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604B1 -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604B1
KR100188604B1 KR1019930702269A KR930702269A KR100188604B1 KR 100188604 B1 KR100188604 B1 KR 100188604B1 KR 1019930702269 A KR1019930702269 A KR 1019930702269A KR 930702269 A KR930702269 A KR 930702269A KR 100188604 B1 KR100188604 B1 KR 100188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input
analog circuit
signal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2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736A (ko
Inventor
르돌프 코블리트자
마르틴 리에거
자빈 로트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도이체 톰손-브란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아인젤 ; 한스-요르크 게슬러 ; 데트레브 엠. 랑 ; 헤르메스 뵈르데만
Publication of KR930703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6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7/00Automatic frequency control; Automatic scanning over a band of frequencies
    • H03J7/02Automatic frequency control
    • H03J7/04Automatic frequency control where the frequency control is accomplished by varying the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non-mechanically adjustable element or where the nature of the frequency controlling element is not significan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JTUNING RESONANT CIRCUITS; SELECTING RESONANT CIRCUITS
    • H03J3/00Continuous tuning
    • H03J3/02Details
    • H03J3/10Circuit arrangements for fine tuning, e.g. bandspreading

Landscapes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hannel Selection Circuits, Automatic Tuning Circuits (AREA)
  • Superheterodyne Receiver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아나로그 자동 주파수 미세조정 시스템은 정확하지 않으며, 그리고 예를 들면 필수공진회로 때문에 완전하게 집적될 수 없다. 공지된 디지탈 자동 주파수 미세조정 시스템은 아주 정확할 수 있지만, 그러나 모드적으로 큰 칩 영역과 증가된 전력 소모를 필요로 한다.
예를 들면 어떤 TV 채널에 대한 고정밀 주파수 미세조정의 목적을 위해, 그 주파수가 평형될 수 있는 예를 들면 FM복조기 같은 아나로그 회로가 제어 전류에 의해 집적회로에서 평형된다. 조절루프에서 발생된 제어전류는 적당한 정확성을 가진 기준 주파수에 따르며 그리고 칩상에 집적된 기준 캐패시턴스에 따른다. 주파수를 선택한 후에, 아나로그 회로는 교정되는 주파수는 그후에 측정모드에서 미세조정된다. 그 다음에, 아나로그 회로는 정상모드에서 작동한다.
본 발명은 고정밀, 자동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아나로그 회로에 적합하다.

Description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
본 발명은 집접회로에서 주파수가 평형될 수 있는 아나로그 회로에 의해 자동 및 주파수 미세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자 신호 처리 분야에서, 예를 들면 튜너 또는 평형주파수 제너레이터를 조정할 때, 주파수 또는 주파수 종속회로를 정확하게 평형(정렬) 시키는 것이 자주 필요하게 된다.
대응 AFT (자동 미세 조정, automatic fine tune) 기술은 케이.블에어 벤슨(K.Blair Benson), 멕그로우 힐(McGraw-Hill) 출판사의 텔레비젼 엔지니어링 핸드북의 페이지 13.117 같은 곳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서, 병렬공진 회로내의 위상 이동이 유용하다.
제1도는 적당한 블록회로도를 도시한다. 예를 들면 텔레비젼 오디오 신호인, 조정에 의해 영향을 받는 출력신호(10)은 공진회로(11) 및 위상 검출기(12)의 제1입력으로 유입된다. 공진회로는 원하는 주파수로 조정된다. 공진회로(11)의 출력신호는 위상검출기(12)의 제2입력으로 유입된다. 위상검출기의 출력신호는 저역필터(13)에서 필터링되고 입력신호(10)의 조정을 위한 조절변수(14)로써 제공된다. 이에 적당한 회로는 FM 복조기(15) 같은 것인데, FM 복조기는 조절변수에 의해 조정될 수 있고 조절변수(14) 및 신호(16)이 복조를 위하여 유입된다.
그러나 이러한 개개의 응용에서, 선행기술은 약 150kHz에서만 정확한 조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는 별도로, 그러한 공지된 AFT 회로는 완전히 집적화될 수 없다. 예를 들면 집적회로간의 두 접속이 외부공진회로를 위해 요구된다.
그외에 공지된 해결책은 주파수가 조정되도록 디지탈로 카운팅하고 이에 따라 그것을 재조정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회로구성비용 및 이를 위해 요구되는 집적회로에서의 칩사이즈가 크다. 또한 이러한 디지탈 AFT 회로에 대한 전류소모도 상대적으로 크다.
