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401B1 -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401B1
KR100186401B1 KR1019960003463A KR19960003463A KR100186401B1 KR 100186401 B1 KR100186401 B1 KR 100186401B1 KR 1019960003463 A KR1019960003463 A KR 1019960003463A KR 19960003463 A KR19960003463 A KR 19960003463A KR 100186401 B1 KR100186401 B1 KR 1001864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flange
processing
lower drum
p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4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3049A (ko
Inventor
임종락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34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401B1/ko
Publication of KR970063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3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4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4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 G11B5/531Disposition of more than one recording or reproducing head on support rotating cyclically around an axis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 Manufacturing Of Magnetic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는 하부 드럼이 조립된 상태에서 하부 드럼에 리드 라인을 후가공하도록 하고 있는 바, 이때 이 후가공 공정을 가공상의 어려움과 가공비용 상승의 문제가 있었던 바, 본 발명에서는 별도의 가공용 플랜지를 하부 드럼을 조립하기 전에 조립한 상태에서 플랜지의 기준면(A)를 후가공하여 이 기준면(A)와 하부 드럼의 기준면(B)을 맞춘 상태에서 리드라인이 가공된 상태의 하부 드럼을 조립하도록 함으로써 후가공장비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후가공 속도가 향상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플랜지의 재질을 절삭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후가공이 보다 용이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드럼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종래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에서의 하부드럼 조립체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 조립 방법의 설명도.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플랜지가 조립된 상태단면도.
제5도는 하부 플랜지의 후가공 상태단면도.
제6도는 하부 드럼이 조립된 상태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가공용 플랜지 12 : 하부 드럼
12a : 리드 라인 14 : 플랜지 조립체
15 : 베어링 조립체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 가공공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플랜지 조립체에 기준면을 갖는 별도의 플랜지를 조립하고, 그 플랜지에 이미 리드 라인이 가공되어 있는 하부 드럼을 조립하도록 하여 조립공정이 간소화되고, 용이해지도록 한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의 구조는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되는 고정측 로타리 트랜스(3b)를 구비한 하부드럼(2)과, 하면에 회전측 로타리 트랜스(3a)가 결합된 플랜지(4)와, 상기 플랜지(4)에 나사체결되어 상기 하부드럼(2)의 상부에서 회전되며 회전 헤드를 구비한 상부드럼(1)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베어링 조립체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드럼의 조립순서는 먼저 일체형 베어링(5)에 플랜지(4)를 조립하고, 플랜지(4)의 하면에 회전측 로타리 트랜스(3a)를 본딩하며, 하부드럼(2)의 상면에는 고정측 로타리 트랜스(3b)를 본딩하여 고정한다. 그리고 상기 플랜지 조립체(4)의 축을 하부드럼 조립체(2)의 홀에 압입하여 상,하부드럼 조립체(1)(2)를 결합하는데 이때, 로타리 트랜스(3a)(3b) 사이에 갭을 맞추면서 베어링(5)의 회전중심과 하부드럼의 직각도를 정밀하게 유지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드럼 조립 공정은 베어링(5)의 회전중심과 하부드럼(2)의 직각도를 목표값 이하로 유지하면서 플랜지 조립체(4)를 하부드럼조립체(2)에 압입고정하는 기술이 상당한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에 원하는 수율을 얻기가 어려웠다.
이와 같이 직각도를 유지하기 위한 궁극적인 목표는 회전 헤드와, 리드 라인이 소정의 기하학적 상대위치를 정밀하게 유지시키도록 하여 기록모드시 테이프의 트랙 패턴의 기하학적 정밀도를 유지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협트랙 기록 포맷의 기계적 호환성 유지를 위해서는 정밀도가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요인인 것이다.
따라서 종래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각도 유지를 위하여 플랜지 조립체(4)와 하부드럼 조립체(2)를 조립한 상태에서 플랜지(4)를 척킹하여 하부드럼(2)를 회전시키면서 리드 라인(2a)을 후가공하도록 하고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리드 라인(2a)의 후가공시 리드 라인이 나선 형상이기 때문에 하부드럼(2)을 회전시키면서 가공 툴(tool)(6)은 축방향으로 움직여 주어야 하는 가공상의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러한 후가공을 위해서는 전용장비에 마스터 캠(Master CAM)이 장착되거나, 전자적으로 제어되는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게 되는 등 제조비용이 상승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리드 라인(2a) 가공시에 급격한 툴(6) 모션에 기인하여 가공 속도를 향상시키기 어려우므로 가공시간이 길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드럼에 리드 라인이 후가공되는 공정상의 어려움을 해소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소한 장비로 후가공 공정이 용이하게 이루어져 드럼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려는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플랜지 조립체의 사프트에 별도의 가공용 플랜지를 압입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용 플랜지의 하면에 소정의 가공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리드 라인이 가동된 하부 드럼을 상기 가공용 플랜지의 가공면에 맞추어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 조립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일실시례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4도 내지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 조립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하부 플랜지가 조립된 상태단면도, 제5도는 하부 플랜지의 후가공 상태단면도, 제6도는 하부 드럼이 조립된 상태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드럼 조립 방법은 플랜지 조립체의 샤프트(5)에 별도의 가공용 플랜지(10)를 압입하고, 이 가공용 플랜지(10)의 하면에 툴(16)을 사용하여 소정의 가공면(A)을 형성하여 리드 라인(12a)이 가공된 하부 드럼(12)을 상기 가공용 플랜지(10)의 가공면(A)에 맞추어서 조립한다.
이와 같이 조립되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은 조립기준면이 가공용 플랜지(10)의 가공면(A)과, 하부 드럼(12)의 기준면(B)을 서로 일치시켜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하부 드럼(12)의 조립이 체결스크류 또는 본딩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하부 드럼은 하부드럼의 기준면(B)과 리드라인(12a)이 동시에 가공됨에 따라 상기 가공용 플랜지의 가공면(A)과의 상대적인 관계가 정밀하게 유지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가공용 플랜지(10)와 하부 드럼(12)의 동심은 베어링 샤프트(15)와 하부 드럼(12)의 중앙 통공 간의 피팅(fitting)으로 유지하며, 이러한 피팅이 직각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한 공차의 조합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베어링(15)의 회전중심, 다시 말해서 헤드의 회전궤적과, 리드 라인(12a)의 기하학적 상대위치가 정밀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따라서 테이프에 기록된 트랙 패턴의 정밀도가 유지되어 기계적 호환성이 향상되도록 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에 의하면 종래 리드 라인을 후가공하는 공정을 부가되는 플랜지의 가공면을 후가공하는 공정으로 대체함으로써 후가공장비의 구조가 간소화되어 제조원가가 절감되는 효과가 있고, 후가공 속도가 향상되어 작업시간이 단축되며, 플랜지의 재질을 절삭성이 좋은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후가공이 보다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특히 협 트랙 포맷에서 트랙 패턴의 기계적 정밀도를 유지하기 어려운 8㎜, 디지탈 브이씨알 등에 적용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Claims (1)

