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323B1 - 수지조성물, 다공성필름 또는 쉬트 - Google Patents

수지조성물, 다공성필름 또는 쉬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323B1
KR100187323B1 KR1019920012925A KR920012925A KR100187323B1 KR 100187323 B1 KR100187323 B1 KR 100187323B1 KR 1019920012925 A KR1019920012925 A KR 1019920012925A KR 920012925 A KR920012925 A KR 920012925A KR 100187323 B1 KR100187323 B1 KR 100187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resin composition
sheet
ethyle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2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2430A (ko
Inventor
도시오 후지
아끼히꼬 사까이
다스꾸 스즈끼
Original Assignee
하시모토 마사타까
미쓰비시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시모토 마사타까, 미쓰비시가가꾸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하시모토 마사타까
Publication of KR930002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2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1Esters; Ether-esters of acyclic polycarboxylic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4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20Carboxylic acid 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14Cataly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05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compounding ingredients
    • B29K2105/0038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4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ellular or poro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6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containing reinforcements, fillers or inserts
    • B29K2105/16Fill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3/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 treatmen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본 명세서에 기재된 것은밀도가 0.930g/㎤ 이하이고 용융지수가 2g/10분 이하인 폴리을레핀(A) 100중량부,충전재(B) 100 내지 400중량부,분자내에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함을 갖고 분자량이 100 이상이고 상압에서 비점이 200℃ 이상 또 융점이 100℃ 이하인 화합물로 구성된 가소화제(C) 1 내지 100중량부, 및 라디칼 생성제(D) 0.0001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용 수지 조성물, 이들로부터 제조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 및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Description

수지 조성물, 다공상 필름 또는 쉬트
본 발명은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용 수지 조성물,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 및 이들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물방울은 동과시키기 않지만 수증기 같은 기체는 통과시키는 미세한 가공을 갖는 다공성 합성 수지 필름이 의류 분야, 의학 분야 등에서 사용되어오고 있다. 이러한 필름은 통기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액체를 통과시키지 않는 기능을 갖는다. 이들은 1회용 기저귀, 비옷, 1회용 쉬트 등에 사용된다.
통기성을 갖는 이러한 다공성 필름을 제조하는 전형적인 방법중 하나는 탄산칼슘, 활석 및 점토 같은 무지 충전재를 합성 수지와 혼합하고 이들로부터 필름을 형성 시키며 이렇게 수득한 필름을 연신시켜 필름상에 미세한 균열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법에서 수득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는 이방성, 종방향과 횡방향의 인장강도 사이의 균형, 및 표면 강도 같은 물리적 특성이 열등한 문제점이 있다.
이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특정량의 선형 폴리에틸렌, 측쇄 저밀도 폴리에틸렌, 라디칼 생성제 및 충전재를 함유하는 조성물을 압출시키고 수득한 필름 또는 쉬트를 연신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미합중국 특허 제 5,015,521호).
그러나, 종방향과 횡방향의 인장 강도 사이의 양호한 균영 및 탁월한 표면 강도외에 더욱 탁월한 인열강도를 가지며 또. 연신의 비평탄성(unevenness) 및 필름 두께의 불균일성이 개선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가 더욱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다양하게 연구한 결과, 라디칼 생성제 및 분자내에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가지며 분자량이 100 이상이고 상압하에서 비점이 200。C 이상 또 융점이 100℃ 이하인 화합물을 가소화제로서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팽창법( inflation method)에 의해 필름 또는 쉬트를 형성시키고, 생성된 필름 또는 쉬트를 종방향으로 1축 연신시킴으로써, 수득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가 더욱 탁월한 인열강도 및 표면강도를 갖고 연신의 비평탄성 및 필름 두께의 불균일성의 문제점을 거의 갖지 않는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을 기초로 하여 완성되었다
