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569B1 - 외부붐 크레인 - Google Patents

외부붐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569B1
KR0181569B1 KR1019950700412A KR19950700412A KR0181569B1 KR 0181569 B1 KR0181569 B1 KR 0181569B1 KR 1019950700412 A KR1019950700412 A KR 1019950700412A KR 19950700412 A KR19950700412 A KR 19950700412A KR 0181569 B1 KR0181569 B1 KR 0181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m
joint
crane
external
link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7004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2935A (ko
Inventor
라르썬 켄트
Original Assignee
라르스 안더선, 헤칸 스완
하이에이비 에이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라르스 안더선, 헤칸 스완, 하이에이비 에이비 filed Critical 라르스 안더선, 헤칸 스완
Publication of KR950702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29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54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with pneumatic or hydraulic motors, e.g. for actuating jib-cranes on tra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64Jibs
    • B66C23/68Jibs foldable or otherwise adjustable in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3/0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13/18Control systems or devices
    • B66C13/20Control systems or devices for non-electr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Jib Cranes (AREA)
  • Suspension Of Electric Lines Or Cabl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Mechanically-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붐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제1붐부(1)와 유압실린더(12)에 의해 제1붐부에 대해 피벗할 수 있는 외부붐(2)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 유압실린더의 일단은 제1관절(13)에 의해 제1붐부에 연결되어 있고, 유압실린더의 대항단은 제2관절(14)에 의해 외부붐(2)에 연결되어 있다. 두개의 붐(2) 사이에는 제3관절(16)에 의해 제1붐부에 연결되고, 제4관절(17)에 의해 외부붐(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링크장치(15)가 제공되어 있으며, 제4관절(17)은 제2관절(14)과 제3관절(16)로부터 공간을 두고 있고, 특히, 제3관절(16)은 제2관절(14)보다 제4관절(17)로부터 거리가 길게 위치하고 있다. 링크장치(15)에 의해 외부붐(2)이 관절점을 바꿀수 있으므로 제1붐부의 주관절(3)로 거리를 두고 위치한 제4관절(17) 주위로 작업범위내에서 피벗하는 반면, 제1붐부의 상측상의 파킹위치쪽으로 부터 멀리 피벗할때 주관절(3)에 매우 가깝게 인접한 제3관절 주위로 피벗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외부붐 크레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주관절에 의해 포스트에 연결된 제1붐부와, 이 제1붐부에 연결되어 있고, 이중작용 유압실린더에 의해 제1붐부에 대해 피벗가능한 외부붐으로 이루어진 외부붐 크레인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중작용 실린더가 제1붐단의 상측에 배열되어 있고 일단, 즉, 실린더단이 제1관절에 의해 제1붐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대항단, 즉, 피스톤로드단이 제2관절에 의해 외부붐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관절이 외부붐의 피벗관절을 통해 가상종축으로 어떤 거리를 두고 횡으로 오프셋되어, 외부붐을 상이한 위치, 즉, 제1붐부에 대해 작은 각을 하여 거의 일직선으로 그려지는 연장가상선 아래의 작업범위와 파킹위치에 인접한 이 연장선 위에 위치한 운동범위 사이를 피벗하게 한다.
[발명의 배경]
어떤 형태의 외부붐 크레인에서, 외부붐에 대해 제1붐부를 가능한 길게 하는 것이 소정의 최대 크레인 길이 범위내에서 바람직하다. 이것은 통나무를 도로차량 특히, 차량측에 따라 설치된 다수의 수직 스테이크에 의해 형성되고, 무게가 무거운 적재 캐리어에 이용되는 포리스트(forest) 크레인에 나타나 있다. 기동성때문에 제1붐부의 첩단이 스테이크의 상단위로 충분한 공간으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짐은 통상 외부붐에 의해 스테이크 이상의 최대레벨까지 이동하지만, 제1붐부가 매우 짧으면, 기동성이 복잡해져 전체 적하작업에 시간이 많이 소비된다.
