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245B1 -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245B1
KR100207245B1 KR1019960018632A KR19960018632A KR100207245B1 KR 100207245 B1 KR100207245 B1 KR 100207245B1 KR 1019960018632 A KR1019960018632 A KR 1019960018632A KR 19960018632 A KR19960018632 A KR 19960018632A KR 100207245 B1 KR100207245 B1 KR 1002072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correction
shaft
drum shaf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86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6637A (ko
Inventor
강동호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186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7245B1/ko
Publication of KR970076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6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2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24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Length Measuring Devices By Optical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드드럼 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축공(14b)과 인접한 상부드럼(14)의 윗면에 다수개의 보정홈(30)을 형성하고, 이러한 보정홈(30)에는 보정나사(40)를 결합하므로 드럼샤프트(12)의 직각도를 보정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정밀한 드럼샤프트(12)의 직각도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직각도가 불량은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조립체를 파기처분하지 않고 재 사용이 가능하여 재료의 손실을 방지한게 된다.

Description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헤드드럼 조립체의 구성을 보인 종단면도.
제2도는 일반적인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일반적인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의 직각도 검사방법을 보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드럼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직각도 보정시의 작용상태를 보인 요부발췌단면도.
제7도는 측정기준면의 측정변위의 일반적인 형태를 보인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측정치구 2 : 측정기기
10 : 하부드럼 12 : 드럼샤프트
14 : 상부드럼 19 : 비디오헤드
30 : 보정홈 40 : 보정나사
본 발명은 브이씨알의 헤드드럼조립체에 관련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드럼의 기준면과, 이 상부드럼에 축결합되는 드럼샤프트와의 직각도를 측정함에 있어서, 직각도의 보정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이씨알은 메인베이스와, 카세트로부터 테이프를 인출하여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메인베이스에 설치되는 주행계와, 이 주행계의 적당개소에 배설되어 이동중인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재생하는 헤드드럼조립체를 갖추고 있다. 헤드드럼 조립체는 신호의 기록 및 재생에 직접 관여하기 때문에 매우 높은 수준의 신뢰성과 안정성을 유지해야 하고, 장기간 반복적으로 사용하더라도 진동이나 소음의 발생이 적어야 한다. 특히, 진동은 크로스토크(cross talk)의 원인이 되어 화질에 결정적인 악영향을 미칠수도 있으므로 이를 엄격히 관리할 필요가 있다.
제1도에는 종래의 헤드드럼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는데, 헤드드럼 조립체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은 메인베이스에 고정되는 하부드럼(10)과, 이 하부드럼(10)을 관통해서 조립되는 드럼샤프트(12)와, 이 드럼샤프트(12)의 상단에 고정되어 드럼샤프트(12)와 함께 하부드럼(10)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상부드럼(14)과, 상기 드럼샤프트(12) 및 상부드럼(14)에 공급되는 회전동력을 발행하는 전기모터(16)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드럼(14)의 저면에는, 예를 들면, 2개의 헤드베이스(18)가 스크류등에 의해서 180° 간격으로 높이조절가능하게 부착되며, 각각의 헤드베이스(18)는 그것의 반경방향 외측단부에 영상신호를 자기적으로 기록하거나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비디오 헤드(19)를 갖추고 있다. ㄸ한, 상부드럼(10)사이에는 무접촉방식으로 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로타리트랜스포머(20)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비디오헤드(19)로 공급되거나 비디오헤드(19)에서 출력되는 영상신호를 노이즈의 발생없이 주고 받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전기모터(16)은 하부드럼(10)에 부착되는 스테이터(22)와 드럼샤프트(12)에 고정되어 스테이터(22)에 대하여 회전운동하는 로터(24)로 이루어지며, 이 로터(24)과 함께 고속으로 회전함으로써 비디오헤드(19)로 하여금 테이프의 신호트랙을 차례로 스캔하도록 한다.
