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280B1 - 자기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280B1
KR0184280B1 KR1019950038418A KR19950038418A KR0184280B1 KR 0184280 B1 KR0184280 B1 KR 0184280B1 KR 1019950038418 A KR1019950038418 A KR 1019950038418A KR 19950038418 A KR19950038418 A KR 19950038418A KR 0184280 B1 KR0184280 B1 KR 0184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synthetic resin
control head
base
adjust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84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9186A (ko
Inventor
노보루 가또노
요시히사 쯔루미
지까라 이와마
Original Assignee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나이 쯔또무,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찌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가나이 쯔또무
Publication of KR96001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2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9Fixed mounting or arrangements, e.g. one head per track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head support for the purpose of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head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e.g. manual adjustment for azimuth correction or track centering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VTR의 음성 및 컨트롤헤드부착장치의 구성을 간략화함과 동시에 조정공정수를 저감하기 위해서, 판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부가 기반의 열린구멍내에 위치하는 축부, 판형부재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걸림부 및 열린구멍 주위로 회전운동가능하게 일체로 수지성형되고 또한 스프링부착나사에 삽입된 스프링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를 부착한 헤드판을 기반에 압압하고, 3개의 조절나사는 그의 각 나사부가 헤드판을 지지하고 또한 원통부가 합성수지부의 각 관통구멍을 거쳐서 기반 표면에 맞닿도록 되어 있으며, 음성 및 컨트롤혜드의 자기테이프 이송방향에 대한 위치결정은 합성수지부에 마련한 절단부와 기반상에 마련한 돌기부 사이에 조정지그를 삽입해서 실행하고, 조절나사가 기반의 열린구멍과 컨트롤헤드의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상의 컨트롤헤드의 전후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고, 주로 1개의 조절나사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높이를 조정하며 다른 조절나사에 의해 기울기각θ를 조정하고 또다른 1개의 조절나사에 의해 방위각을 조정하도록 하였다.
이것에 의해, 구조를 대폭으로 간략화하고 조정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부착장치를 도시한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헤드부착장치의 측면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상면도.
제4도는 VTR의 테이프주행계를 도시한 평면도.
제5a도 및 제5b도는 종래의 헤드부착장치의 구성도.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정용 비디오 테이프레코더(VTR)에 있어서의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VTR과 같이 자기테이프를 사용한 자기기록재생장치에서는 자기테이프상에 기록된 음성신호와 컨트롤신호를 재생시에 음성 및 컨트롤헤드에 의해 리드해서, 자기테이프에 기록된 기록정보의 위치를 제어하고 있다. 이 기록정보의 재생위치를 소정의 정밀도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음성 및 컨트롤헤드를 정확하게 위치결정해서 부착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부착시에는 하기의 4방향의 위치조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그 조정용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있었다.
[1]X방향(수평방향): 컨트롤신호의 리드타이밍을 조정한다.
[2] Z방향(높이방향): 자기테이프상의 컨트롤신호와 음성신호의 기록위치에 일치시킨다.
[3] θ방향(기울기조정): 자기테이프에 대한 음성컨트롤헤드의 접속상태를 조정한다.
[4] 방위방향(방위각 방향): 음성컨트롤헤드의 갭방향을 테이프상의 음성신호의 방위각과 일치시킨다.
제5도는 종래의 음성컨트롤헤드의 부착위치 조정구조의 1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5도 (a)는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5도 (b)는 평면도이다.
제5도 (a) 및 제5도 (b)에 있어서 , 음성 및 컨트롤헤드(40)를 탑재한 헤드판(30)은 헤드부착나사(200)에 의해 헤드부착대판(202)에 부착되고, 또 헤드부착대판(202)은 지주(203)의 주위에 또한 기반(100)상을 회전운동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즉, 헤드부착대판(202)은 기반(100)에 고정된 지주(203)를 관통하고, 기반(100)의 반대면측의 지주(203)에 감겨진 뒤틀림압축스프링(204)에 의해 지지되고, 헤드부착대판(202)의 구멍에 끼워져 있는 회전운동 중공축(205)을 거쳐 또한 지주(203)의 상단에 나사고정된 너트(206)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또, 기반(100)에는 테이퍼너트지주(209)가 부착되고, 테이퍼너트지주(209)에 나사대향면을 갖는 테이퍼너트(210)가 부착되고, 이 테이퍼너트(210)가 헤드부착대판(202)의 측면에 접촉되어 있다.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X방향의 위치는 테이퍼너트(207)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헤드부착대판(292)을 지주(203)의 주위로 회전운동시켜서 실행한다. 이 때문에, 헤드부착대판(292)는 뒤틀림압축 스프링(204)에 의해 테이퍼너트(207)속으로 압압되고 있다.