그러나, 선행기술의 크레인 구조에서, 파크할때 크레인에 위치된 기하에 관한 요구때문에 제1붐부를 외부붐에 대해 길게 할수 없었다. 차량에 설치된 외부붐 크레인의 경우, 따라서 제1붐부는 포스트의 주관절로 부터 위, 아래로 경사지게 매달리는 위치까지 내려감과 동시에 외부붐이 이 제1붐부 부근 또는 거의 평행한 위치로 위쪽으로 피벗한다. 따라서, 유효공간이 제한되고, 제1붐부의 최대길이를 무조건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제1붐부와 외부붐이 작업범위로 크레인을 최대로 도달하게 하기 위해 길이가 거의 같다.
포리스트 크레인의 경우에, 제1붐부에 대해 외부붐을 피벗시키는 유압 실린더가 후자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방식에서, 부주의한 기동으로 제1붐부가 수직 적재스테이크를 찰때 흔히 발생하는 충격이 방지된다.
[발명의 목적 및 특징]
본 발명의 목적은 포리스트 크레인이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는 크레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붐부의 유효길이, 즉 주관절과 외부붐 관절간의 거리는 외부붐이 작업범위내에서 이동할때 외부붐의 길이보다 매우 길고 동시에 소정의 파킹공간범위내에서 크레인에 최대도달거리를 제공하는 크레인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목적으로는 이들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외부붐 실린더의 위치를 제1붐부의 상측에 유지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에서 언급한 외부붐 실린더 외에 추가적인 유압실린더를 사용하지 않는 크레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범위 1에 의해 성취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1붐부와 외부붐 사이에 두개의 관절점을 지닌 링크를 배열하므로서, 외부관절점은 외부붐이 작업범위내에 위치할때 외부붐을 피벗하는데 이용되는 반면, 나머지 내부 관절점은 파킹범위내로 외부붐을 피벗하는데 이용된다. 이 방식에서, 크레인이 작업범위내에서 작동할때 제1붐부의 길이를 길게 설계할 수 있다(포스트의 주관절과 상기 외부 관절점 사이의 길이를 길게 할수 있는 반면, 링크와 외부붐의 전체길이가 제1붐부의 길이만큼 긴데 이는 크레인이 소정의 파장공간범위내로 최대로 도달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선행기술의 간단한 설명]
제1붐부와 외부붐 사이에 링크를 배열하는 개념은 SE 315089 및 SE466911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공지된 구조에서는 외부붐이 작업범위와 파킹범위 사이의 중간위치를 통과할때 관절점을 바꿀 수 없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수평위치의 제1붐부를 지니고 외부붐이 제1붐부에 직선으로 연장한 크레인의 개략적인 측면도.
제2도는 파킹위치의 두개의 붐을 도시한 측면도.
제3도-제10도는 제1붐부의 상측상의 제3도에 도시된 파킹위치로부터 제10도에 도시된 스윙된 위치까지 피벗할때 외부붐의 상이한 위치를 도시한 측면도.
제11도는 외부붐을 제1붐부에 연결하는 링크장치를 도시한 절단측면도.
제12도는 제11도의 크레인부의 평면도.
제13도-제18도는 제3도-제8도에 도시된 상이한 크레인 위치에서 외부붐과 제1붐부에 대해 링크를 록킹하는 록킹래치의 기능을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
제19도는 크레인의 부분인 포스트를 회전시키는 두개의 유압실린더를 도시한 평면도.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크레인은 제1붐부(1)와 외부붐(2)을 구비하고 있다. 제1붐부에는 주관절(3)에 의해 내단에서 포스트(4)에 연결되어 있고 리프트실린더와 같은 유압실린더에 의해 이 포스트에 대해 피벗한다. 포스트(4)는 베이스(6)에 두개의 유압실린더유닛(8,8')(제19도에 도시)를 구비하는 리이브링장치(live ring device) (7)를 경유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유압실린더유닛은 포스트를 베이스에 대해 다른 회전위치로 회전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질적으로 베이스(6)는 다리에 서 있는 지지비임으로 구성되거나 이의부분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지지비임은 차량프레임에 포함되어 있다.
제1붐부(1)의 주요부분으로는 상측(9)과 하측(9')을 지닌 박스거더(box girder)이다. 또한, 외부붐의 주요부분으로는 상측(10)과 하측(10')을 지닌 거더이다. 외부붐(2)의 자유단, 또는 칩단에는 공구캐리어(11)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공구캐리어는 외부붐 또는 연장가능한 신축붐에 직접 설치되어 있다. 공구캐리어(11)는 목재를 잡아서 현수하는 회전장치를 운반할 수 있다. 따라서, 공구실런더(11)는 어떤 임의의 공구를 운반할 수 있다.
