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70001405B1 - 고하중용 크레인 - Google Patents

고하중용 크레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70001405B1
KR870001405B1 KR1019840002540A KR840002540A KR870001405B1 KR 870001405 B1 KR870001405 B1 KR 870001405B1 KR 1019840002540 A KR1019840002540 A KR 1019840002540A KR 840002540 A KR840002540 A KR 840002540A KR 870001405 B1 KR870001405 B1 KR 870001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ase unit
crane
base
load cr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2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2441A (ko
Inventor
요시즈미 젠노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마끼 후유히꼬(牧冬彦)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마끼 후유히꼬(牧冬彦)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고오베 세이꼬오쇼
Publication of KR850002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2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70001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700014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4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 B66C23/76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separate from jib and movable to take account of variations of load or of variations of length of jib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고하중용 크레인
제1도는 본래의 완전한 크기로 작동하는 고하중용 크레인의 개략도.
제2도는 크레인의 베이스부의 확대 개략도.
제3(a)도 내지 제3(c)도는 제2도와 유사하지만 보다 작은 크기로 크레인을 수축하기 위한 단계를 나타내는 단계도.
제4도는 제1도와 유사하지만 수축상태로 작동하는 크레인을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 무한 궤도차량 3, 4 : 회전 프레임
5 : 붐 6 : 평형추
10 : 전방프레임 11 : 후방프레임
A : 제1베이스 유니트 B : 제2베이스 유니트
C : 연결프레임 D : 갠트리구조물
본 발명은 초중량물을 인양할 수 있는 초대형의 고하중용 크레인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고하중용 크레인은 통상의 크레인의 베이스 기계장치에 해당하는 한쌍의 이동 및 회전가능한 베이스 유니트를 연결프레임으로 연결하여 베이스 유니트의 하나에는 붐을, 다른 베이스 유니트에는 평형추를 각각 설치하고 또한 양 베이스 유니트간에 걸쳐서 갠트리를 설치하du 구성되며 양 베이스유니트의 연동에 의하여 이동 및 회전을 행한다.
그러한 고하중용 크레인은 원래 넓은 장소에서의 초중량물의 인양작업을 목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신속한 회전이동이라는 작동속도 및 작동지면 공간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았다.
그러나 실제로 그들은 최대능력이 필요한 초중량물을 인양하는데 항상 사용되지 않을뿐 아니라 가끔 작은 하중을 취급하는데도 사용된다.
그러한 경우 고하중용 크레인이 원래 갖고있는 작동속도의 결함 및 작동 지면 공간의 광대함은 작동에 있어서 장해요인이 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고하중용 크레인이 회전하기 위하여 제1베이스 유니트가 다른 베이스 유니트주위로 이동되며 또한 재 배치하기 위해 동시에 이동하려면 두 베이스 유니트가 일정한 속도로 동일방향으로 동시에 이동되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작동은 서로 긴밀하게 연락되는 다수의 작업자에 의하여 매우 정교하고 주의깊게 수행되어야 하므로 비능률적인 것이다.
한편 두 베이스유니트의 중심거리는 어떤 경우에는 약 36m 정도이며 크레인 전체거리는 약 50m 정도로 연장된다. 이러한 경우 매우 넓은 작동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어떤 상황하에서 그러한 작동공간을 확보하는 것은 어렵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작동속도의 향상 및 필요한 상황이라면 작동 지면공간을 축소할 수 있는 고하중용 크레인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하중용 크레인은 이동 및 회전가능한 제1베이스 유니트, 제1베이스 유니트에 장착된 붐, 이동 및 회전가능한 제2베이스 유니트, 제2베이스 유니트에 장착된 평형추, 두 베이스 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두 베이스 유니트위에 교차하여 지지된 갠트리 구조물을 필수적으로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연결프레임은 제1베이스 유니트에 연결된 선단을 갖는 전방프레임과, 제2베이스 유니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단을 갖는 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단은 후방프레임의 선단과 제2베이스 유니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목적, 형태 및 장점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내는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 범위로부터 명료하게 알 수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본 발명의 고하중용 크레인을 나타낸다. 고하중용 크레인은 일반적으로 제1베이스 유니트(A), 제2베이스 유니트(B) 및 두개의 베이스 유니트(A, B)를 상호연결하는 연결프레임(C)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및 제2베이스 유니트(A, B)는 각각 무한궤도 차량(1, 2)위에 회전 및 분리 가능하게 탑재된 회전(swivel) 프레임(3, 4)을 갖고 있다.