각도θ는 조절나사(201),(206) 등의 나사끼움량에 의해 조정한다.
즉, 헤드판(30)은 그의 한쪽끝이 헤드판받이(208)에 의해 헤드부착대판(202)상에 지지되고, 또 헤드부착나사(200)에 감겨진 압축스프링(207)에 의해 헤드부착대판(202)방향으로 압압된다. 따라서, 조절나사(201),(206) 등의 나사끼움량에 의해 헤드판(30)은 헤드판받이(208)를 지점으로 해서 θ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또, 방위조절은 조절나사(201),(206) 등의 나사끼움량을 서로 조절해서 실행한다.
또한, 일본국 실용신안공보 소화62-13221호에는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부착부재를 스프링 등에 의해 회전운동가능하게 힘을 가하고, 또 상기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부착부재의 끝부를 테이퍼를 갖는 부재와 맞닿게 해서 그 상하방향위치를 조정하고, 그것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자기테이프 주행방향위치를 조정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장치에 있어서는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부착위치 조정용의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그 구조부재수가 많아지고, 또 조립/조정공정수 등이 많다는 것이 문제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장치의 구성부재수를 대폭으로 저감함과 동시에 조립 및 조정공정수 등을 저감할 수 있는 자기기록재생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회전실린더를 탑재하는 기반상에 마련한 합성수지부, 음성 및 컨트롤헤드를 탑재하는 헤드판을 상기 합성수지부에 위치결정하는 수단, 상기 헤드판과 상기 합성수지부를 상기 기반에 압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또 상기 합성수지부를 상기 기반의 상기 헤드판측 표면부의 판형상부, 상기 기반에 뚫어 마련한 열린구멍으로 통하는 축부 및 상기 기반의 이면측에 성형된 걸림부를 일체로 수지성형하고,상기 합성수지부를 상기 옅린구멍 주위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자기테이프 이송방향에 대상 위치를 설정한다.
또, 상기 합성수지부의 걸림부는 그의 바깥지름이 상기 기반상에 뚫어 마련한 열린구멍보다 크다.
또, 상기 헤드판을 상기 합성수지부에 위치결정하는 수단이 선단에 원통부를 구비한 3개의 조절나사를 상기 헤드판에 마련한 3개의 나사구멍에 각각 끼우고, 또 각 조절나사의 원통부를 상기 합성수지부에 마련한 3개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해서 상기 기반면과 맞닿도록 구성한다.
또,상기 3개의 조절나사는 그중의 2개가 상기 열린구멍과 상기 음성컨트를헤드의 컨트롤헤드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상의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앞쪽과 뒤쪽의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합성수지부의 헤드판 측표면의 판형상부와 이면측의 걸림부는 상기 기반의 열린구멍을 거쳐서 일체로 수지성형되고, 또 상기 걸림부의 바깥지름은 상기 열린구멍의 구멍지름보다 크다. 따라서, 상기 합성수지부는 상기 기반에서 탈락하는 일없이 상기 열린구멍 주위로 회전운동할 수 있고, 이 회전운동량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X방향의 위치가 설정된다.
이때, 상기 3개의 조절나사의 각 원통부는 상기 압압수단에 의해 상기 기반면에 압압되면서 미끄러져 이동한다.
또, 상기 열린구멍과 상기 음성 및 컨트롤헤드 중의 컨트롤헤드의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상에 2개의 조절나사가 배치되고, 상기 2개의 조절나사 중의 음성 및 컨트롤헤드 전방부측에 배치되는 조절나사의 나사끼움량에 의해 주로 상기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높이위치가 설정되고, 후방부측에 배치된 조절나사의 나사조임량에 의해 주로 상기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θ각도가 설정된다.
또, 상기 2개의 조절나사 이외의 3개째의 조절나사의 나사끼움량에 의해 주로 상기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방위각도가 설정된다.
먼저, VTR에 있어서의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부착위치에 대해서 제4도를 사용해서 설명한다.