외부붐(2)은 외부붐실린더와 같은 제2유압실린더에 의해 제1붐부에 대해 피벗 가능하다. 제1붐부의 상측에는 유압실린더(12)가 설치되어 있으며, 유압실린더의 일단, 이 경우에 실린더단(12')이 제2관절(14)에 의해 외부붐(2)에 연결되어 있고, 이 실린더의 대항단, 즉 피스톤로드단(12)이 제2관절(14)에 의해 외부붐(2)에 연결되어 있다. 관절(13)의 중심이 제1붐부의 상측(9)에서 어떤 거리를 두고 있으므로 실린더단(12')이 상부측에 인접하여 평행한 위치(제3도)를 점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제1붐부(1)와 외부붐(2) 사이에는 두개의 분할링크 또는 링크판(15'), (15)(제12도)를 포함하는 링크장치(15)가 제공되어 있다. 이 링크장치에는 제3관절(16)에 의해 제1붐부(1)가 연결되어 있고 제4관절(17)에 의해 외부붐이 연결되어 있으며 제1붐(14)과 제3붐이 공간을 두고 있다. 특히, 제3관절은 제4관절(17)로부터 제2관절(14)보다 거리를 멀리 두고 위치하고 있다.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관절(14)은 두개의 쐐기모양의 테이퍼된 사이드 플랜지(18), (18') 사이에 연장한 횡축 또는 핀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플랜지는 외부붐(2)의 내단으로 부터 각을 지어 돌출해 있다. 플랜지(18), (18')의 자유단에는 피벗핀(14)이 위치하는데, 이 관절이 외부붐에 평행하고 관절(17)을 교차시키는 가상수평축의 거리를 횡으로 오프셋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관절(17)은 관통축 또는 핀을 구성하며 이는 제12도에서 점선으로 단순히 도시했다.
관절(16)은 두개의 공간을 둔 피벗핀(16), (16)을 구성하며, 이 피벗핀은 제1붐부의 외부자유단에 설치되어 있고, 이 제1붐부의 상측으로 부터 위쪽으로 경사져 돌출해 있다. 이 방식에서, 외부붐 실린더(12)의 피스톤로드(12)가 피벗핀(16), (16)과 플랜지(19), (19') 사이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자유단에서, 피스톤로드(12)는 피벗핀(14)을 포위하는 연결링(20)을 지니고 있다. 링(20)의 폭이 쐐기 모양의 플렌지(18), (18') 사이의 거리보다 상당히 작은데, 이는 피벗핀(14)이 어떤 거리 이상으로 링(20)의 양측에 노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각각의 두개의 링크판(15'), (15)은 각이 형성되어 있고, 한측에서는 서로 각을 지어 연장하고, 실질적으로 관절(14)과 (17)간의 거리가 같은 제4관절(17)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한 점(23)에서 결합하는 두개의 모서리(21), (22)를 지니고 있다. 실질적으로, 모서리(21)와 (22) 사이의 각은 150-160o이다. 점(23)은 제2관절(14)에 대해 받침점을 형성한다. 피벗핀(14)의 원통모양에 해당하는 부분적인 원 리셋스가 이절의 영역에 제공되어 있다.
제4관절(17)로부터 공간을 둔 단에서, 각각의 링크판(15'), (15)은 링크의 수평크기의 75-85o로 횡으로 연장한 단말모서리(24)를 지니며, 제3관절을 형성하는 피벗핀(16'), (16)이 두개의 링크판의 단말모서리(24) 일단의 부근에 배열되어 있다. 단말모서리(24)의 대항단에서 (제2도 참조) 제1붐부의 칩부에 고정되게 설치된 축 또는 핀(26)과 협동하기에 알맞는 반원리셋스 또는 시이트(25)가 제공되어 링크장치에 대해 정지역할을 한다.
