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383B1 -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 Google Patents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383B1
KR0182383B1 KR1019960055520A KR19960055520A KR0182383B1 KR 0182383 B1 KR0182383 B1 KR 0182383B1 KR 1019960055520 A KR1019960055520 A KR 1019960055520A KR 19960055520 A KR19960055520 A KR 19960055520A KR 0182383 B1 KR0182383 B1 KR 01823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rk
work table
horizontal
elevating
workbe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861A (ko
Inventor
신장철
신유철
Original Assignee
이성희
주식회사용마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성희, 주식회사용마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이성희
Priority to KR101996005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23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8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8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3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3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6Movable inspection or maintenance platforms, e.g. travelling scaffolding or vehicles specially designed to provide access to the undersides of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klifts And Lifting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prestressed concrete)교량이나 강재(鋼材) 박스보 교량등과 같이 측면으로 날개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내측날개부가 형성되는 복열 주형(Main girder)식 교량 하방부에서, 교량을 따라 자주식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시에는 주형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정열되고, 경간이동시에는 좌우로 분리되어 교각에 간섭되지 않게 교각 외측방으로 회전하는 하부작업대를 구비하여, 교량의 하부면에 대한 제반 작업을 실시하는 하부면 작업대차에 부설되는 내측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복열 주형 교량의 하부면 작업대차의 하부작업대에 부설하여야 하는 내측날개부용의 내측작업대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사용할 때에는 하부작업대의 상방으로 내측날개부하단면을 작업할 수 있을 정도의 상당높이로 돌출되어야 하고, 경간이동시에는 하부작업대를 회전시키기 위하여 주형의 하단면부재 이하로 위치되어야 하는 특성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양측 주형의 내측날개부 하방측에서 양측 하부작업대의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대칭형 한쌍의 수평작업대와, 상기 한쌍의 수평작업대들을 경간이동시에는 각각 주형의 하단면부재에 간섭되지 않게 하부작업대의 상단면에 하강시키고, 사용할 때에는 내측날개부 하단에 근접되게 하부작업대로부터 임의의 작업높이로 상승시키는 높이가 변식 유압구동식 승강장치와, 상기 한쌍의 수평작업대들의 삼면 측방에는 절첩식 펜스를 구비한 내측작업대로 구성하여, 상기 복열 주형 교량용의 내측작업대 특성을 만족시키면서, 제작과 사용이 간편하고 그 작동제어가 용이하며 견실한 지지구조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품질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를 제공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제1도는 일예의 2열 주형 PC 교량에 설치된 본 발명이 실시되는 일예의 하단면 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정면구성도.
제2도는 제1도 구성의 작업대차를 다음 경간으로 이동시킬때의 회전상태도.
제3도는 제1도의 구성중 주행장치의 일예 측면구성도.
제4도는 제1도의 구성중 주행장치의 상·하부 위치정열장치의 측면구성도.
제5도는 제1도의 구성중 주행장치의 구동장치 일예구성도.
제6도는 제1도의 구성에 주행장치의 레일 고정구조 단면도.
제7도는 제1도의 구성에 실시된 일실시예 회전지지장치의 확대도.
제8도는 제1도의 구성에 실시된 일실시예 회전지지장치의 요부구성 단면도.
제9도는 제1도의 구성에 실시된 일실시예 회전지지장치의 회전구동장치 평면구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일실시예 내측작업대 구성의 측면도.
제11도의 제10도의 구성에 의한 내측작업대의 하강상태도.
제12도는 제10도의 구성중 A-A 선 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단면상으로 본 절첩식 펜스의 절첩상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실시되는 가변식 회전지지장치를 갖는 작업대차의 전체구성도.
제15도는 제14도 작업대차의 구성중 회전지지장치의 승강장치 구성개요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실시되는 가변식 회전지지장치의 일측 확대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내측작업대의 사용상태 및 구성확대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내측작업대의 하강상태 확대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가 실시된 가변식 회전지지장치를 갖는 작업대차의 사용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S1, S2 ; PC(prestressed concrete)교량의 2열 주형(Main girder)
S1x, S2x : 일경간내에서 측면부재에 높이차를 갖는 복합형 2열 주형
Sa,Sc : 좌우 주형의 외측날개부 Sb,Sc : 좌우 주형의 내측날개부
Se : 좌우 주형의 외측면부재 Sf : 좌우 주형의 내측면부재
Sg : 좌우 주형의 하단면부재 Pr1, Pr2 : 좌우 교각
Ap : 도로포장부 10 : 좌우 주행장치
111 : 레일 고정대 111a : 다른실시예의 고정대
112 : 고정대용 고정볼트 114 : 레일용 고정볼트
12,12a : 레일 121 : 레일의 하단날개
14 : 구동휠 15 : 아이들휠
16 : 휠브라켓 17 : 구동모터
20 : 좌우 외측작업대 22 : 상부프레임
23,24 : 전후방 수직프레임 25 : 수평작업판
26 : 수직프레임 27 : 하부위치정열장치
271 : 하부정열휠의 유동브라켓 272 : 하부정열휠
273 : 하부유동브라켓의 유압실린더 28 : 상부위치정열장치
282 : 상부정열휠 281 : 상부정열휠의 유동브라켓
283 : 상부정열브라켓의 유압실린더 30 : 좌우 회전지지장치
31 : 수직지지부재 32 : 원통관
33 : 턴플랜지 35, 35a : 구동브라켓
36 : 하부작업대 피봇힌지 37 : 턴테이블
30a : 가변식 회전지지장치
31a : 가변식 회전지지장치의 수직지지부재
40 : 좌우 회전지지장치 41, 41a : 회전유압실린더
42,42a : 실린더 로드 43 : 드러스트 베어링부재
44 : 축수대 45 : 유압실린더
45a : 실린더 로드 46a, 46 : 상·하부 수평축봉
462,461 : 상·하방풀리 47 : 이동풀리
48 : 유압장치유니트 49 : 수평조절유압실린더
W1, W2 : 풀리구동용 와이어 50,51 : 좌우 하부작업대
55,55a : 안내레일 53 : 하부작업대의 상부부재
54 : 힌지 60 : 선단결합장치
70 : 일실시예의 내측작업대 71 : 내측작업대(70)의 승강장치
711,712 : 내측작업대(70)의 내외측 승강대
713,714 : 힌지 715,716 : 로울러
717 : 축핀 718 : 유압실린더
719 : 연결봉 72 : 수평작업대
721 : 안내레일 73 : 절첩식 펜스
731 : 힌지 732 : 펜스 연결구
74 : 계단부재 741 : 힌지
742 : 계단 펜스 743 : 유압실린더
70a : 본 발명의 다른실시예 고승강가변형 내측작업대
71a : 고승강형 승강장치
711a, 712a, 711b, 712b: 내외측 상,하부 승강대
713a,714a : 힌지 715a,716a : 로울러
717a : 축핀 718a : 유압실린더
72a : 고승강형 수평작업대 721a : 안내레일
73a : 펜스 731a : 힌지
90 : 사다리구조물
91 : 좌우 하부작업대의 카운터웨이트
96 : 전원트롤리바 97 : 전원트롤리바 행거
본 발명은 각종 교량의 시공시에나 완공후에 교량의 하부면에 대하여 실시되는 제반 작업을 위한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에 있어서 하부작업대에 설치되는 내측작업대에 관한 것이다.
각종 교량의 건설에 있어서 시공시에나 완공후에 교량하부면에서 실시되는 작업은 여러 가지가 있다. 특히 PC(prestressed concrete)교량, 강재(鋼材)박스보 교량 등과 같이 일정길이의 단위조립부재를 연속적으로 조립하거나, 일 경간을 일체의 콘크리트 주형(Main girder)으로 구축하는 교량에 있어서는 부재의 죠인트작업, 조립면가공, 에폭시처리, 도장작업, 슈 점검, 슈의 교체작업, 주형의 하부면 검사, 점검, 보수 등 상당히 많은 작업이 실시된다.