본 발명의 제 1 목적은 밀도가 0.930g/㎤ 이하이고 용융지수가 2g/10분 이하인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 충전재(B) 100 내지 400중량부, 분자내에 에스테로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고, 분자량이 100 이상이며, 상압하에서 비점이 200。C 이상 또 융점이 100。C 이하인 화합물로 구성된 가소화제(C) 1내지 100중량부, 및 라디칼 생성제(D) 0.0001 내지 0.1중량부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용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2 목적은 본 발명의 제 1 목적에서 정의한 조성물로부터 팽창법에의해 필름 또는 쉬트를 형성시키고 생성된 필름 또는 쉬트를 종방향으로 1축 연신시킴으로써 제조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 3 목적은 라디칼 생성제를 분해시키는 조건으로 처리한 후 또는 처리하면서 팽창비(blow-up ratio) 2 내지 8의 팽창법에 의해 제 1 목적에서 정의한 조성물로부터 필름 또는 쉬트를 형성시키고. 또 생성된 필름 또는 쉬트를 종방향에서 1.2 내지 8의 연신비로 1축 연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폴리올레핀(A)으로서, 밀도(ρ)가 0.930g/㎤ 이하이고 용융지수(MI)가 2g/10분 이하인,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의 동종중합체 또는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다른 공단량체(분자내에 4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1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의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폴리올레핀(A)의 구체적인예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밀도가 0.910 이하인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롄,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밀도가 0.91 내지 0.95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50 내지 100중량부와 밀도가 0.91g/㎤ 미만인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0 내지 50중량부로 구성되고, 밀도가 0.930g/㎤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00 내지 0.925g/㎤이고 용융지수가 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인 폴리올레핀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예컨대 Ziegler 촉매 또는 Phillips 촉매의 존재하에 다른 α-올레핀(예 : 1-부텐, 1-헥센, 1-옥텐, 1-데센 및 4-메틸-1-펜텐) 약 4 내지 약 17중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중량%와 에틸렌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제조한 에틸렌과 다른 α-올레핀의 공중합체를 여시할 수 있다.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로서, 3개 이상의 탄소 원자를 갖고 밀도가 0.90g/㎤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 내지 0.90g/㎤인 α-올레핀과 에틸렌의 공중합체를예시할 수 있다. 에틸렌과 공중합되는 탄소원자 3개 이상의 α-올레핀으로서, 프로필렌,1-부텐, 1-펜덴, 1-헥센, 4-메틸-1-펜텐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1, 4-헥사디엔, 디시클로펜타디엔 및 에틸리덴노르보르넨과 같은 비공역 디엔을 α-올레핀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Ziegler 촉매, 특히 바나듐 화합물(예 : 바나듐 옥시트리클로라이드 및 바나듐테트라클로라이드)과 유기 알루미늄 화합물로 구성된 촉매의 존재하에서 에틸렌과 α-올레핀을 공중합시킴으로써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에틸렌 40 내지 90몰% 및 α-올레핀 10 내지 60몰%를 함유하는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에틸렌-α-올레핀 공중합체 예컨대 CDF Chimie E.P Corp. 제품인 NORSOFLEX(FW1600, FW1900, MW1920, SMW2440, LW2220, LW2500, LW2550); Nippon Unicar Co., Ltd. 제품인 FLEXDINE(DFDA1137, DFDA1138, DEFD1210, DEFD9042); Mitsui Petrochemical lndustries, Ltd. 제품인 TAFMER(A4085, A4090, P0180, P0480); 및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제품인 JSR-EP(EP02P, EP07P, EP57P)로서 시판되고 있다.
중합체로서의 폴리올레핀(A) 또는 그의 혼합물의 밀도(ρ)가 0.930g/㎤을 초과하면, 가소화제와 라디칼 생성제의 상승 효과가 너무 작아서 인열강도가 향상되기 어렵다.
그의 용융지수(MI)가 2g/10분 이상인 경우, 필름의 인열강도 및 필름-형성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융지수(MI)는 JlS K 6760의 참조 기준인 JlS K 7210의의 표 1에서 조건 4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열안정화제, 자외선 안정화제, 안료, 대전방지제, 형광증백제 등을 폴리올레핀(A)에 첨가할 수 있다.
충전재(B)로서, 무기 및 유기 충전재를 사용할 수 있다. 무기 충전재로서 탄산 칼슘, 활석, 점토, 카올린, 실리카, 규조토, 탄산마그네슘, 탄산바륨, 황산마그네슘, 황산바륨, 황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수산화마그네슘, 산화아연, 산화칼슘, 산화마그네슘, 산화티탄, 알루미나, 운모, 석면 분말, 유리 분말, Silastic 구슬, 제올라이트 및 점토 실리케이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탄산칼슘, 활석, 점토, 실리카, 규조토 및 황산바륨이 바람직하다.
