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1566U -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1566U
KR19980061566U KR2019970005812U KR19970005812U KR19980061566U KR 19980061566 U KR19980061566 U KR 19980061566U KR 2019970005812 U KR2019970005812 U KR 2019970005812U KR 19970005812 U KR19970005812 U KR 19970005812U KR 19980061566 U KR19980061566 U KR 1998006156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dio
head
torsion spring
control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0581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상훈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70005812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61566U/ko
Publication of KR1998006156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1566U/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드럼조립체를 통과하며 영상신호가 읽혀진 테이프로부터 음성신호 및 콘트롤 신호를 읽어내는 오디오/콘트롤 헤드의 취부구조의 개선에 관한 것으로서, 오디오/콘트롤헤드(8)를 지지하는 것으로 메인베이스(1)에 고정되는 지지축(40)상에 제공되어 헤드플레이트(30)와, 지지축(40)에 결합되는 코일부(36a)와, 코일부의 일측으로 연정되어 상기 헤드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걸림부(36c)와, 코일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베이스(1)상에 지지되는 지지부(36b)로 이루어진 토션스프링(36)을 구비한 브이씨알에 있어서, 메인베이스(1)에 토션스프링(36)의 지지부(36b)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110)을 갖는 조절구(110)를 구비하여 지지부(36b)가 걸리는 걸림홈(110)의 위치변경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장력이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브이씨알의 설계변경시에 토션스프링을 호환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가장 이상적인 토션스프링의 장력값을 유지할 수 있게되므로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본 고안은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헤드드럼조립체를 통과하며 영상신호가 읽혀진 테이프로부터 음성신호 및 콘트롤 신호를 읽어내는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의 개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이씨알은 자기기록테이프에 영상신호 및 음성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장치로서 각각 영상신호를 스캔하는 비디오헤드 및 음성 및 테이프 이송의 제어신호를 스캔하는 오디오/콘트롤 헤드를 구비한다. 브이씨알에 적용되는 테이프는 주로 중앙부에 영상신호트랙이 형성되고, 영상신호트랙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음성신호 및 콘트롤신호트랙이 형성되는 것으로, 주행시에 적절한 높이 및 이송속도를 유지하여야만 양호한 상태의 화질 및 음질을 유지할 수 있게된다.
상기 오디오/콘트롤헤드는 테이프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주행시키는 주행계에 설치되는 것으로, 도 1에는 일반적인 브이씨알의 주행계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는데, 메인베이스(1)상에 테이프를 소정의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계와, 테이프카세트(C)를 지지하며 테이프(T)를 선택된 방향으로 구동하는 공급릴(10)과 권취릴(20)이 구비된다.
상기 주행계는 테이프카세트로부터 테이프에 접촉회전하며 테이프에 신호를 기록하거나 또는 기록되어 있는 신호를 재생하는 비디오헤드를 포함하는 헤드드럼조립체(2)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주행계에는 음성신호를 재생하는 오디오/콘트롤헤드(3)가 설치되고, 캡스턴모터(4)에 의해 회전하며 핀치로울러(6)와 협동하여 테이프(T)를 주행시키는 캡스턴축(5)이 설치된다. 또한 메인베이스(1)상에서 헤드드럼 조립체(2)의 양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열되는 가이드홈(11)(21)을 따라 이동하며 테이프로딩을 이루는 가이드로울러(12a)(22a) 및 경사포올을(12b)(22b) 각각 구비한 공급측포올베이스(12)와, 권취측포올베이스(22)가 구비된다.또한 주행계는 메인베이스(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테이프 주행시 발생하는 장력을 조절하는 테션포올(8a)을 갖는 텐션레버(8)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공급릴(10)과 권취릴(20)사이에는 상기 캡스턴모터(4)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급릴(10) 또는 권취릴(20)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릴을 구동하는 릴구동장치(7)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오디오/콘트롤 헤드(3)는 여러 가지 조정작업을 거쳐야 한다. 