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61386A -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 Google Patents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61386A
KR20040061386A KR1020020087590A KR20020087590A KR20040061386A KR 20040061386 A KR20040061386 A KR 20040061386A KR 1020020087590 A KR1020020087590 A KR 1020020087590A KR 20020087590 A KR20020087590 A KR 20020087590A KR 20040061386 A KR20040061386 A KR 200400613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head
head base
mounting bracket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87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지영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20087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0061386A/ko
Publication of KR20040061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613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4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 G11B5/52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head supports relative to record carriers ; arrangements of heads, e.g. for scanning the record carrier to increase the relative speed with simultaneous movement of head and record carrier, e.g. rotation of head
    • G11B5/53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n rotating support
    • G11B5/531Disposition of more than one recording or reproducing head on support rotating cyclically around an ax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오디오/콘트롤헤드(50)가 장착되는 헤드베이스(60)가 장착브라켓(70)에 설치된다. 상기 장착브라켓(70)은 메인샤시 상에 설치된다. 상기 헤드베이스(60)는 장착브라켓(70)과의 사이에 스프링(90)을 개재한다. 상기 헤드베이스(60)와 장착브라켓(70)에는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적어도 3개의 관통공(62,72)이 천공된다.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중 적어도 2개의 주변에는 피난슬롯(64)이 형성된다. 상기 피난슬롯(64)은 상기 관통공(62)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62)을 연결하는 가상선이 그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70)과 헤드베이스(60)는 조정나사(8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조정나사(80)는 헤드부(82)의 하부에 테이퍼진 셀프록킹부(84)를 구비하여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에 위치되고, 셀프록킹부(84)의 하부에 나사부(86)를 구비하여 상기 장착브라켓(70)의 관통공(72)에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헤드베이스(60)의 조정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audio/control head for VCR}
본 발명은 자기기록재생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디오/콘트롤헤드를 메인샤시 상에 장착하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도 1에는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가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메인샤시(C)의 일측에 테이프카세트(TC)의 공급릴(TS)과 권취릴(TT)을 각각 구동하기 위한 릴구동구(1,21)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C)상에는 테이프카세트(TC)를 빠져나온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하기 위한 다수개의 포스트와 가이드롤러 등이 설치된다. 먼저, 주행되는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하기 위한 텐션포스트(3)가 텐션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된다. 상기 텐션암은 소정의 탄성으로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텐션포스트(3)로 테이프(T)의 장력을 조절한다.
상기 텐션포스트(3)를 지나온 테이프(T)는 안내포스트(6)에 의해 안내되어전폭소거헤드(7)로 전달된다. 상기 전폭소거헤드(7)는 기록모드에서 상기 테이프(T)에 이미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미리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테이프(T)는 회전헤드드럼(9)의 양측을 따라 형성된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는 공급 및 권취측 안내포스트(10,11)에 의해 안내된다. 상기 안내포스트(10,11)는 테이프카세트(TC) 내부에서부터 테이프(T)를 인출하여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회전헤드드럼(9)에 감아지게 한다.
이와 같은 안내포스트(10,11)의 옆에는 각각 회전헤드드럼(9) 쪽으로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2,13)가 구비되어 테이프(T)의 주행을 안내한다. 상기 안내포스트(10,11)와 슬랜트포스트(12,13)는 각각 공급 및 권취측 슬랜트베이스(도시되지 않음) 상에 설치되어 로딩패스를 따라 이동된다.
회전헤드드럼(9)은 소정의 경사지게 상기 메인샤시(C)상에 설치되어, 테이프(T)가 감겨져 주행되는 부분으로, 테이프(T)에 기록된 신호를 독취하거나 신호를 기록하는 회전헤드(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된다.
상기 회전헤드드럼(9)을 거쳐 권취측 슬랜트포스트(13)와 안내포스트(11)를 통과한 테이프(T)는 오디오/콘트롤헤드(14)를 지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는 오디오 신호의 삭제, 기록, 재생과 콘트롤신호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의 주행높이를 규제하는 안내포스트(18)가 상기 메인샤시(C)상에 구비되고, 상기 안내포스트(18)를 지난 위치에는 테이프(T)에 주행력을 제공하는 캡스턴축(19)이 설치된다. 상기 캡스턴축(19)은 상기 메인샤시(C)의 반대면에 설치된 캡스턴모터(도시되지 않음)의 출력축으로, 캡스턴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상기 테이프(T)의 주행방향이 결정된다. 그리고 상기 캡스턴축(19)과 선택적으로 밀착되어 테이프(T)를 당겨주는 힘을 제공하는 핀치롤러(20)가 구비된다.
