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617B1 - 낚싯대 - Google Patents

낚싯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617B1
KR0182617B1 KR1019910021885A KR910021885A KR0182617B1 KR 0182617 B1 KR0182617 B1 KR 0182617B1 KR 1019910021885 A KR1019910021885 A KR 1019910021885A KR 910021885 A KR910021885 A KR 910021885A KR 0182617 B1 KR0182617 B1 KR 0182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shing rod
reel
rod body
leg
fi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18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9287A (ko
Inventor
이사무 도꾸다
Original Assignee
시마노 쇼오조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30572U external-priority patent/JP2560900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30573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24994Y2/ja
Application filed by 시마노 쇼오조오, 가부시끼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시마노 쇼오조오
Publication of KR9200092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92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61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6Devices for fixing reels on ro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7/00Fishing rods
    • A01K87/04Fishing-line guides on rods, e.g. ti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Fishing Rods (AREA)

Abstract

낚싯대 몸체와 이 낚싯대 몸체의 외주 한쪽에 부착되어 있는 릴 다리와, 낚싯대 몸체에 있어서의 다리부착부를 끼워서 그 좌우 양쪽부위에 일체 성형되어 있는 동시에, 둘레면에 대하여 바깥쪽에 돌출하여 릴 다리 뒷면의 폭방향 양단부를 받는 받이면을 갖는 다리받이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Description

낚싯대
제1도는 본 발명 낚싯대의 1실시예를 예시하는 주요부만의 사시도.
제2도는 동 주요부만의 다른 사시도.
제3도는 별도 실시예를 예시하는 종단면도.
제4도는 릴 다리를 부착한 상태의 일부파단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 낚싯대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만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 낚싯대의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만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주요부만의 확대 횡단면도.
제8도는 제6도의 낚싯대 몸체와 낚싯대 장비품이 열팽창했을 때의 상태를 도시하는 설명도.
제9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만의 확대 횡단면도.
제10도는 또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주요부만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낚싯대 몸체 2 : 다리받이
11 : 다리부착부 21 : 받이면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낚싯대 몸체의 외주 한쪽에 릴 다리를 부착하도록 한 낚싯대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설명]
일반적으로 낚싯대 몸체의 외주 한쪽에 릴 다리를 부착하는 경우, 그 한쪽에 릴 부착구를 설치하고 이 릴 부착구에 의해 상기 릴 다리를 낚싯대 몸체의 외주 한쪽에 고정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릴 다리를 부착되도록 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몸체가 비교적 가는 직경인 경우, 릴 다리 뒷면의 폭방향 중앙부가 낚싯대 몸체에 있어서의 부착부 둘레면에 맞닿아서, 그 폭방향 양단부가 상기 둘레면에 대하여 부상(浮上) 상태로 되어 맞닿지않게 된다.
이 때문에 릴 다리의 안정성이 나빠 릴 다리를 릴 부착구로 고정하여도 릴이 좌우로 흔들리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본국 실개소 63-177165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낚싯대 몸체의 릴을 부착하는 부착부를 그 전둘레에 걸쳐 두껍게 형성하여 바깥직경을 크게하고, 이 두꺼운 부분의 외주 한쪽에 장착하는 릴 다리의 안정성을 높이도록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이 낚싯대 몸체의 릴 부착부를 두껍게 형성함으로써 릴 다리의 안정성을 높일수는 있으나, 낚싯대 몸체에 있어서의 부착부의 전체둘레에 걸쳐 두껍게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그만큼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낚싯대 몸체의 릴 부착부에 있어서 두께가 전둘레에 걸쳐 두껍게 되어있기 때문에, 릴 부착부를 쥐어서 고기낚시를 할 경우, 이 릴 부착구를 쥐는 손에서의 고기 입질 반응이 나빠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 위에 릴의 부착부에 있어서 지름이 낚싯대 몸체보다 크기 때문에, 릴 다리의 부착위치가 낚싯대 몸체의 중심에 대하여 후퇴하여, 릴의 무게중심 위치가 낚싯대 몸체의 중심으로부터 떨어지므로 캐스팅 시등에 있어서 릴이 흔들린다고 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상의 점에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중량의 증가를 감소시킬 수 있으면서 릴 다리의 부착안정성을 높일 수 있고, 더구나 릴부착부를 쥐는 손에서는 고기 입질 반응의 감지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릴을 상기한 종래예에 비교하여 낚싯대 몸체의 중심쪽에 근접시킬수 있도록 하는 점에 있다.
