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2335B1 -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2335B1
KR0182335B1 KR1019950701786A KR19950701786A KR0182335B1 KR 0182335 B1 KR0182335 B1 KR 0182335B1 KR 1019950701786 A KR1019950701786 A KR 1019950701786A KR 19950701786 A KR19950701786 A KR 19950701786A KR 0182335 B1 KR0182335 B1 KR 01823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vibration
displacement
guide
lateral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1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4177A (ko
Inventor
히데야 꼬하라
시게오 나까가끼
유끼히꼬 까자오
타다시 슈도
Original Assignee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또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또 후미오
Publication of KR950704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4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23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23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02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 B66B1/06Control systems without regulation, i.e. without retroactive action electr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6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7/00Other common features of elevators
    • B66B7/02Guideways; Guides
    • B66B7/04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 B66B7/041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 B66B7/042Riding means, e.g. Shoes, Rollers, between car and guiding means, e.g. rails, ropes including active 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with rollers, sho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는 승강차의 승강시에 가이드레일(2)의 굽힘, 레일 이온 곳의 단차등이 승강차를 여진함으로써 생기는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승강실(6)에 부착한 가속도센서(11)에 의해 검출하고, 그 가속도를 없애는 액추에이터(16)의 조작량을 제어장치(18)에 의하여 연산하여 액추에이터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다층의 압전소자(8f)가 입력에 대응한 양만큼 변위를 일으켜 좌우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승강차(4)를 변위시켜 승강차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하여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감소시켜서 타는 기분을 개선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일반적으로 고층빌딩의 승강로의 각 가이드레일을 따라 승강하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차는 제16도에 나타낸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고정빌딩의 승강로(1)의 양측벽 각각에 가이드레일(2)이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고, 이 양 가이드레일 사이에 매단 로프(3)로 승강하는 승강차(4)가 승강이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승강차(4)는 승강차대(5)와 이것에 장비된 승강실(6)로 구성되어 있다. 또 승강차대(5)의 상하에는 안내장치(7)가 합계 4개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안내장치(7)는 승강차대(5)에 고정된 안내장치대(8a)에 레버(8b)의 한쪽 단부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이 레버(8b) 다른 단부에 가이드롤러(8c)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이 가이드롤러(8c)의 변위를 억제하기 우하여 안내장치대(8a)에 일단을 고정한 로드(8d)와 레버(8b) 사이에 억제 스프링(8e)을 부착시킨 구성으로 하고, 가이드롤러(8c)가 각 가이드레일(2)의 양측과 단면(端面)에 맞닿아서 전동(轉動)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제1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차대(5)의 하부 상면에는 바닥받이테(9)가 부설되어 있고, 이 바닥받이테(9)와 승강실(6)의 저부 하면 사이에 방진고무(10)가 승강실(6)을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시에 가이드레일(2)의 굽힘이나 가이드레일(2) 설치시의 설치오차등에 의한 굽힘, 그리고 레일을 이은 곳의 단차(段差)등에 기인하여 가이드레일(2)로부터 승강차(4)에 진동이 전해지고, 이것이 승강차(4)의 승객에게 전해져서 타는 기분을 저하시키므로, 이 진동을 방진고무(10)에 의해 흡수함으로써 엘리베이터의 타는 기분을 향상시키도록 하였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에서는 가이드레일로부터의 진동을 완전히 제거할 수가 없고, 또 일반적으로 주행속도가 증가하면 그에 따라 가이드레일로부터의 진동도 증가하므로 승강차의 운전속도가 어떤 값을 초과하면 각 가이드레일로부터 받는 승강차의 좌우진동이 허용범위를 초과하여 타는 기분이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승강차의 운전속도가 어떤 값이 되면 가이드레일의 굽힘등의 강제 변위에 의한 가진주파수와 엘리베이터 승강차의 고유주파수가 일치하여 공진현상이 발생하여 승강차가 심하게 좌우로 진동하여 타는 기분을 심하게 악화시킬 수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승강차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승강차를 변위시키거나 또는 추의 관성력을 작용시킴으로써 진동을 감소시켜 타는 기분을 좋게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1의 발명은 승강로에 가이드레일을 갖추고, 승강차의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 각각에 가이드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프링에 의해 이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에 맞닿아서 전동하도록 가압하는 안내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하의 안내장치의 어느 쪽이든 한쪽의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압전소자를 다층으로 겹친 액추에이터를 스프링과 가이드롤러 사이에 설치하고, 승강차에 옆방향의 진동가속도를 검출하는 진동(振動)센서를 설치하여, 진동센서가 검출한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가속도를 없애는 방향으로 액추에이터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압전소자에 상당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장치를 갖춘 것이다.
청구항2의 발명은 청구항1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있어서, 액추에이터를 상하의 안내장치 부분에 부착하고,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추고, 진동센서를 승강차의 상측, 하측 각각의 부분의 옆방향의 진동가속도를 검출하도록 승강차의 상하에 부착하고, 대응하는 제어장치 각각에 옆방향의 진동가속도 검출신호를 입력하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3의 발명은 승강로에 가이드레일을 갖추고, 승강차의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 각각에 가이드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여 스프링에 의해 이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에 맞닿아서 전동하도록 가압하는 안내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어느 쪽이든 한쪽에 서보모터와, 이것에 의해 회전운동을 옆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동기구와, 직동기구에 의해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추와,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와,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하도록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춘 것이다.
청구항4의 발명은 청구항3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서보모터와, 이것에 의해 회전운동을 옆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동기구와, 직동기구에 의해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추와, 승강차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와,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하도록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춘 것이다.