그러나 PC 교량이나 강제박스보 교량 등은 교량의 하부면에 교각외에 별다른 구조물이 없어서 상기와 같은 제반 교량하부면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작업대가 요구되는 바, 교량하부면 작업대차는 일정 경간에 걸쳐 상부구조인 주형이 교각에 설치된 상태에서, 주형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되면서 교량을 따라 이동자유롭게 지지되는 자주식 작업대를 구비하여, 상기와 같은 제반 교량하부면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고량공사용 작업대의 역할과, 교량의 완공측에는 보수작업 및 점검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상설용 작업대로서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장치이다.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형식은 이동(주행)장치의 구성에 따라서 주형의 양측 날개부(cantilever)의 상단면을 주행면으로 하는 상단면주행식과, 주형의 양측 날개부 하단에 작업대차 전체를 지지시키면서 주행시키는 하단면 주행식이 있는 바, 각각의 형식들에는 공통적으로 작업대차 전체를 교량을 따라 이동시키는 주행장치와, 이 주행장치에 하방으로 현가되어 작업대차 전체를 지탱시키는 외측작업대와, 이 외측작업대에 하부작업대를 지지하는 지지장치와, 상기 지지장치에 외팔 트러스보 형태로 지지되어 작업시l에는 주형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하고, 교각의 통과시에는 좌우로 분리되거나 어느 일측을 회전축으로 교각에 간섭되지 않게 회전하여 통과하는 하부작업대를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기본적인 구성요소들을 갖고 형성되는 교량하부면 작업대차는 상기 각개의 구성요소들의 구성 여하에 따라서 전체적인 작업대차의 제작, 작업특성이 좌우된다.
특히 교량의 폭을 넓게 형성하고져 2열 이상의 복열 주형으로 구축되는 교량에 있어서는 작업대의 구성 여하에 따라서 작업대차 전체의 기능과 제작특성이 좌우된다.
복열 주형으로 구축되는 교량에 요구되는 작업대차의 특성중에 작업대의 특성으로 요구되는 것은, 복열 주형간의 경계부인 양측 주형의 내측날개부 하단면들과 내측면부재들에 대한 내측작업대를 구비하여야 하는 점이다.
통상적인 작업대차의 구성에 의하면, 교량의 주형 외측날개부들과 외측면부재들에 대한 작업은 좌우측 외측작업대에서 실시하고, 복열 주형 각각의 하부면부재들에 대한 작업은 주형들의 하방을 가로지르게 설치되는 하부작업대에서 실시할 수 있으나, 복열 주형간의 경계부에 위치하는 양측 주형의 내측날개부들과 내측면부재들은 상기 하부작업대에서 작업하기에는 상당히 높게 위치되어 있어서 그 하부면 작업이 어려운 바, 이를 위하여 별도의 내측작업대가 요구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복열 주형간의 내측날개부들과 내측면부재들의 하단면 작업을 위한 내측작업대는 작업대차의 구성상 하부작업대에 설치되어야하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구조적 특성상 하부작업대에 내측작업대를 설치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하부작업대는 외측작업대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된 지지장치에 외팔보형식으로 지지되어, 작업시에는 복열 주형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정열고정되어야 하고, 타측 경간으로 이동할 때에는 교각을 통과할 수 있도록 복열 주형들의 하방측에서 외측 주형의 외측방으로 빠지거나, 지지장치에 설치된 회전장치에 의하여 교각 외측으로 90도 회전시켜서 교각을 통과한 후에, 다시 작업상태로 복열 주형들의 하방측에 가로방향으로 정열고정되어야 하는 구조적 및 동작특성을 수반하므로, 내측작업대의 설치를 위치적인 특성만 고려하여 단순하게 복열 주형간의 내측날개부 하방에서 하부작업대의 중앙측 부재에 돌출 고정시켜 높게 형성하면, 상술한 바와 같은 작업대차의 경간이동작동을 위하여 좌우로 분리된 하부작업대를 교각의 외측으로 각각 회전시킬 때, 돌출형성한 내측작업대가 주형의 내측면부재에 걸려서 회전이 불가능하여 경간이동 작동을 실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최근의 교량들은 전체 길이는 물론 일 경간의 길이도 매우 길게 구축되는 것이 보편적인 바, 경간의 길이를 길게하는 교량을 구조적 특성상 전 구간에 걸쳐 주형의 높이가 중앙측 경간이나 가장자리측 경간에서 상당한 차이를 갖고 있고, 일 경간내에서도 주형의 높이가 중앙부측은 낮고 교각측으로는 높게 형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넓은 폭의 교량을 구축하기 위하여 주형을 2열 이상의 복열로 구축하는 교량에 있어서는 하부작업대에 상기와 같은 제반 교량 구조적 특성을 범용성있게 수용할 수 있는 내측작업대를 설치하기에는 상당한 어려움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복열 주형식 교량용 하단면 작업대차에 요구되는 내측날개부용 내측작업대로서, 작업대차의 경간이동시에는 하부작업대의 회전작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도, 사용할 때에는 주형의 측면부재 높이에 따라 신축성있게 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높이 가변형 내측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다른 목적은 제작과 사용이 간편하고 그 작동제어가 용이하며 견실한 지지구조와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고품질의 내측작업대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복열 주형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용 하부작업대에 부설되는 내측작업대의 구성으로서, 양측 주형의 내측날개부 하방측에서 좌우로 분리되는 양측 하부작업대의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한쌍의 수평작업대와, 상기 좌우 한쌍의 수평작업대들을 각각 주형의 하단면부재에 간섭되지 않게 하강시키거나 임의의 높이로 상승 정열시키는 가변식으로 양측 하부작업대의 선단부에 지지시키는 X 자형 승강작동부재 및 이들 승강작동부재를 절첩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좌우 유압구동식 승강장치와, 상기 좌우 수평작업대의 삼면 측방으로 절첩식 펜스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일실시예의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일예의 2열 주형식 PC교량에 적용한 일예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정면구성도이고, 제2도는 제1도 구성의 작업대차를 다음 경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양측 하부작업대를 회전시킨상태의 정면도이다.
상기 일실시예 구성에서 부호 S1, S2는 일예의 PC 교량을 구성하는 2열의 좌우 주형을 단면상으로 표시한 것이고, Sa, Sd는 좌우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들을 각각 표시하며, Sb, Sc는 좌우 주형(S1)(S2)의 내측날개부들을 각각 표시하며, Se는 좌우주형(S1)(S2)의 외측면부재를 표시하며, Sf는 좌우 주형(S1)(S2)의 내측면부재를 표시하며, Sg는 좌우 주형(S1)(S2)의 하단면부재를 각각 표시하며, Pr1, Pr2는 주형을 받치는 교각을, Ap는 도로면을 각각 표시한 것이다.
상기한 일예 구성의 PC 교량에 적용한 일예의 하단면주행식의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구성은, 좌우 주형(S1)(S2)의 경계부(결합부)를 중심으로 좌우 대칭형의 장치로 형성되어 상기 경계부에서 좌우 하부작업대의 선단이 분리, 결합되는 구성이다.