상기 핀치롤러(20)와 캡스턴축(18)을 지난 위치에는 권취포스트(21)가 구비된다. 이와 같은 권취포스트(21)는 별도의 권취암(도시되지 않음)에 설치되어 이동된다.
그리고, 상기 릴구동구(1,21)의 사이에는 상기 캡스턴모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릴(TS)이나 권취릴(TT)에 감겨져 있는 테이프(T)의 양에 상관없이 일정한 토크로 상기 공급릴이나 권취릴을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클러치조립체와 아이들러 기어(도시되지 않음)등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가 장착되는 구성을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설명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는 헤드베이스(15)의 일측 선단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오디오헤드와 콘트롤헤드로 구성된다. 상기 헤드베이스(15)에는, 도 3a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공(15h)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략 삼각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헤드베이스(15)는 장착브라켓(16) 상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은 상기 메인샤시(C)상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16)은 도 3b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장착브라켓(16) 상에는 상기 헤드베이스(15)의 관통공(15h)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16h)이 각각 천공된다. 이와 같은 관통공(16h)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C)에 형성된 힌지보스(B)가 끼워지는 통공(16b)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통공(16b)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착브라켓(16)을 메인샤시(C)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16h')이 친공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연장암(16a)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암(16a)의 끝부분에는 조정슬롯(16a')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장착브라켓(16)에는 헤드베이스(15)가 조정나사(17,17',17")에 의해 체결된다. 이때 상기 장착브라켓(16)과 헤드베이스(15)의 사이에는 스프링(17e)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17e)의 양단은 상기 헤드베이스(15)와 장착브라켓(16)에 각각 마주보게 형성된 지지돌기(15k,16k)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17e)은 상기 헤드베이스(15)를 탄성으로 지지하여 소정의 높이에 있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장착브라켓(16)에 헤드베이스(15)가 설치된 조립체의 상태로 상기 메인샤시(C)에 상기 장착브라켓(16)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통공(16b)에는 상기 힌지보스(B)가 삽입되어 상기 장착브라켓(16)의 회전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의 체결은 고정공(16h')을 통해 고정나사(16s)를 메인샤시(C)에 체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14)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테이프 주행계에서 상기 전폭소거헤드(7)와 오디오헤드 및 콘트롤헤드(14)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정나사(17,17',17")가 상기 장착브라켓(16)과 절적하게 체결되도록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나사(17,17',17")의 조정시에 상기 스프링(17e)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베이스(15)의 높이가 조절된다.
다음으로 테이프(T)에 헤드(14)가 접촉된 상태에서, 장력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음성출력이 최고로 나오도록 헤드(14)의 기울기를 조정나사(17)를 승강시켜 조정한다. 이를 틸트조정이라 한다. 그리고 오디오신호의 기록 각도에 헤드(14)의 갭부위 각도가 일치하게 하여 음성출력이 최고로 되도록 테이프(T)의 주행방향 쪽 기울기를 조정나사(17')를 승강시켜 조정한다. 이를 에지머스(Azimuth)조정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헤드드럼(9)과 오디오/콘트롤헤드(14)의 거리차에 의해 동시에 기록되어지는 영상신호와 오디오/콘트롤신호의 테이프(T)상의 거리를 규격에 일치시켜 호환성을 유지해주는 x-거리조정이 있다. 이는 메인샤시(C)의 힌지보스(B)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브라켓(16)을 회전시켜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슬롯(16a')에 조정공구를 넣고 상기 장착브라켓(16)을 회전시킨다. 물론 이때, 상기 고정나사(16s)는 체결을 해제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체결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관통공(15h)을 정원이 되게 천공하면, 상기 헤드베이스(15)를 상기 장착브라켓(16)에 장착할 때, 도 3a 및 도 3b에 표시된 X'(Y')와 X(Y)거리의 차이가 있을 경우 상기 조정나사(17,17',17")의 회전이 원활하지 않아 조정성이 저하되고 조정이 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상기 관통공(15h)을 도 3a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되면 상기 X'(Y')와 X(Y)거리의 차이가 있을 경우에도 그 조정이 가능하나 상기 관통공(15h)과 조정나사(17,17',17") 사이의 갭의 범위 내에서 외란(낙하충격이나 진동)에 의해 상기 헤드베이스(15)가 상기 장착브라켓(16)에 대해 위치가 변경되어 오디오콘트롤헤드(14)의 위치가 틀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자기기록재생기에서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조정이 보다 정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주행계를 보인 평면도.