청구항5의 발명은 승강로에 가이드레일을 갖추고, 승강차의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 각각에 가이드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프링에 의해 이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에 맞닿아서 진동하도록 한 안내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어느 쪽이든 한쪽의 추와, 이것을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직동기구와, 직동기구를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안내장치에 부착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과, 변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직동기구에 의해 추를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서보모터의 구동량을 연산하는 연산기와, 연산기의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춘 것이다.
청구항6의 발명은 청구항5에 기재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추와,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직동기구와, 직동기구를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안내장치에 부착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과 변위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직동기구에 의해 추를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서보모터의 구동량을 연산하는 연산기와, 연산기의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춘 것이다.
청구항7의 발명은 청구항5 또는 6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있어서, 변위검출수단을 좌우 대향하도록 2개 설치하고, 연산장치에서 2개의 변위검출수단의 변위검출신호를 가중평균하여 연산기에 주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8의 발명은 청구항5, 6 또는 7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있어서, 변위검출수단으로서 승강차와 가이드레일과 옆방향의 상대변위를 검출하는 비접촉변위검출기를 사용한 것이다.
청구항9의 발명은 청구항5, 6 또는 7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 있어서, 변위검출수단으로서 승강차측에 부착되어,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동할 때의 옆방향의 변위량을 검출하여 승강차의 옆방향의 변위검출신호로 하는 접촉형 변위검출기를 사용한 것이다.
청구항1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의 승강시에 가이드레일의 굽힘, 레일 이은 곳의 단차등이 승강차를 여진(勵振)함으로써 생기는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승강실에 부착한 진동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그 진동가속도를 상쇄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의 조작량을 제어장치에 의해 연산하여 액추에이터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액추에이터의 다층의 압전소자가 입력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변위를 일으켜 좌우진동을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승강차를 변위시켜 승강차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하여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저감하여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2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설치한 진동센서에 의해 승강차의 상하쌍방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하 각각의 진동가속도를 상쇄하도록 하는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의 조작량을 상하의 제어장치 각각에 의해 연산하여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하의 액추에이터의 각각의 다층의 압전소자가 입력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변위를 일으켜 좌우진동을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을 변위시켜서 승강차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하여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3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의 승강시에 가이드레일의 굽힘, 레일 이은 곳의 단차등이 승강차를 여진함으로써 생기는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진동센서에 의해 검출하고, 제어장치에 의해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하도록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도록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여 직동기구에 전달한다. 이렇게 하여 승강차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직동기구의 추의 이동에 의해 승강차에 가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4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설치한 진동센서에 의해 승강차의 상하쌍방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하의 제어장치 각각에 의해 상하 각각의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시키도록 상하의 추 각각을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도록 상하의 서보모터 각각을 회전구동하여 상하의 직동기구 각각에 전달한다. 이렇게 하여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에 가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5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의 승강시에 가이드레일의 굽힘, 레일 이은 곳의 단차등이 승강차를 여진함으로써 생기는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변위검출수단에 의해 변위량으로서 검출하고, 변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직동기구에 의해 추를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서보모터의 구동량을 연산기에 의해 연산하고, 이 연산기의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제어장치가 서보모터를 소정량만큼 회전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승강차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직동기구의 추의 이동에 의해 승강차에 가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소시켜서 한층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6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설치한 변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상하의 직동기구에 의해 상하의 추 각각을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상하의 서보모터 각각의 구동량을 상하의 연산기 각각에 의해 연산하고, 이 상하의 연산기 각각의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상하의 제어장치 각각이 상하의 서보모터 각각을 소정량만큼 회전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상하의 직동기구 각각의 추의 이동에 의해 승강차에 가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상하 쌍방에서 가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상하 쌍방에서 감소시켜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5 또는 6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 변위검출수단을 좌우 대향하도록 2개 설치하고, 연산장치에서 2개의 변위검출수단의 변위검출신호를 가중평균하여 연산기에 줌으로써 승강차에 옆방향의 변위량을 보다 정확히 검출학, 이 변위량을 사용하여 직동기구의 추의 이동량을 정확히 제어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켜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한다.
청구항8의 발명에서는 청구항5, 6 또는 7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 승강차와 가이드레일 사이의 옆방향의 상대 변위의 검출을 비접촉 변위검출기를 사용하여 실행한다.
청구항9의 발명에서는 청구항5, 6 또는 7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 승강차측에 부착된 접촉형 변위검출기를 사용함으로써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동할의 옆바양의 변위량을 검출하여 승강차의 옆방향의 변위검출신호를 얻는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청구항1의 발명의 1실시예의 기구도.
제2도는 상기 실시예의 액추에이터의 기구도.
제3도는 상기 실시예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상기 실시예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5도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승강실의 제진작용을 나타낸 설명도.
제6도는 청구항4의 발명의 1실시예의 기구도.
제7도는 상기 실시예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8도는 청구항3의 발명의 1실시예의 구성도.
제9도는 청구항5의 발명의 1실시예의 기구도.
제10도는 상기 실시예의 변위센서의 구성을 나타낸 확대도.
제11도는 청구항6의 발명의 1실시예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12도는 청구항7의 발명의 1실시예의 기구도.
제13도는 청구항8의 발명의 1실시예의 기구도.
제14도는 상기 실시예의 다른 실시예의 기구도.
제15도는 청구항9의 발명의 1실시예의 기구도.
제16도는 종래예의 기구도.