집적회로에서 낮은 회로비용 및 전류소모가 작은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조정을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방법은 집적회로에서 그 주파수가 평형될 수 있는 아나로그회로에 대하여, 예를 들면 어떤 TV채널에서,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조정의 목적을 위해, 주파수 평형 아나로그 회로에 대하여 적어도 하나의 조절변수가 고정밀 기준 주파수에 의해 형성되고 저장되고 (여기서 상기 변수의 값은 또한 집적 회로내에서 기준회로영역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미세조정을 위해 연속적으로, 여러가지 동작모드가 스위치 온 되는 것이다.
그외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항 2항 내지 7항에 나타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대한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원칙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회로는 아나로그 회로(23,33)이 제공되며, 여기서 주파수는 조절변수, 고정밀 기준주파수(fch), 제1, 제2 및 제3변환스위치, 제1(T1), 제2(T2) 및 제3(T3)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 제1(CL) 및 제2(CH) 비교기, 가산기(21), 그리고 내부 캐피시터(Cint)에 의해 평형될 수 있으며, 이로인해:
- 아나로그 회로(23)의 출력전압(V1)은 제1(T1) 및 제2(T2) 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제2입력 그리고 제1(CL) 및 제2(CH) 비교기의 제2입력으로 유입되고;
- 기준전압(Vref)는 정상모드에는 제1자동이득제어증폭기(T1)의 제1입력(251)로 유입되고;
- 기준전압(Vref) 및 보상전압(Vcf)으로 이루어진 혼합전압은 교정모드에서 제2자동이득제어증폭기(T2)의 제1입력(252)로 유입되고;
- 기준전압(Vref) 및 스레쉬홀드(Vth) 사이의 차이인 차동전압은 제1비교기(CL)의 제1입력(254)로 유입되고 그리고 기준전압(Vref)의 합인 가산전압 및 스레쉬홀드(Vth)가 측정모드에서 제2비교기(CH)의 제1입력(253)으로 유입되고;
- 제1자동이득제어증폭기(T1)의 출력신호는 정상모드에서 제3변환스위치의 제1입력(N)으로 유입되고;
- 제2자동이득제어증폭기(T2)의 출력신호는 교정모드에서 제3변환스위치의 제3입력(C)에 유입되고;
- 제3변환스위치의 출력신호는 제3(T3)자동이득제어증폭기의 입력에 유입되고;
- 제3(T3)자동이득제어증폭기의 출력신호는 가산기(21)의 제1입력에 유입되고;
- 내부 캐패시터(Cint)의 크기로부터 유도되고 계수(k)에 의해 수정되는 신호는 가산기(21)의 제2입력으로 유입되고;
- 가산기(21)의 출력신호는 아나로그 회로(23)의 제어입력으로 유입되고;
- 아나로그 회로(23)에서 처리된 원하는 신호(wanted signal)는 정상모드에서 제1변환 스위치의 제1입력(N)에 유입되고;
- 보강(보조) 신호주파수는 교정 및 측정 모드에서 제1변환스위치의 제2입력(C,M)에 유입되고;
- 고정밀 기준 주파수(fch) 또는 그로부터 유도되는 주파수는 교정모드에서 제2변환 스위치의 제1입력(C)로 유입되고;
- 제1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로 부터 유도되는 신호주파수는 제2변환 스위치의 제2입력(N,M)에 유입되고;
- 제2변환스위치의 출력신호는 아나로그 회로(23)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1 및 제2비교기의 출력신호는 예를 들면 TV 장치 튜너에서 오실레이터를 조정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그외의 본 발명에 따른 회로의 바람직한 개선은 종속항 제9항 내지 11항에 나타난다.
본 방법은 집적회로에 적당하고, 아나로그 회로를 응용하므로서 자동 주파수 미세조정이 가능하며, 여기서 주파수는 예를 들면 FM 복조기 또는 주파수 제너레이터 같이 평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AFT 회로는 거기서 발생되는 조절변수로 자동으로 동작하는 조절루프를 포함한다. 이러한 조절변수는 집적회로의 칩캐리어 상에서 예를 들면 기준 캐패시턴스와 같은 기준 소자에 의해 부가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이로 인해 이러한 기준 소자의 각각의 값에서, 집적회로의 제조에 의한 제조오차가 표시된다. 참고로, 교정모드에서 AFT 회로는 필요한 정확성을 가진 기준 주파수로 유입된다.
이로 인해, AFT 기능을 실행할 수 있도록 세가지 동작모드가 제공되는데 이것은:
a) 정상 모드
b) 교정 모드
c) 측정 모드이다.