도 2a는 종래 기술에 의한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를 보인 평면도.
도 2b는 도 2a를 화살표 A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2c는 도 2a를 화살표 B 방향에서 본 부분단면도.
도 3a는 종래 기술에 의한 헤드베이스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3b는 종래 기술에 의한 장착브라켓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도 5a는 도 4의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5b는 도 4의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측면도.
도 6a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헤드베이스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장착브라켓의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 실시예의 요부 구성을 보인 부분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50: 오디오/콘트롤헤드 60: 헤드베이스
62: 관통공 64: 피난슬롯
65: 탄성변형부 66: 지지돌기
70: 장착브라켓 72: 관통공
73: 통공 74: 고정공
75: 지지돌기 76: 연장암
77: 조정슬롯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오디오/콘트롤헤드와,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가 장착되고 메인베이스 상에 직접 체결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메인샤시 상에 일체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헤드베이스가 안착되는 지지체결편과, 상기 헤드베이스와 메인샤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정구가 관통하는 상기 헤드베이스의 관통공 주변에는 피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피난슬롯 사이의 탄성변형부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조정구와 관통공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한다.
상기 헤드베이스의 관통공은 3개가 직각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천공되고, 적어도 2개의 관통공 주변에 피난슬롯이 형성된다.
상기 피난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양단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피난슬롯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조정구는 그 하단의 나사부가 상기 장착브라켓에 체결되는데, 상기 헤드베이스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부분은 하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셀프록킹부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는 오디오/콘트롤헤드가 장착되는 헤드베이스를 장착브라켓에 보다 정확하게 장착할 수 있고, 장착완료 후 외란에 의한 장착상태 변경이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6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헤드베이스와 장착브라켓의 구성이 각각 평면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오디오/콘트롤헤드(50)는 헤드베이스(60)의 일측 선단 상면에 장착되는 것으로 오디오헤드와 콘트롤헤드로 구성된다. 상기오디오/콘트롤헤드(50)는 오디오 신호의 삭제, 기록, 재생과 콘트롤신호의 기록, 재생을 수행하게 된다.
헤드베이스(60)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상을 가지는 판상이다. 상기 헤드베이스(60)에는 관통공(62)이 소정의 간격을 가지고 대략 직각삼각형을 이루도록 천공되어 있다. 상기 관통공(62)은 헤드베이스(60)의 체결을 위한 체결나사(80)가 관통되는 부분이다.
상기 관통공(62)의 주변에는 피난슬롯(64)이 형성된다. 상기 피난슬롯(64)은 상기 관통공(62) 사이를 연결하는 가상선이 그 중앙을 통과하도록 그 형성 위치가 결정된다. 상기 피낫슬롯(64)은 모든 관통공(62)의 주변에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2개의 관통공(62)에 형성하면 된다. 상기 피난슬롯(64)은 상기 관통공(62)의 둘레에 서로 대칭되게 소정의 곡률과 원호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관통공(62)과 피난슬롯(64)의 사이는 탄성변형이 가능한 탄성변형부(65)가 된다. 상기 피난슬롯(64)의 존재에 의해 헤드베이스(60)의 설치위치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것이다. 도면 부호 66은 헤드베이스(60)의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는 지지돌기이다.
상기 헤드베이스(60)는 장착브라켓(70) 상에 고정되고 상기 장착브라켓(70)은 메인샤시상에 장착된다. 상기 장착브라켓(70)은 도 6b에 그 구성이 잘 도시되어 있다.