  1. 플랜지 조립체의 샤프트에 별도의 가공용 플랜지를 압입하는 단계와,
    상기 가공용 플랜지의 하면에 소정의 가공면을 형성하는 단계와,
    리드 라인이 가공된 하부 드럼을 상기 가공용 플랜지의 가공면에 맞추어서 조립하는 단계를 포함하여서 진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KR1019960003463A 1996-02-13 1996-02-13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KR1001864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463A KR100186401B1 (ko) 1996-02-13 1996-02-13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3463A KR100186401B1 (ko) 1996-02-13 1996-02-13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49A KR970063049A (ko) 1997-09-12
KR100186401B1 true KR100186401B1 (ko) 1999-04-15

Family

ID=194511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463A KR100186401B1 (ko) 1996-02-13 1996-02-13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640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3049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3151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 cylinder and a rotating member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JPS5847528Y2 (ja) ジキヘツドイチチヨウセイソウチ
KR100186401B1 (ko)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KR880003721Y1 (ko) 회전 자기 헤드 드럼
KR0135669Y1 (ko) 브이씨알장치의 헤드드럼 조립체
EP0336422A2 (en) Magnetic head carrier drum assembly
JP267471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回転ヘッドアセンブリの組立方法
EP0019825A1 (en) Tape guide device of rotary head type video tape recorder
JP3160871B2 (ja) 回転磁気ヘッド装置
KR200160878Y1 (ko) 헤드드럼조립체
JP2982277B2 (ja) ドラム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970004628B1 (ko) 헤드드럼장치
JPH1094843A (ja) 軸受の組立方法
KR100525490B1 (ko)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어셈블리의 회전드럼 및 그 제조방법
KR0160649B1 (ko) 회전형 헤드드럼 어셈블리
JP2602224B2 (ja) 磁気記録再生ドラム
JPH0233288Y2 (ko)
JPH0383254A (ja) 回転ヘッドシリンダ装置
KR100207245B1 (ko)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JPH0514329Y2 (ko)
JPH0125647B2 (ko)
JP2569388Y2 (ja) 回転ヘッド装置
US6584674B1 (en) Method of processing rotor
JPH011465A (ja) 小型リニアパルスモ−タ
KR0135853B1 (ko) 회전 자기헤드 드럼 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918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