유기 충전재로서 목재분말 및 펄프 분말 같은 셀룰로오스 분말을 사용한다. 이들 분말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사용한다.
충전재(B)의 평균 입경은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μm,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μm, 가장 바람직하게는 0 7 내지 5μm이다.
입경이 너무 크면 연신 필름 또는 쉬트에서 기공의 밀집도가 열화되는 반면, 입경이 너무 작으면 수기중 충전재의 분산성 및 조성물의 필름-형성 특성이 열화된다.
수지중 분산성 및 필름 또는 쉬트의 연신성의 관점에서 충전재(B)를 바람직하게는 표면 처리한다. 충전재(B)의 표면을 지방산 또는 그의 금속 염으로 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화제(C)로서, 분자내에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가지며, 분자량이100 이상, 바람직하게는 15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1000이고, 상압하에서 비점이 200℃이상, 바람직하게는 250℃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 내지 700℃ 또 융점이 100℃ 이하,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 내지 10℃인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가소화제(C)로서, 예컨대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카르복시산과 5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또는 10 내지 2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아미드를 사용할 수 있다.
특히,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트리카르복시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를 사용한다. 8 내지 1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디카르복시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 또는 6 내지 10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트리카르복시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가 가장 바람직하다.
이들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서, 아미드 스테아레이트, 아미드 올레에이트, 트리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및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다.
가소화제(C)의 융점이 100℃보다 높으면, 라디칼 생성제의 변화에 의한 인열강도의 향상효과가 작아지는 경향이 있다. 비점이 200℃보다 낮으면, 필름-형성 공정동안 발연 및 기포발생으로 인해 필름-형성 특성 및 연신성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다.
가소화제(C)의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가소화제(C)가 바람직하지 못하게 필름으로부터 배어나온다.
라디칼 생성제(D)로서, 분해온도(이때 반감기는 1분임)가 130 내지 300℃,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60℃인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라디칼 생성제(D)는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 디(3차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비스(3차부틸퍼옥시)-3-헥신, α,α-비스(3차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벤젠,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디-3차부틸 퍼옥사이드-2,5-디메틸헥산-2,5-디히드로퍼옥사이드같은 과산화물이다.
이들 중이서 2,5-디메틸-2,5-비스(3차부틸퍼옥시 )-3-헥신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병에 따른 조성물은 폴리올레핀 수지(A) 100중량부, 충전재(B) 100 내지4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30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l30 내지 250중량부, 가소화제(C) 1 내지 10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중량부. 및 라디칼 생성제(D) 0.0001 내기 0.1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0005 내지 0.07중량부,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5 내지 0.05중량부를 포함한다.
충전재(B)의 함량이 적으면, 연신 필름이 기공을 충분하게 갖지 못하는 경향이있어서 연신 필름의 기공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반면, 충전재(B)의 함량이 400중량부를 초과하면, 반죽 특성, 분산성 및 필름-형성 특성이 열화되는 경향이 있고 연신된 필름 또는 쉬트의 표면 강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가소화제(C)가 1중량부 미만인 경우, 인열강도의 향상효과가 불충분하다. 반면, 가소화제(C)가 100중량부 이상이면 반죽 특성 및 분산성이 열화되며 어떤 경우에는 필름-형성 특성이 열화되고 연신성이 보장될 수 없다.
라디칼 생성제(D)가 0.0001중량부 미만이면 가소화제(C)와 라디칼 생성제(D)의 상승효과가 너무 작아서 인열강도가 향상되기 어렵다 반면, 라디칼 생성제(D)가 0.1중량부를 초과하면 용융지수가 너무 낮아서 필름-형성 공정동안 필름이 쉽게 부서지고 생성된 필름이 때때로 거친 표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폴리올레핀 수지(A), 충전재(B), 가소화제(C) 및 라디칼 생성제(D)를 하기 방법 I 또는 II에 의해 전술한 비율로 혼합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반죽,펠릿화시킨 다음 팽창법에 의해 비연신 필름으로 영성시킨다.
