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3904B1 -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 Google Patents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3904B1
KR0183904B1 KR1019960030472A KR19960030472A KR0183904B1 KR 0183904 B1 KR0183904 B1 KR 0183904B1 KR 1019960030472 A KR1019960030472 A KR 1019960030472A KR 19960030472 A KR19960030472 A KR 19960030472A KR 0183904 B1 KR0183904 B1 KR 0183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l
workpiece
electrolytic dressing
polishing apparatus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0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453A (ko
Inventor
문재호
김정두
최민석
김영길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0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3904B1/ko
Publication of KR980008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4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3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390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1/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pherical surfaces or parts of spherical surfaces on work; Accessories therefor
    • B24B11/0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pherical surfaces or parts of spherical surfaces on work;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balls
    • B24B11/04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pherical surfaces or parts of spherical surfaces on work;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balls involving grinding wheels
    • B24B11/1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spherical surfaces or parts of spherical surfaces on work; Accessories therefor for grinding balls involving grinding wheels of cup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1/00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 B24B1/002Processes of grinding or polishing; Use of auxiliary equipment in connection with such processes using electric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41/00Component parts such as frames, beds, carriages, headstocks
    • B24B41/002Grinding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rinding-Machine Dressing And Accessory Apparatuses (AREA)
  • Mechanical Treatment Of Semiconductor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반구면을 가지는 가공물의 반구면을 연마하기 위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는 가공물의 반구면에 면접촉되는 공구를 요동운동에 의해 가공물의 중심방향으로 가공압력을 가하여 가공중 가공물의 회전축상에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는 자기정렬(self adujusting)형 구조로 형성되고, 가공물의 회전운동에 기인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과 요동운동의 조합에 의해 반구면의 정밀 가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동시에, 전해드레싱 전원에 접속된 DC브러쉬를 통하여 가공물에 (-)전극을, 공구에 (+)전극을 형성하고, 가공부위에 전해액 및 가공액을 공급함으로써 가공중 전해드레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특징에 의하면, 일반적인 래핑이나 폴리싱 가공의 경우 가공작업이 곤란하였던 곡률이 큰 가공물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가공물의 재질이나 공구의 마모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공구를 교체할 수 있어서 높은 가공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본 발명은 가공물의 표면을 정밀하게 다듬질 가공하기 위한 연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베어링과 같이 구형의 가공면을 가지는 가공물의 반구면을 연마하기 위한 저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회전체의 베어링이나 구면렌즈 및 볼 조인트 등과 같은 가공부품은 표면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가공면을 가진다. 이러한 가공물의 반구면은 유동성을 높이거나, 마찰저항 등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표면 조도를 높일 수 있도록 정밀한 다듬질 가공을 필요로 한다. 종래의 반구면의 다듬질 가공은 통상 연삭휠이나 랩 및 폴리셔(polisher)등의 공구를 이용한 숙련공의 작업에 의존하는 형태로 이루어져 왔다.
그러나, 이러한 수작업을 통한 다듬질 가공은 가공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정밀도 등 가공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개선코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고속회전체의 베어링이나 구면렌즈와 같이 반구면을 가지는 가공물의 반구면을 효율적으로 가공하기 위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구성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에 사용되는 공구의 유형을 보인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반구면 가공물 11 : 전원
12 : 공구 13 : 공구 지지부
14 : 볼조인트 15 : 운동축
16 : 가공물 지지대 17 : 턴테이블
18 : DC브러쉬 19 : 용기
20 : 연삭용 공구 30 : 래핑용 공구