중요구성으로는, 작업대차 전체를 좌우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의 하단에 각각 지탱시키면서 교량을 따라 자주식으로 이동시키는 좌우측 주행장치(10)들과, 이 좌우측 주행장치(10)들을 상단에 각각 부설하여 현가식으로 작업대차 전체를 지탱시키는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과, 이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 각각의 일측에서 수직하향으로 회전축수부재들에 의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하단에는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각각 상하 유동자재케 피봇축설하는 하부작업대 축수부재 등을 구비한 좌우측 회전지지장치(30)들과, 상기 좌우측 회전지지장치(30)들 각각의 상단과 상기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간에 설치되어 좌우측 회전지지장치(30)들을 각각 임의의 회전각으로 회전시키는 좌우측 회전구동장치(40)들과, 상기 좌우측 회전지지장치(30)들의 하단에서 축수부재에 의해 외측부가 상하 유동식의 외팔보형으로 피봇 현가되는 상방이 개구된 사각단면형 트러스부재로 된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일예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주요 구성요소들인 좌우측 주행장치(10)들,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 좌우측 회전지지장치(30)들, 좌우측 회전구동장치(40)들,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은 각각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되는 것인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필요한 중요구성을 일측 구성을 기준으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주행장치(10)의 구성은 제3, 5, 6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 하단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고정축설되는 레일(12)과 이 레일(12)의 하단날개(121) 양측 상면에 동일회전축상으로 얹혀져 활주하는 수개의 구동휠(14) 및 아이들휠(15)들과, 상기 구동휠(14) 및 아이들휠(15)들을 일정 간격을 두고 전, 후방에서 각각 축수하는 전후방 휠브라켓(16)들과, 상기 휠브라켓(16)들의 일측에 고정되어 구동휠(14)을 구동하는 감속기어 일체형 구동모터(17)를 구비한 구성이다.
상기 외측작업대(20)의 구성은 제3, 4, 5도 내지 제7도 등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주행장치(10)의 구동휠(14)과 아이들휠(15) 및 구동모터(17)들을 축수하는 전후방 휠브라켓(16)들을 지지하는 상부프레임(22)과, 상기 상부프레밍(22)을 지지하는 수직프레임(23)(24)과, 상기 수직프레임(23)(24)에 지지되어 2열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 하단면과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수평작업판(25)을 기본골조로 하여, 하단내측과 상단 외측에는 각각 하부위치정열장치(27)와 상부위치정열장치(28)를 구비하여, 좌우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 하방에서 각각의 외측면부재(Se)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좌우측 외측작업대(20)에 각각 설치되는 하부위치정열장치(27)는, 상기 각각의 수평작업판(25)의 내측단 전후방에 각각 유동자유롭게 유동브라켓(271)을 설치하고, 이 유동브라켓(271)의 하단외측에는 하부정열휠(272)을 주형(S1)(S2)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아이들 축설하며 상기 유동브라켓(271)의 하단과 수평작업판(25)의 내측 하단사이에는 유압실린더(273)을 설치하여, 상기 유동브라켓(271)의 하단을 유압실린더(273)로 좌우 주형(S1)(S2)의 외측면부재(Se) 하단측으로 회동시켜 압접하는 구성으로 설치되어, 후술하는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의 위치고정시나, 경간이동행정시에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이 주형의 외측면부재(Se)측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수평으로 정열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좌우측 외측작업대(20)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위치정열장치(28)는, 수평작업판(25)의 외측 상단면에 설치된 전후방 수직프레임(26)들의 상단 외측에 각각 유압실린더(283)로 높이가 조절되는 유동브라켓(281)을 설치하고, 이 유동브라켓(281)에는 각각 주형(S1)(S2)의 길이방향으로 회전되게 상부정열휠(282)을 아이들 축설하여, 후술하는 하부작업대의 위치고정시나, 경간이동행정시에 유압실린더(283)를 작동시켜 상기 전후방 상부정열휠(282)들을 각각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의 하단면에 압접시켜서,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이 각각 좌우 주형의 외측방향으로 기울어짐을 방지하여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정열하는 구성이다.
상기 회전지지장치(30)의 구성은 제 7, 8 9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 각각에 설치된 수평작업판(25) 내측편에서 수직하향으로 회전축수부재를 갖고 회전자유롭게 설치되는 수직지지부재(31)를 기본 골조로하여, 상기 수직지지부재(31)의 상단과 수평작업판(25)간에 설치되어 수직지지부재(31)를 임의의 회전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장치(40)와, 상기 수직지지부재(31)의 하단에서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을 각각 상하 유동자재케 피봇축설하는 하부작업대 축수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수직지지부재(31)는 하단부가 사각단면형의 트러스부재로 되고, 상단부는 외주연에 턴플랜지(33)를 갖는 원통관(32)으로 구성되며, 상기 턴플랜지(33)의 상단에는 원통관(32)의 좌우 중심선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연결공을 갖는 좌우 구동브라켓(35)(35a)이 연설되고, 하단부 트러스부재의 하단에는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피봇축설하는 하부작업대 피봇힌지(36)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한 구성의 수직지지부재(31)를 좌우측 각각의 외측작업대(20)들에 회전자유롭게 지지하면서 일정각도로 회전구동시키는 회전구동장치(40)의 구성은,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 각각의 수평작업판(25) 내측편에 각각 고정 설치되고 상단면에 상기 턴플랜지(33)를 회전자유롭게 축설하는 드러스트 베어링부재(43)를 구비하여 원통관(32)을 회전자유롭게 축설하는 턴테이블(44)과, 실린더로드(42)(42a)들은 원통관(32)의 좌우 구동브라켓(35)(35a)들에 각각 연결되고 몸체는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 각각의 외측편에 고정설치된 좌우 각각 한쌍의 회전유압실린더(41)(41a)들로 구성된다.
상기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의 구성은 제1, 2, 7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방이 개구된 사각 트러스부재로 되어 좌우측 각각의 외측단들은 좌우 각각의 수직지지부재(31)들의 하단에서 피봇힌지(36)에 상하로 유동자유롭게 축설되고, 선단부들은 2열 주형(S1)(S2)의 경계부에서 선단결합장치(60)들에 의하여 분리 결합되는 구성으로 설치되며, 좌우측 각각의 수직지지부재(31)의 상단 외측과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의 외측 상단간에는 수평조절유압실린더(49)가 각각 설치되고,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 각각에는 선단하측간과 후단하측간에 텐션바(93)들이 전후방으로 각각 설치된 구성이다.
이러한 구성의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은 작업시에 좌우 주형(S1)(S2)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위치되게 좌우 트러스부재들의 선단부를 선단결합장치(60)를 결합시켜 일체로 조립하고, 경간이동을 위하여 좌우 교각(Pr1)(Pr2)을 통과시에는 결합된 좌우 트러스부재들의 선단부를 분리하여, 각각의 좌우 트러스부재들을 지지하고 있는 좌우 회전지지장치(30)들을 각각의 회전구동장치(40)들로 90도로 회전시켜서 양측교각(Pr1)(Pr2)에 간섭되지 않게 트러스부재들을 90도 회전시키는 구성이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48은 작업대차 전체에 설치된 제반 유압실린더 작동용으로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의 외측상단에 각각 설치된 유압장치유니트이며, 부호 90은 교량의 도로면(Ap)측에서 좌우 외측작업대(20)측에 걸쳐 설치된 사다리구조물이고, 부호91은 좌우 하부작업대(50)(51)의 카운터웨이트이며, 96은 구동모터(17) 및 제반 전기동력기구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트롤리바이며, 97은 전원트롤리바 행거이며, 111은 레일(12)의 고정대이고, 112는 고정대(111)를 주형(S1)(S2)의 외측 날개부(Sa)(Sd)에 고정시키는 고정볼트를 각각 도시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일예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에 실시되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의 선단부 상방에 각각 좌우 대칭으로 설치되는 좌우측 내측작업대(70)로 구성된다.