교정모드에서, 우선 아나로그 회로는 주파수 평형된다. 그리고 이러한 평형은 교정모드가 다시 스위치 온 될 때까지 유지된다. 다음에, 측정모드에서, 미세 조정된 주파수의 현재값이 이전에 평형된 아나로그 회로를 기준으로 결정된다. 따라서 이러한 결정값이 미세조정되야 되는 주파수에 대한 원하는 값보다 작거나, 동일하거나, 크거나에 따라 적당한 미세조정이 발생한다. 그 다음에, 정상모드로 전환되며, 여기서 아나로그 회로는 실제 목적을 위해 이용된다.
바람직하게, 평형 및 미세조정은 기억 캐패시터를 통하는 전류 및 변환 콘덕턴스 증폭기에 의해 제어(구동)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를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공지된 AFT 회로를 도시하며;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AFT 회로를 도시하며;
제3도는 TV 장치를 위한 확장된 집적회로에서 본 발명에 따른 AFT 회로의 응용을 도시한다.
다음에, FM 복조기를 평형시키기 위한 그리고 미세조정을 위한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AFT 회로의 세동작모드가 먼저 설명된다. 만약, 예를 들어, TV장치가 스위치 온 되거나 또는 이러한 TV 장치에서 수신채널이 변경되면, 먼저 짧은 시간동안 교정모드가 선택된다 (이러한 선택과 다른 동작 모드의 선정은 바람직하게 자동으로 발생한다). 이에 의하여, FM 복조기는 예를 들면 컬러 부반송파 주파수 같은 정밀한 기준주파수에 의한 조절변수에 의해 미세하게 평형되며, 이러한 조절변수에 대한 값은 저장된다.
그 다음에, 측정모드는 짧은 시간동안 선택된다. 이전에 평형된 FM 복조기의 출력전압에 의하여, IF 주파수, 그리고 그것과 함께 튜너 오실레이터의주파수가 유지, 감소 또는 증가될 필요가 있는지를 두 개의 비교기가 검출한다.
튜너 오실레이터가 평형이 된 후에, 정상모드가 스위치 온 된다.
1. 정상모드
제2도에서 스위치 위치(N)은 이러한 동작모드를 나타낸다. 전체 회로는 중간범위주파수의 자동평형 기능을 가진 FM 복조기와 같이 작용한다. 4.5MHz 대역필터의 IF 출력 오디오 신호(20)은 예를 들면, 신호원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출력신호는 믹서(mixer)(221)에서 920kHz로 변환되고 (믹서는 또한 컬러 부반송파 오실레이터의 주파수 fch= 3.579545MHz를 수신함), 양호도 Q=3을 가진 필터(22)에서 대역 필터되고 그리고 FM 복조기(23)에서 복조되는 입력신호(fs)를 형성시킨다.
FM 복조기(23)은 자유이동상태주파수
를 가진 내부, 전류제어 오실레이터(도시안됨)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kd는 제1상수이고, Icon은 FM 복조기(23)에 대한 제어전류이고 그리고
는 Cnom인 정상값과 +/-델타C인 절대제조공차값을 가진 회로(도시안됨) 상에서 집적된 내부 캐피시터이다.
오실레이터의 자유이동상태 주파수와, 그와 함께 FM 복조기의 조정은
(여기서 델타 f1= 동기범위)인 경우에 입력 신호(fs)의 주파수로 동기화 될 수 있다.
만약 입력신호(fs)가 주파수 변조되면,
가 유효하고, 여기서 fc는 중간 범위 주파수이고 델타 fs는 진동 범위(swing)이다. 동기화된 오실레이터의 주파수(f1)에 대하여, f'1= fs는 델라 fs가 델타 f1보다 작거나 같은 한은 유효하다. 따라서 저역 필터된 출력전압(V1)은 복조된 오디오 신호
를 나타내며, 여기서 kf는 복조기 특징 커브의 기울기이고, Vref는 기준 전압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제2도의 AFT 회로에서, 우선 먼저 IF 출력오디오 신호(20)이 인가되지 않는다. 제1변환콘덕턴스증폭기(T1), 기억캐패시터(Cstor), 제3변환콘덕턴스증폭기(T3) 및 FM 복조기(23)은 평형 루프를 형성한다. 기준전압(Vref)는 제1변환콘덕턴스 증폭기의 입력(251)에 유입된다. 만약, 중간 범위 주파수(fc) 및 자유이동상태주파수(f1) 사이에서 주파수 차이가 범위
에서 나타나면, 자동평형루프는 다음의 방법으로 자유이동상태 주파수(f1)을 f1=fc로 정정한다. 만약 출력전압(V1)이 식(5)에 따라 변경된다면, 예를 들면 +/- 0.5마이크로 암페어인 최대출력전류를 이용하여 제1변환콘덕턴스 증폭기(T1)(변환콘덕턴스 k1을 가짐)는 외부 기억 캐패시터(26)(Cstor)를 기억전압
로 교정시키는데, 여기서 P는 복합주파수이다. 기억전압(Vc)에 따라, 제3변환콘덕턴스 증폭기(T3)(변환콘덕턴스 k3를 가짐)는 교정전류
를 발생시키는 (Iscor= k3* V3에는 제조공차를 고려한 제어전류 (Icono)가 가산기(21)에서 가산됨), 그리고 복조기 제어전류
를 형성한다. 제어전류(Icono)는 또한 필터(222)를 평형시키기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그로 인해 제1(241) 및 제2(242)곱셈기는 정상모드에서 제어전류(Icono)에 계수 k=1을 곱한다.
