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057B1 -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부직웹 - Google Patents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부직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057B1
KR100188057B1 KR1019910023091A KR910023091A KR100188057B1 KR 100188057 B1 KR100188057 B1 KR 100188057B1 KR 1019910023091 A KR1019910023091 A KR 1019910023091A KR 910023091 A KR910023091 A KR 910023091A KR 100188057 B1 KR100188057 B1 KR 1001880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web
liquid
fiber
release cross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에밀 메이로위쯔 랜디
윌리암 리제 제롬
존 펠란 로버트
Original Assignee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24520275&utm_source=googl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0188057(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로날드 디. 맥크레이, 킴벌리-클라크 월드와이드, 인크. filed Critical 로날드 디. 맥크레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0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0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253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with a non-circular cross section; Spinnerette packs therefo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0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 D04H1/40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 D04H1/4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 D04H1/4391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 D04H1/43912Non-woven fabrics formed wholly or mainly of staple fibres or like relatively short fibres from fleeces or layers composed of fibres without existing or potential cohesive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certain kinds of fibres insofar as this use has no preponderant influence on the consolidation of the fleec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fibres fibres with noncircular cross-se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87Capillary properties, e.g. wick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1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having special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1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 A61F2013/53022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being made in fibre but being not pulp with polymeric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86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 A61F2013/53089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capillary means, e.g. pore or fibre size gradient
    • A61F2013/53090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zed by the liquid distribution or transport means other than wicking layer having capillary means, e.g. pore or fibre size gradient being hydrophil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 A61F2013/5372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the layer having a promotional function on liquid propagation in at least one direction with capillary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S428/913Material designed to be responsive to temperature, light, mois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9921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9Coated or structually defined flake, particle, cell, strand, strand portion, rod, filament, macroscopic fiber or mass thereof
    • Y10T428/2913Rod, strand, filament or fiber
    • Y10T428/2973Particular cross section
    • Y10T428/2978Surface characteristic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0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or fiber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61Cross-sectional configuration varies longitudinally along strand or fiber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09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or fiber material is specified
    • Y10T442/611Cross-sectional configuration of strand or fiber material is other than circula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08Including strand or fiber material which is of specific structural definition
    • Y10T442/614Strand or fiber material specified as having microdimensions [i.e., microfiber]
    • Y10T442/626Microfiber is synthetic polym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42/00Fabric [woven, knitted, or nonwoven textile or cloth, etc.]
    • Y10T442/60Nonwoven fabric [i.e., nonwoven strand or fiber material]
    • Y10T442/699Including particulate material other than strand or fib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섬유간 및 섬유내 액체 수송 모두를 할 수 있는, 액체를 흡수 및 수송하기 위한 부직웹에 관한 것이다. 이 웹은 이형 단면섬유를 포함하고, 이형 단면섬유는 노치를 한정하며, 노치는 각도 알파(α)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이형 단면 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한다. 이 부직웹은 또한 섬유내 액체 수송이 일어나는 영역 중의 액체가 통과하는 상기 부직웹 중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부직웹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 단면섬유의 횡단면도.
제2도는 이형 단면섬유와 이 이형 단면섬유에 존재하는 액체간의 각종 접촉각을 나타내는 도면.
제3도는 부직웹에 가해진 액체를 설명하는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이형 단면섬유에 존재하는 액체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기저귀를 설명하는 도면.
제6-13도는 몇몇 카디드웹의 액체 수송 특성을 설명하는 사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6 : 부직웹 12, 18 : 액체
14, 20, X :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 22, Y :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30 : 기저귀 32 : 외부 커버
34 : 라이너 36 : 흡수 구조
A : 액체의 횡단면적 Θ : 접촉각
본 발명은 부직웹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형 단면섬유(shaped fibers) 및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고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부직웹에 관한 것이다.
각종 유형의 직포 및 부직포 제품을 만들기 위한 이형 단면 섬유의 용도는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1978년 12월 12일자 특허된 우딩스(Woodings)의 미합중국 특허 제4,129,679호에는 컬랩스드 중공 구조(collapsed hollow structure) 및 멀티림드 (multi-limbed) 횡단면을 갖는 재생 셀룰로오스 필라멘트가 개시되어 있다. 이 섬유는 고용량의 수분 흡수능을 가진다고 되어 있다. 이 섬유로부터는 수건감 같은 직포 및, 기저귀, 생리대, 탐폰 및 솜뭉치와 같은 부직포 및 와딩 (wadding)을 만들 수 있다. 1989년 2월 1일자 공개된 유럽 특허출원 제0,301,874호는 5.0 미만의 데시텍시 및 멀티림드 횡단면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에 관한 것이다. 이 림은 적어도 2:1의 길이 대 폭비를 가진다. 이 섬유로는 직포, 부직포 또는 편직물을 만들수 있으며, 특히 흡수 제품에 유용한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1987년 11월 11일자 공개된 일본 특허출원 제(소)62[1987]-53605호 공보에는 특정 규격을 만족시키는 이형 횡단면을 갖는 합성 섬유에 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이 섬유는, 부직포 제품으로 제조되었을 때, 우수한 수분 흡수능을 갖는다고 되어있다.
부직웹이 기저귀, 소아용 속팬츠, 성인 실금용품, 여성 위생용품, 붕대 등과 같은 일회용 흡수 제품에 사용될 때, 단순히 액체를 흡수하기만 하는 능력은 일반적으로 제품의 최적 성능을 보장하기에는 불충분하다. 예를 들면, 사용시, 많은 개인 위생품은 수차례 가해지는 액체에 노출된다. 일련의 가해진 액체를 적당히 흡수하게 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처음에 가해진 액체를 흡수할 뿐만 아니라 흡수한 액체를 가해진 지점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영역까지 흡수 제품 내부로 수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외에도, 액체를 수송하기 위한 부직웹의 능력은 또다른 이유로 바람직하다. 특히, 부직웹이 흡수 제품에 사용될 때는 부직웹 내에 고흡수성 물질을 혼입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고흡수성 물질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이들의 중량의 수배에 달하는 액체를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흡수성 물질을 사용한 흡수 제품의 총 흡수 용량이 많은 것은 고흡수성 물질의 존재로 얻어진다. 고흡수성 물질이 액체를 흡수하기 위해서는 액체를 고흡수성 물질과 접촉시켜야 한다. 고흡수성 물질은 혼입한 부직웹이 액체에 대한 노출지점으로부터 액체를 수송시킬 수 없으면, 모든 고흡수성 물질은 흡수시키고자 하는 액체가 부직웹에 가해지는 일반 영역들에 배치시켜야 한다. 이는 항상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특히, 고흡수성 물질의 고농축물이 부직웹내에서 편재되어 있을 때, 겔 블록킹 (gel bolcking)이 일어나게 할 수 있다. 즉, 고흡수성 물질은 위치한 영역에서, 고흡수성 물질의 본질적으로 액체 불투과성 덩어리가 형성되는 한도까지 팽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현상이 발생한다면, 가해지는 일련의 액체를 부직웹이 흡수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고흡수성 물질을 부직웹 중에 좀 더 고르게 분포시키는 것이 종종 바람직하다. 이러한 이유로, 액체를 노출 지점으로부터 액체 노출 지점에서 멀리 떨어져 위치한 고흡수성 물질까지 수송할 수 있는 부직웹이 요구되고 있다. 과거에는, 액체를 수송하기 위한 부직웹의 능력이 부직웹의 모세관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조절되었다. 특히, 조밀하지 않게 들어찬, 비교적 저 밀도의 부직웹은 일반적으로 이 웹 내부에 존재하는 비교적 큰 공극 크기 및 이에 상응한 비교적 낮은 모세관 압력에 기인하여 중력두과 같은 압력에 의한 양호한 액체 수송을 할 수 없었다. 압력에 의한 양호한 액체 수송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부직웹을 조밀화시켜 모세관 공극 크기를 줄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필요하며, 그럼으로써 모세관 압력을 증가시키고, 액체를 압력에 의해 액체 노출 지점으로부터 더 멀리 수송시킬 수 있는 것으로 믿어진다. 하지만 일반적 통례로서, 부직웹의 밀도를 증가시킬 수록, 부직웹에 가해진 액체를 신속히 수용하기 위한 부직웹의 능력은 감소된다.