방법 I : 폴리올레핀, 충전재, 가소화제 및 라디칼 생성제를 혼합하고 압출기 및Banbury 혼합기 같은 반죽기에 의해 반죽한 다음 펠릿화시키고 팽창법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시킨다.
방법 II : 다량[예컨대 약 0.3 내지 2중량%(3000 내지 20000ppm)]의 라디칼 생성제를 폴리올레핀 중으로 혼합시키고, 라디칼 생성제가 폴리올레핀과 거의 반응하지 않는 온도에서 또 폴리올레핀의 융점 이상의 온도에서 생성된 혼합물을 용융 및 반죽하여 펠릿을 형성시킴으로써, 미리 마스터뱃치를 제조한다. 수득한 마스터뱃치를 폴리올레핀, 충전재 및 가소화제에 혼합시키고 반죽 및 펠릿화시킨 다음 팽창법에 의해 필름으로 형성시킨다.
방법 I 또는 II에 따라 가열하에(바람직하게는 라디칼 생성제의 반감기가 10분인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 폴리올레핀과 라디칼 생성제를 반죽하는 경우, 라디칼 생성제에 의해 가교반응이 일어남으로써, 폴리올레핀의 분자간 커플링에 의해 고분자량 상분이 증가하고 용융지수가 저하된 개질된 중합체를 수득한다. 개질전의 중합체와 비교하여 개질된 중합체는 팽창공정동안 횡방향으로 용이하게 배향된다. 이러한 개질된 중합체를 연신하는 경우,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크게 향상된다.
폴리올레핀, 가소화제, 라디칼 생상제 및 충전재를 혼합하기 위하여, 혼합 드럼,텀블링 혼합기, 리본 배합기, Henschel 혼합기, 수퍼(super) 혼합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세 Henschel 혼합기 같은 고속 교반 혼합기가 바람직하다. 10 내지 150메쉬,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메쉬의 필터를 통과하는 분말의 형태로 폴리에틸렌을 공급한다. 이렇게 수득한 혼합물을 스크루우 압출기, 2축 스크루우 압출기, 혼합로울, Banbury 혼합기 및 2축 반죽기 같은 반죽기에 의해 반죽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방식으로 수득한 혼합물로부터 팽창법에 의해 두께 약 10 내지 20μm의 비연신 필름 또는 두께 약 200 내지 400μm의 비연신 쉬트를 형성시킨 다음, 비연신 필름 또는 쉬트를 연신시킨다.
팽창법에서, 팽창비(BUR)는 통상 2 내지 8,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이고, 또 서리선 높이는 다이의 환상 슬릿 직경에 대해 2 내지 50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배이다. 팽창비가 2 미만일 때에는 필름의 인장강도 및 충격강도가 열화되는 경향이 있는 반면, 팽창비가 8을 초과할 때에는 기포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서리선 높이가 전술한 벋위보다 낮으면 필름의 인장강도가 종종 저하되는 반면, 이것이 전술한 범위보다 높으면 기포 안정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팽창법에 의해 생성된 비연신 필름 또는 쉬트를 종방향(필름의 인발 방향)으로 1축 연신시킨다. 1축연신법으로서는 로울 연신법을 통상적으로 채택하지만, 종방향으로 응력이 걸리는 관상 연신법, 즉 종방향으로 응력이 걸리는 2축 연신법을 채택할수도 있다. 1단계 또는 다단계로 연신공정을 행할 수 있다.
(Tm - 100℃) 내지 (Tm -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Tm - 90℃) 내지 (Tm - 50℃)[여기에서, Tm은 수지 조성물의 융점을 나타냄]에서 연신공정을 바람직하게 행한다. 전술한 온도 범위보다 낮은 온도에서 필름을 연신시키면 필름에서 연신의 비평탄성이 야기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연신온도가 전술한 범위보다 높으면 필름의 기공도가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연신비는 바람직하게는 1.2 내지 8,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4이다. 1축 연신된 필름을 50 내지 100℃에서 열처리함으로써 필름의 치수 정밀도를 안정화시킨다.