제17도는 종래의 안내장치 부분의 확대도.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청구항1의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며,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종래예와 공통되는 구성부분을 많이 갖추므로, 그 공통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으로서는 제2도에 자세히 나타낸 안내장치(7)와, 이 안내장치(7)에 의한 제진제어를 하기 위한 제어장치(12)와, 승강차(4)의 진동을 검출하기 위한 가속도센서(11)를 갖춘다.
승강차대(5)는 상하좌우 4개소의 안내장치(7)에 의해 승강로(1)에 수직으로 설치된 한쌍의 가이드레일(2)를 따라 안내되어 승강한다. 승강실(6)은 바닥받이테(9)와 방진고무(10)를 통해서 승강차대(5)에 지지되어 있다. 또 승강차(4)는 매단 로프(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가이드레일(2)에는 설치오차등에 의한 가이드레일(2)의 굽힘이나 레일 이은 곳의 단차가 있으며, 그 곳을 승강차(4)가 통과할 때에 야기되는 강제변위에 의한 좌우진동을 승강실(6)에 부착된 가속도센서(11)에 의해 검출하고, 이 좌우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필요한 조작량을 제어장치(12)에서 연산하여 제2도에 나타낸 안내장치(7)의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8f) 및 억제스프링(8e)를 통해서 승강차(4)에 힘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제2도에 나타낸 안내장치(7)는 승강차대(5)에 고정된 안내장치대(8a)에 레버(8b)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이 레버(8b)의 다른 쪽 단부에 가이드롤러(8c)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켜서, 이 가이드롤러(8c)의 변위를 억제하기 위하여 안내장치대(8a)에 일단(一端)을 고정한 로드(8d)와 레버(8b) 사이에 억제스프링(8e)과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8f)를 부착한 구성으로 하고 가이드롤러(8c)가 각 가이드레일(2)의 양측과 단면에 맞닿아서 전동하도록 하고 있다.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8f)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판소자(21a)가 하나이면 변위 레인지가 0.1mm 정도로 작아서 큰 변위를 낼 수가 없기 때문에 단판소자(21a)를 복수개 적층한 구성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이 압전소자(8f)의 변위량을 더욱 증폭하기 위하여 레버(8b)를 개재시킴으로써 충분한 변위량을 승강차(4)에 전하도록 하고 있다.
제4도에는 전기제어계통을 나타낸 것인 데, 가속도센서(11)로부터의 가속도신호와, 목표 가속도로서의 기준 가속도신호와의 편차를 가산기(22)에서 구하고, 이 편차량을 제어장치(12)에 입력하여 필요한 변위량을 연산해서 전압신호로서 압전소자(8f)에 출력하여 압전소자(8f의 압전작용에 의해 입력전압에 대응하는 변위량을 변환하여, 이것을 억제스프링(8e)으로 증폭하여 레버(8b)에 부여하여 가이드롤러(8c)를 필요량만큼 변위시키도록 하고 있다.
다음에는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가이드레일(2)의 이은 곳의 단차나 굽힘에 의해 외부로부터의 여진이 승강차(4)에 가해지면 승강차(4)에 설치된 가속도센서(11)로부터 신호가 출력된다. 그 신호를 제어장치(12)로 연산하여 액추에이터인 압전소자(8f)에 변위량으로서의 전압을 출력한다. 그렇게 되면 압전소자(8f)는 이 전압을 토대로 하여 승강차(4)의 가속도를 없애는 방향으로 억제스프링(8e)을 거쳐, 또 레버(8b)에 의해서 변위량을 증폭시켜 승강차(4)에 힘을 가한다. 이에 따라 승강차(4)의 가속도를 0에 가깝게 해서 승강차(4)의 좌우진동을 억제한다.
또한 정지층에서는 액추에이터인 압전소자(8f)의 변위량을 기준치까지 복귀시키고나서 승강시키도록 하여 액추에이터가 큰 변위량인 채로 노아둠으로써 제진작용을 할수 없게 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에 생기는 좌우진동을 능동적으로 제진할 수가 있으며, 엘리베이터의 타는 기분을 좋게 할 수가 있다. 그위에 가속도센서는 부착이 용이하고, 액추에이터로서 압전소자를 사용하므로 엘리베이터의 중량 증가를 억제할 수가 있어, 종래의 엘리베이터에 추가공사로서 본 발명의 제어장치를 간단히 부착시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이 청구항1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는 상기의 실시예의 각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제5도(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진방향의 가속도에 대한 제진작용을 하도록 하였으나, 승강차에 1개 또는 그 이상의 각가속도센서를 부착하고, 이 각가속도센서가 검출한 각가속도를 상쇄할 수 있는 변위량을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가 발생하도록 제어장치에서 필요한 전압신호를 연산하여 출력하도록 하면 제5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승강차의 회전진동에 대해서도 제진작용을 할 수가 있으므로 엘리베이터의 타는 기분을 한층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청구항1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액추에이터(8f)를 승강차(4)의 상측의 안내장치(7)에만 설치하였으나,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항2 발명의 실시예로서 상술한 제진장치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8f)를 승강차(4)의 상하 쌍방에 설치하고, 가속도센서(11)도 이에 따라서 승강차(4)의 상하의 적당한 곳에 설치하고, 상하 각각의 가속도센서(11)로부터의 가속도검출신호에 의거해서 승강차(4)의 상하 각각의 압전소자(8f)의 인가전압을 개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장치(12)를 갖춘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승강차(4)의 상하 쌍방에 설치한 가속도센서(11)에 의해 승강차(4)의 상하 쌍방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여 상하 각각의 진동가속도를 없애는 데 필요한 상하의 압전소자(8f) 각각의 조작량을 상하의 제어장치(12) 각각에 의해 연산하여 상하의 압전소자(8f) 각각에 입력한다. 