부직웹이 흡수제품에 사용될 때는 액체를 압력에 의해 수송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액체를 신속히 수용할 수 있는 웹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종종, 액체의 신속한 수용 및 압력에 의한 액체의 수송이 모두 가능한 구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층이 액체를 신속히 흡수할 수 있는 비교적 엉성하게 들어찬 다공성 구조이고, 다른 하나의 층이 압력에 의해 액체를 수송할 수 있는 보다 고밀도의 조밀 구조로 된 2개의 층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었다.
부직웹에 가해진 액체를 흡수할 수 있고, 액체를 압력에 의해 액체 노출 지점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까지 수송할 수 있으며, 액체를 수송하기 위한 능력이 오직 부직웹의 모세관 공극 크기(밀도)에만 의존하지 않는 부직웹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목표 및 그 밖의 관련 목표는 섬유간 및 섬유내 액체 수송을 할 수 있는, 액체를 흡수 및 수송하기 위한 부직웹으로 달성된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웹은 노치(notch)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섬유를 포함한다. 이 노치는 각도 알파(α)를 α180°- 2θ (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한다. 부직웹은 또한 섬유 내 액체 수송 영역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액체를 흡수하여 수송하기 위한 부직웹에 관한 것이다. 이 부직웹은 섬유간 액체 수송뿐만 아니라 섬유내 액체 수송도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에서, 섬유간 액체 수송은 상기 섬유들에 의해 형성된 모세관의 결과로서, 액체가 섬유들로 이루어진 부직웹을 통하여 이동하는 현상을 의미한다. 당 업계의 숙련된 사람은 섬유간 액체 소송의 수직 이동거리가 시스템의 모세관 압력에 따라 좌우된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있다. 원통형 모세관의 모세관 압력은 하기 방정식으로 구해진다.
(여기서, P는 모세관 압력이고, γ는 액체의 표면 장력이며, θ는 액체-섬유 접촉각이고, r은 모세관 반경이다.)
액체가 가해지면, 모세관 압력 (모세관력)은 액체-섬유 접촉각의 코사인을 증가시키며 보다 큰 모세관 반경들을 축소시킴으로써 보다 작은 모세관들이 액체를 섬유간 모세관을 통하여 또는 압력에 의해 더 멀리 수직 방향으로 수송시킨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에서, 섬유내 액체 수송은 독립 섬유의 표면에 의해 한정된 노치 또는 채널(channel)의 결과로서 액체가 압력에 의해 독립 섬유의 길이를 따라 수송되는 현상을 의미한다. 액체를 수송시킬 수 있는 압력의 예에는 중력, 모세관 압력차 등등이 있다.
하나의 실시태양에서, 본 발명의 부직웹은 이형 단면섬유로 구성되며, 이 이형 단면섬유는 노치를 한정하고, 노치는 각도 알파(α)를 한정한다. 제1도에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고 여겨지는 이형 단면섬유의 여러 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a-e도에서 볼 수 있듯이, 도시한 이형 단면섬유들 모두는 하나 이상의 각도 알파를 한정한다. 독립 섬유에 의해 한정된 각도 알파는 제1b도에서 처럼 동일할 수 있거나 또는 제1d도에서와 같이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섬유내 액체 수송이 가능한 이형 단면섬유를 제공하기 위하여 이형 단면섬유가 노치를 적절하게 한정하고, 이 노치가 각도 알파(α)를 α180°- 2θ (여기서, θ는 수송시키고자 하는 액체와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것이 유리함을 발견하였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에서, 흡수 및 수송시키고자 하는 액체와 이형 단면섬유를 형성하는 물질의 접촉각은 굳(Good)과 스트롬버그(Stromberg)가 Surface and Colloid Science 제 Ⅱ권, (Plenum Press 출판, 1979년)에서 제시한 바에 따라 측정한다. 그 밖에도, 이형 단면섬유에 의해 한정된 노치에 의해 한정되는 각도 알파는 적합하기로 주사 전자 현미경법, 광학 현미경법 또는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는 그밖의 방법으로 측정한다.
섬유내 액체 수송을 위한 조건들을 제2도와 관련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a-c도에서는 노치의 확대도를 보여주고 있다. 노치들(2a-c) 모두는 동일한 각도 알파를 한정한다. 각각의 노치들(2a-c)는 공기 중에서 서로 다른 액체/섬유 접촉각, θ를 갖는 액체를 함유하고 있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제2a도에서는 노치 중의 액체 메니스커스(meniscus)가 오목한 외관을 나타내며, α180°- 2θ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제2b도에서는 액체 메니스커스가 노치에서 직선을 형성하며, α=180°- 2θ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제2c도에서는 액체 메니스커스가 볼록한 외관을 나타내고 있으며, α180°- 2θ인 상황을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섬유내 액체 수송(위킹(wicking))은 제2a도에 도시한 상황에서 일어나고, 제2b도 또는 제2c도에 도시한 상황에서는 일어나지 않는다. 이형 단면섬유에 의해 한정된 노치의 섬유내 위킹을 제공하기 위한 능력은 수송시키고자 하는 액체의 접촉각 (θ)를 변화시키거나 또는 노치에 의해 한정된 각도 알파를 변화시킴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노치에 의해 한정된 각도 알파가 α180°- 2θ인 필요 조건을 만족시키는 한, 섬유는 액체의 섬유내 수송을 할 수 있다.
