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425B1 - 쇽 업소버 - Google Patents

쇽 업소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425B1
KR0182425B1 KR1019940015460A KR19940015460A KR0182425B1 KR 0182425 B1 KR0182425 B1 KR 0182425B1 KR 1019940015460 A KR1019940015460 A KR 1019940015460A KR 19940015460 A KR19940015460 A KR 19940015460A KR 0182425 B1 KR0182425 B1 KR 0182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retainer
shock absorber
disk
l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541A (ko
Inventor
김환국
Original Assignee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원,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원
Priority to KR101994001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425B1/ko
Publication of KR96000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4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쇽 업소버에 관한 것으로서, 피스톤의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의 상면에 디스크가 설치되고 신장 리테이너의 하면에 디스크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피스톤의 상실과 하실의 압력차를 줄일 수 없었고 이에 따라서 기포발생 및 스위쉬 노이즈 또한 줄일 수 없는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스톤의 하부에 신장 리테이너를 감싸도록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압력실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피스톤 밸브를 통과할 때 피스톤의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기포발생방지 및 스위쉬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쇽 업소버
제1도는 종래 기술에 대한 쇽 업소버의 일부분을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를 나타낸 일부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피스톤 12 : 실린더
14 : 피스톤 밸브 16 : 압축유로
18 : 신장유로 22, 24 : 디스크
26, 34 : 리테이너 28 : 스프링
30, 32 : 와셔 36, 44 : 너트
38 : 피스톤 로드 40 : 오리피스
42 : 압력실
본 발명은 쇽 업소버(Shock Absorber)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스톤 하부의 피스톤 밸브측에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압력실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피스톤 밸브를 통과할 때 피스톤의 상실과 하실의 압력차이를 줄임으로 인한 기포발생을 방지하고 이로 인한 스위쉬 노이즈(Swish Noise)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쇽 업소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쇽 업소버는 충격에 의해 발생되는 고유진동을 양호하게 흡수하는 장치로서, 이는 상단이 로드 가이드가 장착된 원통형의 실린더내에 피스톤 로드 단부의 피스톤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 로드의 소정위치에는 피스톤 로드의 신장을 제어하기 위한 스토퍼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로드 가이드와 스토퍼 사이에는 완충고무가 끼워져 있다. 상기 피스톤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긴밀하게 실린더(12)와 결합되어 있고 복수의 피스톤 밸브(14)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밸브(14)는 피스톤(10)에 압축유로(16)와 신장유로(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14)의 하면에 신장 리테이너(20)가 접촉된 상태에서 피스톤(10)의 상면과 신장 리테이너(20)의 하면에 디스크(22)(2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0) 상면의 디스크(22)는 리테이너(26)와 스프링(28) 및 와셔(30)를 통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신장 리테이너(20) 하면의 디스크(24)는 와셔(32)와 리테이너(34) 및 너트(36) 통해 피스톤 로드(38)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쇽 업소버는 피스톤 로드(38)의 신장시 피스톤 로드(38) 하단의 피스톤(10)에 설치된 피스톤 밸브(14)의 디스크(22)의 통공(도시하지 않았음)을 통해 압력이 높은 피스톤(10)의 상실로부터 압력이 낮은 피스톤(10)의 하실로 오일이 통과되게 된다. 이때, 피스톤(10)의 상실과 하실의 압력차로 인해 피스톤(10)의 신장유로(18)를 통과시 급격한 압력강하로 닝하여 오일중의 기포가 커지게 된다. 다시 말해서, 피스톤(10)의 하실측이 거의 대기압 이하로 되기 때문에 기포확대현상이 더욱 심하게 발생되게 되고 이에 따라서 스위쉬 노이즈가 발생되게 된다. 이와 반대로, 피스톤 로드(38)의 압축시는 피스톤(10) 하부의 오일이 압축유로(16)를 통하여 디스크(22)가 상부로 휘어짐에 따라 압력이 높은 피스톤(10)의 하실로부터 압력이 낮은 피스톤(10)의 상실로 오일이 통과되게 되며 오일 흐름량 및 속도별로 규제하여 댐핑력을 얻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쇽 업소버에 있어서는 피스톤(10)의 피스톤 밸브(14)는 피스톤(10)의 상면에 디스크(22)가 설치되고 신장 리테이너(20)의 하면에 디스크(24)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피스톤(10)의 상실과 하실의 압력차를 줄일 수 없었고 이에 따라서 기포발생 및 스위쉬 노이즈 또한 줄일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피스톤의 하부에 신장 리테이너를 감싸도록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압력실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피스톤 밸브를 통과할 때 피스톤의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기포발생방지 및 스위쉬 노이즈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쇽 업소버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피스톤 밸브가 설치된 피스톤이 장착되되 상기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의 압축유로와 신장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신장 리테이너가 접촉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상면과 신장 리테이너의 하면에 디스크가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피스톤 상면의 디스크는 리테이너와 스프링 및 와셔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신장 리테이너 하면의 디스크는 와셔와 리테이너 및 너트를 통해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의 하면에 피스톤의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강하를 방지하기 위한 압력강하 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의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으로서, 원통형의 실린더(12)내에 피스톤 로드(38) 단부의 피스톤(10)이 설치되되 상기 피스톤(10)은 긴밀하게 실린더(12)와 결합되어 있고 피스톤 밸브(1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 밸브(14)는 피스톤(10)에 압축유로(16)와 신장유로(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피스톤(14)의 하면에 신장 리테이너(20)의 하면에 신장 리테이너(20)가 접촉된 상태에서 피스톤(10)의 상면과 디스크(22)(24)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0) 상면의 디스크(22)는 리테이너(26)와 스프링(28) 및 와셔(30)를 통해 장착되어 있고 상기 신장 리테이너(20) 하면의 디스크(24)는 와셔(32)와 리테이너(34) 및 너트(36)를 통해 피스톤 로드(38)의 하단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피스톤(10)의 하부에 복수의 오리피스(40)가 형성된 압력실(42)을 장착하되 상기 신장 리테이너(20)를 감싸도록 피스톤 로드(38)의 하단에 너트(44)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쇽 업소버는 피스톤 로드(38)의 신장시 피스톤 로드(38) 하단의 피스톤(10)에 설치된 피스톤 밸브(14)의 디스크(22)의 통공(도시하지 않았음), 신장유로(18), 신장 리테이너(20), 디스크(24)의 슬리트홈(도시되지 않았음) 및 압력실(42)의 오리피스(40)를 통해 압력이 높은 피스톤(10)의 상실로부터 압력이 낮은 피스톤(10)의 하실로 오일이 통과되게 된다. 이때, 피스톤(10)의 신장유로(18)를 통과시 피스톤(10)의 상실과 하실의 압력차이를 압력실(42)에서 1차적으로 낮춘 후 상기 압력실(42)의 오리피스(40)를 통해 피스톤(10)의 하실로 이동되게 된다.
따라서, 피스톤(10)의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강하가 이루어지지 않아 오일중의 기포확대현상이 줄어들고 이에 따라서 스위쉬 노이즈가 줄어들게 된다.
이와 반대로, 피스톤 로드(38)의 압축시는 피스톤(10) 하부의 오일이 압축유로(16)를 통하여 디스크(22)가 휘어짐에 따라 압력이 높은 피스톤(10)의 하실로부터 압력이 낮은 피스톤(10)의 상실로 오일이 통과되게 되며 오일 흐름량 및 속도별로 규제하여 댐핑력을 얻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쇽 업소버는 피스톤(10)의 하부에 신장 리테이너(20)를 감싸도록, 복수의 오리피스(40)가 형성된 압력실(42)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 로드(38)의 신장시 피스톤(10)의 상실측 오일이 입력실(42)을 통해 피스톤(10)의 하실로 이동되도록 하여 피스톤(10)의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차를 줄일수 있으며 이에 따라서 기포발생방지 및 스위쉬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쇽 업소버에 의하면, 피스톤의 하부에 신장 리테이너를 감싸도록 복수의 오리피스가 형성된 압력실을 형성함으로써 피스톤의 피스톤 밸브를 통과할 때 피스톤의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차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기포발생방지 및 스위쉬 노이즈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피스톤 로드의 하단에 피스톤 밸브를 포함하는 피스톤을 장착하되, 상기 피스톤 밸브는 피스톤의 압축유로와 신장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피스톤의 저면에 신장 리테이너가 접촉된 상태에서 피스톤의 상면과 신장 리테이너의 저면에 디스크가 장착되며, 상기 피스톤 상면의 디스크는 리테이너와 스프링 및 와셔를 통해 장착되고, 상기 신장 리테이너 저면의 디스크는 와셔와 리테이너 및 너트를 통해 장착되어 있는 피스톤을 포함하는 쇽 업소버에 있어서, 상기 피스톤(10)의 저면에 상실과 하실의 급격한 압력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의 하단에 신장 리테이너(20)를 감싸도록 하되, 둘 이상의 오리피스(40)가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압력실(42)을 너트(44)로써 고정한 압력강하 방지수단을 형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쇽 업소버.
KR1019940015460A 1994-06-30 1994-06-30 쇽 업소버 KR0182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460A KR0182425B1 (ko) 1994-06-30 1994-06-30 쇽 업소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460A KR0182425B1 (ko) 1994-06-30 1994-06-30 쇽 업소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541A KR960001541A (ko) 1996-01-25
KR0182425B1 true KR0182425B1 (ko) 1999-04-01