40 : 폴리싱용 공구 121,131,141,151 : 전해액 통로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는, 전력공급수단과, 반구면을 가지는 가공물의 반구면을 수용하여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와, 상기 전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공구에 양(+)전극 형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구를 지지하는 공구 지지부와, 상기 공구지지부와 상보적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공구를 요동운동 가능하게 하는 운동축과, 상기 가공물을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가공물에 음(-)전극 형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가공물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에 있어서, 특히 상기 공구와 상기 공구 지지부 및 상기 운동축의 중심부에 각각 전해액 및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공구와 상기 공구 지지부의 결합 구성은 특정된 구성에 국한되지 않고, 통상적인 결합구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2도 내지 제4도에 예시된 다양한 형태의 것이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공구지지부와 상기 운동축을 연결하는 상보적 결합수단은 볼조인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가공물 지지부의 하방에는 전해액 및 가공액을 수거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용기가 마련된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은 상기 공구의 전해드레싱을 위한 DC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공구는 반구면의 다듬질 가공형태에 따라 가공물과 접촉되는 가공부가 다이아몬드, 산화알루미늄(Al2O3), CBN, SiC 중 어느 하나의 입자로 이루어진 연삭가공용 공구를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주철, 배크라이트, 플래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래핑가공용 공구 및 폴리싱 가공 패드재를 구비한 폴리싱 공구를 교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의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를 나타내 보인 개략적 구성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드레싱 전원(11)과, 반구면을 가지는 가공물(10)의 반구면을 수용하여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12)와, 상기 공구(12)와 결합되고, 상기 전해드레싱 전원(11)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공구(12)에 양(+)전극 형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공구 지지부(13)와, 상기 공구 지지부(13)와 볼조인트(14)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공구(12)의 중심부를 가압하면서 좌우방향의 요동운동을 가능하게 하는 운동축(15)과, 상기 가공물(10)을 지지하기 위한 가공물 지지대(16)와, 이 가공물 지지대(16)를 회전운동시키는 턴테이블(17)과, 상기 전해드레싱 전원(11) 및 상기 가공물 지지대(16)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가공물(10)에 음(-)전극 형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DC브러쉬(1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조의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구(12)와 상기 공구 지지부(13), 상기 볼조인트(14) 및 상기 운동축(15)가 중심부에는 각각 전해액 및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121)(131)(141)(151)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운동축(15)의 일측에는 전해액 및 가공액 주입구(152)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공물 지지대(16)의 하방에는 가공부위에 공급이 완료된 전해액 및 가공액을 수거하여 순환시키기 위한 용기(19)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상기 공구(12)는 상기 가공물(10)의 반구면에 대해 좌우방향의 요동운동을 행하며, 상기 가공물(10)의 중심방향으로 가공압력을 가하여 가공중 상기 가공물(10)의 회전축상에 중심이 맞추어질 수 있는 자기정렬(self adujusting)형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상기 공구(12)는 상기 운동축(15)에 의해 좌우방향의 요동운동을 행하는 동시에, 상기 가공물(10)의 회전운동에 기인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회전운동과 요동운동의 조합에 의하여 가공중 가공물(10)의 중심부에 대하여 가압을 한 상태에서 가공물(10)의 반구면과 공구(12)의 가공면 전체가 면접촉되므로 정밀한 반구면 형상의 가공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가공시 상기 운동축(15)의 주입구(152)를 통하여 가공액 및 전해액을 주입하며, 상기 운동축(15) 내지 상기 공구(12)에 마련된 통로(151)(141)(131)(121)를 통하여 가공부위로 공급된다. 이러한 구조는 가공작업이 진행되는 동안 가공액 및 전해액의 안정적인 공급이 가능하여 인프로세스 전해드레싱(ELID)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전해드레싱 전원(11)에서 DC브러쉬(18)를 통하여 가공물(10)에는 (-)전극을, 공구(12)에는 (+)전극을 형성하여 드레싱을 행할 수 있다. 통상, 인프로세스 전해드레싱의 경우 공구와 가공물 사이에 안정적인 전해액 공급이 가능해야 일정한 드레싱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 장치의 구조는 이러한 전해드레싱에 매우 적합하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에 사용되는 공구의 유형을 보인 예시도이다.
제2도에 예시된 공구는 연삭가공용 공구(20)로서, 지지부(21)는 일반적인 강으로 제작하고, 가공부(22)는 다이아몬드, 산화알루미늄(Al2O3), CBN, SiC 등의 입자를 메탈 본드 본딩하여 정밀연삭시 인프로세스 전해드레싱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정밀연삭시 인프로세스 저해드레싱을 부가하면 연삭날의 예리함이 항상 유지될 수 있어서 경면가공이 가능하며, 가공효율을 높일 수 있다.
제3도에 예시된 공구는 래핑용 공구(30)로서, 공구 전체가 주철(GCD70정도), 배크라이트, 플래스틱 등으로 제작된다. 래핑 가공시 가공액에 랩재를 혼합하여 공급하므로 공구의 마모가 심한 편이나, 본 발명에 의한 장치의 특징에 의하면, 볼조인트에 의한 결합으로 인하여 공구 교환이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제4도에 예시된 공구는 폴리싱용 공구(40)로서, 지지부(41)는 강, 플래스틱 등으로 제작되고, 가공부(42)는 부직포 연마재, 우레탄고무, 플레스틱 등 통상적인 폴리싱 가공 패드재를 부착한 것이다.