좌우 내측작업대(70)의 구성을 제10, 11도 및 제12, 13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하부작업대(50)에 설치된 한쪽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내측작업대(70)의 기본적인 구성은, 하부작업대(50)의 선단부 상단에 설치되는 유압 구동식 승강장치(71)와, 이 승강장치(71)의 상단에 지지되는 수평작업대(72)와, 상기 수평작업대(72)의 삼면 측방에 축설되는 절첩식 펜스(73)와, 상기 수평작업대(72)의 일측방에 설치되는 지지각도 조절형 계단부재(74)로 구성된다.
상기 승강장치(71)는 하부작업대(50)의 상단에 수평작업대(72)를 지지시키면서 그 지지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유압구동식 승강작동부재로서, 수평작업대(72)의 하단과 하부작업대(50) 상단간에 전후방 양측에 각각 대칭형으로 한쌍이 설치된다.
상세한 구성은 하단이 하부작업대(50)의 상단부재(53) 선단부 상면에 고정된 힌지(713)에 유동식으로 고정되고 상단은 수평작업대(72)의 좌측하단의 안내레일(721)에 로울러(715)로 활접되게 설치되는 외측 승강대(711)와, 이 외측 승강대(711)와 내측에서 X자형으로 교차되게 상단은 수평작업대(72)의 우측하단에 고정된 힌지(714)에 유동식으로 고정되고 하단은 하부작업대(50)의 상단부재(53)에 설치된 안내레일(55)에 로울러(716)로 활접되게 설치되는 내측 승강대(712)를 구비하여, 내외측 승강대(711)(712)들의 중간 교차부를 축핀(717)으로 유동자유롭게 축설하며, 상기 전후방 로울러(715)간 및 전후방 로울러(716)간에는 각각 보강봉(719)들을 설치하고, 전후방 내측 승강대(711)들간의 축핀(717) 상부측간 및 전후방 외측 승강대(712)들의 하부측간에는 각각 상하측 보강봉(719a)(719b)들을 설치하여, 상기 상하측 보강봉(719a)(719b)들간에는 전 후방으로 각각 하부작업대(50)의 외측방에 탑재되는 유압유니트(48)에 유압제어회로로 연결되어 그 작동이 동일행정으로 연동되게 제어되는 2개의 유압실린더(718)들을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승강장치(71)에 의하여 하부작업대(50)(51)의 상방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수평작업대(72)의 구성은, 일측 주형(S1)의 내측날개부(Sb)의 폭과 거의 동일한 규격의 길이와, 하부작업대(50)(51)의 선단부 트러스부재의 폭과 거의 동일한 규격의 폭을 같은 장방형으로 형성되어, 좌측을 제외한 전방, 후방, 우측단에는 각각 힌지(731)들로 유동자유롭게 축설되는 일정높이의 절첩식 펜스(73)들을 구비하되, 각각의 펜스(73)들은 세워진 상태에서는 서로간에 모서리부에서 연결구(732)들로 연결되어 지탱되고, 후술하는 수평작업대(72)의 하강시에는 연결구(732)들을 제거한 상태에서, 제13도와 같이 각각의 외측 하방으로 힌지(731)를 축으로 180도 젖혀져 절첩되는 구성이다.
상기 계단부재(74)는 수평작업대(72)가 하부작업대(50)의 상단에서 상방으로 올려져 있을 때에 작업자가 이용하는 계단의 기능과, 주형(S1)의 내측면부재에 대한 제반 작업을 실시하기 위한 작업대의 기능을 수행하는 지지각도 조절식 사다리형 부재로서, 그 상단은 수평작업대(72)의 좌측단에 힌지(741)로 회동자유롭게 축설되고 하단은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하부작업대(50)의 상단에서 좌우측 트러스부재의 내측으로 출입할 수 있는 정도의 폭으로 형성되며, 외측면 상방 양측에는 일정폭의 펜스(742)를 구비하며, 상단 내측과 수평작업대(72)의 하단간에는 지지각도 조절용 유압실린더(743)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계단부재(74)는 수평작업대(72)를 상승시켜 작업상태로 위치정열한 상태에서는, 유압실린더(743)를 작동시켜 계단부재(74)의 하단을 외측으로 벌려 경사지게 하므로서, 작업자가 수평작업대(72)에 오르내리기 편하게 하면서, 한편으로는 좌우 주형의 내측면부재(Sf)에 대한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며, 수평작업대(72)의 승, 하강작동시에는 제1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743)의 작동유압을 제거하여 자중에 의하여 수직상태로 위치케하므로서, 수평작업대(72)의 승강작동시에 계단부재(74)가 하부작업대(50)(51)의 좌우측 트러스부재 내측에서 하측트러스부재에 간섭되지 않고 출몰되도록하여 수평작업대(72)의 승강작동에 지장을 주지않도록 제어되는 구성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측작업대(70)는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에 각각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되는 바, 좌우측 내측작업대(70)들 각각에 설치된 수평작업대(72)들의 승강작동은 좌우측을 각각 별도로 제어하고, 각측에서는 승강장치(71)에 설치된 전후방 2개의 유압실린더(718)들을 동시에 연동제어하여 실시한다.
좌우측 내측작업대(70)들의 수평작업대(72)들을 작업높이로 상승시키는 상승행정은 각개의 승강장치(71)에 설치된 전후방 유압실린더(718)들에 유압을 공급하여 실시한다.
유압유니트(48)에서 전후방 유압실린더(718)들에 일정량의 유압이 공급되면 그 작동로드들이 돌출되면서, 실린더몸체들은 외측 승강대(711)간에 설치된 하측 보강봉(719b)들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작동로드들이 지지된 상측 보강봉(719a)을 들어올려 전후방 각각의 내외측 승강대(711)(712)들을 상하로 벌리게 된다.
이때에 외측 승강대(711)는 하단측이 하부작업대 상면부재(53)에 힌지(713)로 고정축설되어 있으므로 상단측 로울러(715)가 수평작업대(72)의 하단 안내레일(721)을 활주하면서 세워지게되고, 내측 승강대(712)는 상단측이 수평작업대(72)의 하면 선단부에 힌지(714)로 고정 축설되어 있으므로 하단측 로울러(716)가 하부작업대(50)(51)들의 상단부재(53)에서 안내레일(55) 위를 활주하면서 세워지게되어, 제10도와 같이 수평작업대(72)를 수평을 유지시키면서 일정높이로 상승시키게된다.
이와 같은 행정으로 상승된 수평작업대(72)들을 하강시키는 하강행정은, 먼저 수평작업대(72)에 세워진 전방, 후방, 우측 각각의 펜스(73)들을 연결구(732)들을 제거하여 각각 외측 하방으로 절첩하고, 계단부재(74)를 경사지게 지지하고 있는 유압실린더(743)의 유압을 제거하여 수직으로 세운 후에, 승강장치(71)의 유압실린더(718)들에 공급되어 있는 유압을 제거하여 실시한다.
승강용 유압실린더(718)에 공급된 유압을 제거하면 양측 승강대(711)(712)들을 벌림상태로 지탱하던 작동로드가 수평작업대(72)의 하중에 의하여 인입되므로, 양측 승강대(711)(712)들은 점차 각각의 힌지(713)(714)를 축으로 눕혀져 절첩되면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작업대(72)의 상단이 좌우 주형의 하단면부재(Sg)에 간섭되지 않게 하부작업대(50)(51)의 상단면에 근접되게 하강 안착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측작업대(70)는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에 각각 좌우 대칭형으로 설치되는 바, 그 작용효과를 상술한 일예의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작용효과와 함께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일예의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작동상태는, 일경간 내에서의 교량하부면 작업을 위한 작업대차 정열작동과, 일경간 내에서의 작업대차 이동작동과, 타경간으로의 작업대차 이동작동상태로 구분하여 작동시킨다.