공지의 코로나 처리 및 화염 처리 같은 표면 처리를 채택할 수 있다.
이렇게 수득한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는 높은 표면 강도 및 높은인열강도를 갖고 또 연신의 비평단성이 야기되지 않는다. 특히, 필름 두께가 100μm이하, 특히 15 내지 50μm인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름은 (i)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내굽힘성(bending resistance)이 50mm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5mm이고, (ii) 투습도가 1500g/㎡·24시간 이상, 바람직하게는 2500 내지 5000g/㎡ 24시간이며, (iii) 표면 강도가 하기 일반식(1),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1')으로 나타내어지며, (iv) 인열강도가 하기 일반식(2),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2')으로 나타내어지는 필름이다
표면 강도[kg] ≥ 35 x 필름 두께[mm] …(1)
표면 강도[kg] ≥ 50 x 펄름 두께[mm] … (1')
인열강도[g/쉬트] ≥ 1500 x 필름 두께[mm] …(2)
인열강도[g/쉬트] ≥ 1800 x 필름 두께[mm] …(2,)
본 발명에 따른 다공성 필름은 특히 인열강도 및 표면강도가 탁읠하고 연신의 비평탄성 문제가 거의 없다. 따라서, 1회용 기저귀. 비옷, 1회용 쉬트 등에 이 다공성 필름을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진실한 원리 및 영역 내에서 본 발명는 이들 실시예로 한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1) 40메쉬 필터를 통과하는 분말로 분말화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용융지수(MI) : 1.0g/10분, 밀도(ρ):0.921g/㎤, 공중합체 성분 : 1-부텐, 공중합체 성분의 합량 10중량%, 및 융점 120℃] 80중량부 및 40메쉬 필터를 통과하는 분말로 분말화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EPR, EP07P(Japan Synthetic Rubber Co. , Ltd. 제품), MI : 0.4g/10분, ρ : 0.86g/㎤] 20중량부를 Henschel 혼합기에 의해 교반및 혼합하였다. 생성된 중합체 조성물의 MI는 0.8g/10분이었고, 밀도는 0.909g/㎤이었다. 그 후, 가소화제로서 디옥틸 프탈레이트 4중량부 및 라디칼 생성제로서 2,5-디메틸-2,5-비스(3차부틸퍼옥시)-3-헥신 0.02중량부를 생성된 조성물에 교반하면서 첨가하였다.
탄산칼슘(평균 입경 1.2μm, 지방산으로 처리함) 200중량부를 혼합물에 더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쌍-반죽기 DSM-65(Double Screw Mixer, Japan Stee1 Works Ltd. 제품)에 의해 수득한 혼합물을 반죽 및 펠릿화시켰다.
펠릿을 하기 조건하에서 40mmφ의 압출기를 사용함으로써 팽창법에 의해 약70μm의 필름으로 형성시켰다.
실린더 온도:170-190-210-230℃
헤드 및 다이 온드 : 200℃
다이의 직경 : 100mm
인발속도 : 8m/분
팽창비 : 3
서리선 높이 : 700mm
편평해진관폭 : 471mm
이러한 방식으로 수득한 필름을 종방향(인발 방향)으로 절단하고 하기 조건하에서 연신 로울에 의해 1축 연신시켰다:
연신 온도: 60℃
연신비 : 2.0
연신전 로울 속도 : 5.5m/분
연신후 로울 속도 : 11.0m/분
연신 후 필름 두게 : 30μm.
수득한 필름의 물리적 특성을 하기 방법으로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1) 투습도는 ASTM E26-66(E)에 따라 펑가하였다.
2) 필름의 종방향에서의 인열강도는 JIS P 8116에 따라 측정하고 쉬트당 강도(g)를 얻었다.
3) 표면 강도
필름 시료를 100mm x 100mm의 정사각형으로 절단하고 내경이 80mm인 2개의 고리사이에 고정시켰다. 반경 10mm의 반원기둥형 단부를 갖고 직경 20mm인 막대형 플런저를 필름의 중심을 향해 500mm/분의 속력으로 압박하였다. 필름이 파열되는 시점의 압흔 깊이를 신장률로 간주하였고, 파열시의 강도를 표면 강도로서 측정하였다.
