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87B1 -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82687B1 KR0182687B1 KR1019960013101A KR19960013101A KR0182687B1 KR 0182687 B1 KR0182687 B1 KR 0182687B1 KR 1019960013101 A KR1019960013101 A KR 1019960013101A KR 19960013101 A KR19960013101 A KR 19960013101A KR 0182687 B1 KR0182687 B1 KR 018268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ard
- hernia
- male
- signal
- redundanc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07—Responding to the occurrence of a fault, e.g. fault tolerance
- G06F11/16—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 G06F11/20—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 G06F11/202—Error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data by redundancy in hardware using active fault-masking, e.g. by switching out faulty elements or by switching in spare elements where processing functionality is redundant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1/00—Error detection; Error correction; Monitoring
- G06F11/30—Monitoring
- G06F11/32—Monitoring with visual or acoustical indication of the functioning of the machine
- G06F11/324—Display of status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afety Devices In Control Systems (AREA)
- Hardware Redundancy (AREA)
Abstract
본 이중화제어구조는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에 있어서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절체시 신호선들이 오픈되기 전에 탈장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장치는 보드의 이중화절체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보드가 백보드에서 탈장시 탈장알람신호용 핀이 가장 먼저 오픈되도록 구성한 보드와 백보드간을 연결하기 위한 암수코넥터; 암수코넥터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 의하여 보드의 탈장상태를 감시하고, 보드 탈장시 프로세서로 알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탈장알람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제어장치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보드 A 101 : 프로세서
102 : 탈장알람 발생부 103 : 이중화 절체 처리부
110 : 암(Female) 코넥터 120 : 숫(Mal) 코넥터
본 발명은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에 있어서 이중화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는 그 보드가 적용되는 시스템에서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2 보드에 대해 액티브(Active)와 스탠바이(Stand-by)상태를 제어하여 항상 해당 기능이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시스템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술한 2보드중 액티브상태로 설정된 보드로 운용하다가 이상상태가 발생되면, 대기중이던 보드와 액티브상태로 설정되어 운용되었던 보드간의 상태를 절체(대기중인 보드는 액티브상태로, 액티브상태였던 보드는 대기상태로)하여 계속해서 동일한 기능을 제공한다. 이 때,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의 이상상태는 보드상의 기능장애는 물론이고 보드탈장 및 보드의 전원불량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보드탈장시, 탈장상태를 알리는 알람신호가 발생되기 이전에 이중화절체 신호선들이 오픈(Open)되는 경우가 발생되는데, 이와 같이 신호선들이 먼저 오픈되는 경우에 이중화절체처리가 불완전하게 이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에 있어서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절체시 신호선들이 오픈되기 전에 탈장알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기 위한 이중화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백보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의 보드탈장시 이중화제어장치에 있어서, 보드의 이중화절체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 보드가 백보드에서 탈장시 탈장알람신호용 핀이 가장 먼저 오픈되도록 구성한 보드와 백보드간을 연결하기 위한 암수코넥터; 암수코넥터의 핀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하여 보드의 탈장상태를 감시하고, 신호에 의하여 보드가 탈장된 것으로 인식되면 프로세서로 알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탈장알람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이중화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중화절체처리부(103), 보드상의 전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01) 및 보드탈장시 알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탈장알람발생부(10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A(100), 보드A(100)와 백보드(미도시됨)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보드A(100)측에 부착되어 있는 암코넥터(110), 보드A(100)와 백보드(미도시됨)를 연결시키기 위하여 백보드상에 구비되어 있는 수코넥터(120)로 구성된다.
특히 수코넥터(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보드A(100)내의 탈장알람발생부(102)의 입력단과 연결되는 암코넥터(110)의 특정구역과 연결될 핀(P1)의 길이를 다른 핀보다 짧게 구성한다. 여기서 짧은 정도는 다른 핀에 비해 약 1/2정도로 하였으나 보드탈장시 제일 먼저 탈장에 의한 영향을 받을 수 있을 정도의 짧기면 충분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수형 코넥터(110,120)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탈장알람발생부(102)는 수코넥터(120)의 핀(P1)이 암모넥터(110)에 정상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프로세서(101)로 알람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 이 때 프로세서(101)로 전송되는 신호는 로직 '로우'일 수도 있고 로직 '하이'일 수도 있는데, 이는 설계시 설정된다. 이와 같이 탈장알람발생부(102)로부터 알람신호가 발생되지 않으면 프로세서(101)는 보드탈장으로 인한 이중화절체처리 제어를 하지 않는다.
그러나 암수코넥터(110,120)가 정상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보드A(100)가 백보드상에서 탈장되는 현상이 발생되면, 수코넥터(120)중 길이가 짧게 구성된 핀(P1)이 제일 먼저 암코넥터(110)와의 결합관계가 단절되게 된다. 이에 따라 탈장알람발생부(102)는 암코넥터(11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레벨이 변화되었음을 감지하게 되어 프로세서(101)로 보드가 탈장되었음을 알리는 알람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01)는 보드탈장에 따른 이중화절체처리가 이루어지도록 이중화절체처리부(103)를 제어한다.