먼저, 일 경간내에서의 교량하부면 작업을 위한 작업대차 정열작동은, 제1도와 같이 일 경간내에서 좌우 주형의 외측날개부(Sa)(Sd)에 설치된 레일(12)에 좌우측 주행장치(10)를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휠(14)들을 구동모터(17)를 정지상태로 제어하여 위치고정시키고,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의 선단 상면에 설치된 좌우 각각의 내측작업대(70)들을 상술한 바와 같이 하강행정으로, 각각의 펜스(73)들을 외측 하방으로 절첩하고, 계단부재(74)를 수직으로 세워준 후에 각각의 승강장치(71)들을 작동제어하여 수평작업대(72)들을 하강시킨 상태에서,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그 선단부들이 맞닿아 주형(S1)(S2)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위치되게 좌우 회전지지장치(30)의 수직 지지부재(31)들을 좌우 회전구동장치(40)들을 각각 작동제어하여 회전시켜준다.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이 각각 그 선단부들이 맞닿아 주형(S1)(S2)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지르게 위치되면, 서로 맞닿은 양측 선단부들에 설치된 선단결합장치(60)를 일체로 결합시켜서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을 수평상의 하나의 구조물로 고정 정열시킨다.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이 하나의 구조물로 고정 정열되면, 좌우 내측작업대(70)들의 수평작업대(72)들을 상술한 바와 같은 상승행정으로 유압실린더(718)를 작동제어하여 설정된 작업높이로 상승시킨다.
좌우 내측작업대(70)들의 수평작업대(72)들이 설정된 작업높이로 상승되면, 각각의 수평작업대(72)의 측방에 구비된 삼면의 펜스(73)들을 수평작업대(72)의 상방으로 세워서 서로간에 연결구(732)로 연결시켜서 고정한 후, 각각에 구비된 계단부재(74)들도 유압실린더(743)들을 작동제어하여 설정된 경사각도로 외측으로 벌려서 정열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이 완료되면, 작업대차의 좌우측 외측작업대(20)들은 양측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 하방에 정열하게되고,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은 좌우 주형의 하단면부재(Sg)들의 하방에 정열하게 되며, 좌우측 내측작업대(70)들은 양측 주형(S1)(S2)의 내측날개부(Sb)(Sc) 하방에 정열하게되어, 제1도와 같이 전체적으로 양측 주형(S1)(S2)의 전체 하부면에 대한 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작업대를 형성한 작업대차 정열작동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대차 정열작동이 완료되면, 양측 주행장치(10)의 구동휠(14)들을 구동모터(17)로 회전제어시키는 작업대차 이동작동에 의하여 작업대차 전체를 일경간 내의 전체 하부면을 따라 주행시키면서 제반 하부면작업을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경간 내에서의 작업대차 정열작동과 이동작동에 의하여 일경간 내에서의 하부면 작업이 완료되면, 타측 경간에서의 하부면 작업을 위하여 타측 경간으로 작업대차 전체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작업대차 전체를 타 경간으로 이동시키는 작동은 다음과 같이 실시된다.
작업대차 전체를 타측 경간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서는 양측 주형(S1)(S2)의 하단면부재(Sg)들을 가로질러 하나의 구조물로 고정 정열된 하부작업대(50)(51)들이 경간을 구획하는 하부 구조물인 양측 교각(Pr1)(Pr2)에 간섭되지않게 양측 교각의 외측방으로 회전시켜야 된다.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을 양측 교각(Pr1)(Pr2)의 외측방으로 회전시키기 위하여서는 먼저, 상승된 좌우 내측작업대(70)들을 상술한 바와 같은 하강행정으로 작동제어하여, 제11도와 같이 수평작업대(72)들을 하부작업대(50)(51)들의 상단부재(53)까지 근접되게 하강시키고, 좌우측 각각의 외측작업대(20)에 설치된 상·하부위치정열장치(27)(28)들을 각각 주형(S1)(S2)의 외측날개부(Sa)(Sd) 및 외측면부재(Se)에 압접시켜 좌우 외측작업대(20)들을 안정되게 정열시킨 후에 실시된다.
좌우측 각각의 내측작업대(70)들이 하강되면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을 결합부의 선단결합장치(60)를 해제하여 좌우 각각의 구조물로 분리한다.
분리된 좌우측 각각의 하부작업대(50)(51)들은 각각의 지지장치인 수직지지부재(31)들을 좌우 외측작업대(20)들의 축수관(44)을 회전축으로하여, 제 8, 9도 등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좌우 회전구동장치(40)의 회전유압실린더(41)(41a)들을 회전위치로 작동제어시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과할 교각(Pr1)(Pr2)들에 간섭되지 않게 각각 외측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다.
이러한 하부작업대(50)(51)들의 회전작동은 상세하게는 제9도와 같이, 좌측 회전구동장치(40)를 기준으로 할 때, 전방측 회전유압실린더(41)의 실린더로드(42)는 충분히 돌출된 상태로, 후방측 회전유압실린더(41a)의 실린더로드(42a)는 완전히 당겨진 상태로 원통관(32)의 구동브라켓(35)(35a)들을 하부작업대(50)의 중심선상에 대하여 45도 각도로 위치시킨 결합위치상태에서, 전방측 회전유압실린더(41)는 실린더 로드 (42)를 잡아 당기고, 후방측 회전유압실린더(41a)는 실린더 로드(42a)를 밀어내게 작동제어하여 상기 결합위치에서 원통관(32)을 시계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키면, 수직지지부재(31)에 지지된 좌측 하부작업대(50)의 선단부도 후방측으로 90도 선회하게된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대측 우측 하부작업대(51)도 회전유압실린더(41)(41a)의 작동방향만 다르게하여 그 선단부를 후방측으로 90도 선회시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이 통과할 좌우 교각(Pr1)(Pr2)들에 간섭되지 않게 각각 외측방향으로 평행하게 벌어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의 벌림회전이 완료된 후에, 좌우 각각의 하부위치정열장치(27)와 상부위치정열장치(28)들이 주형(S1)(S2)의 외측 날개부(Sa)(Sd) 및 외측면부재(Se)에 압접된 상태에서 좌우 주행장치(10)의 구동모터(17)를 각각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다음 경간측으로 이동되게 구동제어하면, 양측 외측작업대(20)들과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을 다음경간으로 각각 이동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양측 외측작업대(20)들과 하부작업대(50)(51)들을 각각 경간이동작동으로 새로운 경간내에 충분히 이동시킨 후에는, 좌우 각각의 회전구동장치들의 회전유압실린더(41)(41a)들을 상기 벌림회전제어와는 반대방향으로 위치제어하여, 벌려져 있는 양측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다시 정열상태로 양측 주형(S1)(S2)의 경계부측인 중앙측으로 회전시키고, 이어서 그 선단부들을 선단결합장치(60)를 사용하여 일체로 결합시키면,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이 주형(S1)(S2)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하나의 구조물로 고정 정열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업대차의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이 이동된 경간에서 주형(S1)(S2)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하나의 구조물로 고정 재 정열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내측작업대(70)들의 수평작업대(72)들을 상승행정으로 작동제어하여 작업위치로 상승시키고, 각각의 삼면 펜스(73)들을 세워 고정시키며, 계단부재(74)들을 경사지게 위치제어하면 제1도와 같이 다시 전체적인 하부면 작업대차로 정열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측작업대(70)의 구성에 의하면, 승강장치(71)의 작동특성에 의하여 좌우측 전후방 유압실린더(718)들을 각각 승, 하강행정으로 작동제어함에 따라서, 좌우측 수평작업대(72)들을 내측날개부에 근접시켜 가변식으로 임의의 높이로 승강 정열시키거나, 양측 주형(S1)(S2)의 하단면부재(Sg)에 간섭되지 않게 하부작업대(50)(51)들의 상단면에 하강 안착시킬 수 있는 바,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차가 교량 전체에 걸쳐서 비교적 적은 복열 주형식 교량용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하부작업대가 경간이동시에 좌우로 분리 회전되는 형식의 작업대차에 요구되는 