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32728B1 -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32728B1
KR100432728B1 KR10-2001-0057666A KR20010057666A KR100432728B1 KR 100432728 B1 KR100432728 B1 KR 100432728B1 KR 20010057666 A KR20010057666 A KR 20010057666A KR 100432728 B1 KR100432728 B1 KR 1004327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head
main chassis
control hea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576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30024446A (ko
Inventor
채유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1-00576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32728B1/ko
Priority to US10/244,731 priority patent/US6885524B2/en
Publication of KR200300244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244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3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32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4806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specially adapted for disk drive assemblies, e.g. assembly prior to operation, hard or flexible disk drives
    • G11B5/4826Mounting, aligning or attachment of the transducer head relative to the arm assembly, e.g. slider holding members, gimbals, adhesiv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콘트롤헤드(70)가 장착되는 헤드베이스(80)를 메인샤시(30) 상에 일체로 형성된 지지체결편(32,33,34)에 장착한다.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는 각각 조정나사(92,93,94)가 체결되는 체결공(32',33',34')이 천공되고 일측 지지체결편(34)은 메인샤시(30)와 연결되는 연결목부(34n)가 변형가능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헤드베이스(80)에는 상기 체결공(32',33',34')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82,83,84)이 형성된다. 이중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82)은 상기 조정나사(92)와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원이고 나머지 관통공(83,84)은 장공형태로 된다. 상기 헤드베이스(80)의 메인샤시(30) 사이에는 스프링(90)이 설치되어 상기 헤드베이스(80)의 높이가 상기 조정나사(92,93,94)의 조임과 풀림 정도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될 수 있게 하였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audio/control head for VCR}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콘트롤헤드를 메인샤시 상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샤시(C)의 일측에 테이프카세트(TC)의 공급릴(TS)과 권취릴(TT)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릴구동구(1,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C)상에는 테이프카세트(TC)를 빠져나온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스트와 가이드롤러 등이 설치된다. 먼저, 주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포스트(3)가 텐션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다. 상기 텐션암은 소정의 탄성으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텐션포스트(3)로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텐션포스트(3)를 지나온 테이프(T)는 안내포스트(6)에 의해 안내되어 전폭소거헤드(7)로 전달된다. 상기 전폭소거헤드(7)는 기록모드에서 상기 테이프(T)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미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T)는 회전헤드드럼(9)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 및 권취측 안내포스트(10,11)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안내포스트(10,11)는 테이프카세트(TC) 내부에서부터 테이프(T)를 인출하여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헤드드럼(9)에 감아지게 한다.
이와 같은 안내포스트(10,11)의 옆에는 각각 회전헤드드럼(9) 쪽으로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2,13)가 구비되어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포스트(10,11)와 슬랜트포스트(12,13)는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베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 설치되어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된다.
회전헤드드럼(9)은 소정의 경사지게 상기 메인샤시(C)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부분으로,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거나 신호를 기록하는 회전헤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헤드드럼(9)을 거쳐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3)와 안내포스트(11)를 통과한 테이프(T)는 오디오/콘트롤헤드(14)를 지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는 오디오 신호의 삭제, 기록, 재생과 콘트롤신호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의 주행높이를 규제하는 안내포스트(18)가 상기 메인샤시(C)상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포스트(18)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에 주행력을 제공하는 캡스턴축(19)이 설치된다. 상기 캡스턴축(19)은 상기 메인샤시(C)의 반대면에 설치된 캡스턴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축으로, 캡스턴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주행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축(19)과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테이프(T)를 당겨주는 힘을 제공하는 핀치롤러(20)가 구비된다.