식(1),(2),(5) 그리고 (7) 내지 (9)로부터, 적당한 변환에 의하여 교정된 자유이동상태주파수
를 얻을 수 있다.
전형적인 값은 kd=1, fs-920kHz, Cint= Cnom= 10pF,
Icon= Icono, f1= fs, V1= Vref, Cstor= 1nF 이다.
교정전류(Icor)에서 오디오 신호가 왜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평형루프에서 제한주파수는 200Hz에 놓여있다.
교정전류(Icor)는 바람직하게 또는 필터(222)를 조정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복조기제어전류(Icon)를 직접 이러한 필터에 피딩하는 제2가산기(도시안됨)를 적용함으로써 가능하다.
FM복조기(23) 신호대 잡음비는 동기범위 델타 f1에 대략 반비례한다. 그러한 이유 때문에, 델타 f1은 가능한한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자동평형루프가 이용되지 않고 그리고 Icoro가 - 교정전류(Icor) 대신 내부 캐패시터(Cint)의 절대값에 따르는 일정전류인 경우이면, 자유이동상태주파수(f1)이 절대공차델타C에 따른다는 것을 식(1) 및 (2)로부터 알 수 있다. 이러한 공차는 약 +/- 15%의 값을 가진다.
이러한 주어진 조건에서 그리고 지속적인 양호한 동기화를 보장하기 위하여, 델타 f1
의 최소값 밑으로 떨어지면 안된다.
델타 fs1에 대한 바람직한 값은 다음 수식값:
델타 f1=70kHz+0.15*920kHz=208kHz를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먼저 복조기 제어전류(Icon)는 내부 캐패시터(Cint)에 비례한다고 가정한다. 그로 인해, 식(11)의 오른쪽의 제2항은 변경되며 그리고 동기 범위 델타 f1
이 되는데 df1은 주파수 오프셋을 나타내며, 주파수 오프셋은 열 드리프트 및 기생효과(parasitic effect)에 대하여 복조기 제어 전류(Icon)를 발생시키는 소자 및 FM 복조기(23) 사이의 상이한 작용이 의해 발생된다. df1의 최대값은 약 5%이다. 상기 수식값은 따라서 델타 f1= 70kHz+0.05*920kHz = 116kHz를 제공하기 위하여 변경된다. 만약 자동 평형 루프는 또한 동작중에 있다면, df1은 그 중요성을 상실하고 식(11a)에서 제로가 되며 그리고 델타 f1에 대한 수식값은 델타 f1=70kHz로 변경된다.
2. 교정모드
AFT 회로는 교정될 수 있다. 제2도에서 스위치 위치(C)는 이러한 동작 모드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컬러 오실레이터의 크리스탈 안정화 주파수 fch=3.57954MHz는 제1분할기(22)에서 1/5로 감소된다. 이것은 교정 주파수 fcal=715.909kHz가 되도록 한다. 복조기 제어 전류(Icon)는 예를 들면 제1(241) 및 제2(242)곱셈기에서 계수 k=0.78을 곱함으로써 감소된다. 그와 함께, 교정된 자유이동상태 주파수는
가 된다.
교정주파수 fcal(715.909kHz) 및 AFT 측정주파수 (fmea) 사이의 주파수 오프셋
을 기초로하여, 보상전압 Vref-Vof는 제2변환콘덕턴스 증폭기(T2)의 입력(252)로 유입된다. 식(5)와 관련하여, Vcf
로 된다.
제2변환콘덕턴스 증폭기(T2)는 변환콘덕턴스 k2로써 예를 들면 +/- 3001μA의 최대출력전류를 공급하고 기억캐패시터(26)(Cstor)을 변경시켜서 교정된, 보정된 자유이동상태 주파수에 대하여 다음:
이 유효하다.