내측날개부용 내측작업대의 구조적 특성을 만족시킬 수 있는 것이며, 특히 수평작업대(72)들의 설치높이를 승강장치(71)의 승강폭내에서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 교량 전길이에 주형의 하부부재간에 얼마간의 높이차가 있어도 이를 수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가지며, 수평작업대(72)의 승강작동제어가 매우 간편하고 용이하면서도 작동불능 등의 하자가 거의 없는 안정적인 제어특성을 가지며, 수평작업대(72)를 별다른 고정수단없이 임의의 위치에 견실하면서도 항상 수평상태로 고정 정열시킬 수 있어서 하부면작업시에 작업자의 안전성을 확실히 보장하는 특징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측작업대(70)의 구성은 적용되는 교량이 복열 주형이면서 그 주형의 외측면부재(하부부재)의 높이가 한 경간내에서, 또는 전체교량에 걸쳐서 동일내지는 소폭의 높이차를 갖는 형식에 유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인 바, 교량의 전체 길이를 길게 형성하면서 일 경간의 길이도 길게 구축하기 위하여서는 교량의 구조적 특성상, 교량 중앙측 경간에서의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는 낮고 가장 자리측 경간에서의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는 높게 형성하던가, 또는 일 경간내에서도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가 중앙부측은 낮고 양측 교각측으로는 높게 형성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서, 상기 일예와 같이 회전지지장치(30)의 수직지지부재(31)의 높이가 고정식으로 형성된 작업대차는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차가 상당할 때는 이를 수용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 여유를 갖고 형성하여야 하므로 제작상이나 사용상에 여러 가지 문제점이 발생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져 하나의 교량에서 주형의 하부부재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하부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장치를 갖는 작업대차가 본출원인의 선 출원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장치를 갖는 작업대차는 하부작업대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어서, 일 경간내에서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가 변화하여도 용이하게 대처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일경간내에서 주형의 하부부재의 높이차가 현저할 경우에는 내측날개부의 높이차도 현저하게 형성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일실시예의 내측작업대(70)는 승강높이의 가변폭이 적어서 내측날개부의 높이차가 하부작업대로부터의 가변폭이상으로 형성되는 교량에는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예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구현하기위한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로, 주형의 하부부재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하부작업대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장치를 갖는 작업대차용의 고승강가변(高昇降可變)형 내측작업대가 제공된다.
제14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고승강가변형 내측작업대가 적용된 일예의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수단을 구비한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구성도이다.
이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수단을 구비한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구성은 전술한 일예의 고정식 회전지지장치를 구비한 작업대차 구성에 비하여,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의 지지높이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는 가변식으로 구성함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상기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수단은 제16도와 같이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장치(30a)로 구성하고 있는 바, 외측작업대(20)와의 축수수단이면서 회전수단인 상방부의 회전구동장치(40)는 상기 일예의 고정식 회전지지장치와 동일하게 구비되어 있고, 수직지지부재(31a)의 구성은 사각통형으로 형성되어 그 길이가 주형의 높낮이를 수용할 수 있는 정도의 고정식보다 길게 형성되며,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축수하는 부재는 수직지지부재(31a)의 외면에 사각통형으로 끼워져 승강되는 축수대(44)로 구성되어,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의 외측부를 이 축수대(44)에 외측면에 끼워 선단부가 상하로 유동되게 전후방에서 힌지(54)로 결합시키며, 상기 축수대(44)는 수직지지부재(31a)의 내부에 설치되는 승강장치로 승강시키는 구성이다.
상기 축수대(44)의 승강장치 구성은 제14, 15, 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체가 상단은 수직지지부재(31a)의 내부 상방에 유동식으로 고정되어 그 작동 로드(45a)가 하방으로 출몰하는 유압실린더(45)와, 이 유압실린더(45)의 로드(45a)에 수평선상으로 고정축설된 하부수평축봉(46)에 일정간격으로 수개의 하방풀리(461)들을 아이들 축설하고, 실린더 몸체의 고정단측 높이정도에는 상부수평축봉(46a)을 하부수평축봉(46)과 평행하게 고정축설하여 수개의 상방풀리(462)들을 아이들 축설하며, 상기 축수대(44)의 양측 상단에는 각각 이동풀리(47)들을 고정설치하여서, 제1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풀리들에 감기는 두줄의 와이어(W1)(W2)를 각각의 내측 자유단은 하부수평축봉(46)의 내측단에 고정한 후, 타측단을 일차로 상부수평축봉(46a)에 축설된 상방풀리(462)들중에 내측것에 걸어서 하향시킨 후, 다시 하부수평축봉(46)에 축설된 하방풀리(461)중에 내측것에 걸어주는 방식으로, 전체 풀리들에 연차적으로 걸어서 최종적으로는 축수대(44)의 양측 상단에 설치된 이동풀리(47)들에 감아서 상측으로 올려 상부수평축봉(46a)의 외측단에 고정시키는 다중 도르래장치를 응용한 운동거리 단축형 승강장치로 구성한 것이다.
상기한 승강장치 구성에 의하면, 제15도의 (a)와 같이 유압실린더(45)를 작동시켜 로드(45a)을 하방으로 밀면 축수대(44)의 양측에 고정축설된 이동풀리(47)들을 상방으로 끌어올리게 작용하여, 결론적으로 축수대(44)가 긴 수직지지부재(31a)의 외면을 타고 상승하여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상승시키는 상승행정으로 작동되고, 반대로 제15도의 (b)와 같이 유압실린더(45)를 작동시켜 로드(45a)를 당겨주면 이동풀리(47)는 하강되게 작용하여, 결론적으로 상방에 있던 축수대(44)가 긴 수직지지부재(31a)의 외면을 타고 하강하여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을 하강시키게되는 하강행정으로 작동되는 것이다.
이러한 다른 실시예의 회전지지장치(30a) 구성에 의하면 제14, 1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 경간내에서도 주형(S1)(S2)의 하부부재인 측면부재 높이가 교각측에서는 높고, 중앙측으로는 점차적으로 낮아져 상당한 높이차를 갖거나, 경간별로 하부부재의 높이차가 큰 주형들이 병합되어 설치된 형식의 복합형 주형(S1x)(S2x)을 갖는 교량들에 적용할 때에도, 교량의 전 구간에 한 대의 작업대차만을 설치하여도 좌우 하부작업대(50)(51)들의 설치높이를 적정높이로 조절하면서 주형의 하부부재가 상당한 높이차가 있어도 이를 수용하여 주형의 하단면부재(Sg)에 근접시켜 제반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범용성을 갖는 것이다.
상기한 구성의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장치(30a)를 갖는 작업대차의 구성에 있어서, 높이차가 큰 복합형 2열 주형(S1x)(S2x)의 하단면부재(Sg)에 대한 작업은 높이를 임의로 가변시킬 수 있는 하부작업대(50)(51)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작업할 수 있으나, 주형의 하단면부재(Sg)의 높이변화에 따라 하부작업대(50)(51)들에 대한 내측날개부(Sb)(Sc)들의 높이도 큰 폭으로 변화되는 특성이 있으므로, 이러한 큰 폭의 높이차를 갖는 좌우 주형의 내측날개부(Sb)(Sc)들에 대한 내측작업대의 구성도 승강높이를 상당한 폭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수단을 필수적으로 구비하여야 한다.