즉, 먼저, 영상신호는 헤드드럼조립체(2)에서 읽혀지게 되고, 음성신호는 그로부터 일정거리 후방에서 읽혀지게되므로 영상과 음성을 일치시키기 위한 이른바,'X거리 조정작업' 및 테이프의 주행높이에 대한 오디오/콘트롤헤드(3)의 높이를 맞추기 위한 '높이조정작업' 그리고 테이프상단 및 하단에 다르게 작용하는 장력에 대응하기 위해 오디오/콘트롤 헤드의 경사각을 조정하는 '틸팅조정작업'을 수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베이스(1)에 고정되는 지지축(40)상에 토션스프링(36)을 개재하고, 상단에서 체결되는 너트(32)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헤드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이 헤드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6)을 개재하여 그 압축코일스프링(56)을 통해 헤드플레이트(30)에 체결되는 틸팅나사(52)에 의해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틸팅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틸팅플레이트(50)상에는 피씨비(51)가 연결되는 오디오/콘트롤 헤드(3)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헤드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메인베이스(1)에 편심지지되어 회전에 의해 지지축(40)을 중심으로 헤드플레이트(30)를 회전시키는 편심조정캠(60)이 구비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6)은 지지축(40)에 끼워지는 코일형의 탄성부(36a)와, 탄성부(36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베이스(1)상에 아웃서트 성형되는 걸림턱(1a)상에 지지되는 지지부(36b) 및 탄성부(36a)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헤드플레이트(30)상에 걸리는 걸림부(36c)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플레이트(30)를 상부로 탄지함과 동시에 편심조정캠(60)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브이씨알은 테이프로딩이 완료되면 캡스턴축(5) 및 핀치로울러(6)의 협동에 의해 주행이 개시된다. 이때 테이프는 공급릴(10)로부터 인출되어 텐션포올(8a)을 지나 공급측 가이드로울러(12a) 및 공급측경사포올(12b)에 안내되며 헤드드럼조립체(2)로 진입하고, 헤드드럼조립체(2)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비디오헤드(8)에 의해 영상신호가 읽혀진다.그리고 헤드드럼조립체(2)를 통과한 테이프는 다시 권취측 경사포올(22b) 및 권취측 가이드로울러(22a)를 지나 오디오/콘트롤 헤드(3)를 통과하게 된다. 이때 오디오/콘트롤 헤드는 상기 테이프를 가이드함과 동시에 그 테이프에 접촉하며 테이프에 기록되어 있는 음성신호 및 콘트롤신호를 읽어내게 된다. 그리고 오디오/콘트롤 헤드(3)를 통과한 테이프는 캡스턴축(5) 및 핀치로울러(6)를 지나 캡스턴모터(4)에 의해 회전제어되는 공급릴(20)에 감겨지게 된다.
한편, 상기 오디오/콘트롤 헤드(3)는 최초설치시 이상적인 화질 및 음질을 얻기위해 편심조정캠(60)을 회전시켜 헤드플레이트(30)를 지지축(40)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오디오/콘트롤 헤드(3)와 헤드드럼조립체(2)사이의 거리를 조정하는 작업 즉, X거리 조정작업을 실시하게 되고, 이어서 너트(32)를 조이거나 푸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높이에 맞도록 오디오/콘트롤 헤드(3)의 높이를 조정하게 된다. 즉, 너트를 풀면 토션스프링(36)의 복원력에 의해 헤드플레이트(30)의 가 상승하고, 너트(32)를 조이면 토션스프링(36)을 압축하며 헤드플레이트(30)가 하강하여 오디오/콘트롤 헤드(3)이 높이를 조정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틸팅나사(52)를 이용하여 테이프(T)의 상단 및 하단에 이상적인 장력차이가 발생하도록 하는 틸팅조정작업을 실시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오디오/콘트롤 헤드는 토션스프링(36)의 장력이 항시 일정하게 되므로 설계변경 등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조절할 필요가 있을 경우 새로운 토션스프링을 필요로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즉, 브이씨알은 기종에 따라 토션스프링의 힘을 적절히 변경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토션스프링은 항시 일정한 장력을 유지하고 있으므로 그 때마다 장력을 다르게 구성한 토션스프링을 요구하게 되고, 특히, 조립완료된 상태에서 토션스프링의 장력상태를 테스트하게 되는바, 가장 이상적인 장력을 갖는 토션스프링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뒤따르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가변시킬 수 있도록하여 설계변경시에 호환적용할 수 있게되는 것은 물론 가장 이상적인 스프링장력을 제공할 수 있는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브이씨알의 주행계를 보인 평면개략도
도 2는 종래의 오디오/콘트롤 헤드의 구성을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의 구성을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메인베이스1a: 걸림턱
2: 헤드드럼조립체3: 오디오/콘트롤헤드
30: 헤드플레이트36: 토션스프링
36a: 코일부36b: 지지부
36c: 걸림부40: 지지축
50: 틸팅플레이트100: 조절구
110: 걸림홈
본 고안의 목적은 오디오/콘트롤헤드를 지지하는 것으로 메인베이스에 고정되는 지지축상에 제공되어 헤드플레이트와, 지지축에 결합되는 코일부와, 코일부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헤드플레이트에 고정되는 걸림부와, 코일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베이스상에 지지되는 지지부로 이루어진 토션스프링을 구비한 브이씨알에 있어서, 메인베이스에 토션스프링의 지지부가 서로 다른위치에서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을 갖는 조절구를 구비하여 지지부가 걸리는 걸림홈의 위치변경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장력이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종래와 동일한 구성은 부호를 동일하게 부여하여 설명한다.)
도 3에는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콘트롤 헤드의 취부구조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에 따르면 본 고안은 메인베이스(1)에 고정되는 지지축(40)상에 토션스프링(36)을 개재하고, 상단에서 체결되는 너트(32)에 의해 탄성적으로 고정되는 헤드플레이트(30)가 구비된다. 그리고 일측이 헤드플레이트(30)와의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56)을 개재하여 그 압축코일스프링(56)을 통해 헤드플레이트(30)에 체결되는 틸팅나사(52)에 의해 탄성적으로 체결되는 틸팅플레이트(50)가 구비된다. 틸팅플레이트(50)상에는 피씨비(51)가 연결되는 오디오/콘트롤 헤드(3)가 고정되어 있다. 한편, 헤드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메인베이스(1)에 편심지지되어 회전에 의해 지지축(40)을 중심으로 헤드플레이트(30)를 회전시키는 편심조정캠(60)이 구비된다.