식(10)과 유사하게 따라서 다음:
이 유효하다.
따라서 복조기 제어 전류(Icon)를 발생시키는 소자 및 FM 복조기(23) 사이의 상이한 작용에 근거한 이론적 주파수 장해 평형은
= 0.05 * 717kHz = 35.9kHz가 되며, 그리고 바람직하게 정상모드에서 처럼, 자동조정에 의해 바람직하게 제거된다. 중간주파수 fIF=45.75MHz는 중간주파수 입력(24)로 유입되고 상기 주파수는 다음 제2분할기(223)에서, 예를 들면 계수 n=16에 의해 감소된다. 이 감소된 주파수는 믹서(221)에서 컬러 오실레이터 주파수와 혼합되는데 믹서(22)는 측정 주파수
를 FM 복조기(23)의 입력에 인가한다. 만약, 예를 들면 fmea= 45.75MHz/16-3.579545MHz=720.17kHz 그리고 kf=20mV/kHz이며, 델타 F=4.261kHz이고 Vof=85mV이다.
평형루프의 제한주파수는 정상모드에서 보다 높은 k2/k1=3001 A/0.51 A=600배인 계수이며약 10kHz에 이른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약 1ms인 10/f1cal보다 작은 tcal인 짧은 교정시간이 가능하게 한다.
3. 측정모드
AFT 회로가 측정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기 전에, 상기 2.)이하에서 기술된 것처럼 교정되어야 한다.
제2도에서 스위치 위치(M)은 측정모드인 동작모드에 관한 것이다.
측정모드에서 신호원은 중간 주파수 VCO(전압-제어 오실레이터,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또는 중간주파수 입력(24)에서 증폭되고 제한된 중간주파수 신호 중 하나이다. 이러한 중간 주파수 신호의 주파수(fIF)는 제2분할기(223)에서 예를 들면 n=16인 분할계수 n에 의해 감소되고 교정모드에서 처럼 믹서(221)에서 컬러 오실레이터 주파수(fch)와 혼합되는데, 믹서(221)는 FM 복조기(23)의 입력에 측정주파수 fmea=fIF/1-fch를 인가한다.
fIF=45.75kHz일 때. 다시 N=16 그리고 fch=3.57954MHz, fmea=720.17kHz이다.
제어전류 Icono및, 그와 함께 FM 복조기(23)의 내부오실레이터의 자유이동모드 주파수 f1mea는, 교정모드에서처럼, k=0.78이 곱해진다.
측정모드에서 자동평형루프가 오픈되기 때문에, 기억전압(Vc)는 일정하게 되고 f1mea는 예를 들면 식(16)에서 처럼 f1cal가 등가이다. 2.)에서 기술된 보상전압(Vof)은 측정모드에서 중간주파수(fIF)로 부터 유도된 신호로 부터의 정상측정주파수(fmeanom)는 f1cal가 동일하다. 출력 전압(V1)은 추가적으로 제1비교기(CL) 및 제2비교기(CH)로 유입된다. 제1비교기는 또한 그 입력(254)에서 전압 Vref-Vth를 수신하고 제2비교기는 그 입력(253)에서 전압 Vref+Vth를 수신하는데, Vth는 스레쉬홀드 전압이다. 스레쉬홀드 전압을 가진 두 비교기(CL,CH)는 fmea가 교정값(fmea는 거의 fmeanom에 일치한다)을 가지거나 또한 너무 높거나 낮은지를 검출한다.
만약, 교정모드에서 처럼, 복조기 특성커브의 기울기 kf=20mV/kHz면, Vth=kf*kHz=20mV는 바람직하게 스레쉬홀드 전압으로 선택된다.
만약 | fmeanom-fmea| ≥ kHz 이면 이것은 비교기의 출력신호의 레벨에서 점프효과를 가진다.
이로부터 발생하는 중간주파수의 장애조정은 상기예에서 델타 fIF=16kHz를 나타나는 델타 fIF= n*Vth/kf이다.
만약 FM 복조기(23)이 값 델타 f1을 가진 동기범위에 대하여 설계되면, AFT 회로는 n*델타f1까지 중간주파수 장애조정을 재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16에 대하여, 델타 f1=100kHz는 바람직한 값이다.
바람직하게, 제2도에서, 기준전압(Vref)은 집적회로에 대한 동작전압(Vcc)의 절반값을 가진다.
주파수(fch)가 믹서(221) 및 제1분할기(22)로 유입되는 대신에, 다른 크리스탈-안정화 소스로부터의 주파수가 이용될 수 있으며, 믹서에 유입되고 제1분할기 출력신호를 대체시킨다.