이중화절체처리부(103)는 종래와 동일하게 구성되어 운용된다.
여기서 보드A(100)와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B(미도시됨)에 대한 코넥터(미도시됨)도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하여 운용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에 있어서 백보드와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코넥터에서 보드탈장상태를 감시할 수 있는 핀을 다른 핀에 비해 짧게 구성하여 다른 신호선들이 보드탈장에 의한 영향을 받기 이전에 알람신호를 발생시켜 이중화절체처리를 하도록 함으로써, 종전에 비해 이중화절체를 안정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 백보드를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구성된 이중화제어구조를 갖는 보드(100)의 보드탈장시 이중화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보드(100)의 이중화절체 처리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세서(101); 상기 보드(100)가 상기 백보드에서 탈장시 탈장알람신호용 핀(P1)이 가장 먼저 오픈되도록 구성한 상기 보드와 상기 백보드간을 연결하기 위한 암수코넥터(110,120); 상기 암수코넥터(110,120)의 핀(P1)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에 의하여 보드의 탈장상태를 감시하고, 상기 신호에 의하여 보드가 탈장된 것으로 인식되면 상기 프로세서(101)로 알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탈장알람발생부(10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코넥터(110,120)는 상기 핀(P1)을 암수코넥터(110,120)에 구비되어 있는 다른 핀에 비해 적어도 약 1/2 짧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암수코넥터(110,120)는 상기 보드(100)측에 암코넥터(110)가 위치하고 상기 백보드측에 수코넥터(120)가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3101A KR0182687B1 (ko) | 1996-04-26 | 1996-04-26 |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3101A KR0182687B1 (ko) | 1996-04-26 | 1996-04-26 |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2886A KR970072886A (ko) | 1997-11-07 |
KR0182687B1 true KR0182687B1 (ko) | 1999-05-15 |
Family
ID=19456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13101A KR0182687B1 (ko) | 1996-04-26 | 1996-04-26 |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8268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9990086057A (ko) * | 1998-05-25 | 1999-12-15 | 김영환 | 디에스엘에이엠 시스템의 보드실장 관리장치 |
KR100464490B1 (ko) * | 2000-12-22 | 2004-12-3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중화 장치의 탈/실장 관리장치 |
-
1996
- 1996-04-26 KR KR1019960013101A patent/KR018268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2886A (ko) | 1997-11-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0373773B1 (en) | Disengaging electrical circuit boards from power-supply units | |
US5656869A (en) | Method and apparatus to maintain power using a fault-tolerant power supply and a temporary external power supply | |
CN110609760A (zh) | 一种防止服务器误触发降频的系统 | |
KR0182687B1 (ko) | 보드탈장에 의한 이중화 제어장치 | |
JP4202842B2 (ja) | 電気車の情報伝送システム | |
KR200317560Y1 (ko) | 이중화된 아이피씨링크 보드내의 액티브 감시회로ㅛ | |
KR0161133B1 (ko) | 이중화제어회로 | |
KR100241761B1 (ko) | 전전자 교환기의 이중화 제어장치 | |
KR100388965B1 (ko) | 교환기의 프로세서 보드별 크로스 이중화 장치 | |
KR100255373B1 (ko) | 가입자 전송장치에서 이중화된 유니트 절체시 상대유니트탈장 인식회로 | |
JPH08256191A (ja) | データ処理装置 | |
JPH0659701A (ja) | 切替制御方式 | |
KR19990059294A (ko) | 교환기에서의 이중화 스위칭 시스템 | |
JP2004215352A (ja) | 電源電圧異常時のフェイルセーフ制御方式 | |
KR200182665Y1 (ko) | 통신 시스템에서 이중화 보드의 상호 연결 장치 | |
JP2750224B2 (ja) | 切替制御方式 | |
KR20000015111U (ko) | 이중화 구조를 갖는 온보드 파워 보드에 있어서이중화 제어장치 | |
KR20000009164A (ko) | 네트웍 시스템의 클락 이중화 관리 장치 및방법 | |
JP2856633B2 (ja) | 冗長装置 | |
KR19990011055A (ko) | 이중화 시스템에서 각 모듈의 상태 신호 인식 장치 및 방법 | |
KR100247008B1 (ko) | 이중화 모듈간 스위칭제어회로 | |
KR100439240B1 (ko) | 디지털 회선분배 장치의 절체구조 및 그 운용방법 | |
KR19980061874A (ko) | 이중화 제어 장치의 이상 판단 장치 | |
KR20040072746A (ko) | 이중화 보드와 전압 강하 감지를 이용한 이중화 보드 상태전환 방법 | |
JPH0239311A (ja) | 電源制御方式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1212 Year of fee payment: 5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