4) 하기 기준에 따라 필름-형성 특성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 : 기포가 더욱 안정화되었으며 다이선이 관찰되지 않았다.
○ : 가포가 더욱 안정화되었으며 다이선이 관찰되었다.
△ : 필름 독의 변동이 관찰되었다.
× : 필름 형성이 불가능하였다.
5) 시편을 손으로 만지면서 하기 기준에 따라 유연성을 평가하였다.
◎ : 매우 유연함.
○ : 유연함.
△ : 약간 딱딱함.
× : 딱딱함.
6) 연신성:
◎ : 파열되지 안고 평탄하게 연신됨. 연신의 비평탄성 및 필름 두께의 불균일성여 나타나지 않음.
◎ : 파열되지 않으며, 연신의 비평탄성 및 필름 두께의 불균일성이 거의 나타나지 않음.
△ : 파열되지 않으며, 연신의 비평탄성 및 필름 두께의 불균일성이 약간 나타남.
× : 파열되거나, 또는 연신의 비평탄성 및 필름 두께의 불균일성이 큼.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80중량부와 에틸렌-부텐 고무[TAFMER A4085(상표명, Mitsui Petrochemical Industries, Ltd. 제품), MI : 3.6g/10분, ρ : 0.88g/㎤]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수득한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 0.913g/㎤이었고 MI는 1.3g/10분이었다. 그 후, 가소화제로서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6중량부, 라디칼 생성제로서 2,5-디메틸-2,5-비스(3차부틸퍼옥시)-3-헥신 0.03중량부 및 탄산칼슘 200중량부를 생성된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서리선 높이를 800mm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80중량부와 극저밀도 폴리에틸렌[FW1900(CDF Chimie E.P. Corp. 제품), MI : 1.0g/10분, ρ : 0.900g/㎤] 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수득한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 0.917g/㎤이었고 MI는 1.0g/10분이었다. 그 후, 가소화제로서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3중량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라디칼 생성제 0.02중량부 및 탄산칼슘 200중량부를 생성된 조성물에 첨가하였다.
서리선 높이를 1000mm로 변화시기고 연신비를 2.1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MI : 0.5g/10분, 밀도 : 0.921g/㎤, 공중합체 성분 : 1-부텐, 공중합체 성분의 함량 : 10중량% 및 융점 : 120℃] 80중량부와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에틸렌-부텐 고무 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수득한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 0.909g/㎤이었고, MI는 0.5g/10분이었다. 그 후, 가소화제로서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4중량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라디칼 생성제 0.03중량부 및 탄산칼슘 200중량부를 생성된 조성물에 첨가하었다.
서리선 높이를 800mm로 변화시키고 연신비를 2.5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명가 결과는 표 1에 나티낸다.
[실시예 5]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80중량부와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에틸렌-부텐 고무 20중량부를 혼합하였다. 수득한 중합체 조성물의 밀도는0.913g/㎤이었고, MI는 0.7g/10분이었다. 그 후, 가소화제로서 아미드 올레에이트 4중량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라디칼 생성제 0.02중량부 및 탄산칼슘 200중량부를 생성된 조상물에 첨가하였다.
연신비를 2.2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0중량부, 가소화제로서의 트리 옥틸 트리멜리테이트 4중량부,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라디칼 생성제 0.03중량부 및 탄산칼슘 200중량부를 사용하였다.
서리선 높이를 600mm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라디칼 생성제로서 2,5-디메틸-2,5-디(3차부틸퍼옥사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영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1]
가소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라디칼 생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상에 대한 병가 결과는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3]
가소화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4]
라디칼 생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상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5]
가소화제 및 라디칼 생성제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상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6]
가소화제 120중량부를 사용하고 서리선 높이를 700mm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명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7]
가소화제로서 에틸렌 비스(스테아릴)아미드(융점 : 145℃) 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8]
가소화제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비점 : 153℃) 4중량부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명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비교예 9]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대신 에틸렌-부텐 고무 100중량부를 사용하고 가소화제로서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4중량부를 사용하며 라디칼 생성제 0.03중량부를 사용하고 서리선 높이를 700mm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필름(두께 : 30μm)을 형성시켰다. 필름의 물리적 특성에 대한 평가 결과는표 1에 나타낸다.