입력(20,24)에서 다른 입력 주파수에 대하여, 필터(222) 및 제1분할기(22)의 출력에서의 대응하는 수정된 주파수, 계수 k에 대한 대응하는 수정값 그리고 제1분할기(22)에 대한 수정된 분할계수를 초래한다. 예를 들면, CCIR 표준 B/G에 의한 TV 표준에 대하여, 다음 값이 발생한다.
믹서(221)의 입력(223)에서의 주파수 : 5.875MHz
제3도에서 집적회로부터의 선택은 본 발명에 따른 AFT 회로에 의한 복조가 도시되도록 다시 만들어 졌다(단지 정상모드만).
컨버터(38)은 그 입력에서 IF신호를 수신하고 예를 들면 4.5/5.5/6.0MHz 오디오 IF 신호인 필터된 출력신호를 제1믹서(321)의 제1입력에 공급한다. 이 믹서는 제2도의 믹서(221)과 동일한 것이다. 제2입력으로 제1믹서(321)은 적당한 혼합주파수를 제공하는 VCO회로(372)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수신한다. 이 출력신호는 주파수 분할기(373)을 통하여 제2믹서(374)의 제1입력으로 전송되는데, 제2믹서(374)는 그 제2입력에서 기준 오실레이터(371)로 부터의 신호를 수신한다. 제2믹서(374)로 부터의 출력신호는 조절루프가 닫힌 후에 루프필터(375)를 통하여 VCO회로(372)로 유입된다. 이 조절루프는 제2도에 기술한 자동 평형루프의 기능을 수행한다. 제1믹서(321)의 출력신호는 필터(322)로 유입되며, 필터의 기능은 제2도에서 필터(222)와 동일하다. 그리고 필터링된 신호는 제한기(391)를 통하여 FM복조기(33)으로 유입된다. 이 FM복조기는 제2도에서의 FM복조기(23)과 동일하다. FM복조기의 출력대역은 이후에 제1저역 필터(393) 및 제2저역 필터(392)에서 제한된다. 오디오신호는 제1저역필터의 출력에서 픽업될 수 있으며, 미세조정을 위해 FM복조기(33) 및 필터(322)로 유입되는 조절전압은 제2저역필터의 출력에서 픽업될 수 있다. 제1저역 필터에서의 제한주파수는 예를 들면 100kHz이고, 제2저역 필터에서의 제한 주파수는 예를 들면 20Hz이다. 제2저역필터 내의 캐패시터는 또한 직접회로에 외부에서 연결할 수 있다.
스테레오 또는 이중 채널 오디오 신호인 경우에, 예를 들면, 이중 오디오 반송파 기술에 의해, 필터(322), 제한기(391), FM복조기(33), 제1저역필터(393) 및 제2저역필터(392)는 모두 대응하여 이중으로 제공된다.

Claims (10)

  1. 상이한 동작모드가 전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조절변수가 대응하는 정확한 기준 주파수에 따라 평형을 위해 형성되는 주파수 자동평형 방법에 있어서, a) 주파수가 평형화될 수 있는 아나로그 회로가 상기 조절변수에 의하여 미세 조정되는 단계; b) 적어도 교정모드, 측정모드 및 정상모드인 동작모드가 제공되는 단계; c) 교정모드에서, 상기 정확한 기준 주파수 및 상기 기준 주파수로부터 유도된 주파수 중 하나는 상기 아나로그 회로를 평형화시키기 위하여 이용되고 조절변수에 영향을 주는 적어도 하나의 값이 기억되는 단계; d) 교정모드에서 평형화가 수행된 후에, 아나로그 회로에서 처리될 신호에 대한 미세 조정이 조절변수에 영향을 주는 기억값에 대하여 측정모드에서 수행되는 단계; e) 정상모드에서, 아나로그 회로가 처리될 신호를 처리하는 동안 조절변수에 의해 계속해서 미세 조정되어, 조절변수의 목표값이 교정모드에서 대응값으로부터 유도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변수는 기준회로 부분에 의하여 추가적으로 영향을 받고, 이것은 제조 공차 때문에 변경되는 아나로그 회로의 평형화에 대한 패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모드에서의 초기 평형화 이전에 또는 아나로그 회로에서 처리될 신호에 대하여 상이한 주파수를 선택할 때, 적어도 한 번 연속적으로 교정모드, 측정모드 및 정상모드에서 스위치 온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변수는 조절변수에 영향을 주는 값 중 하나로부터 직접 유도된 교정 조절변수 및 제조 공차를 고려한 추가 조절변수로부터 결정되고, 이러한 조절변수는 특히 제어전류이고 합성조절변수에서 추가 조절변수의 비율은 교정모드 및 측정모드에 이용되는 주파수에 매칭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변수 또는 교정 조절변수 중 하나에 각각 영향을 주는 상기 값은 아나로그 회로의 출력 직접 전압 소자 및 각각 결정된 기준전압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가 평형화될 수 있는 아나로그 회로는 기준회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아나로그 회로는 내부, 전류제어되는 오실레이터 또는 전류제어되는 주파수 제너레이터를 가진 FM 복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주파수가 조절변수에 따라 평형화되는 아나로그 회로; 고밀도 기준 주파수에 대한 피딩점, 제1, 제2 및 제3변환 스위치; 제1, 제2 및 제3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 제1 및 제2비교기; 가산기; 및 내부 캐패시터를 포함하며, 아나로그 회로의 출력전압은 제1 및 제2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제2입력 그리고 제1 및 제2비교기의 제2입력으로 유입되고; 기준전압은 정상모드에서 제1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제1입력으로 유입되고; 기준전압 및 보상전압으로 이루어진 혼합전압은 교정모드에서 제2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제1입력으로 유입되고; 기준전압 및 스레쉬홀드 전압 사이의 차이인 차동전압은 제1비교기의 제1입력으로 유입되고 그리고 기준전압 및 스레쉬홀드 전압의 합인 가산 전압은 측정모드에서 제2비교기의 제1입력으로 유입되고; 