이에 따라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의 다층의 압전소자(8f)가 입력에 대응하는 양만큼의 변위를 일으켜, 좌우진동을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승강차(4)의 상부, 하부 각각을 변위시켜서 승강차(4)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하고, 승강차(4)의 좌우진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감소시켜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다음에 청구항4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실시예에 대해 제6도, 제7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는 승강차(4)의 상하에 각각 서보모터(13)와 직동기구(14)와 이들에 의해 직선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추(15)로 된 액추에이터부(16)와, 이 액추에인터부(16)의 부근에 각각 승강차(4)상에 설치된 2개의 진동센서(17)와 이 진동센서(17)가 검출한 진동량에 대해서, 그것을 없애는 데 필요한 관성력을 생기게 하기 위해 필요한 서보모터(13)의 구동량을 연산하는 제어장치(18)와, 서보모터(13)의 드라이버(19)로 구성된다. 그리고 20은 추(15)에 대한 위치센서이다.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차(4)가 제1도에 나타낸 승강로의 가이드레일(2)의 이은 곳의 단차나 굽힘등에 의해 생기는 좌우진동을 진동센서(17)가 가속도신호로서 검출하고, 이 신호와 목표 가속도로서의 기준 가속도신호와의 편차신호에 대해 제어장치(18)가 좌우진동을 없애는데 필요한 역방향의 관성력을 모터 회전량으로서 산출하여 드라이버(19)에 부여한다. 드라이버(19)는 이 신호에 의해 서보모터(13)을 정역 어느 방향인가로 소정량만큼 회전시킨다. 이에 따라 직동기구(14)가 소정량만큼 회전하고, 이것에 나사로 고착되어 있는 추(15)가 좌우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소정량만큼 직선이동하여 승강차(4)의 좌우진동을 억제한다.
여기서 승강차(4)에 발생하는 진동에는 상술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병진진동과 회전진동이 있으나 제5도(a)에 나타낸 병진진동의 경우에는 상하의 제어장치(18)가 같은 방향으로 추(15)를 이동시킴으로써 그 진동을 억제한다. 그러나 제5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승강차(4)가 회전진동할 경우에는 상하의 진동센서(17)로 검출하는 진동이 역위상이 되고, 이에 따라 상하의 제어장치(18)가 구하는 추(15)의 이동방향도 서로 역방향이 되어 회전진동을 억제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에 생기는 좌우진동을, 그것을 없애는 방향으로 추를 이동시킴으로써 관성력에 의해 억제하여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제8도는 청구항3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며, 이 청구항3 발명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승강차(4)의 하부에만, 또는 상부에만 제진장치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고 승강차(4)의 하부에 설치할 경우에는 승강차(4)의 하부에는 설치공간을 넓게 취할 수 있고, 또 제진장치의 동작음이 승객의 귀에서 멀어져서 제진장치로부터 생기는 소음을 느끼지 않게 할 수 있는 유리한 점이 있다.
다음에 청구항5 및 7에 기재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9도∼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는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종래예와 공통하는 구성부분을 많이 갖추고 있어, 그 공통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설명을 생략한다. 또 제1도∼제8도에 나타낸 각 실시예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도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는 승강차(4)의 상측에 서보모터(13)와, 이 서보모터(1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동기구(14)와, 이 직동기구(14)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추(15)와, 좌우의 안내장치(7) 각각에 부착한 변위센서(21)로 구성된다. 이 안내장치(7)의 확대도가 제10도에 나타나 있는 데, 안내장치(7)는 안내장치대(8a)상에 구성되어 있으며, 요동이 자유롭게 그 일단이 안내장치대(8a)상에 부착된 레버(8b)의 타단에 가이드롤러(8c)가 회전이 자유롭게, 또한 승강로(1)의 가이드레일(2)에 대해 전동하도록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안내장치대(8a)에 일단이 고정된 로드(8d)에 스프링(8c)이 부착되어 있고, 이 스프링(8e)이 레버(8b)를 가이드레일(2)측으로 가압하고, 이 가압력에 의해 가이드롤러(8c)가 가이드레일(2)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접촉하여 구동하도록 하고 있다.
변위센서(21)는 좌우의 안내장치(8)에서 안내장치대(8a)와 레버(8b) 사이에 부착되어 있고, 레버(8b)와 승강차(4)와의 상대변위를 검출하도록 되어있다. 이 변위센서(21)는 예를 들어 포텐시오미터로 구성되고, 레버(8b)에 대한 접촉자의 이동량을 전압의 변화로서 출력하여, 이 전압신호가 변위량 검출신호로서 이용된다.
제11도는 이 실시예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회로구성을 나타내며, 좌우의 변위센서(21)로부터의 변위량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A/D변환하는 A/D변환기(22)와, 이 A/D변환기(22)에 의해 A/D변환된 변위량 디지털신호를 얻어서 좌우의 변위량을 가중평균하여 승강차(4)의 옆방향의 진도에 대해 감쇠를 걸기 위해 필요한 추(15)의 이동량을 계산하고, 또 이 이동량에 대응하는 서보모터(13)의 회전구동력을 산출하는 연산기(23)와, 이 연산기(23)가 구한 서보모터 구동력지령의 디지털신호를 D/A변환하여 출력하는 D/A변환기(24)와, D/A변환기(2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서보모터(13)의 구동제어를 하는 서보드라이버(25)를 갖춘다.