[표 1]
[표 1 계속]
(주) * : 사용된 폴리올레핀이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지 않는다.

Claims (14)

  1. 밀도가 0.930g/㎤ 이하이고 용융지수가 2g/10분 이하인 폴리올레핀(A) 100중량부, 충전재(B) 100 내지 400중량부, 분자내에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고 분자량 100 이상이며 상압하에서 비점이 200℃ 이상 또 융점이 l00℃ 이하인 화합물로 구성된 가소화제(C) 1 내지 100중량부, 및 라디칼 생성제(D) 0.001 내지 0.1중량부를 포합하는,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용 수지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제(C)가 분자내에 에스테르 결합 또는 아미드 결합을 갖고 분자량이 200 내지 1000이며 상압하에서 비점이 250°내지 700℃또 융점이-100 내지 10℃인 화합물인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소화제(C)가 6개 이상의 단소원자를 갖는 카르복시산과5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또는 10 내지 25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지방족 아미드인 수지 조성물.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가 6개 이상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카르복시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수지 조성물.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가 6 내지 18개의 탄소원자를 갖는 방향족 카르복시산 또는 방향족 트리카르복시산과 지방족 알코올의 에스테르인 수지 조성물.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가 아미드 스테아레이트, 아미드 올레에이트, 트리이소데실 트리멜리테이트, 트리옥틸 트리멜리테이트, 디이소데실 프탈레이트 및 디옥틸 프탈레이트로부터 선정되는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생성제(D)가 130 내지 300℃의 분해온도를 가지며이때의 반감기가 1분인 수지 조성물.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라디칼 생성제(D)가 디큐밀 퍼옥사이드, 2,5-디메틸-2,5-디(3차부틸퍼옥시)헥산, 2,5-디메틸-2,5-비스(3차부틸퍼옥시)-3-헥신,α,α'-비스(3차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 )벤젠, 디벤조일 퍼옥사이드, 및 디-3차부틸 퍼옥사이드-2,5-디메틸헥산-2,5-디히드로퍼옥사이드로부터 선정되는 수지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A)이 에틸렌 동종중합체, 프로필렌 동종중합체, 에틸렌 또는 프로필렌과 분자내에 4개 이상의 탄소원자와 1개 이상의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정되는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올레핀이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에틸렌-비닐 아세테트 공중합체, 밀도가 0.910 이하인 극저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공중합체, 에틸렌-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정되는 수지 조성물.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B)의 평균 입경이 0.5 내지 30μm인 수지 조성물.
  12. 제 1항에서 정의된 상기 조성물로부터 팽창법에 의해 필름 또는 쉬트를 형성시키고 상기 필름 또는 쉬트를 종방향으로 1축 연신시킴으로써 제조한 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
  13. 제 12항에 있어서, 필름 두께가 100μm 이하이고, 종방향 및 횡방향 모두에서 내굽힘성이 50mm 이하이고, 투습도가 1500g/㎡· 24시간 이상이며, 표면 강도가 하기 일반식(1)로 나타내어지며, 인열강도가 하기 일반식(2)로 나타내어지는 다공성 필름.