[발명의 요약]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낚싯대 몸체의 외주 한쪽에 릴 다리를 부착하도록 한 낚싯대로서, 상기 낚싯대 몸체에 있어서의 다리부착부를 끼워서 그 좌우 양쪽부위에 둘레면에 대하여 바깥쪽으로 돌출하고, 상기 릴 다리 뒷면의 폭방향 양단부를 받는 받이면을 가진 다리받이를 일체 성형한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받이에는, 릴 부착구에 있어서의 나사고리를 나사맞춤하는 나사홈을 설치하여도 된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특징을 예컨대 제1 및 2도와 같이 구성하면, 상기 다리받이(2,2)에 릴 다리를 부착하는경우, 이 릴 다리 뒷면의 폭방향 양단부를 상기 다리받이(2,2)에 맞닿게하여 부착할 수 있으므로, 이 릴 다리의 안정성을 높일수 있다. 또 상기 다리받이(2,2)는 낚싯대 몸체(1)에 있어서의 다리부착부(11)를 끼워서 그 좌우 양쪽부위에 설치되므로, 다리부착부(11)와 반대쪽은 낚싯대 몸체(1)를 노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 노출부분에 의해 고기 입질 반응을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이상과 같이 다리받이(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이 다리받이(2,2)의 받이면(21,21)은 낚싯대 몸체(1)의 바깥지름의 범위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예와 같이 두껍게 하는 경우에 비교하여, 릴 다리를 낚싯대 몸체(1)의 중심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다.
또 상기 각 다리받이(2,2)는 다리부착부(11)를 끼워서 양쪽에 설치되므로, 바꾸어말하면 낚싯대 몸체(1)의 전둘레에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들 다리받이(2,2)를 낚싯대 몸체(1)의 구부러짐에 뒤따라 변형시킬 수 있고, 그만큼 다리받이(2,2)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상기 다리받이(2,2)에 나사홈(61)을 설치하도록 하면, 특별한 나사형성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나사고리를 가진 릴 부착구를 장착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중량의 증가를 적게 억제하면서 상기 릴 다리를 상기 각 다리받이에 안정성이 양호하게 부착할 수 있고, 더구나 릴 부착부를 쥐는 손으로 고기 입질의 감지를 양호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릴을 상기한 종래예에 비교하여 낚싯대 몸체의 중심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는 낚싯대를 제공할 수 있기에 이르렀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관한 낚싯대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1)은 탄소섬유, 유리섬유 등의 고강도섬유에 합성수지를 함침시킨 프리프레그를 감고, 정해진 방법대로 가압, 소성하여 중공으로 형성한 낚싯대 몸체이다.
이 낚싯대 몸체(1)의 외주 한쪽에 릴에 있어서의 릴 다리(R)를 부착하도록 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낚싯대 몸체(1)에는 상기 릴 다리(R)를 부착하는 다리부착부(11)를 끼워서 그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좌우 양쪽 부위에, 상기 낚싯대 몸체(1)의 외주면에 대하여 지름방향 바깥쪽에 돌출하고, 상기 릴 다리(R) 뒷면의 폭방향 양단부(R1,R1)를 받는 평탄한 받이면(21,21)을 가진 다리받이(2,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은 주로 사출성형법에 의한 매립() 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제1도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이(2,2)가 상기 다리부착부(11)의 폭방향 중앙부분에 낚싯대 몸체(1)의 외주면을 남겨서, 낚싯대 몸체(1)의 외주면이 남는 중앙부분의 좌우 양쪽 부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 중앙부분이란, 릴 다리(R)의 폭 치수, 즉 상기 다리부착부(11) 폭 치수보다 좁은 간격이다. 또 상기 중앙부분에 낚싯대 몸체(1)의 외주면이 남는 구조로 하는 외에, 다리받이(2,2)를 연속시켜도 된다. 이 경우, 연속부의 두께는 얇은편이 바람직하다. 또 제1도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이(2,2)는 상기 다리부착부(11)쪽으로부터 이 다리부착부(11)에 대하여 반대쪽의 낚싯대 몸체 외주면(12)에 향하여 뻗고, 그 연장선단에 향하여 얇게된 연장부(22,22)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각 다리받이(2,2)의 낚싯대 몸체(1)와의 결합강도가 높여지도록 되어 있다. 연장부(22,22)의 길이는 특별히 크게 연장할 필요는 없고, 각 다리받이(2,2)와 낚싯대 몸체(1)가 결합되면 된다.