제4도는 VTR(100)에 있어서 카세트(1)내에서 자기테이프(2)가 자기테이프가이드(4),(5)에 의해 인출되어 회전하는 실린더(8)에 감겨진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실린더(8)는 회전헤드(9)를 탑재해서 a방향으로 회전한다.
음성 및 컨트롤헤드(40)는 실린더(8)와 캡스턴(6) 사이에 배치되고, 캡스턴(6)과 핀치롤러(7)에 의해 b방향으로 이송된다. 기록시에는 회전헤드(9)에 의해 자기테이프(2)에 영상신호를 기록하고 또한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에 의해 자기테이프(2)에 음성 신호를 기록한다.
재생시에는 자기테이프(2)상에 기록된 영상신호를 회전헤드(9)에 의해 리드하고,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신호를 리드한다.
상기 실린더(8)의 회전위상과 자기테이프(2)의 이송타이밍제어 등의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위치결정, 특히 자기테이프(2)의 이송방향에 대한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높은 위치정밀도가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부착에 관한 것으로, 이하 제1도,제2도 및 제3도를 사용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부착장치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측면의 단면도,제3도는 평면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 음성 및 컨트롤헤드(40)는 음성헤드(42)와 컨트롤헤드(43)을 구비하고, 제2도에 도시한 헤드부착나사(41)에 의해 헤드판(30)에 고정된다. 이 양헤드(42),(43)의 갭은 상하방향에서 그 위치가 일치되어 있다. 또한, 음성 및 컨트롤헤드(40)는 소거헤드(44)도 구비하고, 음성헤드(42)의 가로방향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판(30)에 마련한 3개의 나사구멍(31)은 중간부에 나사부(51)를 갖고, 선단부에 원통부(52)를 갖는 조절나사(50-1)∼(50-3)이 각각 끼워지고, 각 조절나사(50-1)∼(50-3)의 각 원통부(52)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부로 이루어지는 판형상부재부(20)에 마련한 3개의 구멍부(21)에 각각 끼워져 있다.
또, 헤드판(30)은 긴구멍(32)을 갖고, 이 긴구멍(32)에는 중간부에 원통부(61)를 갖고 또한 선단부에 원통부(61)보다 작은 지름의 나사부(62)를 갖는 스프링부착나사(60)가 스프링(70)을 거쳐서 삽입되고,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부(20)에 마련된 긴구멍(22)을 통해서 그 작은 지름의 나사부(62)가 기반(100)상의 나사구멍(102)에 끼워져 있다.
이 결과, 헤드판(30)은 스프링부착나사(60)의 스프링(70)의 하중에 의해 기반(100)측으로 눌려져 3개의 조절나사(50-1)∼(50-3)의 각 원통부(52)가 각각 기반(100)의 표면과 맞닿는다.
또, 판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부(20)는 사출성형법에 의해 기반(100)의 표면측을 덮도록 성형되고, 동시에 기반(100)의 열린구멍(101)으로 통하는 축부(20a)를 통해서 기반(100)의 이면측에 위치하는 걸림부(25)로 통해 있고 또한 일체로 수지성형되어 있다. 이때, 걸림부(25)의 외형은 열린구멍(101)의 지름보다 크게 성형되어 합성수지부(20)가 기반(100)에서 탈락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 합성수지부(20)는 사출성형 후의 냉각고화에 의해 약간 수축하므로, 열린구멍(101)내에 약간 틈이 생기고, 따라서 판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부(20)는 기반(100)의 열린구멍(101)에 위치하는 축부(20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가능하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합성수지부(20)의 회전운동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X방향의 위치맞춤을 실행한다.
이 때문에, 상기 합성수지부(20)의 긴구멍(22)을 기반(100)상의 나사구멍(102)(제2도)를 둘러싸는 위치에 마련하고, 마찬가지로 긴구멍(23)을 나사구멍(103)(제2도)을 둘러싸는 위치에 마련해서 상기 합성수지부(20)가 열린구멍(101) 및 축부(20a)를 중심으로 해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상기 합성수지부(20)의 열린구멍(101)과는 반대측의 끝부에 절단부(24)가 마련되고, 또한 기반(100)상에 이 절단부(24)와 대향하는 위치에 돌기부(104)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합성수지부(20)의 회전운동량은 절단부(24)와 돌기부(104) 사이에 예를들면 드라이버형상의 조절지그를 삽입해서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조정할 수가 있다. 또한, 기반(100)은 강판 등의 경질재로 구성한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음성 및 컨트롤헤드부착장치의 위치조절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위치정밀도에 있어서 제3도에 도시한 X방향의 조정,즉 기반(100)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자기테이프(2)의 이송방향)에 대한 위치조정이 가장 중요하다.