또한 엘리베이터가 어느 층엔가에서 정지했을 때 직동기구(14)의 추(15)를 초기의 규정위치까지 복귀시키기 위해 추(15)의 위치를 검출하는 센서(20)가 직동기구(14)에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위치센서(20)로부터의 신호도 A/D변화기(22)를 통해서 연산기(23)에 입력되어, 여기에서 추(15)의 위치편량을 구하여, 규정위치까지 복귀시키는 데 필요한 서보모터(13)의 회전구동량을 연산하고, 이것을 서보드라이버(25)에 출력하도록 되어있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엘리베이터의 운전에 의해 승강차(4)가 가이드레일(2)를 따라 승강하고 있는 동안에 가이드레일(2)의 굽힘이나 레일 이은 곳의 단차등에 의해서 승강차(4)가 진동하면 안내장치(7)에서 스프링(8e)에 의해서 가압되고 있는 레버(8b)와 가이드롤러(8c)가 가이드레일(2)과의 사이의 간격의 상대적인 변동에 의해 안내장치대(8a)에 대해 거의 옆방향으로 변동하고, 이 상대적인 변동이 변위센서(21)에 의해 변위량으로서 검출되어 A/D변환기(22)를 통해서 연산기(23)에 입력된다.
그래서 좌우의 변위센서(21)로부터 입력되어온 변위량 신호에 대해 연산기(23)는 가중평균연산을 한다. 즉 우측의 변위센서(21)의 변위량을 Xr(t), 좌측의 변위센서(21)의 변위량을 X1(t)이라 하면
X(t)=(Xr(t)+X1(t))/2 ……………………… (1)
의 식에 의거해서 승강차(4)의 변위량 X(t)를 구한다.
이어서 연산기(23)는 직동기구(14)의 추(15)의 질량을 M, 리드(즉 축의 1회전에 추가 진행하는 거리)를 γ로 하면, 서보모터(13)의 회전각속도 Ω(t)가 주어지면 추(15)의 운동에 의해 생기는 관성력 F(t)는
F(t)=γ/2π·M·dΩ(t)/dt ………………… (2)
가 된다.
따라서 연산기(23) 및 서보드라이버(25)에서 서보모터(13)의 각속도 Ω(t)를 변위량 X(t)에 비례해서 부여하면
Ω(t)=k·X(t)……………………………………(3)
로 되고, 관성력 F(t)는
F(t)=γ/2π·kM·dX(t)/dt ………………… (4)
가 되어, 변위량 X(t)에 의해 결정되어진다. 그리고 여기서 k는 비례게인(proportional gain)이다.
따라서 (4)식에서 관성력 F(t)는 변위량 X(t)의 시간 미분, 즉 속도에 비례하여 얻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연산기(23)에 의해 변위량 X(t)를 연산하고, 또한 이 변위량 X(t)의 시간미분을 취하여 이것에다 실험적으로 결정되는 비례게인 k를 곱함으로써 서보드라이버(25)에 대해 각도 지령 Ω(t)를 출력하도록 하면 승강차(4)의 옆방향의 진동에 대해 그 변위량의 크기에 대응한 관성력을 생기게 하도록 추(15)를 이동할 수가 있어, 이에 따라 승강차(4)의 옆방향의 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쇠시킬 수가 있게 된다.
또한 청구항5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승강차(4)의 하부에만 상기의 제진장치를 부착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좌우의 변위센서(21)로부터의 신호의 가중평균을 취하도록 하였으나, 변위센서를 한 쪽에만 설치하거나 또는 좌우의 중앙에 1개만 설치하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청구항6 발명의 실시예를 제12도에 의거해서 설명하면, 상기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구성의 제진장치를 승강차(4)의 상부와 하부의 쌍방에 설치하고 있다. 즉 승강차(4)의 상부와 하부에 다같이 승강차(4)의 상측에 서보모터(13)와, 이 서보모터(13)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동기구(14)와, 이 직동기구(14)에 의해 왕복운동하는 추(15)와, 좌우의 안내장치(7) 각각에 부착한 변위센서(21)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하의 제진장치 각각의 회로구성도 제11도와 같게 하고, 좌우의 변위센서(21)로부터의 변위량 검출신호를 입력하여 A/D변환하는 A/D변환기(22)와, 이 A/D변환기(22)에 의해 A/D변환된 변위량 디지털신호를 얻어서 좌우의 변위량을 가중평균하여, 승강차(4)의 옆방향의 진동에 대해 감쇠를 걸기 위해 필요한 추(15)의 이동량을 계산하고, 또 이 이동량에 대응하는 서보모터(13)의 회전구동력을 산출하는 연산기(23)와, 이 연산기(23)가 구한 서보모터 구동력지령의 디지털신호를 D/A변환하여 출력하는 D/A변환기(24)와, D/A변환기(24)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서보모터(13)를 구동제어하는 서보드라이버(25)로 구성된다.