붐(boom)(5)은 제1베이스 유니트(A)의 회전프레임(3) 위에 기복 가능하게 장착된다.
반면에 다수의 평형추(6)는 제2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위에 분리 가능하게 적충되어 있다.
더우기 전방 갠트리부재(7)는 제1베이스 유니트(A)의 회전프레임(3) 위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며, 파이프형태의 후방 갠트리부재(9)는 브래킷(8)을 통해 제2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 갠트리부재(7, 9)는 붐(5)과 마찬가지로 동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그들의 상단은 갠트리구조물(D)이 제공되어 서로 피버트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연결프레임(C)은 전방프레임(10)과 후방프레임(11)으로 구성되고 그들의 대향단은 중간부재(12)를 통해 서로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전방프레임(10)의 전단 및 후방프레임(11)의 후단은 각각 핀(13, 14)에 의해서 제1및 제2베이스 유니트(A, B)의 회전프레임(3, 4)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전방 및 후방프레임(10, 11)은 전방프레임(10)으로부터 중간부재(12)의 브래킷(16)을 분리하므로서 서로 분리된다. 중간부재(12)는 두개의 프레임(10, 11)에 대한 원통부(17)의 회전에 의해서 전방 및 후방프레임(10, 11)의 상대적인 비틀림운동을 흡수한다. 핀(15) 하나가 추출되면 남은 핀(15)은 추축으로 연결된 상태로 브래킷(16)과 전방프레임(10)을 간직하고 경사지면에서 발생하는 그들의 상하 굴절운동을 흡수하므로서 장치(A, B)는 다른 높이에서 지지된다.
중간부재(12)의 브래킷(16)과 전방프레임(10) 사이의 핀 연결은 후방프레임(11)과 제2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 사이의 핀연결(위치 및 핀맞춤 구멍의 직경으로)과 같이 동일구조를 갖고 있다.
따라서 제2베이스 유니트(B)로부터 후방프레임(11)과 중간부재(12)를 떼어낸후 전방 프레임(10)을 제2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과 함께연결하기 위하여 서로를 향해 두개의 베이스 유니트(A, B)를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중간연결부재(12)의 후단은 후방프레임(11)의 수평축의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후방프레임(11)의 전단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예를들어 중간부재(12)의 원통부(17)는 미리 정해진 거리내에서 후방프레임(11)의 전단에 제공된 구멍내에 이동 가능하게 설계된다.
이런 배열로 인해서 제1베이스 유니트(A)로 향하여 제2베이스 유니트(B)의 약간의 이동은 흡수될 수 있고 제1베이스 유니트(A)의 작동이나 정비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결과 안전한 작동을 할 수 있다. 중간연결부재(12)는 물론 상기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역으로 하여 전방 및 후방프레임(10, 11)에 연결 될 수 있다.
더우기 크레인은 전방프레임(10)의 하부측위에 대향하는 한쌍의 수직 잭(jack) 실린더(18)(그들중 1개만이 도시됨)가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잭 실린더(18)의 하부단에 제공된 플로우트(19)는 연장되어 지면위에 지지된다.
그로인해 이후에 상세히 기술될 방법으로 전방프레임(10)을 밀어올린다.
전방프레임(10)에는 인양 와이어로프를 감거나 붐(5)의 각을 변화시키기 위하여 그 위에 윈치(winch)(도시않됨)를 장착한다.
상술한 구조의 고하중용 크레인으로 초중량물을 인양하기 위한 작업은 제1및 제2베이스 유니트(A, B)가 소정간격으로 떨어진 위치에서 연결프레임(C)에 의해 상호연결된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최대크기 위치에서 행해진다. 제1 및 제2베이스 유니트(A, B)의 차량은(1, 2)이 제1도 및 제2도와 같이 직렬로 놓여있을지라도 물론 그들은 작동조건에 따라 적절한 자세를 취하도록 다른 방향 또는 위치로 놓여질 수 있다.