상기 X방향의 조정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합성수지부(20)의 절단부(24)와 기반(100)상의 돌기부(104) 사이에 예를 들면 드라이버형상의 조절지그를 삽입하고, 이것을 회전운동하도록 해서 실행한다.
이 결과, 상기 합성수지부(20)는 기반(100)의 열린구멍(101)을 중심으로 해서 제3도의 A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이때, 기반(100)에 대해서 헤드판(30)의 높이를 유지하는 3개의 조절나사(50)는 기반(100)표면을 미끄러져 이동하므로, 헤드판(30)은 기반(100)에 대해서 평행하게 이동한다.
즉, 본 발명의 X방향 조정은 Z방향이나 θ방향, 방위방향 등의 위치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프링부착나사(60)가 3개의 조절나사(50-1)∼(50-3)이 만드는 삼각형 T의 내측에 배치되므로, 3개의 조절나사(50-1)∼(50-3)은 스프링부착나사(60)에 끼워맞춰진 스프링(70)(제1도, 제2도)에 의해 기반(100)측으로 압압되어 각 나사부(51)에 헐거움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문에, X방향 조정량에는 경시적 변화가 없어 높은 신뢰성을 얻을 수가 있다.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Z방향위치는 제2도에 도시한 거리h(자기테이프(2)의 하단에서 컨트롤헤드(43)의 상단까지의 거리)로 규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절나사(50-1)이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컨트롤헤드(43)의 중심과 열린구멍(101)의 중심을 잇는 직선(라인R)상의 컨트롤헤드(43)과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조절나사(50-1)가 나사끼움량에 의해 Z방향위치를 직접적으로 조정할 수가 있다.
즉, Z방향의 위치조정량은 X방향이나 θ 방향(기을기조정), 방위방향의 조정량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θ방향의 조정은 자기테이프(2)의 음성헤드(42)(제2도)에 대한 접촉상태를 최적화하기 위해 실행하는 것으로,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성컨트롤헤드(40)를 각도θ만큼 기울인다.
이 조절은 제 3도의 라인 R상의 2개의 조절나사(50-1),(50-2)의 각 나사끼움량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실행할 수 있다. 그러나, 제2도의 열린구멍(101)과 가까운 쪽의 조절나사(50-2)의 나사끼움량을 조정하면, 헤드판(30)은 컨트롤헤드(43)측의 조절나사(50-1)을 지점으로 해서 움직이므로, 상기 Z방향의 위치조정량h가 거의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따라서, 조절나사(50-1)에 의해 Z방향위치를 재조정하는 경우에도 재조정량이 적어 간단하게 끝난다.
방위각은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자기테이프(2)의 이송방향에 대한 기울기각이고, 이것은 주로 제1도, 제3도의 조절나사(50-3)의 나사 끼움량에 의해 조정한다.
상기 각 조정의 종료 후에는 고정나사(80)를 합성수지부(20)의 긴구멍(23)을 통해서 기반(100)의 나사구멍(103)(제2도)에 끼우고, 합성수지부(20)를 기반(100)에 꽉조여서 고정한다.
본 발명에 의해, 구조를 대폭으로 간략화해서 조정공정수를 저감할 수 있는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헤드부착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부품점수를 제5도에 도시한 종래장치에 비해 대략 반감할 수 있다. 이것은 종래장치의 헤드부착대판(202)을 합성수지부(20)로 바꾸고, 그 회전운동축이나 걸림부(25) 등을 포함해서 기반(100)상에 일체로 성형함과 동시에 헤드부착대판(202)의 지지부나 테이퍼너트부 등을 생략한 것에 의거하고 있다.
또, 조정공정수도 제5도에 도시한 종래장치에 비해 1/2이하로 저감할 수 있다. 이것은 음성 및 컨트롤헤드(40)의 X방향의 조정을 드라이버형상의 간단한 지그를 사용해서 다른 조정량에 영향을 미치는 일없이 한번에 끝낼 수 있고, 또 높이조정, θ조정, 방위조정 등을 각각 조절나사(50-1)∼(50-3)에 의해 거의 독립적으로 실행할 수 있으므로, 재조정을 생략 또는 간략화할 수 있는 것에 의거하고 있다.