외부붐(2)은 운동의 두개의 현저한 범위, 즉, 작업범위와 비작용위치 또는 파킹위치에서 이동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이 두개의 범위는 제6도에 도시된 중간범위에 의해 분리된다. 이 중간범위에서, 외부붐은 제1붐부의 익스텐션에서 이에 대한 작은 각으로 돌출한다. 외부붐이 제6도에 도시된 중간위치로 부터 제10도에 도시한 위치로 아래로 피벗할때, 작업범위내에 위치하는 반면, 제6도에 도시된 중간위치에서 제3도에 도시된 파킹위치로 피벗할때 파킹범위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크레인이 제3도의 파킹위치와 제6도의 중간위치간의 범위, 즉 파킹위치에 이동할때 외부붐(2)에 대해 링크장치를 록킹하는 수단을 포함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외부붐(2)이 위에서 언급한 작업범위내에서 이동할때, 크레인은 제1붐부(1)에 대해 링크를 록킹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특별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하나 및 같은 록킹수단이 한편으로 파킹범위내에서 이동할때 외부붐에 대해 링크를 록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외부붐이 작업범위내에서 이동할때 제1붐부에 대해 록하기에 알맞다.
제11도 및 제12도는 외부붐과 제1붐부에 대해 링크장치를 록할 수 있는 특별히 바람직한 록킹수단을 제13도-제18도와 조합해서 도시했다. 이 록킹장치는 관절(28)을 경유하여 이와 관련된 링크판(15'), (15)에 피벗할 수 있게 연결된 두개의 래칫(27), (27')을 포함한다. 제14도에서 알수 있듯이, 각각의 래칫(27)은 록킹시 피벗핀(14)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포크 모양의 제1암(female) 부재를 지닌다. 또한, 래칫은 핀(26)을 수용할 수 있거나 부분적으로 포함하고 정지역할을 하는 반원리셋스(30)형의 제2암 부재를 포함한다. 각각의 록킹래칫은 붐 첩부의 중간부분에서 제1붐부의 상측에 고정된 안내부재(31), (31')와 협동한다. 안내부재는 훅(hook) 모양을 하고 있고, 아치모양으로 둥근 외부훅부(32)를 지닌다. 관련된 록킹래칫(27)과 같은 수직평면에는 각각의 안내부재(31)가 위치하고 있어, 래칫이 안내부재에 위치한다.
록킹래칫의 기능은 제13도-제18도에서 분명히 알수 있다. 이를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제10도에 따라 파킹위치에서 상위치에 근접위치한 하부 작업 위치까지의 상이한 크레인 위치를 개략 도시한 제3도-제10도가 참조되었다. 제3도는 파킹위치의 외부붐(2)이 제1붐부(1)에 어떻게 인접위치하여 평행한가를 도시한다. 이 위치에서, 외부붐 실린더(12)가 최소길이보다 짧다. 즉, 피스톤로드(12)가 실린더(12')에 최대한으로 수축된다. 또한, 링크장치(13)가 외부붐에 대해 록되어, 링크장치와 외부붐이 함께 강체유닛을 형성한다. 외부붐실린더가 연장되거나 길어질때, 외부붐가 링크장치가 함께 제1붐부에서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된 위치 이상, 최대한으로는 제6도에 도시된 중간위치로 바깥쪽 및 윗쪽으로 피벗한다. 관련 정지핀(26)을 맞물리는 리셋스(30)에 의해 방지된다. 외부붐 실린더(12)의 연속연장에 의해 외부붐의 관절점이 선행관절점(16)에서 관절점(17)으로 변경되므로서, 실린더(12)가 제7도-제10도에 도시된 다른 위치로 더 연장할때 작업범위에서 관절점으로 피벗핀(17)과 작동한다. 실린더(12)가 짧아질때, 크레인은 반대방식으로 작동한다. 외부붐이 제6도에 도시된 중간위치 아래의 작업위치에 위치 아직 있는 한, 피벗핀(17)이 아직 관절점 역할을 한다. 외부붐이 제6도의 중간위치에 도달할때, 관절점이 교환되어 제3도의 파킹위치로의 외부붐의 연속피벗운동이 관절(16) 주위에서 일어난다.