상기 핀치롤러(20)와 캡스턴축(18)을 지난 위치에는 권취포스트(2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권취포스트(21)는 별도의 권취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릴구동구(1,21)의 사이에는 상기 캡스턴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릴(TS)이나 권취릴(TT)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T)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토크로 상기 공급릴이나 권취릴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조립체와 아이들러 기어(도시되지 않음)등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가 장착되는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는 헤드베이스(15)의 일측 선단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오디오헤드와 콘트롤헤드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베이스(15)에는,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5h)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략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베이스(15)는 장착브라켓(16) 상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은 상기 메인샤시(C)상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6)은 도 3b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장착브라켓(16) 상에는 상기 헤드베이스(15)의 관통공(15h)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6h)이 각각 천공된다. 이와 같은 관통공(16h)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C)에 형성된 힌지보스(B)가 끼워지는 통공(16b)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통공(16b)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착브라켓(16)을 메인샤시(C)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6h')이 친공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연장암(16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암(16a)의 끝부분에는 조정슬롯(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장착브라켓(16)에는 헤드베이스(15)가 조정나사(17,17',17")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16)과 헤드베이스(15)의 사이에는 스프링(17e)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17e)의 양단은 상기 헤드베이스(15)와 장착브라켓(16)에 각각 마주보게 형성된 지지돌기(15k,16k)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17e)은 상기 헤드베이스(15)를 탄성으로 지지하여 소정의 높이에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브라켓(16)에 헤드베이스(15)가 설치된 조립체의 상태로 상기 메인샤시(C)에 상기 장착브라켓(16)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통공(16b)에는 상기 힌지보스(B)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브라켓(16)의 회전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의 체결은 고정공(16h')을 통해 고정나사(16s)를 메인샤시(C)에 체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테이프 주행계에서 상기 전폭소거헤드(7)와 오디오헤드 및 콘트롤헤드(14)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정나사(17,17',17")가 상기 장착브라켓(16)과 절적하게 체결되도록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나사(17,17',17")의 조정시에 상기 스프링(17e)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베이스(15)의 높이가 조절된다.
다음으로 테이프(T)에 헤드(14)가 접촉된 상태에서, 장력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음성출력이 최고로 나오도록 헤드(14)의 기울기를 조정나사(17)를 승강시켜 조정한다. 이를 틸트조정이라 한다. 그리고 오디오신호의 기록 각도에 헤드(14)의 갭부위 각도가 일치하게 하여 음성출력이 최고로 되도록 테이프(T)의 주행방향 쪽 기울기를 조정나사(17')를 승강시켜 조정한다. 이를 에지머스(Azimuth)좆어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헤드드럼(9)과 오디오/콘트롤헤드(14)의 거리차에 의해 동시에 기록되어지는 영상신호와 오디오/콘트롤신호의 테이프(T)상의 거리를 규격에 일치시켜 호환성을 유지해주는 x-거리조정이 있다. 이는 메인샤시(C)의 힌지보스(B)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브라켓(16)을 회전시켜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슬롯(16a')에 조정공구를 넣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을 회전시킨다. 물론 이때, 상기 고정나사(16s)는 체결을 해제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에는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를 장착하고 그 위치를 조정하기 위해 많은 부품이 필요하다. 즉,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를 메인샤시(C)에 직접 장착하지 못하고 헤드베이스(15) 및 장착브라켓(16)와 함께 조립체 형태로 조립되어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오디오/콘트롤헤드(14)의 장착을 위해 많은 부품이 필요하므로 상대적으로 제조원가가 상승하고 조립작업의 공수가 많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보다 간소화된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장착이 보다 용이한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b는 도 2a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2c는 도 2a를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3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착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채용된 테이프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
도 5a는 본 발명 실시예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5b는 도 5a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5c는 도 5a를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6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6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착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메인샤시 32,33,34: 지지체결편
32',33',34': 체결공 35: 조정슬롯
37: 지지돌기 40: 테이프카세트
42: 공급릴 43: 권취릴
51: 텐션포스트 52: 안내포스트
53: 전폭소거헤드 55: 공급측 안내포스트
56: 권취측 안내포스트 57,58: 슬랜트포스트
60: 헤드드럼 62: 안내포스트
63: 캡스턴축 65: 핀치롤러
67: 권취포스트 70: 오디오/콘트롤헤드
80: 헤드베이스 82,83,84: 관통공
87: 지지돌기 90: 스프링
92,93,94: 조정나사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포스트와 회전헤드드럼을 포함하는 테이프주행계 부품이 설치되는 메인샤시와, 상기 메인샤시의 일측을 절곡 형성하여 상기 메인샤시와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체결편과, 상기 테이프주행계에 구비되어 오디오신호와 콘트롤신호의 기록과 재생을 수행하는 오디오/콘트롤헤드와,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가 장착되고 메인베이스 상에 직접 체결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헤드베이스와 메인샤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결편에는 상기 조정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베이스에는 상기 조정구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된다.
