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985B1 -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985B1
KR0184985B1 KR1019950016792A KR19950016792A KR0184985B1 KR 0184985 B1 KR0184985 B1 KR 0184985B1 KR 1019950016792 A KR1019950016792 A KR 1019950016792A KR 19950016792 A KR19950016792 A KR 19950016792A KR 0184985 B1 KR0184985 B1 KR 0184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remaining
percentage
value
curr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664A (ko
Inventor
김명보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50016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4985B1/ko
Publication of KR970004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9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sts Of Electric Status Of Batteri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캠코더에서 사용하는 밧데리의 잔량을 일정한 기준치에 의해 백분율화된 수로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밧데리 잔량을 사용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에 관한 것인 바, 그 특징적인 구성으로는 순간적인 과전류의 소비가 아닌 경우에 밧데리 체크하여 밧데리 잔량 계산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산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로 환산하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환산된 백분율값을 단계적인 변동량등에 따라 그 표시여부를 결정하여 현재 잔량을 표시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Description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제1도는 종래의 다단계 그래팩을 이용한 밧데리잔량 표시과정을 보인 참고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이 실시되기 위한 캠코더의 일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을 보인 동작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키입력부 3 : 마이크로 프로세서
5 : 잔량 표시부
본 발명은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캠코더에서 사용하는 밧데리의 잔량을 일정한 기준치에 의해 백분율화된 수로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밧데리 잔량을 사용자들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캠코더에는 밧데리의 잔량을 데이터로 산출하고 이를 각 단계에서 설정된 기준데이터와 비교해서 제1도와 같이 밧데리 잔량을 화면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보통 4단계 정도의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있는데, 즉 충전이 가득한 상태(a)와 2/3정도 충전된 상태(b)와 1/3정도 충전된 상태(c)와 완전히 방전된 상태(d)로 표시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방전된 상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한 완전히 방전된 상태의 밧데리 모양을 깜빡이는 상태(e)로 나누어서 그래픽으로 표시하였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밧데리 잔량을 화면 또는 액정표시장치에 대략적인 4단계 정도의 그래픽으로 표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표시방법으로 사용자들은 차후 사용할 수 있는 밧데리 잔량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기가 어려우며, 또한 밧데리가 소모되는 정도나 그 밧데리의 성능을 파악하는 데에는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된 숫자로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좀더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밧데리가 소모되는 정도로 밧데리의 성능 및 충전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의 특징은 순간적인 과전류의 소비가 아닌 경우에 밧데리 체크하여 밧데리 잔량 계산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산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 환산값으로 도출해내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환산된 백분율값을 단계적인 변동량등에 따라 그 표시여부를 결정하여 현재 잔량을 표시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이 실시되기 위한 캠코더의 일부 구성을 보인 블록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밧데리의 잔량과 종류를 검출하여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로 환산하고, 그 환산된 값을 적절한 시기에 표시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밧데리 잔량 환산동작이나 표시텀을 설정하기 위한 키입력부(1)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명령에 따라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표시하기 위한 잔량 표시부(5)로 구성함이 바람직하고, 상기 잔량 표시부(5)는 전자 뷰파인더나 액정 표시장치 및 모니터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을 보인 동작흐름도로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단계는 전원 온시나 메카니즘의 동작에 따란 순간적인 과전류 소비시점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11)와, 상기 단계의 체크결과 순간적인 과전류 소비가 아닌 경우에 밧데리 체크하여 밧데리 잔량 계산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S12)와, 상기에서 입력받은 데이터로 현재의 밧데리 잔량(B now)을 산출하는 단계(S13)로 이루어지며, 제 2단계는 상기 제 1 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완충전시 최대값 및 바닥상태의 최소값과 비교하여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로 환산하는 단계(S14)로 이루어지고, 제 3단계는 상기 제 2단계에서 환산된 백분율 잔량을 단계적인 변동량등에 따라 그 표시여부를 결정하는 단계(S15∼S16)와, 상기 단계에서 표시여부가 결정되면 백분율로 환산된 현재의 잔량을 표시하는 단계(S17)와, 표시여부가 결정되지 않으면 과거의 밧데리잔량 표시상태를 유지하는 단계(S18)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이상에서와 같은 구성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일반적인 캠코더에서는 전원 온시 또는 로딩/언로딩등 메카니즘 동작이 클때에는 과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이때는 밧데리 잔량의 변동폭이 커서 계산을 하지 않도록 체크금지구간을 설정하여 이런 경우(S11의 Y분기)를 제외하고 순간적인 과전류의 소비가 아닌 경우에 밧데리를 체크(S11)하여 밧데리 잔량 계산을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S12)받아 현재의 밧데리 잔량(B now)을 산출(S13)하는 제 1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제 1단계에서 산출된 값(B now)을 다음 계산식 즉, 완충전시 최대값(B full)과 바닥상태의 최소값(B down)의 차이(B full-B down)에 대한 현재 밧데리 잔량(B now)과 바닥상태의 최소값(B down)의 차이(B now-B down)를 백분율로 계산((B now-B down/B full-B down)*100)함으로써 현재 밧데리 잔량(B now)을 백분율로 환산(S14)하는 제 2단계를 수행한다. 그리고 마이크로 프로세서(3)는 내부에 설정된 프로그램(이것은 사용자가 미리설정할 수도 있음)을 이용하여 여기서 도출된 현재 밧데리의 백분율값(B work)이 과연 표시하기에 적당한 값인지를 판단(S15∼S16)한 뒤 적당하다고 인식하면(S16의 Y분기) 도출된값(B work)을 표시할 데이터변수(B disp)로 이동(S17)시켜 주어 밧데리 잔량 표시부(5)를 통해 외부로 표시가능하게 하고, 적당한 값이 아니면(의 분기) 과거의 데이터표시값을 그대로 유지(S18)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표시데이터를 표시하는 제 3단계를 수행한다. 단, 여기서 주의해야 할 것은 도출된값을 너무 자주 표시해주면 표시된 데이터의 변화가 빨라서 잘 분간할 수 없는 경우가 생기므로 데이터를 산출하여 이를 평균낸 값을 표시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에 의하면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된 숫자로 화면상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밧데리의 잔량을 좀더 명확하게 알 수 있도록 하고 또한 밧데리가 소모되는 정도를 이용하게 되면 밧데리의 성능 및 충전 정도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함이 있다.