록킹래킷(27), (27')의 기능을 설명한 제13도-제18도을 참고하자 [래칫(27')이 유사한 방식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래칫(27)의 기능만을 후에 설명한다]. (제3도에 해당하는) 제3도의 외부붐의 파킹위치에서, 연결링(20)과 플랜지(18) 사이에 위치한 핀(14)의 노출부를 더 정확히 맞물리므로서 포크모양의 암부재(29)가 피벗핀(14)을 맞물린다. 이 위치에서, 래칫(27)의 외부모서리부 또는 하부모서리부는 안내부재(31)의 상측을 맞물린다. 외부붐을 제4도에 도시된 위치 이상으로 피벗할때, 래칫의 포크모양 또는 암부재(29)는 안내부재(31)와 연속 맞물리어 이에 위치한 래칫에 의해 피벗핀(14)과 연속 맞물리게 된다. 이것은 링크와 외부붐이 서로에 대해 록되므로서 강철유닛을 형성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제15도의 위치에서, 피벗핀(17)에 대한 래칫의 록킹 맞물림이 안내부재(31)에 의해 유지되어 래칫이 관절(28) 주위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제6도에서 래칫이 안내부재(31)와 분리되어 관절(28) 주위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벗하는 것이 자유로워지며, 래칫이 암리셋스(30)와 자유롭게 될때 정지핀(26)을 맞물리게 하고, 이 정지핀은 다음 링크의 단말모서리(14)의 리셋스와 이미 맞물린다. 이후, 외부붐 실린더(12)의 연속연장에 따라 외부붐이 제17도에 도시된 위치에 피벗할때, 피벗핀(14)이 포오크 모양의 부재(29)와 완전히 분리되어 외부붐의 연속피벗운동이 관절(17) 주위에서 발생한다. 외부붐이 작업범위내에서 이동할때, 링크장치(15)는 링크장치를 정지핀(26)에 붙게하는 토오크에 의해 영향받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링크장치는 제1붐부에 대해 록할 필요가 없다. 어떤 형태의 범위에서, 그러나, 외부붐이 위쪽으로 이동하여 링크에서 저키(jerky)운동을 일으키고, 제1붐부에 대해 자유로히 피벗해야 한다. 록킹래킷(27), (27')을 제공하므로서, 관련된 정지핀과 암리셋스(30)의 맞물림은 링크장치가 관절(16) 주위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피벗하는 것을 방지하기 때문에 이러한 저키 운동이 방지된다.
래칫을 이동하여 관련된 정지핀(26)과 맞물리는데 특별한 도움없이 두개의 록킹래킷(27), (27')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을지라도, 이들은 스프링과 유압 실린더와 결합시킬 수 있다. 이 스프링은 래칫을 관절(28) 주위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일정하게 피벗시키고, 이 유압실린더는 록킹래칫의 운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 따라, [관절(17)과 공구캐리어(11)간의 거리로 산출된] 외부붐과 [관절(16)과, (17)간의 거리로 산출된] 링크의 전체길이는 [주관절(3)과 링크관절(16)간의 거리로 산출된] 제1붐부(1)의 길이보다 같거나 약간 작다. 링크장치(5)의 길이에 대한 외부붐(2)의 길이는 크게 변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된 예에서, 외부붐은 링크장치보다 약 3.5배 길다. 그러나, 링크장치를 상당히 길게 크레인을 설계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붐은 링크장치 보다 길이가 길어야 한다. 외부붐의 길이는 링크장치의 1-5 또는 바람직하기로는 2-4배 이면 적당하다.
본 발명의 장점은 분명하다. 외부붐과 제1붐부 사이에 제공된 링크장치를 사용하므로서 외부붐이 위에서 설명한 중간위치를 통과할때 크레인은 순서대로 관절점을 자동으로 변경한다. 즉, 외부붐이 작업범위에 있을때, 제1붐부의 주관절로부터 멀리 관절점 주위를 피벗하는 반면, 파킹 범위에 있을때, 외부붐은 제1붐부의 주관절에 가깝게 위치한 관절점 주위를 피벗한다. 다시 말해, 작업범위내에서 외부붐이 피벗운동하는 동안, 제1붐부의 유효길이는 제1붐부의 길이보다 상당히 큰데, 이는 작은 공간에 크레인을 파크할 수 있고, 외부붐이 제1붐부의 주관절로부터 멀리 위치한 관절점 주위로 피벗할 수 있기 때문에 작동상태에서 크레인은 작동하기 쉽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2도와 관련한 제19도를 참조하면, 위에서 언급했듯이, 포스트(4)는 포스트를 수직중심축 주위로 회전하게 하는 두개의 유압실린더유닛(8), (8')을 구비하는 회전장치(7)에 설치되어 있다. 실질적으로, 각각의 실린더유닛은 2개의 협동하는 단일작용실린더가 구성되어 있으며, 이 실린더에는 회전장치(7)에 일체가 된 기어림(rim)과 정합하는 왕복직선래크가 연결되어 있다. 두개의 실린더유닛을 사용하므로서, 균등한 토오크가 포스트에 전달되는데 이는 하나의 실린더로 성취할 수 있는 토오크 크기를 두배로 할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에서 크레인 구조가 서로 평행한 형태의 이중실린더를 사용하므로서, 회전장치에서 돌출한 실린더유닛의 단에 의해 제1붐부가 외부붐과 같이 포스트에 근접위치한 파킹위치 아래로 피벗한다는 단점이 있다.