제3a도는 섬유가 각도 알파를 각도 α 180°- 2θ로 한정하는 노치를 한정하고 있는 이형 단면섬유로 만든 부직웹(10)을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액체(12)가 부직웹(10)의 표면상의 어느 지점에 가해지면, 부직웹(10)은 단지 섬유간 액체 수송만을 할 수 있다. 즉, 액체 (12)는 부직웹을 형성하는 섬유에 의해 한정된 모세관으로 수송되어 제3a도에서 원으로 진하게 표시된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14)를 형성한다.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14)의 크기는 가해진 액체의 양과, 상술한 바와 같이 모세관 반경, 액체(12)의 표면 장력 및 섬유와 액체(12) 간의 접촉각(θ)에 따라 좌우되는 시스템의 모세관 압력에 의해 좌우된다.
제3b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16)을 도시하고 있다. 특히 부직웹(16)은 노치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섬유로 만들어지며, 이 노치는 α180°- 2θ인 각도 알파를 한정한다. 제3b도와 관련하여, 액체(18)이 부직웹(16) 표면상의 어느 지점에 지면, 부직웹 (16)은 액체를 섬유간 모세관에서 수송하여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20)을 형성한다.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20)의 크기는, 제3a도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모세관 압력에 따라 좌우되며, 이는 곧 모세관 반경, 액체의 표면 장력 및 액체와 섬유 재료의 접촉각에 따라 좌우된다. 액체(18)이 섬유간 액체 수송을 통하여 수송된 후에는, 수송 영역(20)의 모세관들이 본질적으로 액체(18)로 충전된다. 따라서 액체(18)은 이형 단면섬유에 의해 한정된 노치와 접촉하게 된다. 이형 단면섬유는 섬유내 수송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노치와 접촉하고 있는 액체는 노치에서 수송되어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22)를 형성한다. 섬유내 액체 수송(22)의 크기는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20)의 모세관에 함유된 액체의 양 및 이형 단면섬유에 의해 한정된 노치가 보유하고 있는 액체의 양에 따라 좌우된다. 섬유내 액체 수송은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20)의 모세관이 액체를 완전히 비울 때 까지 액체를 함유할 수 있다.
섬유내 액체 수송시 노치 내부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은 섬유가 모세관으로부터 수송되고 있는 액체를 끌어 당기는 모세관의 모세관 압력에 따라 좌우되는 것으로 믿어진다. 제4도와 관련하여, 이형 단면섬유에 의해 한정된 노치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횡단면적(A)가 감소함에 따라서 상기 액체의 모세관 압력은 증가한다. 섬유내 액체 수송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형 단면섬유의 노치내에 있는 액체의 모세관압력이 액체가 인발되고 있는 섬유간 모세관의 모세관 압력보다 커야 한다. 이 경우, 섬유내 액체 수송시 노치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은, 노치 중의 액체의 횡단면적(A)로 측정한 결과, 노치가 섬유간 모세관으로부터 액체를 인발하고 있는 섬유간 모세관 중의 액체의 모세관 압력에 따라 좌우된다. 따라서, 이형 단면섬유의 노치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은 노치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모세관 압력이 액체가 인발되고 있는 모세관의 모세관 압력보다 크게 될 때까지 감소한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이형 단면섬유의 노치내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은 노치내 액체의 모세관 압력이 액체가 인발되는 섬유간 모세관의 모세관 압력보다 크도록 자체 조정할 수 있다.
제4a 및 4b도와 관련하여, 유체가 인발되는 모세관이 상대적으로 크면 (비교적 낮은 모세관 압력), 이형 단면 섬유의 노치 중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은 제4a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많아질 수 있다. 그러나, 유체가 인발되는 모세관이 상대적으로 작으면 (비교적 높은 모세관 압력), 이형 단면섬유의 노치 중에 존재하는 액체의 양은 제4b도로 표시한 바와 같이 상대적으로 적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상기 두 경우 모두에서, 노치에, 즉,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에 존재하는 액체의 모세관 압력은 섬유가 모세관으로부터 액체를 끌어 당기고 있는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에 있는 모세관의 모세관 압력보다 크다.
이형 단면섬유는, 부직웹을 만들 수 있으며 상술한 바의 각도를 한정하는 노치를 한정하는 임의의 물질로 만들 수 있다. 일반적 통례로서, 이형 단면섬유는 레이온 또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로부터, 또는 폴리올레핀,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등의 합성 중합체 물질로부터 만들어진다. 이형 단면섬유를 만들 수 있는 물질은 친수성 또는 소수성 어느 쪽도 무방하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에서 친수성은, 상기 인용한 굳 및 스트롬버그의 Surface and Colloid Science 제Ⅱ권, (Plenum Press 출판, 1979년)에 설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 공기 중의 물(water-in-air) 접촉각을 90° 미만으로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소수성은 굳 및 스트롬버그의 Surface and Colloid Science 제Ⅱ권, (Plenum Press 출판, 1979년)에 설정된 방법에 따라 측정한 결과가 90° 보다 큰 공기 중의 물 접촉각을 갖는 섬유를 의미한다. 이형 단면섬유를 소수성 물질로부터 만들 때에는 섬유의 표면이 친수성이 되도록 섬유를 처리해야 한다. 이와 같은 처리가 필요한 이유는 θ가 90°보다 크면 소수성 표면이 α180°-2θ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킬 수 없기 때문이다. 친수성 표면을 갖는 소수성 물질을 제공하는 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그 방법의 예에는 계면 활성제 또는 기타 친수성 부여제를 섬유에 도포시키는 방법이 있다.
마친가지로, 90° 미만의 접촉각을 갖는 친수성 중합체에 좀더 친수성을 부여하여 가해진 액체와 관련한 그의 접촉각을 감소시키고자하는 경우에는 계면 활성제나 또는 친수성 물질에 더욱 더 친수성의 표면을 부여하기 위한 그밖의 친수성부여제로 처리할 수 있다. 친수성 처리는 이형 단면섬유를 변색 또는 비변색시킬 수 있다.