제1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정상모드에서 제3변환 스위치의 제1입력으로 유입되고; 제2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교정모드에서 제3변환 스위치의 제3입력에 유입되고; 제3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는 제3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입력에 유입되고; 제3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의 출력신호는 가산기의 제1입력에 유입되고; 내부 캐패시터의 크기로부터 유도되고 계수(k)에 의해 수정되는 신호는 가산기의 제2입력으로 유입되고; 가산기의 출력신호는 아나로그 회로의 제어입력으로 유입되고; 아나로그 회로에서 처리될 원하는 신호는 정상모드에서 제1변환 스위치의 제1입력에 유입되고; 보강 신호 주파수는 교정 및 측정모드에서 제1변환 스위치의 제2입력에 유입되고; 기준 주파수 또는 그로부터 유도되는 주파수 중 하나는 교정모드에서 제2변환 스위치의 제1입력으로 유입되고; 제1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로부터 유도되는 신호 주파수는 제2변환 스위치는 제2입력에 유입되고; 제2변환 스위치의 출력신호는 아나로그 회로로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 및 제3자동 이득 제어 증폭기는 변환 콘덕턴스 증폭기이고, 상기 변환 콘덕턴스 증폭기의 출력신호, 가산기의 제1 및 제2입력에서의 신호 및 가산기의 출력신호는 전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전압은 차동전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k)에 의해 변조된 신호는 곱셈기에서 계수(k)가 곱해진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30702269A 1991-01-29 1992-01-18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 KR1001886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4102562A DE4102562A1 (de) 1991-01-29 1991-01-29 Verfahren und schaltung fuer eine automatische, hochpraezise frequenz-feinabstimmung
DEP4102562.8 1991-01-29
PCT/EP1992/000091 WO1992013389A1 (de) 1991-01-29 1992-01-18 Verfahren und schaltung für eine automatische, hochpräzise frequenz-feinabstimm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736A KR930703736A (ko) 1993-11-30
KR100188604B1 true KR100188604B1 (ko) 1999-06-01

Family

ID=642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2269A KR100188604B1 (ko) 1991-01-29 1992-01-18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524289A (ko)
EP (2) EP0569392B1 (ko)
JP (1) JP3228929B2 (ko)
KR (1) KR100188604B1 (ko)
CN (1) CN1028586C (ko)
AU (1) AU1165392A (ko)
DE (2) DE4102562A1 (ko)
ES (1) ES2109337T3 (ko)
MX (1) MX9200359A (ko)
MY (1) MY106797A (ko)
SG (1) SG45445A1 (ko)
TR (1) TR26875A (ko)
WO (1) WO1992013389A1 (ko)
ZA (1) ZA9261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46175A1 (en) * 1996-01-10 1998-02-20 Philips Electronics Nv Tv/fm receiver for multi-media applications
GB2335808B (en) * 1998-03-24 2001-09-12 Ericsson Telefon Ab L M Demodulator circuits
GB2335807B (en) 1998-03-24 2001-12-12 Ericsson Telefon Ab L M Demodulator circuits
DE19921805C2 (de) * 1999-05-11 2002-06-27 X Fab Semiconductor Foundries FM/FSK-Demodulator mit automatischer Frequenzabstimmung
DE10112427A1 (de) * 2001-03-15 2002-09-19 Bosch Gmbh Robert Elektromotorische Stelleinheit für ein Zumeßsystem einer Brennkraftmaschine
EP1854978B1 (en) * 2006-05-11 2009-01-14 MAGNETI MARELLI POWERTRAIN S.p.A. Internal combustion engine throttle valve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86574A (en) * 1970-08-19 1972-08-22 Hallicrafters Co Self-correcting afc system
DE2852839C2 (de) * 1978-12-07 1983-05-05 Loewe Opta Gmbh, 8640 Kronach Empfängerschaltung für ein Gerät der Nachrichtentechnik, insbesondere Rundfunk- und Fernsehempfänger, mit Kapazitätsdiodenabstimmung