상기 헤드베이스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정구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이고, 나머지는 상기 장공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결편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샤시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목부가 지지체결편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변형가능한 두께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목부가 변형가능한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체결편에는 조정슬롯이 더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는 그 구성이 간소하고 부품의 갯수가 줄어들어 조립작업의 작업성을 높이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가 적용된 테이프 주행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샤시(30)에 테이프주행계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주행계를 주행하는 테이프(T)는 테이프카세트(40)의 공급릴(42)에서 풀려 나와 테이프카세트(40) 내부의 권취릴(43)로 진행된다.(정방향 주행의 경우)
먼저, 주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포스트(51)가 텐션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다. 상기 텐션암은 소정의 탄성으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상기 메인샤시(30) 상에 설치되어, 상기 텐션포스트(51)로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텐션포스트(51)를 지나온 테이프(T)는 안내포스트(52)에 의해 안내되어 전폭소거헤드(53)로 전달된다. 상기 전폭소거헤드(53)는 기록모드에서 상기 테이프(T)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미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T)는 회전헤드드럼(60)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 및 권취측 안내포스트(55,56)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안내포스트(55,56)는 테이프카세트(40) 내부에서부터 테이프(T)를 인출하여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헤드드럼(60)에 감아지게 한다.
이와 같은 안내포스트(55,56)의 옆에는 각각 회전헤드드럼(60) 쪽으로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포스트(57,58)가 구비되어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포스트(55,56)와 슬랜트포스트(57,58)는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베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 설치되어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된다.
회전헤드드럼(60)은 소정의 경사지게 상기 메인샤시(30)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부분으로,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거나 신호를 기록하는 회전헤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헤드드럼(60)을 거쳐 권취측 슬랜트포스트(58)와 안내포스트(56)를 통과한 테이프(T)는 오디오/콘트롤헤드(70)를 지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60)는 오디오 신호의 삭제, 기록, 재생과 콘트롤신호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60)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의 주행높이를 규제하는 안내포스트(62)가 상기 메인샤시(30)상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포스트(62)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에 주행력을 제공하는 캡스턴축(63)이 설치된다. 상기 캡스턴축(63)은 상기 메인샤시(C)의 반대면에 설치된 캡스턴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축으로, 캡스턴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주행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축(63)과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테이프(T)를 당겨주는 힘을 제공하는 핀치롤러(65)가 메인샤시(30) 상에 구비된다.
상기 핀치롤러(65)와 캡스턴축(63)을 지난 위치에는 권취포스트(67)가 메인샤시(30)상에 구비된다. 이와 같은 권취포스트(67)는 별도의 권취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30) 상에는 상기 테이프카세트(40)의 공급릴(42)과 권취릴(43)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릴구동구(68,69)가 설치된다. 상기 릴구동구(68,69)의 사이에는 상기 캡스턴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릴(42)이나 권취릴(43)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T)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토크로 상기 공급릴(42)이나 권취릴(43)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조립체와 아이들러 기어(도시되지 않음)등이 설치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을 참고하여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70)가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메인샤시(30) 상에는 도 6b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결편(32,33,3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은 상기 메인샤시(30)의 일측을 절결하여, 도 5b와 도 5c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샤시(30)의 상부로 돌출되게 절곡 형성하는 것으로, 그 상단에는 각각 체결공(32',33',34')이 형성된다. 도면 부호 32h,33h,34h는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을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지는 절결부이다.