또 상기 받이면(21,21)의 폭방향 바깥치수는, 릴 다리(R)의 폭보다 넓은 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다리폭이 상이한 릴 다리라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폭은 특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 이들 받이면(21,21)은 반드시 평탄면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고 다소의 만곡면이거나 요철이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각 연장부(22,22)는, 그 선단이 연속되지 않도록 형성되므로 낚싯대 몸체(1)의 상기 다리부착부(11)와 반대쪽 부위(12)는 노출된다.
한편, 상기 각 다리받이(2,2)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낚싯대 몸체(1)의 바깥둘레에 직접 형성되는 외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낚싯대 몸체(1)의 다리부착부(11)쪽 바깥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오목하게 들어간 홈(13)에, 상기 낚싯대 몸체(1)의 각 연장부(22,22)가 끼워져 부착되도록 하여 다리받이(2,2)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 다리받이(2) 및 연장부(22)를 박리되기 어렵게 할 수 있고, 낚싯대 몸체(1)와의 결합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낚싯대 몸체(1)에 있어서의 다리부착부(11)의 길이 방향 앞쪽 부위에는, 예컨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릴 다리(R)의 한쪽 끝부분을 받아들이는 다리받이부(3a)를 가진 고정받이체(3)가, 상기 각 다리받이(2,2)와 일체로 성형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쪽에 고정받이체(3)를 설치하는 경우, 상기 다리부착부(11)의 뒤쪽 부위에서 좌우 양쪽 부위에 전후방향으로 뻗은 가이드 오목부(4,4)가, 상기 다리받이(2,2)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한 경우 이들 가이드 오목부(4,4)에 상기 릴 다리(R)의 다른 끝부분을 받아들이는 다리받이부(5a)를 가진 가동누름체(5a)가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동시에 상기 다리부착부(11)에 있어서의 상기 다리받이(2,2) 사이에, 제1, 2도와 같이 요철형상의 걸림홈(61)을 가진 금속제의 걸림판(6)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동누름체(5)와 고정받이체(3)를 가지는 릴 부착구에 의해, 상기 릴 다리(R)가 상기 다리부착부(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상의 구성에 있어서는, 상기 가동누름체(5)에 제1, 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가동누름체(5)를 원하는 위치에서 잠그는 조작레버(7)와, 이 레버(7)의 조작으로 상기 걸림판(6)의 걸림홈(61)에 걸어맞춤하는 걸림클릭(8)이 설치된다. 제1, 2도에 예시한 실시예는, 낚싯대 몸체(1)에 있어서의 다리부착부(11)를 끼우고, 그 좌우방향 양쪽부에 다리받이(2,2)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릴 다리(R)가 다리부착부(11)에 부착되는 경우, 이 릴 다리(R)의 폭방향 양단부(R1,R1)는 상기 다리받이(2,2)의 받이면(21,21)에 맞닿게 부착된다.
따라서 이 릴 다리(R)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이 경우, 릴 다리(R)는 상기 받이면체(21,21)에서 받게 되고, 낚싯대 몸체(1)에 맞닿는 일이 없으므로 이 낚싯대 몸체(1)가 손상되는 것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낚싯대 몸체(1)에 있어서의 상기 다리부착부(11)와 반대쪽 부위(12)는, 낚싯대 몸체(1)의 외주면을 노출하고 있기 때문에, 낚싯대 몸체(1)의 릴 부착부를 쥐고 낚시하는 경우, 이 릴 부착부를 쥐는 손가락을 상기 노출하는 반대쪽 부위(12)에 접촉시킬 수 있고, 낚싯대 몸체(1)에 전달되는 고기 입질을 양호하게 감지할 수 있다.
또 상기 다리받이(2,2)는, 다리부착부(11)를 끼우고 그 좌우 양쪽 부위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받이면(21,21)을 낚싯대 몸체(1)의 바깥지름 범위내에 위치시킬 수 있고, 두껍게 한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상기 릴 다리(R)를 낚싯대 몸체(1)의 중심쪽에 근접시킬 수 있다.
따라서 릴의 무게중심쪽으로 근접시킬 수 있으므로, 캐스팅시 등에 있어서 릴이 흔들리거나 하는 일 없이 그 안정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고, 캐스팅 등을 쉽게 행할 수 있다.