이 제12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 승강차(4)의 상부의 진동을 상측의 제진장치에 의해 감쇠시키고, 승강차(4)의 하부의 진동을 하측의 제진장치에 의해 감쇠시킬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경우에는 승강차(4)의 상하 쌍방의 옆방향의 진동을 개별적으로 감쇠시킬 수가 있으므로 승강차(4)의 주행시의 좌우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가 있어, 타는 기분의 개선을 한층 효과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제13도는 청구항8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1실시예를 나타내며, 청구항5∼7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의 발명에서 공통으로 사용할 수가 있는 변위센서의 구성을 나타낸다. 이 제13도에 나타낸 변위센서는 승강차(4)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하여 승강차(4)에 고정되어 있는 안내장치대(8a)측에 초음파센서, 광전센서등의 비접촉형의 거리센서(21a)를 설치하고, 이 거리센서(21a)에 의해 가이드레일(2)를 따라 전동하는 가이드롤러(8c)를 가이드레일(2)측으로 밀어붙이기 위해 스프링(8e)의 가압력에 의해 요동하는 레버(8b)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신호의 변화에 의해 승강차(4)의 옆방향의 변위량을 구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거리센서(21a)로부터의 거리검출신호를 제11도에 나타낸 회로의 연산기(23)에 입력하고, 시간미분함으로써 승강차(4)의 변위량 X(t)를 구한다. 그리고 이 변위량 X(t)를 사용하여 상술한 (1)식∼(4)식에 의거해서 서보모터(13)의 각속도 Ω(t)를 구하여 서보모터(13)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추(15)의 관성력 F(t)에 의해 승강차(4)의 좌우진동을 감쇠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청구항8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14도에 변위센서의 다른 예가 나타나 있다. 이 실시예의 변위센서는 승강차(4)의 옆방향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하여 안내장치(7)의 안내장치대(8a)에 비접촉형의 거리센서(21b)를 부착하고, 이 거리센서(21b)에 의해 가이드레일(2)과의 사이의 거리를 검출하고, 이 거리검출신호의 시간미분을 취함으로써 승강차(4)의 변위량을 구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이 실시예의 변위센서에서도 제13도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거리센서(21b)로부터의 거리검출신호를 제11도에 나타낸 회로의 연산기(23)에 입력하여 시간미분함으로써 승강차(4)의 변위량 X(t)를 구하고, 다음에 이 변위량 X(t)를 사용하여 상술한 (1)~(4)식에 의거해서 서보모터(13)의 각속도 Ω(t)를 구하여 서보모터(13)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추(15)의 관성력 F(t)에 의해 승강차(4)의 좌우진동을 감쇠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제15도는 청구항9 발명의 1실시예를 나타내며, 승강차(4)와 가이드레일(2) 사이의 상대거리의변화로부터 승강차(4)의 변위량을 검출하기 위해 승강차(4)측에 진퇴가 자유롭게 부착된 롤러(21c)를 스프링(21d)의 힘을 이용해서 가이드레일(2)에 밀어붙이도록 하고, 이 롤러(21c)의 변위에 대응하여 포텐시오미터와 같은 변위센서(21e)가 변위량을 검출하도록 한 것이다. 그리고 이 실시예의 변위센서(21e)로부터의 변위량 검출신호는 제11도에 나타낸 연산기(23)에 입력하는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각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서보모터(13)의 회전을 제어함으로써 추(15)의 관성력 F(t)에 의해 승강차(4)의 좌우진동을 감쇠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산업상의 이용성]
이상과 같이 청구항1의 발명에 의하면 승강차에 가속도센서를 부착하고, 그 검출치에 의해 가이드롤러에 부착된 액추에이터로서의 압전소자를 검출가속도를 없애는 방향으로 변위시킴으로써 승강차에 힘을 가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그것과 역위상의 강제적인 변위에 의해 상쇄하여 좌우진동을 억제할 수가 있어,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2 발명에 의하면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설치한 진동센서에 의해 승강차의 상하 쌍방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하 각각의 진동가속도를 없애도록 하는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의 조작량을 상하의 제어장치 각각에 의해 연산하여,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에 입력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의 다층의 압전소자가 입력에 대응한 양만큼 변위를 일으켜 좌우진동을 감쇠시키는 방향으로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을 변위시켜 승강차에 가해지는 힘을 억제하여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청구항3 발명에 의하면 진동센서에 의하여 승강차의 진동을 검출하여 제어장치에 의하여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승강차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관심력을 발생하도록 추를 직선운동하도록 서보모터를 회전구동시켜 직동기구에 전달하도록 하기 때문에 승강차에 생기는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관성력을 승강차에 가하도록 함으로써 승강차의 진동을 감쇠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 있다.
청구항4 발명에 의하면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설치한 진동센서에 의해 승강차의 상하 쌍방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고, 상하의 제어장치 각각에 의해 상하 각각의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하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하도록 상하의 추 각각을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게 상하의 서보모터 각각을 회전 구동하여 상하의 직동기구 각각에 전달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에 가함으로써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한층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5 발명에 의하면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변위량으로서 검출하고, 이 신호에 의거해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해 직동기구에 의해 추를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서보모터의 구동량을 연산하고, 이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서보모터를 소정량만큼 회전 구동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승강차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직동기구의 추의 이동에 의해 승강차에 가할수가 있어서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6 발명의 의하면 승강차의 상하 쌍방의 변위량을 검출하고, 이 신호에 의거해서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상하의 직동기구에 의해 상하의 추 각각을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상하의 서보모터 각각의 구동량을 연산하고, 이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상하의 서보모터 각각을 소정량만큼 회전 구동시키도록 하였으므로 승강차의 상부, 하부 각각에 생기는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도록 하는 관성력을 상하의 직동기구 각각의 추의 이동에 의해 승강차에 가할 수가 있어서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상하 쌍방에서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7 발명에 의하면 승강차의 상하 어느 쪽이든 한쪽에, 또는 양쪽에 변위검출수단을 좌우 대향하도록 2개 설치하고, 이 2개의 변위검출수단의 변위검출신호를 가중평균하여 정규의 변위량으로서 사용하도록 하고 있기 대문에 승강차의 상부 또는 하부의 변위량을 정확히 검출할 수가 있어, 그만큼 변위량에 대응한 추의 이동량을 정확히 연산할 수가 있어, 승강차의 좌우진동을 효과적으로 감소시켜, 타는 기분의 개선을 도모할 수가 있다.