제14도 및 제 16, 17, 18, 19도에는 이러한 특성을 구비하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고승강가변형 내측작업대(70a)의 구성과 작동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이 구성은 전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 내측작업대(70)의 구성에 비하여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승강시키는 고승강형 승강장치(71a)의 승강작동부재들을 하부승강대(71a)(712a)들의 상단에 상하대칭형의 상부승강대(711b)(712b)를 증설하여, 수평작업대(72a)의 승강가변폭을 고승강형으로 증대시킴을 특징으로 한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고승강형 내측작업대(70a)의 상세한 구성을 제16, 17, 18도에 도시한 일측 구성을 기준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의 구성은 삼면측단에 각각 절첩식의 펜스(73a)들과 안내레일(721a), 힌지(714a)들을 갖는 점에서 동일하고,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에 대한 작업자의 승강수단인 계단부재는 상기 일실시예의 계단부재(74) 구성과 동일하게 부설할 수도 있으나, 승강높이가 큰 폭인 관계로 중량이 늘어나고 승강작동시에 요동이나 하부작업대와의 간섭이 우려되어 생략 구성된다.
상기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승강시키는 고승강형 승강장치(71a)의 구성은, 하부작업대(50)의 상단에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지지시키면서 그 지지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유압구동식 승강작동부재인 점에서는 일실시예의 내측작업대(70)의 기술적 구성과 동일하다.
단, 이 구성은 승강작동부재들을 일실시예의 승강대(711)(712)들의 부재와 동일한 부재인 하부승강대(711a)(712a)들을 사용하여, 일측 하부승강대(711a)의 하단은 하부작업대(50)(51)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하향된 위치에 고정 설치한 안내레일(55a) 상에 힌지(713a)로 설치하고, 타측 하부승강대(712a)는 축핀(717a)으로 상기 하부승강대(711a)와 X 자형으로 교차 설치한 상태에서 그 하단을 로울러(716a)로 상기 안내레일(55a)에 활주하게 설치한 후에,
양측 하부 승강대(711a)(712a)들의 상단에는 하부 승강대(711a)(712a)들과 동일한 규격의 한조의 상부승강대(711b)(712b)들을 상하 대칭형으로 증설하여 동시에 연동되는 쟈바라형으로 형성하고, 증설된 일측 상부승강대(711b)의 상단은 로울러(715a)가 안내레일(721a)에 활주되게 설치하고, 타측 상부승강대(712b)의 상단은 힌지(714a)로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에 각각 설치한 구성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하부승강대(711a)(712a)들을 지지하는 안내레일(55a)의 고정위치는, 상,하부 승강대(711a)(712a)(711b)(712b)들의 절첩시에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가 충분히 하부작업대(50)(51)들의 상단부재(53)에 근접하여 안착될 수 있도록 고려된다.
이러한 구성의 상, 하부승강대(711a)(712a)(711b)(712b)들의 구동수단인 유압실린더(718a)는,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가 내측날개부의 최대높이에 대응한 승강폭을 가질 수 있는 정도의 작동행정을 갖는 규격을 채용하여, 일실시예의 내측작업대(70)의 기술적구성과 동일하게 설치하여 고승강형 승강장치(71a)를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고승강형 내측작업대(70a)는 좌우측 하부작업대(50)(51)들에 각각 좌우대칭형으로 설치되는 바, 2단 승강부재로 형성된 고승강형 승강장치(71a)의 작동특성에 의하여 좌우측 유압실린더(718a)를 각각 승, 하강행정으로 작동제어함에 따라서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들을 고승강형 높이를 가변하여 승, 하강시킬 수 있다.
즉, 작업대차의 경간이동을 위한 하부작업대(50)(51)들의 회전작동을 위하여 수평작업대(72a)를 하강시키고져 할 때는, 유압실린더(718a)의 유압을 제거하면 하강행정으로 작동제어되어, 상, 하부 승강대(711a)(712a)(711b)(712b)들이 동시에 연동하여 하향으로 접혀지면서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복합형 2열 주형(S1x)(S2x)의 하단면에 간섭되지않게 하부작업대(50)(51)들의 상단면에 근접되게 하강시킬 수 있고, 하강되어 있는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제14,19도와 같이 일경간내에서 하단면 작업을 위하여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좌우 주형의 내측날개부(Sb)(Sc) 하단면에 근접하게 상승시키고져 할 때는, 유압실린더(718a)에 유압을 공급하면 세워지는 하부승강대(711a)(712a)들에 연동하여 상부 승강대(711b)(712b)들도 동시에 세워지는 승강행정으로 작동제어되어,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복합형 2열 주형(S1x)(S2x)의 좌우 주형의 내측날개부(Sb)(sc)의 하단면을 작업할 수 있는 임의의 높이로 상승시켜 별다른 고정수단없이 정위치에 고정 정열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 다른 실시예 고승강형 내측작업대(70a)의 구성에 의하면 높이가변식 회전지지장치(30a)를 갖는 작업대차의 구성에 적용하여, 일 경간내에서나 경간별로 높이차가 큰 복합형 2열 주형(S1x)(S2x)으로 구축되는 교량의 하부면작업에 있어서, 주형의 하단면부재(Sg)의 높이변화에 비례하여 큰 폭으로 변화하는 하부작업대(50)(51)들에 대한 내측날개부(Sb)(Sc)들의 높이 변화에 대응하여, 내측작업대(70a)의 높이를 큰 폭에 걸쳐 가변시키면서 항상 적정한 높이로 정위치에 정열시켜 작업할 수 있으므로 내측날개부와 내측면부재의 하부면작업을 용이하게 하면서 작업자의 안전성을 최대한 보장할 수 있는 것이며, 상기와 같은 큰 폭의 승강높이작동을 유압실린더(718a)의 작동제어에 의하여 간단하게 실시할 수 있으므로서 승강작동제어가 매우 용이한 특징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여러 실시예들의 특징들에서 살펴 볼 때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를 구성함에 있어서, 작업대차의 제작 및 작동특성 등을 현저히 제고시키며, 교량의 하부면 작업환경과 능률을 한층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서 제품경쟁력을 대폭 높여주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상술한 일실시예들의 구성은 본 발명을 실시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시된 것이지 반드시 이에 국한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내측작업대에 구비되는 제반 유압실린더들은 제작특성이나 그 제품특성에 따라서 설치위치를 변경시켜서도 동일한 작용특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며, 수평작업대들의 삼면측단에 구비되는 각각의 절첩식 펜스들의 구성은, 수평작업대의 외측 하방으로 힌지를 축으로 180도 젖히는 절첩수단외에도, 각면의 펜스들이 수평작업대의 상면으로 접혀지는 수단으로 실시하여서도 동일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PC(prestressed concrete)교량이나 강재(鋼材) 박스보 교량등과 같이 측면으로 날개부가 형성되고 내측에는 내측날개부가 형성되는 복열 주형(Main girder)식 교량 하방부에서, 교량을 따라 자주식으로 이동하면서 작업시에는 주형의 하방을 직교방향으로 가로질러 정열되고, 교각의 통과시에는 좌우로 분리되어 교각에 간섭되지않게 교각 외측방으로 회전하는 하부작업대를 구비하여, 교량의 하부면에 대한 제반 작업을 실시하는 하부면 작업대차의 하부작업대에 부설되는 내측작업대 구성으로서, 양측 주형의 내측날개부 하방측에서 좌우로 분리되는 양측 하부작업대의 상방에 각각 설치되는 좌우 대칭형 한쌍의 수평작업대와, 상기 한쌍의 수평작업대들을 각각 주형의 하단면부재에 간섭되지 않게 하부작업대의 상단면에 하강시키거나, 내측날개부에 대한 임의의 작업높이로 상승 정열시키는 가변식으로 양측 하부작업대의 선단부에 지지시키는 X자형 승강작동부재와 이들 승강작동부재를 절첩하는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유압구동식 승강장치와, 상기 한쌍의 수평작업대들의 삼면 측방으로 절첩식 펜스를 구비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2. 