또 상기 다리받이(2,2)는 다리부착부(11)를 끼워서 양쪽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즉 낚싯대 몸체(1)가 두껍게 전둘레에 설치되어 있는 것은 아니므로, 이들 다리받이(2,2)는 낚싯대 몸체의 구부러짐에 따라 변형되고, 그만큼 다리받이(2,2)부분의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에서는, 각 다리받이(2,2)는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었으나, 그외, 예컨대 열경화성 합성수지 혹은 고무 등으로 성형되어도 무방하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낚싯대 몸체(1)의 좌우양쪽 부위에 가이드 오목부(4,4)가 설치되어, 릴 부착구에 있어서의 가동누름체(5)의 이동이 안내되도록 되어 있었으나, 그외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각 다리받이(2,2)는 상기 낚싯대 몸체(1)의 반대쪽 부위(12)에 향하여 점차 얇게 되도록 형성되어, 그 표면에 나사홈(9)이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도에 도시한 가동누름체(5)에 대신하여 대략 원동형상의 가동누름체(5)와, 이 가동누름체(5)를 이동위치에 잠금하는 나사고리(10)를 구비한 릴 부착구에 있어서의 상기 나사고리(10)가, 상기 나사홈(9)에 나사붙임 된다.
또, 릴 부착구의 고정받이체(3)는 각 다리받이(2)와 일체로 형성되는 외에,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다리받이(2)하고는 별개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성형되는 대신에 접착이나 실감기 및 레이스감기 등의 고정수단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다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 내지 8도에 있어서, 낚싯대 몸체(1)의 길이 방향 중간부에 소정길이의 두꺼운 부분(41)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두꺼운 부분(41)에 소정길이의 유지오목부(3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두꺼운 부분(41)은 상기 낚싯대 몸체(1)의 성형시 상기 프리프레그와 동질의 가는폭 프리프레그를 여분으로 감아서 형성된다.
또 상기 유지오목부(32)는 상기 두꺼운 부분(41)의 길이방향 중간부가 예컨대 고리형상으로 절삭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프리프레그의 합성수지는 주로 에폭시수지, 페놀수지가 사용된다.
이 유지오목부(32)에, 상기 낚싯대 몸체(1)를 형성하는 프리프레그의 합성수지와 상이한, 예를들면 열가소성의 합성수지에 의해 릴 부착구(42)의 원통형상 장착대(20)와 다리받이부(3a)를 가진 고정받이체(3)로 형성되는 낚싯대 장비품(A)이 주로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다. 또한 이 낚싯대 장비품(A)의 표면과 낚싯대 몸체(1)의 표면과의 사이에는 단차가 되지 않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낚싯대 장비품(A)과 상기 낚싯대 몸체(1)와의 경계부(23)표면 및 이 경계부(23)를 끼우고 소정길이 양쪽에 걸치는 표면부위에 비교정도가 낮은 유연성을 갖는 주로 에폭시수지계의 도표를 도장하여 유연한 제1도료층(14)이 형성되고 있다.
이 제1도료층(14)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대 몸체(1) 및 낚싯대 장비품(A)의 표면에 통상의 도료를 정해진 방법에 의해 도장하여 제2도료층(15)이 형성된다. 또 상기 제1도료층(14)은, 예컨대 에폭시수지에 아크릴수지를 혼합한 도료 혹은 에폭시수지에 이소시아네이트수지를 혼합한 도료가 사용된다.
또한 제6도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상 장착대(20)의 상기 고정받이체(3)와, 반대쪽 외주면에 나사홈(33)이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다리받이부(52)를 가진 가동누름체(5)와, 상기 나사홈(33)에 나사맞춤하여 상기 가동누름체(5)를 소정위치에 잠금하는 나사고리(25)가 지지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낚싯대 몸체(1)에 유지오목부(32)가 설치되고, 이 유지오목부(32)에 낚싯대 장비품(A)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이 낚싯대 장비품(A)을 간단하게 또한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시킬수 있다.