제19도에 도시된 구조에서, 두개의 유압실린더유닛(8), (8')이 서로에 대해 경사지므로, 2개의 제1자유단 또는 실린더가 대항단 또는 실린더(33), (33')보다 서로 상당히 근접위치하므로, 단 (33)과 (33') 사이에 제1붐부(1)와 이와 관련된 외부붐(2)을 수용할 수 있는 공간(34)이 형성된다.
제19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해결책이 위의 크레인 구조에 적절할지라도 (여기서, 파킹위치의 외부붐이 제1붐부의 상측에 위치), 제1붐부를 기둥에 파크하기에 바람직하고, 큰 힘으로 포스트를 회전할 수 있는 또 다른 형태의 크레인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능한 수정]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하고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링크장치를 외부붐에 대해 록할 수 있을뿐 아니라 제1붐 부품에 대해 록할 수 있는 한쌍의 래칫(27, 27') 형의 단일록킹수단을 링킹장치를 외부붐에 대해서만 록킹하거나 링킹장치를 제1붐부에 대해 록킹만 하는 분리록킹부재와 대체할 수 있다. 링킹장치를 록킹하는 각각의 특별한 록킹부재가 필요없다. 핀(26) 대신 외부붐의 관절점을 변경시키기 위해 이 링크를 위에서 설명한 중간위치에 제동할 수 있는 또 다른 임의의 수단을 이용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링크가 두개의 분리된 평행한 링크판을 포함할지라도, 하나만의 링크 또는 링크핀을 지나 장치를 설계할 수 있다.

Claims (11)

  1. 주관절(3)에 의해 포스트(4)에 연결된 제1붐부(1)와, 이 제1붐부에 연결되어 이중작용 유압실린더(12)에 의해 제1붐부에 대해 피벗하는 (pivotable) 외부붐(2)을 구비하며, 상기 이중작용유압실린더(12)는 제1붐부의 상측에 배열되어 있고, 일단, 즉 실린더단이 제1관절(13)에 의해 제1붐부에 연결되어 있고, 대항단, 즉 피스톤로드단이 제2관절(14)에 의해 외부붐(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관절(14)은 외부붐의 피벗(pivotal) 관절을 통해 가상종축의 거리를 횡으로 오프셋하므로서 외부붐을 상이한 위치, 즉, 제1붐부에 대해 작은각으로 또는 거의 직선을 그리는 가상연장선 아래의 작업범위내뿐 아니라 파킹(parking) 위치에 인접한 이 연장선 위에 위치된 범위에서 피벗하게 되는 외부붐 크레인에 있어서, 2개의 붐(1,2) 사이에 제3관절(16)에 의해 제1붐부에 연결되고 제4관절(17)에 의해 외부붐(2)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링크장치(15)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제4관절(17)은 상기 제2관절(14)과 상기 제3관절(16)로부터 공간을 두고 있고, 특히 제3관절(16)은 제2관절(14) 보다 제4관절(17)로부터 거리가 길며, 한편, 외부붐(2)은 유압실린더(12)를 연장하면, 제1붐부(1)의 상측(9)에 근접한 파킹위치로부터 링크장치 스톱(26)에 붙어 구속되는 중립위치로 링크장치와 피벗하고, 유압실린더(12)를 계속 연장시키면, 외부붐(2)만이 제4관절(17) 주위를 피벗하고, 유압실린더(12)를 수축하면, 작업범위내의 임의의 위치로부터 상기 중간위치로 제4관절(17) 주위에서 반대방향으로 피벗하고, 유압실린더를 계속 수축시키면, 외부붐이 다시 링크장치(15)와 함께 제3관절(16) 주위로 상기 파킹위치로 피벗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2. 