상기 토션스프링(36)은 지지축(40)에 끼워지는 코일형의 탄성부(36a)와, 탄성부(36a)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베이스(1)상에 제공되는 조절구(100)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부(36b) 및 탄성부(36a)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헤드플레이트(30)상에 걸리는 걸림부(36c)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헤드플레이트(30)를 상부로 탄지함과 동시에 편심조정캠(60)에 걸리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탄성지지하게 된다.
상기 조절구(110)는 각각 지지부(36b)를 이탈없이 수용하는 복수의 걸림홈(110)을 구비한다. 각각의 걸림홈(110)은 상부가 개방되어 지지부(36b)의 삽입이 이루어지며, 지지부(36b)는 조립된 후에 수평방향으로 향하는 탄성력을 갖으므로 걸림홈(11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된다.
또한, 상기 각각의 걸림홈(110)은 지지축(40)으로부터 방사상으로 그려지는 가상의 선상에 형성되는 것으로, 각각 균등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부(36b)가 걸리는 걸림홈(110)의 위치를 변경하게 되면 지지부(36b)가 지지축(40)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토션스프링(36)의 장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본 고안은 토션스프링(36)의 장력변화가 요구될 때 지지부(36b)를 옮겨가며 토션스프링이 가장 이상적인 장력값을 갖는 걸림홈(110)상에 지지부(36b)가 걸리도록하여 토션스프링(36)의 장력을 요구되는 값으로 설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는 메인베이스상에 고정되어 토션스프링의 지지부가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을 갖는 조절구를 구비하여 지지부가 걸리는 걸림홈의 위치에 따라 토션스프링의 장력을 변화시키므로써 브이씨알의 사양변경 또는 설계변경시에 토션스프링을 호환적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은 물론 가장 이상적인 토션스프링의 장력값을 유지할 수 있게되므로 오디오/콘트롤헤드의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Claims (1)

  1. 오디오/콘트롤헤드(8)를 지지하는 것으로 메인베이스(1)에 고정되는 지지축(40)상에 제공되어 헤드플레이트(30)와, 지지축(40)에 결합되는 코일부(36a)와, 코일부의 일측으로 연정되어 상기 헤드플레이트(30)에 고정되는 걸림부(36c)와, 코일부의 타측으로 연장되어 메인베이스(1)상에 지지되는 지지부(36b)로 이루어진 토션스프링(36)을 구비한 브이씨알에 있어서,
    메인베이스(1)에 토션스프링(36)의 지지부(36b)가 서로 다른위치에서 걸리는 복수의 걸림홈(110)을 갖는 조절구(100)를 구비하여 지지부(36b)가 걸리는 걸림홈(110)의 위치변경에 의해 토션스프링의 장력이 가변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2019970005812U 1997-03-26 1997-03-26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1998006156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812U KR19980061566U (ko) 1997-03-26 1997-03-26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05812U KR19980061566U (ko) 1997-03-26 1997-03-26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1566U true KR19980061566U (ko) 1998-11-05

Family

ID=696831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05812U KR19980061566U (ko) 1997-03-26 1997-03-26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6156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8566A (zh) * 2019-06-11 2019-08-09 常州通达万锦电子有限公司 立式音频线圈断裂测试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08566A (zh) * 2019-06-11 2019-08-09 常州通达万锦电子有限公司 立式音频线圈断裂测试装置
CN110108566B (zh) * 2019-06-11 2024-02-20 江苏安澜万锦电子股份有限公司 立式音频线圈断裂测试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194754A (ja) 磁気テープ記録再生装置
JPH04209351A (ja) テープ・テンション調節装置及び記録再生装置
KR100207238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텐션 조절장치
KR200154855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19980061566U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스프링장력 조절장치
KR100223233B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조립체
KR100545396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측 슬랜트 베이스구조
KR19980061565U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취부구조
KR100229388B1 (ko) 브이씨알의 임피던스 로울러 조립체
KR19980023820A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취부구조
KR100229387B1 (ko) 브이씨알의 임피던스 로울러 조립체
KR100432728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장착구조
JPS6341614Y2 (ko)
KR940003066Y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가이드 로울러 높이 조절장치
KR20010038570A (ko) 브이씨알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조립체 위치 조정장치
KR100275170B1 (ko) 브이 씨 알의 특수 녹화/재생장치
KR200191354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헤드 조정장치
JP2819997B2 (ja) テープガイド装置
JPH0431835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00219371B1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텐션조절장치
US7209316B2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device including a tape pull-out member having a projection for contacting a ramp surface
KR980009485U (ko) 브이씨알의 테이프 텐션레버
JP2605835Y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19980062734U (ko) 브이씨알의 텐션레버
KR200164681Y1 (ko) 브이씨알의 오디오 컨트롤헤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