Family

ID=193868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460A KR0182425B1 (ko) 1994-06-30 1994-06-30 쇽 업소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4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541A (ko) 1996-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10220515A (ja) 液圧振動ダンパ
KR0182425B1 (ko) 쇽 업소버
KR100782009B1 (ko) 유압식 쇽업소버
KR200166578Y1 (ko) 쇽업소버
KR20090043278A (ko) 댐퍼장치
KR0128033Y1 (ko) 쇽 업소버
KR101756424B1 (ko) 주파수 감응형 쇽업소버
KR200162780Y1 (ko) 쇽업소버의 피스톤장치
KR100832494B1 (ko) 쇽업소버의 밸브장치
KR100443884B1 (ko) 쇽 업소버의 극 저속용 피스톤 밸브
KR100248109B1 (ko) 단동식 충격 흡수 장치
KR20200113807A (ko) 감쇠력 가변식 쇽업소버
KR0182424B1 (ko) 쇽업쇼바의 피스톤 밸브구조
KR100320807B1 (ko) 쇽 업소버
KR100791467B1 (ko) 쇽 업소버의 스토퍼 구조
KR960004424Y1 (ko) 자동차의 쇽업소오버 감쇠벨브
KR100618637B1 (ko) 쇼크업소버용 밸브구조
KR100448783B1 (ko) 자동차의 쇽업소버
KR20040088678A (ko) 쇽업소버
KR100238397B1 (ko) 유압 인슐레이터
KR100216425B1 (ko) 롤링 제한용 마운트의 구조
KR930005181Y1 (ko) 자동차용 유압식 쇽업쇼오버
KR0156411B1 (ko) 일정 충격흡수용 쇽 업소바
KR0162675B1 (ko) 쇽업쇼버의 소음방지 구조
KR19990016592U (ko) 반능동형 엔진 마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20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