청구항8 발명에 의하면 청구항 5, 6 또는 7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 승강차와 가이드레일과 옆방향의 상대변위의 검출을 비접촉 변위검출기를 사용하여 할 수가 있다.
청구항9 발명에서는 청구항 5, 6 또는 7의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에서 승강차측에 부착된 접촉형 변위검출기를 사용함으로써 가이드롤러가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동할 때의 옆방향의 변위량을 검출하여 승강차의 옆방향의 변위검출신호를 얻을 수가 있다.

Claims (9)

  1. 승강로에 가이드레일을 갖추고, 승강차의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 각각에 가이드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프링에 의해 이 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닿아서 전동하도록 가압하는 안내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상하의 안내장치의 어느 쪽이든 한쪽의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를 조정하기 위하여 압전소자를 다층으로 겹친 액추에이터를 상기 스프링과 가이드롤러 사이에 설치하고, 상기 승강차에 옆방향의 진동가속도를 검출하는 진동(振動)센서를 설치하여, 상기 진동센서가 검출한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가속도를 없애는 방향으로 상기액추에이터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압전소자에 상당한 전압을 인가하는 제어장치를 갖추어서 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를 상기 상하의 안내장치 부분에 부착하고, 상기 상하의 액추에이터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장치를 갖추고, 상기 진동센서를 상기 승강차의 상측, 하측 각각 부분의 옆방향의 진동가속도를 검출하도록 상기 승강차의 상하에 부착하고, 대응하는 상기 제어장치 각각에 옆방향의 진동가속도 검출신호를 입력하도록 하여서 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3. 승강로에 가이드레일을 갖추고, 승강차의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 각각에 가이드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하고, 스프링에 의해 이 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닿아서 전동하도록 가압하는 안내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어느 쪽이든 한쪽에 서보모터와, 이것에 의해 회전운동을 옆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동기구와, 상기 직동기구에 의해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추와, 상기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하도록 상기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추어서 된 엘리베터의 제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서보모터와, 이것에 의해 회전운동을 옆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직동기구와, 상기 직동기구에 의해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는 추와, 상기 승강차의 진동을 검출하는 진동센서와, 상기 진동센서로부터의 신호를 연산하여 상기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없애는 방향으로 관성력을 발생하도록 상기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하도록 상기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추어서 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5. 승강로에 가이드레일을 갖추고, 승강차의 상하에 요동이 자유롭게 설치한 레버 각각에 가이드롤러를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시키고, 스프링에 의해 이 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에 맞닿아서 전동하도록 한 안내장치를 갖춘 엘리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어느 쪽이든 한쪽에 추와, 상기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직동기구와, 상기 직동기구를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안내장치에 부착한 상기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과,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상기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하기 위한 상기 직동기구에 의해 상기 추를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량을 연산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의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추어서 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엘리베이터의 승강차의 상하 쌍방에 추와, 상기 추를 옆방향으로 직선운동시키는 직동기구와, 상기 직동기구를 구동하는 서보모터와, 상기 안내장치에 부착한 상기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를 검출하기 위한 변위검출수단과,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부터의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가이드롤러의 옆방향의 변위에 기인하는 상기 승강차의 옆방향의 진동을 감쇠시키기 위하여 상기 직동기구에 의해 상기 추를 소정량만큼 옆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데 필요한 상기 서보모터의 구동량을 연산하는 연산기와, 상기 연산기의 연산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서보모터를 회전구동하는 제어장치를 갖추어서 된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을 좌우 대향하도록 2개 설치하고, 상기 연산장치에서 상기 2개의 변위검출수단의 변위검출신호를 가중평균하여 상기 연산기에 주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8.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승강차와 가이드레일과 옆방향의 상대변위를 검출하는 비접촉변위검출기를 사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9. 제5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검출수단으로서 상기 승강차측에 부착되어, 상기 가이드롤러가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전동할 때의 옆방향의 변위량을 검출하여 상기 승강차의 옆방향의 변위검출신호로 하는 접촉형 변위검출기를 사용한 것을 특지응로 하는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KR1019950701786A 1993-10-07 1993-10-07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KR018233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1993/001447 WO1995009801A1 (fr) 1993-10-07 1993-10-07 Dispositif amortisseur pour ascenseu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4177A KR950704177A (ko) 1995-11-17
KR0182335B1 true KR0182335B1 (ko) 1999-04-15

Family

ID=140705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1786A KR0182335B1 (ko) 1993-10-07 1993-10-07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11743A (ko)
EP (1) EP0673873B1 (ko)
KR (1) KR0182335B1 (ko)
DE (1) DE69328036T2 (ko)
HK (1) HK1013060A1 (ko)