제1항에 있어서, 링크장치(15)는 두개의 분할링크판(15',15)을 구비하며, 각각의 링크판은 각이져 있고 제1측상에는 서로에 대해 150-160o의 각을 하고, 상기 제2관절(14)과 제4관절(17) 사이의 거리와 같은 제4관절(17)로부터 거리를 두고 위치한 점(23)에서 결합하는 모서리(21,22)를 지니며, 상기 점(23)은 외부붐(2)이 상기 파킹위치와 상기 중간위치 사이에 위치하는 한 상기 제2관절(14)에 대해 어부트먼트(abutment)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판의 제4관절(17)로부터 멀리 떨어진 단에는 이 링크판의 종크기의 75-85o로 횡으로 연장한 종단모서리(24)가 있으며, 상기 제3관절(16)은 상기 종단모서리의 일단 부근에 배열되어 있는 반면, 상기 스톱(26)을 맞물리는 수단(25)이 종말모서리의 대항단에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4. 제3항에 있어서, 스톱은 축 또는 핀(26)을 구성하며, 상기 맞물림 수단은 링크장치가 상기 중립위치에 있을때 핀이 맞물릴 수 있는 반원 리셋스(reless)(25)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5.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외부붐이 상기 파킹위치와 상기 중간위치간의 범위에서 이동할때 외부붐(2)에 대해 링크장치(15)를 록킹하는 수단(27,29)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6. 제1항, 제2항, 제3항 또는 제4항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외부붐(2)이 상기 작업범위내에서 이동할때 제1붐부에 대해 링크장치(15)를 록킹하는 수단(27,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7. 제6항에 있어서, 하나 및 같은 록킹수단(27)은, 한편으로 외부붐이 상기 파킹위치와 상기 중간위치간의 범위에서 이동할때, 외부붐(2)에 대해 링크장치를 록하기위해 사용되고, 다른 한편으로 외부붐(2)이 상기 작업범위내에서 이동할때, 제1붐부(1)에 대해 링크장치를 록하기위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8. 제7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관절(28)에 의해 링크장치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래치(27,27')도 구성되며 상기 제2관절을 형성하는 축 또는 핀(14)을 수용하는 제1포크모양의 암부재(29)와 상기 스톱핀(26)을 수용하는 제2암부재, 즉, 반원 리셋스(30)를 지니며, 상기 래칫은 상기 파킹위치와 상기 중간위치 사이의 외부붐의 피벗운동범위의 주요부분 이상으로 상기 제2피벗핀(14)과 맞물리게 상기 제1암부재(29)를 양으로 유지시키는 안내부재(31)와 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9. 제8항에 있어서, 외부붐(2)과 링크장치(15)의 총길이는 제1붐부(11)의 길이와 같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10. 제9항에 있어서, 외부붐(2)의 길이는 링크장치(15)의 길이의 1-5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붐 크레인.
  11. 제1붐부(1)와, 주관절에 의해 연결되어 2개의 공간을 둔 신장된 직선유압 실린더유닛(8,8')과 협동하는 회전장치(7)를 경유하여 베이스(6), 즉, 차량비임에 설치된 포스트(4)를 구비하며, 상기 유압실린더는 상기 포스트의 대항측에 배설되고 이로 부터 양방향으로 같은 거리로 돌출하여 상기 베이스에 대해 포스트를 회전시키는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두개의 실린더유닛(8,8')은 서로에 대해 경사지게되어, 두개의 제1자유단(32,32')이 제2대항단(33,33')외에 서로 상당히 근접하므로서 제1붐(1)을 파킹위치에 수용하는 확대공간(34) 사이에 나중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인.