먼저, 상기 장착브라켓(70) 상에는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과 대응되는 위치에 관통공(72)이 각각 천공된다. 이와 같은 관통공(72)이 형성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높이가 높게 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메인샤시에 형성된 힌지보스가 끼워지는 통공(73)이 일측에 형성된다. 상기 통공(73)과 인접한 위치에는 상기 장착브라켓(70)을 메인샤시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공(74)이 천공된다.
상기 장착브라켓(70)에는 상기 헤드베이스(60)의 지지돌기(66)와 대응되는 위치에 지지돌기(75)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브라켓(70)의 일측으로 연장되게 연장암(76)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암(76)의 끝부분에는 조정슬롯(77)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장착브라켓(70)에는 헤드베이스(60)가 조정나사(80)에 의해 체결된다. 상기 조정나사(80)는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을 통과하여 상기 장착브라켓(70)의 관통공(72)에 체결된다.
상기 조정나사(80)는 그 상단부에 헤드부(82)가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82)에는 공구가 안착되는 공구홈이 구비된다. 상기 헤드부(82)의 하부에서 연장되어 셀프록킹부(84)가 구비된다. 상기 셀프록킹부(84)는 상기 헤드부(82)측에서부터 점차 그 직경이 커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다. 상기 설프록킹부(84)의 하부에서 연장되어서 나사부(86)가 형성된다. 상기 나사부(86)는 상기 장착브라켓(70)의 관통공(72)에 체결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 헤드베이스(60)와 장착브라켓(70)의 사이에는 스프링(90)이 개재된다. 상기 스프링(90)은 상기 헤드베이스(60)의 지지돌기(66)와 장착브라켓(70)의 지지돌기(75)에 양단부가 각각 지지된다. 상기 스프링(90)은 상기 헤드베이스(60)를 탄성으로 지지하여 소정의 높이에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의 작용을 설명한다.
상기 헤드베이스(60)는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50)가 설치된 상태로 상기 장착브라켓(70)에 장착된다. 이때, 상기 통공(73)에는 힌지보스(도시되지 않음)가 삽입되어 장착브라켓(70)의 회전중심이 된다. 그리고 상기 장착브라켓(70)의 체결은 고정공(74)을 통해 고정나사를 메인샤시에 체결함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헤드베이스(60)는 상기 장착브라켓(70)에 스프링(90)을 개재한 상태로 상기 조정나사(80)를 사용하여 체결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서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50)의 조정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먼저, 테이프 주행계에서 상기 전폭소거헤드와 오디오헤드 및 콘트롤헤드의 높이가 일치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조정나사(80)가 상기 장착브라켓(70)과 절적하게 체결되도록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나사(80)의 조정시에 상기 스프링(90)의 탄성력에 의해 헤드베이스(60)의 높이가 조절된다.
다음으로 테이프에 헤드(50)가 접촉된 상태에서, 장력이 적절하게 유지되어 음성출력이 최고로 나오도록 헤드(50)의 기울기를 조정나사(80)를 승강시켜 조정한다. 이를 틸트조정이라 한다. 그리고 오디오신호의 기록 각도에 헤드(50)의 갭부위 각도가 일치하게 하여 음성출력이 최고로 되도록 테이프의 주행방향 쪽 기울기를 오디오콘트롤헤드(50)에 가장 인접한 조정나사(80)를 승강시켜 조정한다. 이를 에지머스(Azimuth)조정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헤드드럼과 오디오/콘트롤헤드(50)의 거리차에 의해 동시에 기록되어지는 영상신호와 오디오/콘트롤신호의 테이프상의 거리를 규격에 일치시켜 호환성을 유지해주는 x-거리조정이 있다. 이는 메인샤시의 힌지보스를 중심으로 상기 장착브라켓(70)을 회전시켜 조정한다. 이때, 상기 조정슬롯(77)에 조정공구를 넣고 상기 장착브라켓(70)을 회전시킨다. 물론 이때, 상기 고정나사는 체결을 해제하고, 조정이 완료되면 다시 체결한다.
한편, 상기 조정나사(80)를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을 관통하여 상기 장착브라켓(70)의 관통공(72)에 체결하여 조정을 완료하면, 상기 피난슬롯(64)의 존재에 의해 상기 조정나사(80)가 견고하게 체결되어 외란에 의해 조정상태가 변하지 않게 된다.