Claims (4)

  1. 회전실린더에 탑재된 자기헤드에 의해 자기테이프의 기록/재생을 실행하고,상기 회전실린더와는 다른 위치에 설치된 음성 및 컨트롤헤드에 의해 음성신호 및 컨트롤신호의 기록/재생을 실행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실린더를 탑재하는 기반상에 마련한 판형상부재로 이루어지는 합성수지부, 음성 및 컨트롤헤드를 탑재하는 헤드판을 상기 합성수지부에 위치결정하는 수단 및 상기 헤드판과 상기 합성수지부를 상기 기반에 압압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합성수지부는 상기 기반에 뚫어 마련한 열린구멍으로 통하는 축부와 상기 기반의 이면측에 배치되는 걸림부와 함께 일체로 수지성형되고, 상기 합성수지부를 상기 열린구멍 주위로 회전운동시키는 것에 의해 음성 및 컨트롤헤드의 자기테이프 이송방향에 대한 위치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부의 걸림부의 바깥지름이 상기 기반상에 뚫어 마련한 열린구멍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판을 상기 합성수지부에 위치결정하는 수단이 선단에 원통부를 구비한 3개의 조절나사가 상기 헤드판에 마련한 3개의 나사구멍에 각각 끼워지고, 또 각 조절나사의 원통부가 상기 합성수지부에 마련한 3개의 관통구멍에 각각 삽입되어 상기 기반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3개의 조절나사는 그중의 2개가 상기 열린구멍과 상기 음성컨트롤헤드의 컨트롤헤드 중심을 관통하는 직선상의 음성컨트롤헤드의 앞쪽과 뒤쪽의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기록재생장치.
KR1019950038418A 1994-11-18 1995-10-31 자기기록재생장치 KR01842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8461694A JP3200524B2 (ja) 1994-11-18 1994-11-18 磁気記録再生装置
JP94-284616 1994-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9186A KR960019186A (ko) 1996-06-17
KR0184280B1 true KR0184280B1 (ko) 1999-04-15

Family

ID=1768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8418A KR0184280B1 (ko) 1994-11-18 1995-10-31 자기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703737A (ko)
JP (1) JP3200524B2 (ko)
KR (1) KR01842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18433A1 (de) * 1996-05-08 1997-11-13 Thomson Brandt Gmbh Haltevorrichtung
JPH10134327A (ja) * 1996-10-30 1998-05-22 Nikon Corp 磁気ヘッド装置
JP2000113434A (ja) * 1998-10-05 2000-04-21 Sanyo Electric Co Ltd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KR100432728B1 (ko) * 2001-09-18 2004-05-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3221A (ja) * 1985-07-10 1987-01-22 Matsuo Seisakusho:Kk 板金製可動コアの製造方法
KR960010103Y1 (ko) * 1993-07-15 1996-11-22 대우전자 주식회사 오디오 콘트롤 헤드의 위치조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00524B2 (ja) 2001-08-20
JPH08147643A (ja) 1996-06-07
KR960019186A (ko) 1996-06-17
US5703737A (en) 1997-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68248A (en) Pickup position and tilt adjusting apparatus of a disk player
US4589040A (en) Magnetic head position adjusting mechanism
KR0184280B1 (ko) 자기기록재생장치
US4133015A (en) Head positioner for disc recorders
KR940005104B1 (ko) 자기 테이프 장치
EP0469191B1 (en) Gear drive carriage and stepper adjustment system
JP2871851B2 (ja) 磁気テープ機械
US5146377A (en) Adjustable magnetic head mounting system
US6301083B1 (en) Video tape recorder
JPS622899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シリンダ取付台
JPH0319050Y2 (ko)
JPH0528565Y2 (ko)
JPS6235143Y2 (ko)
JPS632993Y2 (ko)
JPS61289568A (ja) 磁気テ−プ走行装置
JPH06176333A (ja) 磁気ヘッドの取付装置
JPS62283469A (ja) デイスク駆動装置の支持構造
JP2926868B2 (ja) 回転ヘッド装置
KR910003399Y1 (ko) 테이프레코오더의 자기헤드장치
KR95000508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위치조절장치
JPS6230175Y2 (ko)
JP2605835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355137Y2 (ko)
JP2918467B2 (ja) Vtr用コントロールヘッドの位置決め装置
JPH0715768B2 (ja) キヤプスタ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