더구나 상기 낚싯대 장비품(A)과 낚싯대 몸체(1)와의 경계부(23) 및 이 경계부(23)를 끼고 소정길이 양쪽에 걸치는 부위에 유연한 제1도료층(14)이 형성되어 있어서 이 제1도료층(14)을 포함하여 상기 낚싯대 몸체(1) 및 낚싯대 장비품(A)의 표면에 제2도료층(15)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바깥기온에 의해 낚싯대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 낚싯대에 있어서의 낚싯대 몸체(1)와 낚싯대 장비품(A)과의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크게 열팽창하여 제8도와 같이 이들 낚싯대 몸체(1)와 낚싯대 장비품(A)과의 경계부(23)에 간격이 생기는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제1도료층(14)이 신장하여 상기 제2도료층(15)의 국부에 인장력이 집중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그리고, 이 제2도료층(15)에는 상기 제1도료층(14)으로부터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고, 제2도료층(15)에 균열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릴 부착구(42)에 있어서의 원통형상 장착대(20)와 고정받이체(3)로 형성되는 낚싯대 장비품(A)이, 유지오목부(3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낚싯대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그외 제9도와 같이 낚싯줄 가이드(26)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장비품(A)이 상기 유지오목부(32)에 일체로 성형된 낚싯대라도 무방하다.
또 제10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지오목부(32)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이 유지오목부(32)에 낚시용 릴에 있어서의 릴 다리 뒷면의 폭방향 양단부를 받는 받이면(21,21)을 가지는 다리받이(2,2)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장비품(A)이 일체로 성형된 낚싯대라도 무방하다.
이 제10도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받이(2,2)에는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받이체(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며, 또 각 다리받이(2,2)는 분리된 구조 외에 연속된 구조라도 무방하다.
이 실시예와 같이 구성하면, 낚싯대 몸체(1)의 유지오목부(32)에 낚싯대 장비품(A)이 일체로 성형되므로, 이 낚싯대 장비품(A)은 간단하게 또한 충분히 견고하게 고정된다. 또 낚싯대 장비품(A)과 상기 낚싯대 몸체(1)와의 경계부(23) 및 이 경계부(23)를 끼고 소정길이 양쪽에 걸친부위에 유연성을 가진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제1도료층(14)이 형성되고, 이 제1도료층(14)을 포함하여 상기 낚싯대 몸체(1) 및 낚싯대 장비품(A)의 표면에 제2도료층(15)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기온보다 낚싯대의 온도가 상승하고, 이 낚싯대에 있어서의 낚싯대 몸체(1)와 낚싯대 장비품(A)과의 한쪽이 다른쪽에 대하여 크게 열팽창하고, 이들 낚싯대 몸체(1)와 낚싯대 장비품(A)과의 경계부(23)에 간격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도, 상기 열팽창에 의해 상기 제1도료층(14)이 신장하여 상기 제2도료층(15) 국부에 인장력이 집중하는 것을 피할 수 있고, 이 제2도료층(15)에는 상기 제1도료층(14)으로부터 광범위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므로 제2도료층(15)에 균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낚싯대 장비품(A)이 열가소성 합성수지로 성형되어 있으나, 그외 고무 혹은 금속재료 등으로 성형되어도 무방하다.

Claims (10)

  1. 낚싯대 몸체(1)의 외주 한쪽에 릴 다리가 부착된 낚싯대 레버(1)로 구성된 낚싯대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몸체(1)에 다리부착부(11)를 끼워서 그 좌우 양쪽부위에 일체 성형되어 잇는 동시에, 둘레면에 대하여 바깥쪽에 돌출하고 있고, 상기 릴 다리 뒷면의 폭방향 양단부를 받는 받이면(21,21)을 가진 다리받이(2,2)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이(2,2)는 릴 부착구에 있어서의 나사고리를 나사맞춤하는 나사홈(61)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몸체(1)의 다리부착부(11)쪽 바깥둘레에 오목하게 들어간 홈(13)이 설치됨과 동시에 이 오목하게 들어간 홈(13)에 상기 다리받이(2)의 연장부(22)가 끼워 넣어져서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착부(11)의 뒷쪽부위에서 좌우 양쪽부위에 전후방향으로 뻗는 가이드 오목부(4,4)가 상기 다리받이(2,2)를 이용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다리받이(2,2)는 상기 낚싯대 몸체(1)의 반대쪽 부위(12)에 향하여 점차 얇게 되도록 형성되고, 그 표면에 나사홈(9)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6. 제5항에 있어서, 릴을 부착하는 고정받이체(3)가 상기 다리받이(2)와 별개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몸체(1)에 유지오목부(32)가 설치되어 있고, 이 유지오목부(32)에 상기 낚싯대 몸체(1)를 구성하는 합성수지와 상이한 재료로 낚싯대 장비품(A)이 일체 성형되는 동시에, 이 낚싯대 장비품(A)과 상기 낚싯대 몸체(1)와의 경계부(23) 및 이 경계부(23)를 끼우고 소정길이 양쪽에 걸치는 부위에 유연성을 가지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유연한 제1도료층(14)이 형성되어 있고, 이 제1도료층(14)을 포함하고 상기 낚싯대 몸체(1) 및 낚싯대 장비품(A)의 표면에 제2도료층(15)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낚싯대 장비품(A)이 낚싯줄 가이드(26)로 이루어지는 동시에, 상기 유지오목부(32)에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오목부(32)가 반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 유지오목부(32)에 상기 받이면(21,21)을 가지는 상기 다리받이(2,2)로 이루어지는 낚싯대 장비품(A)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받이(2,2)에 릴을 부착하는 고정받이체(3)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낚싯대.