이형 단면섬유의 제조 방법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되어 있다. 일반적 통례로서, 합성 중합체 물질로 만든 이형 단면섬유는 일반적으로 섬유를 대개는 목적한 형상에 대응하는 다이 오리피스를 통해 압출시킴으로써 제조된다. 이러한 방법은 1960년 7월 19일자 특허된 레믹(Lehmicke)의 미합중국 특허 제2,945,739호 또는 일본 특허 공개 제(소) 62[1987]-53605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다. 이형 단면섬유를 레이온과 같은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만들고자 하는 경우, 이형 단면섬유는 통상의 비스코스로부터 만들어 질 수 있으며, 적합하기로는 표준 비스코스 방적 조건들을 사용하여 표준 비스코스 조성물로부터 방적시켜서 형성하되, 단, 방적기에 있는 통상의 원형 단면 구멍들을 이형 단면 압출구로 대체시킨다. 이와 같은 방법은 1989년 2월 1일자 공개된 유럽 특허 출원 제0 301 874호 에 기재되어 있다. 별법으로는 이형 단면섬유를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로부터 만들 수 있다. 예를 들면, 미합중국 버지니아주 내로우에 소재하는 훽스트-셀라니스 코포레이션(Hoechst-Cellanese Corporation)사가 상품명 Cellulose Acetate Tow로 시판하는 Y형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섬유는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이형 단면섬유는 2개의 섬유를 함께 가연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두 섬유의 가연은 섬유내 액체 수송을 할 수 있는 나선형 노치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형 단면섬유는 일반적으로 직경 약 0.25 내지 약 500 ㎛, 바람직하게는 약0.5 내지 약 40 ㎛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에 사용된 이형 단면섬유는 적어도 1개의 노치를 한정하며, 이 노치는 상술한 바의 각도 알파를 한정한다. 제1도에서 볼 수 있듯이,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이형 단면섬유는 각종 형태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으며, 종종 1개 이상의 노치를 한정할 수 있다. 즉, 섬유는 2개, 3개 또는 그 이상의 노치들을 한정할 수 있다. 각각의 노치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각도 알파를 가질 수 있거나 또는 몇몇 다른 각도를 갖는 노치들을 한정할 수 있다. 통례로서, 본 발명의 부직웹을 제조하는데 사용된 이형 단면섬유는 2개, 바람직하게는 3개,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개의 노치들을 한정하고, 이들 노치들은 상술한 바의 각도 알파를 한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은 당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부직웹을 제조할 수 있는 임의의 방법으로 적합하게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웹은 카딩 공정, 란도 공정(rando process), 스펀본드 공정, 니들펀치 공정 등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발명에 따른 부직웹은 적합하기로 밀도 약 0.01 내지 약 0.5 g/cm3, 바람직하게는 약 0.05 내지 약 0.2 g/cm3및 두께 약 0.5 ㎛ 내지 약 0.05 m, 바람직하게는 약 50 ㎛ 내지 약 0.015 m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을 형성하는 섬유가 모두 상술한 바와 각도 알파를 정하는 노치를 한정한 이형 단면섬유일 필요는 없다. 그럼에도, 일반적 통례로서, 부직웹에 존재하는 섬유의 총 중량 기준으로 적어도 약 25 중량%, 유리하게는 적어도 약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90 중량% 및 가장 바람직하게는 약 100 중량%가 노치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섬유로 구성되고, 이 노치가 각도 알파를 α180°- 2θ (여기서, θ는 섬유와 액체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각도를 한정하고 있는 노치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 섬유 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은 노치를 한정하기 않거나 또는 상술한 요건들을 만족시키는 각도 알파를 한정하기 않는 노치를 한정하고 있는 섬유를 부직웹에 존재하는 섬유의 총 중량 기준으로 최대 약 75 중량%까지 포함할 수 있다. 이형 단면섬유의 양 뿐만 아니라 각도 알파를 α180°- 2θ로 한정하는 노치의 수는 섬유내 액체수송이 일어나는 양 및 속도 모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부직웹에 존재하는 모든 섬유는 각도 알파를 α180°- 2θ 로 한정하고 있는 노치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 섬유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은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한다. 고흡수성 물질은 제3b도에 도시한 바의 영역(22)와 같이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섬유내 액체수송 영역 내에 위치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로서, 고흡수성 물질은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서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으며, 이때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에 존재하는 액체는 유동하여 고흡수성 물질과 접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흡수성 물질은 제3b도에 도시한 웹 중의 섬유 내 액체 수송 영역(22)내에 존재할 수 있다. 별법으로, 고흡수성 물질은 포치(pouch) 또는 제2웹이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과 접촉하고 있는 포치 또는 제2웹 중에 존재할 수 있다. 고흡수성 물질은 제3b도에 도시한 영역(20)과 같이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 내에서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날 수 있거나 또는 오직 섬유내 유체 영역 내에서만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고흡수성 물질이 부직웹 중의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 위치할 때, 고흡수성 물질이 노치에 의해 수송된 액체와 접촉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고흡수성 물질이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의 액체와 접촉하고 있을 때, 고흡수성 물질은 액체를 흡수할 수 있으며, 그리하여 고흡수성 물질의 이용률을 향상시키고, 아울러 연속적인 섬유내 액체 수송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 예로, 본 발명자들은 예컨대 액체를 20배 중량으로 흡수할 수 있는 고흡수성 물질이 섬유내 액체수송 영역 중에서 액체와 접촉하고 있을 때, 이형 단면섬유는 고흡수성 물질의 흡수용량이 포화될 때까지 또는 이형단면섬유가 수송을 위한 액체를 더 이상 입수할 수 없을 때까지, 액체를 고흡수성 물질에 연속적으로 수송함을 발견하였다. 이 현상은 몇 가지 이유로 중요하다.