그리고 큰 인양능력은 필요로 하지 않고 대신에 크레인의 크기는 크레인 작동시 속도를 향상시키거나 작동지면 공간을 최소화(즉 작업장소의 제한으로 인해)시키기 위하여 다음 절차에 따라 최소화될 수 있다.
(a) 두 개의 베이스 유니트(A, B)의 차량(1, 2)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직렬로 놓여진다.
(b) 연결프레임 (C) 의 후방프레임(11)과 그 중간부재(12)의 브래킷(16)은 다른 크레인 또는 인양기계를 사용함에 의하여 제2베이스 유니트(B)와 전방프레임(10) 사이의 위치로부터 후방프레임(11)과 중간부재(12)를 제거하기 위하여 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과 전방프레임(10)으로부터 각각 분리된다. 이러한 분리 작업에서 중간부재의 부래킷(16)과 전방프레임(10)을 연결하는 핀(15)은 잭실린더(18)를 신장하므로서 전방프레임(10)을 밀어올림에 의해서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c) 제3(b)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1베이스 유니트(A)로 향하여 제2베이스 유니트(B)를 이동한후, 전방프레임(10)은 핀(14 또는 15)에 의하여 제2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에 연결된다.
이때 잭실린더(18)은 연결작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결과적으로 두 베이스유니트(A, B)는 중간 축소상태로 간직되어 그들은 전방프레임(10)에 의해 단독으로 연결된다.
(d) 크기를 더욱 수축시키기 위하여 평형추(6)의 불필요한 부분은 제3(c)도에 도시된 것처럼 제2베이스 유니트(B)로부터 제거된다. 또한 베이스유니트(B)의 차량(2)은 회전프레임(4)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축된 위치로 이동된다.
이제 크레인은 통상의 대형 크레인에 비교될 정도의 크기로 수축되고 또한 제1베이스 유니트(A), 연결프레임(C)의 전방프레임(10), 제2베이스 유니트(B)의 회전프레임(4) 및 필요한 수의 평형추(6)와 갠트리(D)로 이루어진 베이스 기계장치로 구성된다.
비록 크레인의 인양능력이 이와같이 완전히 수축된 상태에서 무시할 수 없을 정도로 낮을지라도 통상의 크레인과 유사한 방법으로 제1베이스 유니트(A)의 작동에 의해서 단독으로 회전 및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비약적으로 작동속도를 상승시킬 수 있고 통상의 크기로 그 작동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원래의 상태로 복귀시키기 위하여는 상술한 절차의 역순으로 행한다.
또한 잭실린더(18)는 수축상태로부터 최초의 초대형 위치로의 변환작동에 효과적으로 사용되며, 기계장치 지지의 안전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지주(outrigger)와 같은 작용을 하도록 제3(c)도의 수축된 상태에서 지면에 연장하여 착지된다.
더우기 보통 붐각도는 그 인양능력을 고려하여 수축상태에서 변화되지 않으며 대신에 지브(jib)(20)는 인양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지브(20)의 회전운동을 통해 제4도에 보인 바와 같이 붐(5)의 선단에 장착된다.
제4동에 지브 버팀대(21, 22)는 크레임의 수축에 앞서 지브(20)와 함께 붐(5)에 부착된다.
본 발명 크레인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제3(c)도 및 제4도의 크기로 수축될 수 있다.
그러나 보다 간단한 방법으로 작동되면 공간만을 감소하기를 바랄경우에 크레인은 두 베이스유니트(A, B)가 전방프레임(1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되어 제3(b)도의 중산 수축상태로 사용될 수도 있다.
이 상태에서 인양능력의 커다란 감소는 없으므로 중량물을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반면에 작동운동을 제1도 및 제2도의 최대크기 위치일때와 비교하여 보다 콤팩트하고 빠르게 된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로도 실현될 수 있다.