KR1019910021885A 1990-11-30 1991-11-30 낚싯대 KR01826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130573 1990-11-30
JP1990130572U JP2560900Y2 (ja) 1990-11-30 1990-11-30 釣 竿
JP90-130572 1990-11-30
JP13057390U JP2524994Y2 (ja) 1990-11-30 1990-11-30 釣 竿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9287A KR920009287A (ko) 1992-06-25
KR0182617B1 true KR0182617B1 (ko) 1999-03-20

Family

ID=26465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1885A KR0182617B1 (ko) 1990-11-30 1991-11-30 낚싯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0182617B1 (ko)
DE (1) DE4139455A1 (ko)
GB (1) GB2250168B (ko)
IT (1) IT12520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48425A (en) * 1993-09-03 2000-04-11 Daiwa Seiko, Inc. Fishing rod with pre-inserted fishing line guide mem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5979103A (en) * 1993-09-03 1999-11-09 Daiwa Seiko, Inc. Fishing rod with pre-inserted fishing line guide members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GB0328276D0 (en) * 2003-12-05 2004-01-07 Fox Int Group Ltd A reel seat assembly
US11445712B2 (en) 2020-02-26 2022-09-20 Pure Fishing, Inc. Cam reel attachment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96732A (en) * 1964-05-14 1967-01-10 Finn H Magnus Casting rig
JPH0246291Y2 (ko) * 1985-12-28 1990-12-06
FR2650153B1 (fr) * 1989-07-28 1994-04-01 Mitchell Sports Dispositif pour fixer, de maniere ajustable, un accessoire tel qu'un moulinet sur une canne a pech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2250168B (en) 1994-08-03
KR920009287A (ko) 1992-06-25
GB2250168A (en) 1992-06-03
ITMI913182A1 (it) 1993-05-28
DE4139455A1 (de) 1992-06-04
IT1252014B (it) 1995-05-27
ITMI913182A0 (it) 1991-11-28
GB9125460D0 (en) 1992-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726139A (en) Mounting structure for mounting a fishing reel to a fishing rod
CA2191060A1 (en) Plastic molded float handle
KR0182617B1 (ko) 낚싯대
JP2015123064A (ja) 固定フードに繊維強化樹脂シートを備えるリールシート及び該リールシートを備えた釣竿
KR101022184B1 (ko) 낚싯대용 릴의 부착구조 및 낚싯대용 가동후드체
KR20190000223U (ko) 촬영기재 지지봉
US4864764A (en) Fishing reel fixture
US20050193618A1 (en) Fishing line guide ring of fishing rod
KR0182618B1 (ko) 고정가이드 부착구조
JP6694368B2 (ja) リール固定装置のフード
US5713151A (en) Pass-through fishing rod
JP2003284455A (ja) 釣 竿
US6553634B2 (en) Clamp for elongated member
JP2560900Y2 (ja) 釣 竿
JP7000290B2 (ja) 釣竿
JPH11137132A (ja) 釣 竿
JP2524994Y2 (ja) 釣 竿
CN113994939B (zh) 卷线器座
JPH0728453U (ja) 椅子のクッション体取付構造
JPS6088274A (ja) 支持体に保護キヤツプを装着するロック部材
JPH0750927Y2 (ja) 釣 竿
KR102423159B1 (ko) 수지 필름 권취용 플라스틱 지관의 제조방법 및 그로써 제조된 플라스틱 지관
JP4023599B2 (ja) 釣糸ガイド
JPH11266753A (ja) 釣竿のリール脚固定装置
JP2514320Y2 (ja) 釣 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