상기한 구성의 헤드드럼 조립체에 있어서 드럼샤프트(12)는 상부드럼(14)의 기준면에 대해 매우 양호한 직각도를 갖어야 한다. 즉, 제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프는 상부드럼(14)의 주연에 밀착한 상태로 회전을 이루게 되고, 상부드럼(14)에 고정되는 비디오헤드(19)가 테이프로부터 신호를 스캔하게 되므로 드럼샤프트(12)와 상부드럼(14)의 직각도가 불량할 경우에는 상부드럼(14)에 고정되는 비디오헤드(19)가 경사회전하게 되며 신호스캔시 일정주기로 상하이동하게 되므로 화질이 손상되는 것은 물론 신호트랙을 정확히 스캔할 수 없는 문제를 갖고 있으므로 드럼샤프트(12)와 상부드럼의 직각도는 양호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상부드럼(14)과 드럼샤프트(12)의 압입후 소정의 직각도검사를 실시하게 된다. 즉,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드럼샤프트(12)와 상부드럼(14)이 조립된 상태에서 드럼샤프트(12)를 측정치구(1)에 삽입하여 회전을 시킴과 동시에 예컨대 다이얼게이지 등의 측정기기(2)를 이용하여 상부드럼(14)의 기준면의 변화를 측정하게 된다. 그리하여 상기 측정값을 기준값과 비교하여 양불량을 판정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측정결과 불량품으로 판정된 상부드럼(14)과 드럼샤프트 조립체를 전량 파기처분하고 있어 재료의 낭비는 물로 생산성을 저하시키는 주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즉, 상부드럼(14)은 주로 알루미늄합금으로 이루어져 있고 드럼샤프트(12)와 억지끼워맞춤되므로 일단 조립완료된 후에는 두 부재의 분리가 어렵고, 분리를 하더라도 분리과정에서 무리한 힘을 가하는 것에 의해 두부재의 끼워맞춤공차가 요구되는 범위에 있지 않게 되므로 다시 두부재를 정확한 직각도를 유지시키며 재조립하는 것이 매우 곤란한 실정으므로 결국 파기처분할 수 밖게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 직각도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여 재료의 손실을 방지하며 불량률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를 직각도 보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헤드드럼 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는 보스일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갖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되는 보정홈과, 적어도 두 개이상의 선택된 보정홈내에 결합되는 보정나사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며 부호는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제4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드럼(14)과 드럼샤프트(12)의 직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드럼샤프트(12)가 삽입되는 상부드럼(14)의 보스(14a)일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갖는 보정홈(30)이 형성되어 있다.
보정홈(30)은 하향 할수록 점차 내경이 작아지도록 하는 기울기(α1)을 갖으며, 축공(14b)주연에 등간격으로 적어도 세 개 이상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90° 간격을 갖는 4개의 보정홈(30)을 형성함이 좋다.
본 발명은 상기 보정홈(30)에 태핑결합되는 보정나사(40)를 필요로 한다. 보정나사(40)는 태핑을 이루기 위해 적어도 상부드럼(14)보다 높은 경도를 갖는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며, 상기 보정홈(30)의 기울기(α1)보다 큰 기울기(α2)를 갖도록 하여 보정나사(40)결합시 해당 보정홈(30)이 방사상으로 확장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같는 본 발명의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 나타나는 도면 및 상세한 설명중에 상부드럼(14) 및 드럼샤프트(12)의 상대 이동 및 보정나사(40)의 결합에 의한 보정홈(30)의 확장정도에 대한 개념은 미크론(μ)단위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함을 밝혀둔다.
드럼샤프트(12)와 상부드럼(14)의 직각도를 종래의 방식으로 측정하게 되면, 상부드럼(14)의 매 회전위상에 대한 상부드럼(14)의 기준면의 편차(±a) 즉, 흔들림의 량에 대한 관계에 대해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그래프를 얻을 수 있다. 이때 그 편차 (±a)가 요구되는 값을 벗어나게 되면 가장 편차가 큰 부분(제7도를 예를 들면 90°위치 또는 270°위치)중 드럼샤프트(12)와의 각이 가장 큰 부분(90°위치) 즉, 편차가 + 방향으로 가장 크게 나타나는 부분에 대응하는 보스(14a)일면에 보정홈(30)을 형성하고 여기에 보정나사(40)를 결합하게 되면 보정홈(30)이 방사상으로 확장되고, 그에 따라 드럼샤프트(12)측으로 화장하는 량은 보스의 축공(14b)에 접하는 드럼샤프트(12)의 부분중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보정나사(40)가 결합되는 부위가 하향하게 되므로 편차의 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스상에 미리 수개의 보정홈(30)이 형성되어 있으면, +편차가 가장 크게 나타나는 부분에 대응하거나 또는 그에 가장 인접하는 보정홈(30)에 보정나사(40)를 태핑 결합한다. 이때 보정나사(40)의 결합은 한 번에 이루어지지 않고 여러 단계로 소량씩 결합하며 매 단계마다 상기와 같은 측정을 반복실시하여 측정기기(2)상에 나타나는 기준면의 편차(±a)변화가 기준값내에 들어오는지를 확인하여야 한다.