제1항에 있어서 내측작업대의 구성을, 장방형으로 되어 일측면에는 지지각도 조절형 계단부재(74)가 설치되고, 나머지 삼면측단에는 각각 힌지(731)로 하단이 축설되어 서로간에 연결구(732)에 의해 세워지거나 외측 하방으로 젖혀 절첩시킬 수 있는 절첩식 펜스(73)들을 설치한 수평작업대(72)와, 상기 수평작업대(72)와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 사이 각각의 전후방에 대칭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수평작업대(72)를 좌우 하부작업대(50)(51)의 선단부 상단에 각각 지지시키면서 그 지지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유압구동식 승강작동장치로서, 하단이 하부작업대의 상단부재(53) 선단부에 힌지(713)에 의해 유동식으로 고정되고 상단를 수평작업대(72)의 하단 안내레일(721)에 로울러(715)로 활접되게 설치되는 외측 승강대(711)와, 이 외측측 승강대(711)와 X자형으로 교차되는 상하 대칭형으로, 상단은 수평작업대(72)의 우측하단에 힌지(714)에 의해 유동식으로 고정되고 상단은 하부작업대의 상단부재(53)에 설치된 안내레일(55)에 로울러(716)로 활접되게 설치되는 내측 승강대(712)를 구비하여, 내외측 승강대(711)(712)들의 중간 교차부는 축핀(717)으로 유동자유롭게 축설하고, 내외측 승강대(711)(712)들의 일측부분간에는 상하측 보강봉(719a)(719b)들을 설치하여 전후방으로 유압실린더(718)들을 설치하며, 상기 전후방 승강대(711)들의 상단간과 전후방 승강대(712)들의 하단간에는 각각 보강봉(719)으로 고정시킨 유압구동식 승강장치(71)를 구비한 내측작업대(7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3. 제1항에 있어서 내측작업대의 구성을, 장방형으로 되어 좌우 주형의 내측면부재(Sf)측을 제외한 나머지 삼면측단에는 각각 힌지(731a)로 하단이 축설되어 서로간에 연결구(732)에 의해 세워지거나 외측 하방으로 젖혀 절첩시킬 수 있는 절첩식 펜스(73a)들을 설치한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와, 상기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와 양측 하부작업대(50)(51)들 사이 각각의 전후방에 대칭형으로 설치되어 상기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a)를 좌우 하부작업대(50)(51)의 선단부 상단에 각각 지지시키면서 그 지지높이를 가변시킬 수 있는 유압구동식 승강작동장치로서, 하단이 하부작업대의 상단에서 내측으로 하향된 위치에 고정설치된 안내레일(55a) 상에 힌지(713a)로 설치된 외측 하부승강대(711a)와, 상기 외측 하부승강대(711a)와 중간부와 축핀(717a)으로 유동자유롭게 X자형으로 축설되어 일측 하단이 로울러(716a)로 상기 안내레일(55a)에 활주하게 설치된 내측 하부승강대(712a)와, 상기 내외측하부승강대(711a)(712a)들의 상단에 각각 상기 내외측 하부승강대(711a)(712a)들과 동일 구성의 상부승강대(711b)(712b)들을 상하 대칭시켜 연동형으로 증설하고, 상기 내측상부승가대(711b)의 상단은 로울러(715a)로 고승강형 수평작업대(72)(72a)의 안내레일(721a)에 활주되게 설치하고, 외측 상부승강대(712b)의 상단은 힌지(714a)로 고승강형 수평각업대(72a)에 각각 설치하며, 외측 하부승강대(711a)의 하단과 내측 하부승강대(712a)의 상단간에는 2개의 유압실린더(718a)를 상하측 보강봉(719a)(719b)들간에 설치한 고승강형 승강장치(71a)를 구비한 고승강가변형 내측작업대(70)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KR1019960055520A 1996-11-20 1996-11-20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KR01823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520A KR0182383B1 (ko) 1996-11-20 1996-11-20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5520A KR0182383B1 (ko) 1996-11-20 1996-11-20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861A KR19980036861A (ko) 1998-08-05
KR0182383B1 true KR0182383B1 (ko) 1999-04-01

Family

ID=19482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520A KR0182383B1 (ko) 1996-11-20 1996-11-20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238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9063A (ko) * 2002-10-30 2004-05-10 방성순 이동식 교량 점검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0504426B1 (ko) * 2002-05-13 2005-07-28 최성문 이동식 교량 점검 장치
KR100530351B1 (ko) * 2000-03-03 2005-11-2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CN106013866A (zh) * 2016-07-11 2016-10-12 江苏工力重机有限公司 卸船机手动抓斗检修平台
CN110565516A (zh) * 2019-08-24 2019-12-13 湖南桥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桥梁检测臂及检测车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0899A (ko) * 2000-03-25 2000-06-05 김소희 교량용 이동식 점검대차
KR100784429B1 (ko) * 2007-02-14 2007-12-11 우신기계(주) 슬래브 거푸집 해체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351B1 (ko) * 2000-03-03 2005-11-22 주식회사 한진중공업 신축가능한 교량점검용 차량
KR100504426B1 (ko) * 2002-05-13 2005-07-28 최성문 이동식 교량 점검 장치
KR20040039063A (ko) * 2002-10-30 2004-05-10 방성순 이동식 교량 점검 장치 및 그 시공방법
CN106013866A (zh) * 2016-07-11 2016-10-12 江苏工力重机有限公司 卸船机手动抓斗检修平台
CN110565516A (zh) * 2019-08-24 2019-12-13 湖南桥康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折叠式桥梁检测臂及检测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861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55489A (en) Construction apparatus for building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with
CN110306776B (zh) 一种用于高层建筑电梯井施工的升降平台
CN210013134U (zh) 附着式轻便桥梁防撞护栏模板安拆装置
KR0182383B1 (ko) 하단면주행식 교량하부면 작업대차의 내측작업대
JP2012012835A (ja) 高所作業用作業床の施工方法
CN212927067U (zh) 自行走升降式可变幅折叠式的建筑轮廓成型机
KR100337737B1 (ko)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하부작업대회전지지장치
CN114751344B (zh) 一种铝合金爬架辅助移动提升设备及使用方法
KR101016263B1 (ko) 철골 구조의 볼트 체결을 위한 더블시저타입 이동 메니퓰레이터 로봇
CN115637859A (zh) 一种智能建造集成平台及使用方法
JPH11247430A (ja) 移動足場装置
CN112723267A (zh) 一种工程施工用升降工作台
CN110273378B (zh) 导梁机高、低位工位切换的方法
JPH10245189A (ja) 高層ビル建築に用いる全方向移動クレーン
CN215887788U (zh) 一种铺轨机
CN215107203U (zh) 一种可移动支撑的电梯井施工操作平台
CN212399906U (zh) 一种箱梁外侧模板的装拆模小车
CN117283702B (zh) 一种混凝土构件脱模、吊运机构及生产线
CN220099679U (zh) 一种用于公路桥面系施工的自动台车
KR100304538B1 (ko) 하단면주행식의교량하부면작업대차의주행장치
CN212656122U (zh) 一种预制桥墩架设装置
CN212000661U (zh) 一种短线匹配预制箱梁的底模台车
CN216332856U (zh) 用于飞机部段对接装配的工作平台
CN215857302U (zh) 一种跨座式单轨的检修车
CN217732487U (zh) 一种轮胎式搬运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1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