US4245351A (en) * 1979-07-30 1981-01-13 Rca Corporation AFT Arrangement for a phase locked loop tuning system
DE2933416A1 (de) * 1979-08-17 1981-03-26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Verfahren zur automatischen zf-korrektur von rundfunkgeraeten mit digital einstellbarer empfangsrequenz
US4358791A (en) * 1980-12-01 1982-11-09 Rca Corporation Phase locked loop tuning control system including a sync activated AFT signal seeking arrangement
US4466128A (en) * 1981-01-15 1984-08-14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Automatically centered pulsed FM receiver
JPS57171822A (en) * 1981-04-15 1982-10-22 Pioneer Electronic Corp Automatic channel selector of tuner
GB2217935A (en) * 1988-04-27 1989-11-01 Philips Electronic Associated Television receiving apparatus
DE3816696A1 (de) * 1988-05-17 1989-11-30 Philips Patentverwaltung Schaltungsanordnung zum synchronisieren eines in der frequenz steuerbaren oszillators
US4977613A (en) * 1988-10-17 1990-12-11 Motorola, Inc. Fine tuning frequency synthesizer with feedback loop for frequency contro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8586C (zh) 1995-05-24
KR930703736A (ko) 1993-11-30
WO1992013389A1 (de) 1992-08-06
EP0569392B1 (de) 1997-10-01
MY106797A (en) 1995-07-31
EP0569392A1 (de) 1993-11-18
ES2109337T3 (es) 1998-01-16
CN1063786A (zh) 1992-08-19
JP3228929B2 (ja) 2001-11-12
EP0501536A2 (de) 1992-09-02
US5524289A (en) 1996-06-04
AU1165392A (en) 1992-08-27
SG45445A1 (en) 1998-01-16
ZA92611B (en) 1993-07-29
EP0501536A3 (en) 1993-03-03
MX9200359A (es) 1992-07-01
TR26875A (tr) 1994-08-22
DE59208948D1 (de) 1997-11-06
DE4102562A1 (de) 1992-07-30
JPH06504661A (ja) 1994-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3717A2 (en) Active filter circuit
US5179727A (en) Automatic adjusting circuit for an analog filter
US4128817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with phase control circuits
US3825858A (en) Local oscillator for use in a vhf tuner for a television receiver
KR100188604B1 (ko) 자동 및 고정밀 주파수 미세 조정을 위한 방법 및 회로
US5239367A (en) Signal discriminating circuit and active filter using same
US5581215A (en)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having frequency and amplitude controlling loops
US5329250A (en) Double phase locked loop circuit
US6130925A (en) Frequency synthesizer
FI93410C (fi) Ohjattu värähtelijä
US4160217A (en) Phase locked loop circuit
US5406631A (en) Stereo signal demodulator circuit and stereo signal demodulator using the same
FI79005C (fi) Spaenningsstyrd oscillator.
EP0361746B1 (en) Automatic phase controlling circuit
US5274338A (en) Integrated FM detector including an oscillator having a capacitor and Schmitt trigger
US6366173B1 (en) Phase synchronous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KR830000443B1 (ko) Aft회로
CA2088187C (en) Fm demodulation circuit
JPH1079666A (ja) 位相同期発振回路
SU1054881A1 (ru) Устройство автоподстройки уровн
JP3235308B2 (ja) 衛星放送受信用fm復調回路
JPS61189011A (ja) 受信機のafc回路
JPH0691367B2 (ja) 電圧制御形発振器
HU216477B (hu) Eljárás integrált áramkörön belüli analóg kapcsolási részek beállítására
KR100231501B1 (ko) 크로마 신호 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