즉, 상기 조정나사(80)의 나사부(86)를 상기 장착브라켓(70)의 관통공(72)에 체결함에 의해 상기 셀프록킹부(84)는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을 통과하면서 상기 탄성변형부(75)를 변형시키면서 제 위치를 잡아 안착된다.
따라서, 상기 조정나사(80)가 상기 탄성변형부(75)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일단 체결되면 상기 헤드베이스(60)의 관통공(62) 내에서 상기 조정나사(80)가 외부의 힘에 의해 움직일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됨에 의해 헤드베이스(60)가 일단 설정된 위치에 정확하게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상기 헤드베이스(60)와 장착브라켓(70)의 X(Y)와 X'(Y)거리가 다르더라도, 상기 조정나사(80)가 약간 경사진 상태로 체결되어 일단 헤드베이스(60)가 정확하게 조정된 위치에 있게 한 상태에서 상기 탄성변형부(75)를 탄성변형시키면서 상기 조정나사(80)를 체결하여 조정상태를 유지할 수있게 된다.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는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를 정확하게 유지하기 위해 헤드베이스의 관통공 주변에 피난슬롯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조정나사의 체결시 피난슬롯에 대응되는 탄성변형부가 탄성변형되어 조정나사를 견고하게 체결하므로 조정나사의 조정상태가 변경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는 장착브라켓과 헤드베이스의 대응되는 관통공 사이의 거리가 다르게 되더라도 헤드베이스의 위치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4)

  1. 오디오/콘트롤헤드와,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가 장착되고 메인베이스 상에 직접 체결되는 헤드베이스와,
    상기 메인샤시 상에 일체로 다수개 형성되어 상기 헤드베이스가 안착되는 지지체결편과,
    상기 헤드베이스와 메인샤시 사이에 설치된 탄성부재의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위치를 조정하는 조정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조정구가 관통하는 상기 헤드베이스의 관통공 주변에는 피난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과 피난슬롯 사이의 탄성변형부는 탄성변형되어 상기 조정구와 관통공의 사이에 틈새가 없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베이스의 관통공은 3개가 직각삼각형의 꼭지점을 형성하도록 천공되고, 적어도 2개의 관통공 주변에 피난슬롯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피난슬롯은 상기 관통공의 양단에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는데, 상기 관통공을 연결하는 가상의 선이 피난슬롯을 이등분하는 위치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구는 그 하단의 나사부가 상기 장착브라켓에 체결되는데, 상기 헤드베이스의 관통공을 관통하는 부분은 하부를 향해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지게 형성된 셀프록킹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1020020087590A 2002-12-30 2002-12-30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200400613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590A KR20040061386A (ko) 2002-12-30 2002-12-30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87590A KR20040061386A (ko) 2002-12-30 2002-12-30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61386A true KR20040061386A (ko) 2004-07-07

Family

ID=37352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87590A KR20040061386A (ko) 2002-12-30 2002-12-30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00613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32728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KR20040061386A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JPH0619582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ガイドローラ高さ調整機構
EP0944054B1 (en)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tilt of capstan shaft
US5296994A (en) Magnetic tape guide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KR200154855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0177243B1 (ko) 테이프 레코더의 전폭소거 헤드
KR10042457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캡스턴모터 장착구조
KR100233014B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전폭소거 헤드 결합구조
JP2820841B2 (ja) 磁気ヘッド装置
KR100207239B1 (ko) 비데오카세트테이프레코더의 핀치레버 구조
KR1004129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소거헤드조립체
JP2831508B2 (ja) 磁気ヘッド装置
KR200164681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 컨트롤헤드 장치
KR19980061566U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200261971Y1 (ko)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의 캡스턴모터 조립체
JP3334205B2 (ja) 回転ヘッド装置
KR940003066Y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가이드 로울러 높이 조절장치
KR19980061565U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취부구조
KR20010038570A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조립체 위치 조정장치
JPH08180529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150471A (ja) 固定ヘッド装置
KR19980050076U (ko) 브이씨알의 헤드드럼 조립체 설치구조
JPH04115316U (ja) 磁気記録装置における固定磁気ヘツド組立体
KR19980023820A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취부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