Claims (2)

  1. 순간적인 과전류의 소비가 아닌 경우에 밧데리 체크하여 밧데리 잔량 계산을 위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산출하는 제 1단계와, 상기 제 1단계에서 산출된 값을 이용하여 현재의 밧데리 잔량을 백분율 환산값으로 도출해내는 제 2단계와 상기 제 2단계에서 환산된 백분율값을 단계적인 변동량등에 따라 그 표시여부를 결정하여 현재 잔량을 표시하는 제 3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계는 완충전시 최대값(B full)과 바닥상태의 최소값(B down)의 차이(B full-B down)에 대한 현재 밧데리 잔량(B now)과 바닥상태의 최소값(B down)의 차이(B now-B down)를 백분율로 계산((B now-B down/B full-B down)*100)하여 현재 밧데리 잔량에 대한 도출값(B work)을 얻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KR1019950016792A 1995-06-21 1995-06-21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KR0184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792A KR0184985B1 (ko) 1995-06-21 1995-06-21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792A KR0184985B1 (ko) 1995-06-21 1995-06-21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664A KR970004664A (ko) 1997-01-29
KR0184985B1 true KR0184985B1 (ko) 1999-05-01

Family

ID=194178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792A KR0184985B1 (ko) 1995-06-21 1995-06-21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498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3980B1 (ko) * 1996-03-14 2003-05-12 (주)베이크라이트코리아 자동차 이그니션 코일용 에폭시수지 조성물
KR100364963B1 (ko) * 2000-06-30 2002-12-16 주식회사 팬탑 칩 마운터용 피더의 링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664A (ko) 1997-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9632E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charging state of battery of portable terminal
US4743831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dicating remaining battery life in a battery powered device
US5477129A (en) Charge level display method and apparatus for a battery of an electronic device
EP1953559A2 (en) Battery remaining capacity predicting apparatus
JP2000253587A (ja) 電子機器
US9261567B2 (en) Method for determining a power level of a battery and circuit therefor
KR0184985B1 (ko) 캠코더의 밧데리 잔량 디지탈 표시방법
US7602150B2 (en) Battery device for electronic apparatus with rechargeable secondary battery, fuel cell and run time computing unit
JP4423960B2 (ja) 電子機器および電子機器のソフトウェア更新用プログラム
JP2002007002A (ja) 電子機器
US7355366B2 (en) Charging system and method for charging a communication terminal
KR100547730B1 (ko) 충전잔류시간 표시방법
JP2002320336A (ja) 電池残時間を表示する電池駆動機器
JP3190112B2 (ja) 電池残量表示装置
JPH09281199A (ja) 蓄電池の劣化判定装置
JP2000023375A (ja) バッテリー残量表示手段を備えた電子機器装置
JP3666697B2 (ja) 容量積算方法およびバッテリパック
KR100264864B1 (ko) 다종 배터리 호환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1169442A (ja) 携帯端末とその電池残量通知方法
KR100460460B1 (ko) 휴대폰의 배터리 용량 표시 장치 및 방법
KR100713337B1 (ko) 휴대용 통신단말기의 배터리 아이콘 표시 제어 방법
KR100474266B1 (ko) 전지의잔량검출방법
KR100238531B1 (ko) 배터리 잔류량 표시 방법
KR20020069916A (ko) 배터리의 잔량 표시방법
JPH08327710A (ja) 電池判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29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