에 결합되도록 응용된 돌기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사진현상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현상상자의 최상부에 형성된 개구를 덮기 위한 톱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톱커버에는 상기 톱커버가 닫혔을 때 상기 핸들의 최상표면상에서 상기 지지부재가 지지되는 위치로 상기 입구가이드를 하향으로 누르는 푸셔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사진현상기.
KR1019960027587A 1995-07-10 1996-07-09 자동사진현상기 KR10019094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73471 1995-07-10
JP7173471A JP2988325B2 (ja) 1995-07-10 1995-07-10 写真感光材料の自動現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78A KR970007478A (ko) 1997-02-21
KR100190946B1 true KR100190946B1 (ko) 1999-06-15

Family

ID=15961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587A KR100190946B1 (ko) 1995-07-10 1996-07-09 자동사진현상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29751A (ko)
JP (1) JP2988325B2 (ko)
KR (1) KR100190946B1 (ko)
CN (1) CN1080419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56452A (en) * 1998-02-06 2000-05-02 Konica Corporation Method for processing silver halide photographic light-sensitive material
US6217238B1 (en) * 1999-02-17 2001-04-17 Phototrader, Inc. Photographic film processor and method of developing fil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134723U1 (de) * 1981-11-27 1983-05-11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Transporteinheit fuer fotografische schichttraeger in einem entwicklungsgeraet
DE4000114C1 (ko) * 1990-01-04 1991-03-28 Agfa-Gevaert Ag, 5090 Leverkusen, De
US5432581A (en) * 1992-03-02 1995-07-11 Eastman Kodak Company Rack and a tank for a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7478A (ko) 1997-02-21
CN1170890A (zh) 1998-01-21
JP2988325B2 (ja) 1999-12-13
US5629751A (en) 1997-05-13
JPH0922107A (ja) 1997-01-21
CN1080419C (zh) 2002-03-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946B1 (ko) 자동사진현상기
JPH0235976B2 (ko)
US4431180A (en) Roller supporting arrangement for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H07133046A (ja) ペーパマガジンの支持装置
JPH05906Y2 (ko)
US4685791A (en) Film cassette
US771282A (en) Plate-holder attachment for cameras.
US3290990A (en) Multiprint easel
US4456359A (en) Flat photographic sheet processing cassette
JPH01302250A (ja) 現像機
US2629303A (en) Film receiving frame
KR910000948Y1 (ko) 복사기의 상단자동 및 수동급지장치
US3125336A (en) Movable vacuum platen for reproducing apparatus
JPH05907Y2 (ko)
JP2535370B2 (ja) 現像装置
JP3006459B2 (ja) 写真感光材料の自動現像処理装置
JPH0745076Y2 (ja) 画像形成装置の原稿露光装置
JPH01216356A (ja) 現像装置
JP2788917B2 (ja) フィルムマガジン装置
JPS6230026Y2 (ko)
JPH0134188Y2 (ko)
JPH07234493A (ja) 自動現像機の感材案内装置
JPS62126046A (ja) カセツト式給紙機構
JPH02226155A (ja) 色版フィルム装填装置
JPH11218891A (ja) ローラユニット、および、ローラユニットを用いた写真感光材料用自動現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