KR1019950700412A 1992-08-04 1993-07-08 외부붐 크레인 KR0181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202279A SE470437B (sv) 1992-08-04 1992-08-04 Vipparmskran med länkanordning som växlar ledpunkt mellan arbetsområdet och parkeringsläget
SE9202279-7 1992-08-04
PCT/SE1993/000622 WO1994003389A1 (en) 1992-08-04 1993-07-08 Outer-boom cra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2935A KR950702935A (ko) 1995-08-23
KR0181569B1 true KR0181569B1 (ko) 1999-04-15

Family

ID=20386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700412A KR0181569B1 (ko) 1992-08-04 1993-07-08 외부붐 크레인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0726872B1 (ko)
JP (1) JP3074022B2 (ko)
KR (1) KR0181569B1 (ko)
AT (1) ATE189445T1 (ko)
AU (1) AU4594293A (ko)
DE (1) DE69327807T2 (ko)
ES (1) ES2142875T3 (ko)
FI (1) FI108026B (ko)
SE (1) SE470437B (ko)
WO (1) WO1994003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0629B1 (ko) 2004-10-11 2006-07-13 대호 (주) 차량에 장착되는 상하차용 미니 크레인
DK1770050T3 (da) * 2005-09-29 2010-03-15 Steindl Krantechnik Ges M B H Sammenklappelig kran
DE202007012764U1 (de) * 2007-09-12 2009-02-12 Liebherr-Werk Ehingen Gmbh Auslegerkran, Hilfsausleger und Zwischenstück
AT508171A1 (de) * 2009-05-07 2010-11-15 Epsilon Kran Gmbh Kran mit totpunktüberwindung
SI3248928T1 (sl) * 2016-05-24 2019-03-29 Epsilon Kran Gmbh. Zložljiv žerjav v obliki črke Z
KR102276714B1 (ko) * 2016-10-14 2021-07-13 팔핑게르 아게 하중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이러한 유형의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유압식 리프팅 장치에 대한 컨트롤러
EP3577281B1 (en) * 2017-01-31 2024-04-10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Pipe layer attachment for an excava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505521C2 (de) * 1974-02-21 1985-04-11 Osakeyhtiö Fiskars AB, Helsinki Gelenkauslegerkran
FI50094C (fi) * 1974-12-13 1975-12-10 Fiskars Ab Oy Sivulle taitettavalla nostopuomilla varustettu moottori.
US5016767A (en) * 1989-03-10 1991-05-21 Posi-Plus Technologies Inc. Boom articulation mechanism with, simultaneously operable, cylind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I950494A (fi) 1995-02-03
WO1994003389A1 (en) 1994-02-17
KR950702935A (ko) 1995-08-23
AU4594293A (en) 1994-03-03
DE69327807T2 (de) 2000-10-12
DE69327807D1 (de) 2000-03-09
SE9202279L (sv) 1994-02-05
ES2142875T3 (es) 2000-05-01
SE9202279D0 (sv) 1992-08-04
EP0726872B1 (en) 2000-02-02
ATE189445T1 (de) 2000-02-15
JPH07509682A (ja) 1995-10-26
FI108026B (fi) 2001-11-15
JP3074022B2 (ja) 2000-08-07
SE470437B (sv) 1994-03-07
EP0726872A1 (en) 1996-08-21
FI950494A0 (fi) 1995-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405B1 (ko) 고하중용 크레인
DE3020438A1 (de) Spreizrahmenanordnung fuer torlader u.dgl.
KR0181569B1 (ko) 외부붐 크레인
FI88792B (fi) Sjaelvroerlig plattform av laogprofil i anslutning till fordon avsedd foer arbete i luften
US4496062A (en) Crane having stabilizing outriggers
US3604533A (en) Combination telescopic and articulated aerial bucket device
RU224956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ладывания стрелы крана с элементами, укладываемыми один в другой
US3637043A (en) Articulated aerial device
US4623067A (en) Compact foldable crane
RU2191156C2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ачты для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мачтой
RU2189936C2 (ru) Башенный подъемный кран с автоматизированным монтажом и стрелой с боковым складыванием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RU2307062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ъема и раскладывания мачты и для подъема стрелы подъемного крана
EP3339237B1 (en) Hydraulic crane
FI74908B (fi) Drivrulledon.
US4726445A (en) Mobile lift
JPS62244898A (ja) 3つの液圧作動部材を含む運送可能な関節作動ア−ムクレ−ン
EP2708488B1 (en) Foldable jib for a crane and such crane
DE8009033U1 (de) Kran mit teleskopturm
RU1801932C (ru) Башенный кран
WO1992004271A1 (en) Crane
CA1179645A (en) Articulated boom and assembly therefor
JPS6126316Y2 (ko)
SU804840A1 (ru) Шахтный кран
JPH048160Y2 (ko)
FI82826B (fi) Lyftbommek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1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