섬유내 액체 수송은 부직웹 중에 또는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위치에 존재하는 고흡수성 물질의 이용률을 개선시킨다. 즉, 일정량의 고흡수성 물질을 부직웹 중에서(또는 액체가 통과하는 부직웹 중에서), 섬유내 액체 수송이 일어나지 않을 때보다 섬유내 액체 수송이 일어날 때 더욱 큰 영역 상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부직웹 중에 존재하는 일정량의 고흡수성 물질을 부직웹에서 충분히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모든 고흡수성 물질은 단지 섬유간 액체 수송이 일어나기만 하면,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예를들면 제3b도의 영역(20))에 위치해야 한다. 그러나, 섬유내 액체 수송이 일어날 때에는 동량의 고흡수성 물질을 보다 큰 영역(제3b도의 섬유간 액체 수송 영역(20) 및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22))로 분산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모든 고흡수성 물질을 흡수시키고자 하는 액체와 접촉시킬 수 있다. 이는 부직웹의 총 흡수 용량을 유지시키면서 부직웹 중의 고흡수성 물질의 농도를 저하시킨다. 이는 특정 고흡수성 물질의 고밀도 농축물이 겔 블록킹(gel blocking)효과, 즉, 섬유간 모세관들을 팽윤된 고흡수성 물질로 메우는 효과를 가져옴으로써 섬유간 액체 수송을 최대 한도로 방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고흡수성 물질로서는 무기 및 유기 고흡수성물질 모두를 들 수 있다. 적합한 고흡수성 무기 물질로서는 예컨대 흡수성의 점토류 및 실리카겔류를 들 수 있다. 고흡수성 유기 물질로서는 한천, 펙틴, 구아르검 및 초탄과 같은 천연 물질 뿐만 아니라 합성 하이드로겔 중합체와 같은 합성 물질도 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합성 하이드로겔 중합체로서는 예컨대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 폴리아크릴산류의 알칼리 금속염류, 폴리아크릴 아미드류, 폴리비닐알콜,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폴리비닐에테르류,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비닐모르폴리논, 비닐술폰산의 중합체 및 공중합체, 폴리아크릴레이트류, 폴리아크릴아미드류, 폴리비닐피리딘 등을 들 수 있다. 그 밖의 적합한 중합체로서는 가수분해된 아크릴로니트릴 그래프트화 전분, 아크릴산 그래프트화 전분 및 이소부틸렌 말레산 공중합체 및 그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로겔 폴리머는 약간 가교되어도 물질에 실질적으로 수불용성을 부여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가교는 예를 들면 조사에 의해서 또는 공유결합, 이온 결합, 반데르발스 결합 또는 수소 결합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적합한 고흡수성 물질은 다우 케미칼 캄파니(Dow Chemical Company), 셀라니스 코포레이션 (Cellanese Corporation), 알라이드-콜로이드(Allied-Colloid) 및 스톡하우젠(Stockhausen)과 같은 여러 시판 회사로부터 입수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고흡수성 물질은 적어도 약 15배 중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5-30배 중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고흡수성 물질은 부직웹의 총 중량 기준으로 약 1내지 약 95중량%,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약 60중량%의 양으로 부직웹 중에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은 각종 일회용 흡수 제품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예를 들면, 부직웹은 기저귀, 성인 실금용품, 여성 위생 용품, 소아용 속팬츠, 붕대 같은 개인 위생품에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제5도와 관련하여, 적합한 흡수성 개인 위생품은 유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32), 착용자의 피부를 접촉시키기에 적합화되어 있고 상기 외부 커버 상에 중첩되어 있는 유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34) 및 신체측라이너와 유체불투과성 외부 커버 사이에 위치한 흡수 구조(36)으로 구성되는 기저귀(30)이다. 본 발명에 따른 부직웹은 흡수 구조 전체를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다성분 흡수 구조의 한 성분을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부직웹이 사용될 수 있는 개인 위생품의 예는 1989년 1월 17일자 특허된 메이어(Meyer)등의 미합중국 특허 제4,798,603호, 1987년 12월 1일자 특허된 볼랜드(Boland)등의 동제4,710,187호, 1988년 9월 13일자 특허된 프락스미어(Proxmire)등의 동제4,770,656호 및 1988년 8월 9일자 특허된 로이슬러(Roessler)등의 동제4,762,521호에 기재된 것들이다.
[실시예]
카디드웹을 대체로 Y형 횡단면을 갖는 1.5일치, 2.4데니어의 세 갈래형(trilobal) 횡단면 레이온 스테이플 섬유로부터 제조하였다. 이 레이온 섬유는 약 120°의 각도 알파 3곳을 한정하는 노치 3개를 한정하였다. 카디드웹은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표준 카딩기로 제조하였다. 일반적으로, 키딩기는 침착된 섬유들로 이루어진 웹을 형성하고, 이어서 침착된 섬유들을 결합하여 어느 정도의 배향성을 섬유들에 부여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로서, 섬유 배향성은 카디드웹의 기계 방향 강도 대 횡방향 강도의 비로서 표시된다. 따라서, 강도가 횡방향에서보다 기계 방향에서 4배 더 강한 웹은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4:1의 섬유 배향성을 갖는다고 말한다. 웹의 강도는 파괴시 인장 강도를 측정하기 위한 인스트론(Instron)과 같은 장치를 이용하여 당 업계의 숙련자에게 공지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카디드웹의 대조 샘플을 대략 Y형 횡단면을 갖는 3데니어 레이온으로 제조하였다. 모든 카디드웹은 약 1 oz/yd의 기본 중량을 갖게 그리고 동일한 기계 방향:횡방향 강도비를 가지게 제조하였다. 기계 방향:횡기계 방향 비는 2:1 또는 4:1 이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로서, 이 비는 섬유 배향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믿어진다(2:1=횡기계 방향에서보다 2배 많은 기계 방향에서 종축으로 배향된 섬유).
그런 다음, 웹들은 수평 위킹 시험을 행하였는데, 먼저 시험하고자 하는 웹의 3인지 x 5인치 시험 샘플을 폴리에스테르지지 웹상에 배치하였다. 그후, 비실체성(nonsubstantive) 염료를 함유하는 증류수 10 방울(방울 당 약 0.05 ml)을 웹 상의 한 지점에 가하였다. 유체 및 유체 이동을 나타내는 사진을 초기(시간=약 5초) 및 5분(시간=5분)후에 각각 찍었다. 비실체성 염료를 함유하는 증류수는 10° 미만의 세 갈래형 횡단면 레이온 섬유와의 접촉각 세타(θ) 및 10° 미만의 원형 횡단면 레이온 섬유와의 접촉각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세 갈래형 섬유는 α180°- 2θ 인 것으로 보여진다. 상이한 레이온 섬유들은 섬유에 대해 서로 다른 방적피니싱을 가지므로, 가해진 액체와 상이한 접촉각들을 가질 수 있다.
제6도는 시간=5초에서 2:1의 배향성을 갖는 3데니어 원형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대조용 웹의 사진이다.
제7도는 시간=5초에서 2:1의 배향성을 갖는 2.4데니어 세 갈래형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웹의 사진이다.
제8도는 시간=5분에서 제6도의 웹의 사진이다.
제9도는 시간=5분에서 제7도의 웹의 사진이다.
제10도는 시간=5초에서 4:1의 배향성을 갖는 3데니어 원형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대조용 웹의 사진이다.
제11도는 시간=5초에서 4:1의 배향성을 갖는 2.4데니어 세 갈래형 레이온 섬유로 이루어진 대조용 웹의 사진이다.
제12도는 시간=5분에서 제10도의 웹의 사진이다.
제13도는 시간=5분에서 제11도의 웹의 사진이다.
제6-9도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용 웹(제6도 및 8도)에서는 섬유간 유체 수송영역(X)는 보이지만, 섬유내 유체 수송 영역은 전혀 보이질 않는다. 이형 단면 섬유의 웹(제7도 및 9도)에서는 시간=5초 및 5분에서 섬유간 유체 수송 영역(X)가 나타나며, 시간=5분 (제9도)에서 섬유내 유체 수송 영역(Y)가 나타난다.
제10-13도에서 볼 수 있듯이, 대조용 웹(제10도 및 12도)에서는 섬유간 유체수송 영역(X)는 보이지만, 섬유내 유체 수송 영역은 전혀 보이질 않는다. 이형 단면섬유의 웹(제11도 및 13도)에서는 시간=5초 및 5분에서 섬유간 유체 수송 영역(X)가 나타나며, 시간=5분(제13도)에서 섬유내 유체 수송 영역(Y)가 나타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은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웹은 유체의 섬유내 수성을 할 수가 있다. 고흡수성 물질이 섬유내 유체 수송 영역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날 때, 고흡수성 물질은 시간=5분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팽윤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세 갈래형 레이온과의 접촉각을 30° 보다 크게 갖는 액체를 증류수 대신 사용했을 때,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Y)는 시험된 웹에서 전혀 형성되지 않았다.