WO (1) WO19950098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24255A (en) * 1991-01-11 1994-06-28 Baxter International Inc. Angioplasty and ablative devices having onboard ultrasound components and devices and methods for utilizing ultrasound to treat or prevent vasopasm
US6062347A (en) * 1998-11-12 2000-05-16 Otis Elevator Resin stop assembly for roller guides
US6216824B1 (en) * 1998-12-24 2001-04-17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Semi-active elevator hitch
TW425045U (en) * 1999-08-27 2001-03-01 Umax Data Systems Inc Vibration inhibition mechanism of scanner
US6364064B1 (en) * 2000-03-08 2002-04-02 Inventio Ag Piezoceramic elevator vibration attenuator
SG89424A1 (en) 2000-10-23 2002-06-18 Inventio Ag Method and system for compensating vibrations in elevator cars
US6668980B2 (en) * 2001-07-06 2003-12-30 Thyssen Elevator Capital Corp. Elevator car isolation system and method
JP4413505B2 (ja) * 2002-03-07 2010-02-10 インベンテイオ・アクテイエンゲゼルシヤフト エレベータケージの振動を減衰させるための装置
US7793763B2 (en) * 2003-11-14 2010-09-14 University Of Maryland, Baltimore County System and method for damping vibrations in elevator cables
SG112944A1 (en) 2003-12-22 2005-07-28 Inventio Ag Equipment for vibration damping of a lift cage
EP1547957A1 (de) * 2003-12-22 2005-06-29 Inventio Ag Einrichtung zur Schwingungsdämpfung an einer Aufzugskabine
US7905332B2 (en) * 2005-08-24 2011-03-15 Otis Elevator Company Noise control strategy for an elevator system
CN101228084B (zh) * 2005-09-09 2011-08-17 三菱电机株式会社 电梯的减振装置
US9114954B2 (en) 2008-05-23 2015-08-25 Thyssenkrupp Elevator Corporation Active guiding and balance system for an elevator
US20100012437A1 (en) * 2008-07-15 2010-01-21 Smith Rory S Aerodynamic Controls for High Speed Elevators
US9837860B2 (en) * 2014-05-05 2017-12-05 Witricity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s for elevators
EP3000758B1 (en) * 2014-09-25 2019-04-17 KONE Corporation Method for balancing an elevator car
WO2016096763A1 (de) 2014-12-17 2016-06-23 Inventio Ag Dämpfereinheit für einen aufzug
US20170008736A1 (en) * 2015-07-09 2017-01-12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vibration damper for a linear propulsion system of a ropeless elevator
CN106429720B (zh) * 2016-10-18 2019-01-04 江苏省特种设备安全监督检验研究院常州分院 一种具有减振功能的导轨模块
US11325809B2 (en) * 2018-03-19 2022-05-10 Otis Elevator Company Monitoring roller guide health
EP3628632A1 (de) * 2018-09-28 2020-04-01 Inventio AG Aufzugssystem mit geregelter neigungskontrolle
US20220356047A1 (en) * 2021-05-05 2022-11-10 Nacereddine Attia Counterweight Driv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23958Y1 (ko) * 1970-12-28 1974-06-27
JPH0665832B2 (ja) * 1983-09-09 1994-08-24 三菱電機株式会社 振動制御装置
FI72947C (fi) * 1985-09-27 1987-08-10 Kone Oy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kontinuerlig kompensering av en hisskorgs horisontala kast.
JPH0221044A (ja) * 1988-07-08 1990-01-24 Mitsubishi Mining & Cement Co Ltd 制振方法及び制振装置
JP2709642B2 (ja) * 1989-04-27 1998-02-04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ハロゲン化銀写真感光材料
JP2728513B2 (ja) * 1989-08-30 1998-03-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3115076A (ja) * 1989-09-29 1991-05-16 Hitachi Elevator Eng & Service Co Ltd 昇降機の制御装置
CA2020185A1 (en) * 1990-03-05 1991-09-06 Gordon Walter Culp Electrical drive for a segmented transducer
US5294757A (en) * 1990-07-18 1994-03-15 Otis Elevator Company Active vibration control system for an elevator, which reduces horizontal and rotational forces acting on the car
US5271133A (en) * 1992-09-21 1993-12-21 Caterpillar Inc. Method for making a piezoelectric stack
US5368132A (en) * 1993-11-03 1994-11-29 Otis Elevator Company Suspended elevator cab magnetic guidance to ra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HK1013060A1 (en) 1999-08-13
EP0673873A4 (en) 1996-03-20
EP0673873B1 (en) 2000-03-08
EP0673873A1 (en) 1995-09-27
US5811743A (en) 1998-09-22
WO1995009801A1 (fr) 1995-04-13
DE69328036D1 (de) 2000-04-13
KR950704177A (ko) 1995-11-17
DE69328036T2 (de) 2000-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2335B1 (ko) 엘리베이터의 제진장치
CN1090147C (zh) 电梯主动牵引装置
CN102239102B (zh) 使用振动阻尼器的升降机轿厢定位
GB2268289A (en) Reducing cage vibration due unbalance in a lift
JP4252330B2 (ja) エレベータロープの制振装置
JP2865949B2 (ja)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JP4810539B2 (ja) エレベータの振動低減装置
JP5879166B2 (ja) エレベーター
JP6173752B2 (ja) 制振装置付きエレベータ
JPH05310386A (ja) エレベータの制振装置
JP6399404B2 (ja) エレベータ用のかご横揺れ抑制装置及びかご横揺れ抑制方法
JP6591923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2002193566A (ja) エレベータ装置
JPH0323185A (ja) 昇降機の制振装置
US20100012437A1 (en) Aerodynamic Controls for High Speed Elevators
JPH09110341A (ja) エレベータかご室の制振装置
JP2018162165A (ja) エレベータ用のかご横揺れ抑制装置
JP2005320072A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5026361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177850B2 (ja) エレベータの着床制御装置
JP4780504B2 (ja) エレベータ制振装置およびこれを用いたエレベータ
JP4313167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5029799B2 (ja) エレベータの着床制御装置
JP536509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JPH0680354A (ja) エレベ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