상기한 공구들은 직경(D)이나, 높이(H), 반구형 반경(R) 및 볼조인트 체결 나사 규격(M)을 가공물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는, 공구(12)는 운동축(15)의 구동력에 의해 좌우방향의 요동운동을 행하는 동시에, 턴테이블(17)에 의해 회전되는 가공물(10)의 회전운동에 기인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공구(12)와 공구 지지부(13), 볼조인트(14) 및 운동축(15)의 회전중심축선은 가공중 항상 반구형 가공물(10) 저부의 원형 중심점 즉, 턴테이블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배치되어 가공물(10)에 압력을 가하는 구조를 이루므로 요동운동과 회전운동에 의해서도 공구(12)와 가공물(1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상기 공구(12)와 공구 지지부(13), 볼조인트(14) 및 운동축(15)의 회전중심축선이 가공중 항상 반구형 가공물(10) 저부의 원형 중심점 즉, 턴테이블의 중심점을 지나도록 배치되는 그 자체의 구조가 자기정렬(self adujusting)형 구조를 이루게 되어 가공물의 회전운동에 기인하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과 요동운동의 조합에 의해 반구면의 정밀 가공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과 동시에, 전해드레싱 전원에 접속된 DC브러쉬를 통하여 가공물에 (-)전극을, 공구에 (+)전극을 형성하고, 가공부위에 전해액 및 가공액을 공급함으로써 가공중 전해드레싱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반구면 연마장치의 특징에 의하면, 일반적인 래핑이나 폴리싱 가공의 경우 가공작업이 곤란하였던 곡률이 큰 가공물을 용이하게 가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또한, 가공물의 재질이나 공구의 마모정도에 따라 용이하게 공구를 교체할 수 있어서 높은 가공효율을 기대할 수 있다.

Claims (8)

  1. 전력공급수단과, 반구면을 가지는 가공물의 반구면을 수용하여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형성된 공구와,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공구에 양(+)전극 형성이 가능하도록 상기 공구를 지지하는 공구 지지부와, 상기 공구 지지부와 상보적 결합수단에 의해 연결되어 상기 공구를 요동운동가능하게 하는 운동축과, 상기 가공물을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지지하며, 상기 전력공급수단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가공물에 음(-)전극 형성을 가능하도록 하는 가공물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와 상기 공구 지지부 및 상기 운동축의 중심부에는 각각 전해액 및 가공액을 공급하기 위한 통로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지지부와 상기 운동축을 연결하는 상보적 결합수단은 볼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물 지지부의 하방에는 공급된 전해액 및 가공액을 수용하기 위한 용기가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공급수단은 상기 공구의 전해드레싱을 위한 DC브러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가공부는 다이아몬드, 산화알루미늄(Al2O3), CBN, SiC 중 어느 하나의 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가공부는 주철, 배크라이트, 플래스틱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구의 가공부는 폴리싱 가공 패드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KR1019960030472A 1996-07-25 1996-07-25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KR01839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472A KR0183904B1 (ko) 1996-07-25 1996-07-25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0472A KR0183904B1 (ko) 1996-07-25 1996-07-25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453A KR980008453A (ko) 1998-04-30
KR0183904B1 true KR0183904B1 (ko) 1999-05-01

Family

ID=19467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0472A KR0183904B1 (ko) 1996-07-25 1996-07-25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390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453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71525A (en) Method of grinding lenses and apparatus therefor
JP2001030148A (ja) Elidセンタレス研削装置
JPH085011B2 (ja) 研削装置
JP2002263995A (ja) 球面の研削加工方法及び装置
KR0183905B1 (ko) 반구면 연마장치
KR0183904B1 (ko) 전해드레싱 반구면 연마장치
JP4144725B2 (ja) ガラス基板のチャンファリング方法及び装置
JPH08197425A (ja) 研削方法とその装置
EP1078714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grinding curved surfaces
KR930005036Y1 (ko) 렌즈연삭장치
CN218658226U (zh) 一种对眼镜片光学有效表面进行精加工的抛光工具
KR20000008937A (ko) 웨이퍼 연마방법 및 그 장치
JPS5921735B2 (ja) 円筒内面の電解複合研摩装置
JP3262746B2 (ja) 研削工具のツルーイング方法及び装置
JP2003225851A (ja) 研磨方法及び研磨機
JPH0351065Y2 (ko)
JP2574278B2 (ja) ト−リツク面加工装置
JPH03136758A (ja) 超砥粒メタルボンド砥石を用いたインプロセス電解ドレッシング可能なキャリアプレート型兼インフィード型研摩加工装置
KR940006010Y1 (ko) 연삭장치
JP4141118B2 (ja) 研削工具のドレッシング装置
JP2000141195A (ja) レンズ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H06328358A (ja) 研削加工方法および装置
JPH04240023A (ja) 電解バフ複合研磨装置
JPH0627021U (ja) 複合電解研磨装置
JP2617833B2 (ja) 円筒工作物の電解複合研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