웹으로, 시험 시료 웹을 비실체성 염료 함유 증류수의 용기 위에 웹의 말단 연부를 물에 접촉시켜 수직을 현탁시키는 수직 위킹 시험을 행하였을 때 동일한 일반적 작용을 나타내었다. 특히, 원형 단면 섬유로 형성된 웹은 물을 섬유간 유체수송을 통해 수직으로 약1.5-20 cm(시간=5분)의 높이까지 수송시키는 것이 관측되었다. 세 갈래형 레이온 섬유로 형성된 웹은 물을 섬유간 유체 수송을 통해 약 1.5-2.0 cm (시간=5분)의 높이까지 수송시키며, 섬유내 유체 수송을 통해 약 5.5 cm(시간=5분)의 높이까지 물을 수직으로 수송시키는 것이 관측되었다.
본 발명을 특히 몇몇 바람직한 실시태양과 관련하여 기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전술한 명세서에 기술한 것과는 구체적으로 상이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별법 및 변양으로 실시될 수 있다. 이들 변양 및 별법은 전술한 발명을 벗어남이 없이도 가능하다.

Claims (26)

  1. 섬유간 및 섬유내 액체 수송을 할 수 있으며, 각도 알파(α)를 α180°- 2θ(여기서, θ는 액체와 이형 단면섬유 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노치(notch)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섬유 및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서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고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져서, 부직웹에 가해진 액체가 섬유간 액체 수송 및 섬유내 액체 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흡수 및 수송하는 부직웹.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25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50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90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100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합성 중합체 물질로 부터 제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부터 제조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2개의 노치를 한정하고, 각각의 노치가 각도 알파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상기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3개의 노치를 한정하고, 각각의 노치가 각도 알파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상기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10. 제1항에 있어서, 고흡수성 물질이 상기 웹 중에서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약 0.5 내기 약 40㎛의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을 하는 부직웹.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약 0.05 내지 약 0.2g/cm3의 밀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13. 섬유간 및 섬유내 액체 수송을 할 수 있으며, 각도 알파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상기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2개의 노치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섬유 및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에서 액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웹 중에서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 분산된 고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지고, 약0.05 내지 약 0.2g/cm3의 밀도를 가지며, 또한 이들에 의해서 상기 웹에 가해진 액체가 섬유간 액체 수송 및 섬유내 액체 수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흡수 및 수송하는 부직웹.
  14. 유체 불투과성 외부 커버, 상기 외부 커버 상에 중첩되어 있으며, 착용자의 피부와 접촉하도록 적합화된 유체 투과성 신체측 라이너, 및 상기 와부 커버와 상기 신체측 라이너 사이에 배치되어 있으며, 섬유간 및 섬유내 액체 수송을 할 수 있고, 각도 알파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상기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노치를 한정하는 이형 단면섬유 및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서 부직웹 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고흡수성 물질로 이루어져서, 부직웹에 가해진 액체가 섬유간 액체 수송 및 섬유내 액체 수송되는, 액체를 흡수 및 수송하는 부직웹을 포함하는 흡수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출된 체액을 흡수할 수 있는 일회용 흡수 제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25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50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90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직웹이 부직웹의 총 중량을 기준하여 약 100중량% 이상의 상기 이형 단면섬유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합성 중합체 물질로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셀룰로오스 유도체로 부터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1.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2개의 노치를 한정하고, 각각의 노치가 각도 알파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상기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 제품.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이형 단면섬유가 3개의 노치를 한정하고, 각각의 노치가 각도 알파를 α180°-2θ(여기서, θ는 상기 액체와 상기 이형 단면섬유간의 접촉각이다)로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제품.
  23. 섬유간 및 섬유내 액체 수송을 할 수 있고,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내에서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고흡수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를 흡수 및 수송하는 부직웹.
  24. 제 23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물질이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내에서만 상기 부직웹과의 액체 전달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물질이 상기 부직웹 중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물질이 상기 부직웹 중에서 섬유내 액체 수송 영역 내에만 분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웹.
KR1019910023091A 1990-12-17 1991-12-16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부직웹 KR1001880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628,782 1990-12-17
US07/628,782 US5314743A (en) 1990-12-17 1990-12-17 Nonwoven web containing shaped fibe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188057B1 true KR100188057B1 (ko) 1999-06-01

Family

ID=245202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091A KR100188057B1 (ko) 1990-12-17 1991-12-16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부직웹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5314743A (ko)
EP (1) EP0493728B1 (ko)
JP (1) JP3169660B2 (ko)
KR (1) KR100188057B1 (ko)
AU (1) AU648358B2 (ko)
CA (1) CA2053806C (ko)
DE (1) DE69129796T2 (ko)
ES (1) ES2118071T3 (ko)
MX (1) MX9102191A (ko)
ZA (1) ZA91903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2505A (en) * 1989-04-04 1999-10-26 Eastman Chemical Company Fibers capable of spontaneously transporting fluids
US5382245A (en) * 1991-07-23 1995-01-1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US5137600A (en) * 1990-11-01 1992-08-11 Kimberley-Clark Corporation Hydraulically needled nonwoven pulp fiber web
US5314743A (en) * 1990-12-17 1994-05-24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containing shaped fibers
CA2073815C (en) * 1991-07-23 1998-05-05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comfort and fit
US5514120A (en) * 1991-12-18 1996-05-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Liquid management member for absorbent articles
CA2076416A1 (en) * 1991-12-19 1993-06-20 Randy Emil Meirowitz Absorbent structure for masking and distributing a liquid
JP3056862B2 (ja) * 1991-12-27 2000-06-2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新規な吸音材
US5368926A (en) * 1992-09-10 1994-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accepting, transporting, and retaining structure
DE4315875A1 (de) * 1993-05-12 1994-11-17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propylen als Hauptbestandteil enthaltenden Fasern
US5728446A (en) * 1993-08-22 1998-03-17 Johnston; Raymond P. Liquid management film for absorbent articles
IN192766B (ko) * 1994-04-29 2004-05-15 Clemson Niversit Res Foundatio
WO1996035010A1 (fr) * 1995-05-01 1996-11-07 Teijin Limited Fibre d'acetate de cellulose possedant une section non circulaire, son montage et son procede de preparation