여기서 지지체결편(34)은 상기 메인샤시(30)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목부(34n)가 상대적으로 얇게 형성되어 약간의 변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체결편(34)의 일측에는 조정슬롯(35)이 형성된다. 상기 조정슬롯(35)은 x-거리의 조정을 위한 것으로, 공구가 끼워져 상기 지지체결편(34)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체결편(32,33,34) 들을 연결하는 삼각형의 중앙에 해당되는 부분에는 지지돌기(37)가 돌출되어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37)는 아래에서 설명될 스프링(90)의 일단부를 지지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70)는 헤드베이스(80) 상에 설치된다. 상기 헤드베이스(80)는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체결되어 지지되는 것으로, 이를 위해 상기 체결공(32',33',34')과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관통공(82,83,84)이 형성된다. 이때, 관통공(83,84)는 장공의 형태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관통공(83,84)이 장공형태로 됨에 의해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대해 그 위치의 조정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지지돌기(37)와 대응되는 상기 헤드베이스(80)의 위치에는 지지돌기(87)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87)는 상기 메인샤시(30)의 상면으로 돌출된 상기 지지돌기(37)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헤드베이스(80)와 메인샤시(30)의 사이에는 스프링(90)이 설치된다. 상기 스프링(90)은 그 양단부가 각각 상기 지지돌기(37,87)에 지지되어 상기 메인샤시(30)에 대해 상기 헤드베이스(80)에 소정의 탄성력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베이스(80)는 상기 메인샤시(30)의 지지체결편(32,33,34)에 조정나사(92,93,94)에 의해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상기 조정나사(92,93,94)가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상기 스프링(90)의 탄성력으로 상기 헤드베이스(80)의 높이가 조정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70)가 장착된 헤드베이스(80)가 메인샤시(30)에 장착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메인샤시(30)에 형성된 지지체결편(32,33,34)의 체결공(32',33',34')과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헤드베이스(80)를 위치시킨다. 이때 먼저, 상기 스프링(90)을 상기 메인샤시(30)의 지지돌기(37)에 지지시키고, 상기 헤드베이스(80)를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안착시키면서 상기 스프링(90)의타단부가 상기 헤드베이스(80) 하면의 지지돌기(87)에 안착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헤드베이스(80)의 관통공(82,83,84)을 통해 조정나사(92,93,94)를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의 체결공(32',33',34')에 체결한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헤드베이스(80)가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체결되어 메인샤시(30) 상에 장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헤드베이스(80) 상에 설치된 오디오/콘트롤헤드(70)를 조절하는 것을 설명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70)의 높이는 상기 조정나사(92,93,94)가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체결되는 정도에 따라 조정된다. 즉, 상기 조정나사(92,93,94)를 상기 지지체결편(32,33,34)에 조아주면 상기 헤드베이스(80)가 상기 스프링(90)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하강하게 되고, 반대로 상기 조정나사(92,93,94)를 풀어주면 상기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헤드베이스(80)가 상승된다.
그리고 틸트조정은 상기 테이프(T)에 오디오/콘트롤헤드(80)가 접촉한 상태에서 조정나사(94)를 조이거나 풀면서 조정한다. 에지머스조정은 조정나사(93)를 조이거나 풀면서 수행하는데, 이는 오디오신호의 기록각도에 헤드의 갭부위 각도가 일치하게 하여 음성출력이 최고로 되도록 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x-거리 조정은 상기 지지체결편(34)의 연결목부(34n)가 어느 정도의 힘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게 구성된 점을 이용한다. 이때 조정나사(92)의 직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지지체결편(32)의 체결공(32')을 중심으로 상기 헤드베이스(80)를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헤드베이스(80)가 회전되면, 상기 지지체결편(34)의 연결목부(34n)가 변형된다. 그리고, 장공형태로 된 상기 관통공(83,84)에 의해 상기 조정나사(99,94)가 상기 지지체결편(33,34)에 체결된 상태로 상기 헤드베이스(80)의 회전이 가능하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는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지 않고 헤드베이스의 고정을 위한 구성을 메인샤시에 일체로 형성하였으므로 상대적으로 구성이 간단해지고 부품의 갯수가 줄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오디오/콘트롤헤드의 필요한 조정은 충분히 수행하면서도, 조립작업의 작업성이 좋아지고 부품의 갯수가 줄어듦에 의해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테이프의 주행을 안내하는 안내포스트와 회전헤드드럼을 포함하는 테이프주행계 부품이 설치되는 메인샤시와,
    상기 메인샤시의 일측을 절곡 형성하여 상기 메인샤시와 일체로 형성되는 적어도 1개 이상의 지지체결편과,
    상기 테이프주행계에 구비되어 오디오신호와 콘트롤신호의 기록과 재생을 수행하는 오디오/콘트롤헤드와,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가 장착되고 메인베이스 상에 직접 체결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헤드베이스와 메인샤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결편에는 상기 조정구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과 대응되는 상기 헤드베이스에는 상기 조정구가 관통되어 위치되는 관통공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베이스에 형성되는 상기 관통공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조정구의 외경과 대응되는 내경을 가지는 원형이고, 나머지는 상기 장공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결편중 적어도 하나는 메인샤시와의 연결을 위한 연결목부가 지지체결편의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변형가능한 두께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목부가 변형가능한 두께로 형성되는 지지체결편에는 조정슬롯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10-2001-0057666A 2001-09-18 2001-09-18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10043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666A KR100432728B1 (ko) 2001-09-18 2001-09-18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US10/244,731 US6885524B2 (en) 2001-09-18 2002-09-17 Audio/control head assembly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57666A KR100432728B1 (ko) 2001-09-18 2001-09-18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24446A KR20030024446A (ko) 2003-03-26