    표면 강도[kg] ≥ 35 × 필름 두께[mm] …(1)
    인열강도[g/쉬트] ≥ 1500 × 필름 두께[mm] …(2)
  14. 라디칼 생성제를 분해시키는 조건으로 처리한 후 또는 처리하면서 제 1항에서 정의된 조성물로부터 팽창법에 의해 팽창법 2 내지 8로 필름 또는 쉬트를 형성시키고, 또 상기 필름 또는 쉬트를 연신비 1.2 내지 8로 종방향에서 1축 연신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다공성 필름 또는 쉬트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920012925A 1991-07-23 1992-07-20 수지조성물, 다공성필름 또는 쉬트 KR100187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8267791 1991-07-23
JP91-182677 1991-07-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2430A KR930002430A (ko) 1993-02-23
KR100187323B1 true KR100187323B1 (ko) 1999-05-15

Family

ID=16122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2925A KR100187323B1 (ko) 1991-07-23 1992-07-20 수지조성물, 다공성필름 또는 쉬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308904A (ko)
KR (1) KR1001873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6081C (en) 1993-12-17 2005-07-26 Ann Louise Mccormack Breathable, cloth-like film/nonwoven composite
JPH08269220A (ja) * 1995-02-02 1996-10-15 Kao Corp 多孔性シート及びそれを用いた吸収性物品
KR100338362B1 (ko) * 1999-07-23 2002-05-30 유승렬 우수한 가공성 및 투습도를 갖는 통기성 필름용 조성물
US6682803B2 (en) * 1999-08-27 2004-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Breathable multilayer films with breakable skin layers
TWI315591B (en) * 2000-06-14 2009-10-01 Sumitomo Chemical Co Porous film and separator for battery using the same
US7531594B2 (en) 2002-08-12 2009-05-12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Articles from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EP1530611B1 (en) 2002-08-12 2013-12-04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8003725B2 (en) 2002-08-12 2011-08-23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lasticized hetero-phase polyolefin blends
US7998579B2 (en) 2002-08-12 2011-08-16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Polypropylene based fibers and nonwovens
US7271209B2 (en) 2002-08-12 2007-09-18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Fibers and nonwovens from plasticized polyolefin compositions
US8192813B2 (en) 2003-08-12 2012-06-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Crosslinked polyethylene articles and processes to produce same
US8389615B2 (en) 2004-12-17 2013-03-05 Exxonmobil Chemical Patents Inc. Elastomeric compositions comprising vinylaromatic block copolymer, polypropylene, plastomer, and low molecular weight polyolefin
ATE555166T1 (de) 2005-07-15 2012-05-15 Exxonmobil Chem Patents Inc Elastomere zusammensetzungen
JP4546910B2 (ja) * 2005-09-22 2010-09-22 三菱樹脂株式会社 多孔積層体の製造方法および多孔積層体
EP2194088B1 (en) * 2007-09-25 2012-10-31 FUJIFILM Corporation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film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8068A (en) * 1963-04-25 1967-03-07 Pan American Petroleum Corp Detergent composition
US4529764A (en) * 1981-04-21 1985-07-16 The Dow Chemical Company Olefin polymers containing amides and inorganics
US4705812A (en) * 1984-03-05 1987-11-10 Mitsui Toatsu Chemicals, Inc. Process for producing porous films involving a stretching step and the resultant product
JPS6233252A (ja) * 1985-08-07 1987-02-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空気調和機の送風装置
JPS6369851A (ja) * 1986-09-12 1988-03-29 Taizo Ayukawa ポリオレフイン系重合体製品
KR0147284B1 (ko) * 1989-01-27 1998-08-17 스즈끼 세이지 다공성 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308904A (en) 1994-05-03
KR930002430A (ko) 1993-0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80353B1 (en) Porous film
KR100187323B1 (ko) 수지조성물, 다공성필름 또는 쉬트
EP0066973B1 (en) Extruded gloss improvement in pipe blends with low pressure low density polyethylene
EP0227481B1 (en) Process for preparing porous film or sheet
US4774277A (en) Blends of polyolefin plastics with elastomeric plasticizers
US4374882A (en) Compositions comprising low pressure ethylene polymers and alkylene-alkyl acrylate copolymers; and spiral wound hose products fabricated therefrom
JP3325377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5372A (ja) 透湿性フィルム
US5756203A (en) LLDPE films with improved impact strength
JP3166279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7216119A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859356B2 (ja) 多孔性フイルム
JP2859346B2 (ja) 多孔性フイルム
US5258463A (en) Blends for consumer waste bags
JP2621456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の製造方法
JPS63251436A (ja) 多孔性シ−トの製造方法
JPH07100348B2 (ja) 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734084B2 (ja) 伸長性フイルム又はシートの製造法
JPH0598088A (ja) 樹脂組成物
JP2932541B2 (ja) 伸長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
JP2005146184A (ja) 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及びポリオレフィン樹脂フィルム
CA1314345C (en) Method for the manufacture of polyolefin film from blends of polyolefins
JP3507114B2 (ja) 多孔性フィルム又は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289631A (ja) 多孔性フイルム
JP2005102807A (ja) 吸収性物品用バックシート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