FI106696B (fi) * 1995-06-14 2001-03-30 Suominen Oy J W Menetelmä kuitukankaan nesteenkuljetuskyvyn suuntaamiseksi, tämän menetelmän mukaisesti käsitelty kangas, sekä kangasta sisältävä tuote
US5750446A (en) * 1995-12-22 1998-05-12 Mcneil-Ppc, Inc. Absorbent body
EP1111100A3 (en) * 1996-08-22 2002-04-03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Bundles of fibers useful for moving liquids at high fluxes and acquisition/distribution structures that use the bundles
US6103376A (en) 1996-08-22 2000-08-15 Eastman Chemical Company Bundles of fibers useful for moving liquids at high fluxes and acquisition/distribution structures that use the bundles
DE19781925C2 (de) * 1996-08-27 2001-11-08 Chisso Corp Vliesstoff und diesen verwendender absorbierender Artikel
GB2329191B (en) * 1996-09-16 2002-02-20 Patrick Yeh Fabric for moisture management
US8569190B2 (en) 1996-11-12 2013-10-29 Solid Water Holdings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liner for snowboard boots, alpine boots, hiking boots and the like
US6290685B1 (en) 1998-06-18 2001-09-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channeled active fluid transport devices
US6420622B1 (en) * 1997-08-01 2002-07-1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dical article having fluid control film
US6431695B1 (en) 1998-06-18 2002-08-1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icrostructure liquid dispenser
US6720057B1 (en) * 1997-08-07 2004-04-13 Achim Neumayr Method for producing a cellulose fibre from hydrocellulose
US6509285B1 (en) * 1997-09-15 2003-01-21 Patrick Yeh Fabric for moisture management
US6610903B1 (en) 1998-12-18 2003-08-26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terials for fluid management in personal care products
US6613028B1 (en) * 1998-12-22 2003-09-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ransfer delay for increased access fluff capacity
US6764988B2 (en) 2001-04-18 2004-07-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kin cleansing composition incorporating anionic particles
US6770580B2 (en) * 2001-08-08 2004-08-03 Golite Fabric material constructed from open-sided fibers for use in garments and the like
US20030088229A1 (en) * 2001-11-02 2003-05-08 Andrew Baker Absorbent article with bimodal acquisition layer
US20030114068A1 (en) * 2001-12-17 2003-06-19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Article of manufacture useful as wallboard and a method for the making thereof
JP3877602B2 (ja) * 2002-01-30 2007-02-07 株式会社レイアンドカンパニー 積層構造を持つシート及び同構造を持つ装具
US20080131648A1 (en) 2003-06-23 2008-06-05 Solid Water Holdings Waterproof/breathable, moisture transfer, soft shell alpine boots and snowboard boots, insert liners and footbeds
US6902549B2 (en) * 2002-07-01 2005-06-07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luid-advancing fiber
US20050281999A1 (en) * 2003-03-12 2005-12-22 Petritech, Inc. Structural and other composite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same
AT412654B (de) * 2003-03-27 2005-05-25 Chemiefaser Lenzing Ag Massive regenerierte standardviskosefaser
US20050138749A1 (en) * 2003-12-29 2005-06-30 Keck Laura E. Combination dry and absorbent floor mop/wipe
WO2005080658A1 (ja) * 2004-02-23 2005-09-01 Teijin Fibers Limited エアレイド不織布用合成短繊維
US20060014462A1 (en) * 2004-07-16 2006-01-19 Jones William R Iii Reusable microfiber non-woven cleaning fabric
AT501931B1 (de) * 2004-12-10 2007-08-15 Chemiefaser Lenzing Ag Cellulosestapelfaser und ihre verwendung
AU2006287463A1 (en) 2005-09-06 2007-03-15 Tyco Healthcare Group Lp Self contained wound dressing with micropump
US8052714B2 (en) * 2005-11-22 2011-11-08 Medtronic Vascular, Inc. Radiopaque fibers and filtration matrices
EP2079422A4 (en) 2006-11-08 2011-09-07 Playtex Products Inc WATER TIP FOR IMPROVED BYPASS LEAKAGE PROTECTION
US20080287902A1 (en) * 2007-05-17 2008-11-20 Playtex Products, Inc. Tampon pledget for increased by-pass leakage protection
CN101200816B (zh) * 2007-07-03 2010-12-01 赵丹青 一种兼具抗菌和速干功能的四叶形皮芯双组分纤维或长丝
US20090281514A1 (en) 2008-05-06 2009-11-12 Playtex Products, Inc. Tampon pledget with improved by-pass leakage protection
US9107775B2 (en) 2009-04-15 2015-08-18 Eveready Battery Company, Inc. Tampon pledget with improved by-pass leakage protection
US8629316B2 (en) * 2009-08-04 2014-01-14 Harbor Linen Ll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structured fibers
US8642833B2 (en) 2009-08-04 2014-02-04 Harbor Linen Llc Absorbent article containing structured fibers
US20130165880A1 (en) 2010-09-17 2013-06-27 David T. Amos Antimicrobi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20120070480A1 (en) 2010-09-17 2012-03-22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Antimicrobial disposable absorbent articles
US9610201B2 (en) 2011-05-05 2017-04-0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Tampon having multiple absorbent regions
EP3508182A1 (en) 2011-07-14 2019-07-10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treatment
US9907703B2 (en) 2012-05-23 2018-03-06 Smith & Nephew P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negative pressure wound therapy
AU2013298198B2 (en) 2012-08-01 2017-05-11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AU2013298195B2 (en) 2012-08-01 2017-07-13 Smith & Nephew Plc Wound dressing
CN106659590B (zh) 2014-06-18 2020-08-21 史密夫及内修公开有限公司 伤口敷料
DE102014011372A1 (de) * 2014-08-05 2016-02-11 Fitesa Germany Gmbh Aufnahme- und Verteilungsschicht für eine aufzunehmende Flüssigkeit und daraus hergestellte Produkte
TWD172988S (zh) * 2015-05-06 2016-01-11 陳 清靈 紡織纖維的單絲
EP3090711A1 (en) * 2015-05-06 2016-11-09 Fitesa Germany GmbH Non-woven fabric and process for forming the same
GB2555584B (en) 2016-10-28 2020-05-27 Smith & Nephew Multi-layered wound dressing and method of manufacture
US11071656B2 (en) * 2016-11-07 2021-07-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ampon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BR112021011163A2 (pt) * 2018-12-28 2021-08-31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anta absorvente de múltiplas camadas, e, produto enrolado em espiral
IT201900006409A1 (it) 2019-04-29 2020-10-29 Advanced Nonwovens Tech Srl Tessuto non-tessuto per guaine multi-tubolari

Family Cites Families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336743A (en) * 1941-10-13 1943-12-14 Fred W Manning Method and apparatus for spinning unwoven fabrics
US2945739A (en) * 1955-06-23 1960-07-19 Du Pont Process of melt spinning
NL271149A (ko) * 1960-11-08 1900-01-01
US3314840A (en) * 1961-08-01 1967-04-18 Celanese Corp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non-woven fabric
US3554854A (en) * 1962-02-03 1971-01-12 Freudenberg Carl Kg Non-woven fabric
NL297313A (ko) * 1962-08-30 1900-01-01