KR100432728B1 true KR100432728B1 (ko) 2004-05-24

Family

ID=197144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57666A KR100432728B1 (ko) 2001-09-18 2001-09-18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885524B2 (ko)
KR (1) KR1004327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00128379A1 (en) * 2008-11-24 2010-05-27 Quantum Corporation Guide assembly for reducing lateral tape motion in a tape driv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331A (ko) * 1995-08-31 1997-03-29 배순훈 Vcr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970012451A (ko) * 1995-08-21 1997-03-29 배순훈 Vcr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19990035846U (ko) * 1998-02-10 1999-09-15 구자홍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용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 및 자세 조정장치
KR20000032027A (ko) * 1998-11-12 2000-06-05 전주범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컨트롤 헤드 조립체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152711U (ko) * 1976-05-17 1977-11-19
JPS634260Y2 (ko) * 1978-11-16 1988-02-03
JPS5865640U (ja) * 1981-10-27 1983-05-04 オリンパス光学工業株式会社 ヘツド調整装置
JPS5910163U (ja) * 1982-07-12 1984-01-23 株式会社東芝 可撓性記録媒体用パッド装置
US4875123A (en) * 1985-12-10 1989-10-17 Gold Star Co., Ltd. Adjustable audio control-eraser and tape guide assembly for a cassette tape video tape recorder
JPH07111766B2 (ja) * 1990-03-29 1995-11-29 アンリツ株式会社 磁気ヘッド装置
JP3200524B2 (ja) * 1994-11-18 2001-08-2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00597B1 (ko) * 1996-07-15 1999-06-15 윤종용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접속장치
JPH1064030A (ja) * 1996-08-23 1998-03-06 Sanyo Electric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磁気ヘッド調整機構
JP2000155919A (ja) * 1998-11-17 2000-06-06 Sony Corp 磁気ヘッドの支持機構
JP3075074U (ja) * 2000-07-24 2001-02-09 船井電機株式会社 オーディオ用ヘッ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2451A (ko) * 1995-08-21 1997-03-29 배순훈 Vcr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970012331A (ko) * 1995-08-31 1997-03-29 배순훈 Vcr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19990035846U (ko) * 1998-02-10 1999-09-15 구자홍 비디오카세트 레코더용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 및 자세 조정장치
KR20000032027A (ko) * 1998-11-12 2000-06-05 전주범 테이프 레코더의 오디오/컨트롤 헤드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885524B2 (en) 2005-04-26
US20030053263A1 (en) 2003-03-20
KR20030024446A (ko) 2003-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728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20030032586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US6927944B2 (en) Base, drum, and drum mounting unit for magnetic recording reproducing apparatus
JPH0619582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ガイドローラ高さ調整機構
KR20040061386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JPH07282427A (ja) 磁気ヘッド装置及び磁気テープ走行系
KR1004129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헤드조립체
KR200154855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10042457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장착구조
KR017724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소거 헤드
KR10042456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로딩기어 조립체
KR10042456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아이들러아암 설치구조
KR100215413B1 (ko) 브이씨알의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JPS6235138Y2 (ko)
KR100233014B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전폭소거 헤드 결합구조
JPH0734510Y2 (ja) 案内部材取付装置
KR100424562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브레이크장치
JP2820841B2 (ja) 磁気ヘッド装置
KR19980061566U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100207239B1 (ko) 비데오카세트테이프레코더의 핀치레버 구조
KR19980050076U (ko) 브이씨알의 헤드드럼 조립체 설치구조
JPH06150471A (ja) 固定ヘッド装置
JP3334205B2 (ja) 回転ヘッド装置
KR10020741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레버 조립구조
JPH08263818A (ja) 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