즉,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정나사(40)가 보정홈(30)내에 나사를 형성하며 결합됨과 동시에 보정나사(40)는 보정홈(30)에 비해 큰 기울기를 갖고 있으므로 보정홈(30)은 방사상으로 확장되고, 그에 따라 드럼샤프트(12)측으로 확장되는 량은 보스의 축공(14b)에 접하는 드럼샤프트(12)의 부분중 상부를 가압하게 되므로 보정나사(40)가 결합되는 부위가 하향하게 되므로 편차의 량이 줄어들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정나사(40)의 결합에 있어 가장 큰 +편차를 갖는 위치에 가장 인접하는 보정홈(30)에 보정나사(40)를 결합함과 동시에 또 다른 방향으로 가장인접하는 보정홈(30)에도 보정나사(40)를 결합하여 보정작업을 이룰 수 있을 것이. 예를 들어 제5도에 도시된 바롸 같이 편차가 가장 큰 부분(90° 부분)이 어느 하나의 보정홈(30)과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보정홈(30)에 보정나사(4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편차가 큰 부분을 0에 가까운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나 정확한 조정이 어려우므로 +편차가 큰 위치를 사이에 둔 두 개의 보정홈(30)에 동시에 보정나사(40)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직각도의 보정을 실시하는 것이 편차가 가장 큰 위치를 기준값내로 이동시키는 데 더욱 효과적인 것이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는 상부드럼상에 동일원주상에 등간격을 갖는 수개의 보정홈을 형성하고 선택된 보정홈에 보정나사를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의 직각도를 보정할 수 있게 되므로 직각도가 불량한 상부드럼과 드럼샤프트조립체를 파기처분하지 않고 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재료의 손실은 물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2)

  1. 축공을 갖는 보스를 갖는 상부드럼과, 축공에 억지끼워 맞춤되는 드럼샤프트를 구비한 헤드드럼 조립체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보스(14a) 일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일정깊이를 갖도록 적어도 세 개 이상형성되며 소정의 기울기(α1)를 갖는 보정홈(30)과, 적어도 두 개이상의 선택된 보정홈(30)내에 나사 결합되며, 상기 보정홈(30)의 기울기(α1)보다 큰 기울기(α2)를 갖는 보정나사(40); 로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홈(30)은 축공(14b)주연에 축공(14b)과 동심을 이루는 가상의 원상에 등각으로 4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KR1019960018632A 1996-05-30 1996-05-30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KR1002072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632A KR100207245B1 (ko) 1996-05-30 1996-05-30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8632A KR100207245B1 (ko) 1996-05-30 1996-05-30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637A KR970076637A (ko) 1997-12-12
KR100207245B1 true KR100207245B1 (ko) 1999-07-15

Family

ID=194601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8632A KR100207245B1 (ko) 1996-05-30 1996-05-30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724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6637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89110A (en) Full radius carrier to drum contact in a rotary head scanner
KR960013770B1 (ko) 마그네틱 헤드와 갭의 조정방법
US395521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a head drum assembly
KR100207245B1 (ko) 헤드드럼조립체의 드럼샤프트 직각도 보정장치
JPH0239014B2 (ko)
KR880003721Y1 (ko) 회전 자기 헤드 드럼
US3422230A (en) Mounting structure for rotating magnetic heads
US4321639A (en) Apparatus for magnetically recording and reading wide-band signals
EP0661693B1 (en) Rotary drum apparatus
JPS60245361A (ja) 記録・再生装置用ドラム形走査ユニツト及びその製造方法
US5748411A (en) Head drum assembly of a video cassette recorder with audio and control heads mounted on upper and lower stationary drums of head drum
KR0160649B1 (ko) 회전형 헤드드럼 어셈블리
KR980009519U (ko) 브이씨알의 헤드베이스 구조
KR880000526B1 (ko) Vtr헤드 실린더 어셈블리
JPH0452808Y2 (ko)
KR100186401B1 (ko) 자기기록재생기용 드럼의 조립 방법
KR100211871B1 (ko) 헤드드럼 조립체
KR200149198Y1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로터리트랜스포머 고정구조
KR830000702B1 (ko) 광대역 신호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JP3337172B2 (ja) 回転ドラム装置
KR0135853B1 (ko) 회전 자기헤드 드럼 구조체
JPS5824252Y2 (ja) レコ−ドプレ−ヤ
EP0633561A2 (en) Multichannel rotary magnetic head apparatus
KR19980017840A (ko) 헤드드럼 조립체의 헤드베이스 고정구조
JPS6251016A (ja) ドラム心出し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