US3368934A (en) * 1964-05-13 1968-02-13 Du Pont Nonwoven fabric of crimped continuo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fibers
DE1560800A1 (de) * 1966-02-10 1971-01-07 Lutravil Spinnvlie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von Mischvliesen durch Schmelzspinnen
US3630816A (en) * 1969-07-25 1971-12-28 Chevron Res Nonwoven sheets made from rectangular cross section monofilaments
US3670069A (en) * 1969-09-15 1972-06-13 Itt Process for forming hydroxyethyl cellulose fibers having high water absorption and high water retention properties
US4129679A (en) * 1969-11-27 1978-12-12 Courtaulds Limited Multi-limbed regenerated cellulose filaments
NL7203038A (ko) * 1972-03-07 1973-09-11
USRE31380E (en) * 1975-11-07 1983-09-13 Avtex Fibers Inc. Rayon fibers containing starch
US4144079A (en) * 1976-06-15 1979-03-13 Avtex Fibers Inc. Rayon fibers containing starch
US4179259A (en) * 1977-09-20 1979-12-18 Belitsin Mikhail N Spinneret for the production of wool-like man-made filament
JPS54138617A (en) * 1978-04-20 1979-10-27 Teijin Ltd Synthetic fibers
US4213459A (en) * 1978-05-12 1980-07-22 Kimberly-Clark Corporation Disposable diaper with localized area of increased density
JPS56106710U (ko) * 1980-01-17 1981-08-19
JPS5766754A (en) * 1980-10-15 1982-04-23 Kao Corp Tampon
US4469746A (en) * 1982-06-01 1984-09-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ilica coated absorbent fibers
US4468428A (en) * 1982-06-01 1984-08-2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Hydrophilic microfibrous absorbent webs
US4944735A (en) * 1984-02-21 1990-07-31 Kimberly-Clark Corporation Shaped napkin with elasticized edges
US4699619A (en) * 1984-08-31 1987-10-13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designed for absorbing body fluids
JPS6253605A (ja) * 1985-09-02 1987-03-09 スコ−ビル・ジヤパン株式会社 スナツプ釦
US4710187A (en) * 1985-09-06 1987-12-01 Kimberly-Clark Corporation 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garment with a stretchable bodyside liner
US4778460A (en) * 1985-10-07 1988-10-18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fabric
US4783231A (en) * 1985-10-07 1988-11-08 Kimberly-Clark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a fibrous web comprising differentially cooled/thermally relaxed fibers
US4753834A (en) * 1985-10-07 1988-06-28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with improved softness
AU588057B2 (en) * 1985-10-07 1989-09-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ultilayer nonwoven fabric
US4668566A (en) * 1985-10-07 1987-05-26 Kimberly-Clark Corporation Multilayer nonwoven fabric made with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US4762521A (en) * 1986-04-11 1988-08-09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garment with quilted and conformable absorbent pad
US4781962A (en) * 1986-09-09 1988-11-01 Kimberly-Clark Corporation Composite cover material for absorbent articles and the like
US4770656A (en) * 1986-12-31 1988-09-13 Kimberly-Clark Corporation Routing of leg elastic to reduce stresses in a stretchable outer diaper cover
JPS63227871A (ja) * 1987-03-18 1988-09-22 東レ株式会社 快適性に優れた衣料素材
GB2208277B (en) * 1987-07-30 1991-11-13 Courtaulds Plc Cellulosic fibre
US4798603A (en) * 1987-10-16 1989-01-17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article having a hydrophobic transport layer
US4885202A (en) * 1987-11-24 1989-12-05 Kimberly-Clark Corporation Tissue laminate
US4935022A (en) * 1988-02-11 1990-06-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in absorbent articles containing gelling agent
US5006057A (en) * 1988-02-16 1991-04-09 Eastman Kodak Company Modified grooved polyester fibers and spinneret for production thereof
US5972505A (en) * 1989-04-04 1999-10-26 Eastman Chemical Company Fibers capable of spontaneously transporting fluids
NZ233094A (en) * 1989-04-04 1992-07-28 Eastman Kodak Co Synthetic fibre with grooves spontaneously transports water on its surface
DE69113450T3 (de) * 1990-02-20 2001-06-13 Procter & Gamble Struktur mit offenen kapillarkanäl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extrusionsdüse zum gebrauch darin.
US5314743A (en) * 1990-12-17 1994-05-24 Kimberly-Clark Corporation Nonwoven web containing shaped fibers
BR9206308A (pt) * 1991-07-23 1994-08-02 Procter & Gamble Artigo absorvente
CA2073849C (en) * 1991-07-23 1997-12-23 Clemson University Research Foundation Fluid handling structure for use in absorbent articles
DE69220770T3 (de) * 1991-07-23 2004-09-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incinnati Befestigungsmuster für absorbierende artikel
SK37393A3 (en) * 1991-07-23 1993-08-11 Procter & Gamble Absorbent articles, especially catamenials, having improved fluid directionality
US5342336A (en) * 1991-12-19 1994-08-30 Kimberly-Clark Corporation Absorbent structure for masking and distributing a liquid
US5368926A (en) * 1992-09-10 1994-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uid accepting, transporting, and retaining structure
JPH06200408A (ja) * 1992-09-26 1994-07-19 Carl Freudenberg:Fa 延伸された、紡糸可能な熱可塑性中空繊維及びこれを含有する不織布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118071T3 (es) 1998-09-16
DE69129796T2 (de) 1999-01-21
AU648358B2 (en) 1994-04-21
US5314743A (en) 1994-05-24
ZA919039B (en) 1992-08-26
EP0493728B1 (en) 1998-07-15
CA2053806A1 (en) 1992-06-18
US5458963A (en) 1995-10-17
CA2053806C (en) 2002-01-29
AU8816291A (en) 1992-06-18
DE69129796D1 (de) 1998-08-20
EP0493728A1 (en) 1992-07-08
MX9102191A (es) 1992-06-01
JPH06136648A (ja) 1994-05-17
JP3169660B2 (ja) 2001-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057B1 (ko) 이형 단면섬유를 함유하는 부직웹
US5429629A (en) Absorbent structure having improved fluid surge management and product incorporating same
US5342336A (en) Absorbent structure for masking and distributing a liquid
JP3583423B2 (ja) 多層吸収剤複合材料
EP0719531B2 (en) Absorbent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EP0719530B1 (en) Absorbent sheet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4902559A (en) Absorbent body of nonwoven material and a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070029212A (ko) 안정화된 흡수 구조체
GB2296511A (en) Absorbent structure having improved permeability
KR20010113543A (ko) 흡수성 물품
EP0547498B1 (en) Absorbent structure for masking and distributing a liquid
WO1996004876A1 (en) Transporting of liquid by a capillary fiber structure
US20050142965A1 (en) Surface charge manipulation for improved fluid intake rates of absorbent composites
KR20020033838A (ko) 섬유상의 주름진 직물
JPH08229071A (ja) 吸収性物品
JP3331069B2 (ja) 拡散性吸収紙
JP2820850B2 (ja) 吸収性物品
JP3222494B2 (ja) 吸収性物品
CA2286475C (en) Absorbent structure having improved fluid surge management and product incorporating same
JPH03234255A (ja) 吸液拡散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2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