예를들어 이전의 실시예에서 무한궤도차량(1, 2)이 제공된 베이스유니트(A, B)에는 동일효과를 갖는 바퀴달린 차량이 적용될 수 있다. 더우기 연결프레임(C)의 전방 및 후방프레임(10, 11)이 상기 실시예에[서 중간부재(12)에 의해 상호 연결되며, 그들은 연결프레임(C)의 비틀림 또는 굴절을 고려할 필요가 없을 경우나 또는 중간부재(12) 이외의 반비틀림 또는 굴절수단이 사용되는 경우에 서로 직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런 연결수단으로는 베이스 유니트(A, B)에 프레임(10, 11)을 연결하기 위하여 핀의 위치에 볼트, 너트 또는 다른 적절한 수단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후방프레임(11)은 다수의 블록으로 분리 가능한 구조를 갖고 있다. 이런 경우에 후방프레임(11)의 분리 또는 조립은 단계적으로 행해져서 수축 및 신장작동을 보다 용이하고 안전하게 할 수가 있다. 반면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후방프레임(11)의 분리가 능한 블록은 일시적으로 크레인의 전체길이를 축소하기 위하여 제거될 수도 있다.
더우기 갠트리구조물(D)의 전방 후방부재(7, 9)에 대해서는 상기 실시예 이외에도 임의의 구조를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고하중용 크레인은 회전속도 및 차량운전작동을 향상시키고 또한 작동지면공간을 최소화 하기 위하여 적은 크기로 수축된 수 있으므로 크레인의 작동 및 사용의 다양성을 향상시키는데 많은 기여를 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6)

  1. 이동 및 회전가능한 제1베이스 유니트, 상기 제1베이스 유니트 위에 장착된 붐, 이동 및 회전가능한 제2베이스 유니트, 상기 제2베이스 유니트 위에 장착된 평형추,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 유니트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프레임 및 상기 제1 및 제2베이스 유니트 위에 교차하여 지지된 갠트리 구조물이 결합하여 이루어진 고하중용 크레인에 있어서, 상기 연결프레임은 상기 제1베이스 유니트에 연결된 선단을 갖는 전방프레임과, 상기 제2베이스 유니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된 후단을 갖는 후방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단은 상기 후방프레임의 선단과 상기 제2베이스 유니트에 분리가능하게 연결 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크레인.
  2. (정정)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 유니트는 차량과 상기 차량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회전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크레인.
  3. 제1항에 있어서, 하단에 플로우트를 갖고 있는 잭실린더가 상기 전방프레임의 후단부의 아래측에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크레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방 및 후방프레임은 중간연결부재를 통해 상호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크레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후방프레임에 대해서 상기 후방프레임의 수평축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크레인.
  6. 제4항 및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연결부재는 상기 전방 및 후방프레임의 하나에 피버트 가능하게 연결된 브래킷과 상기 전방 및 후방프레임의 다른 하나에 회전 및 접동가능하게 연결된 원통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하중용 크레인.
KR1019840002540A 1983-05-11 1984-05-11 고하중용 크레인 KR8700014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8-82160 1983-05-11
JP58082160A JPS59207394A (ja) 1983-05-11 1983-05-11 超大型クレ−ン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2441A KR850002441A (ko) 1985-05-13
KR870001405B1 true KR870001405B1 (ko) 1987-07-30

Family

ID=13766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2540A KR870001405B1 (ko) 1983-05-11 1984-05-11 고하중용 크레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614275A (ko)
JP (1) JPS59207394A (ko)
KR (1) KR870001405B1 (ko)
CA (1) CA1240290A (ko)
GB (1) GB214077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41049A1 (de) * 1983-11-12 1985-05-30 Mannesmann AG, 4000 Düsseldorf Mobilkran
JPS61203095A (ja) * 1985-03-04 1986-09-08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カウンタバランス型クレ−ン
US4716729A (en) * 1986-01-27 1988-01-05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ydraulic drive system for a counterweight dolly in counterbalance type crane
US4729486A (en) * 1986-04-07 1988-03-08 The Manitowoc Company, Inc. Lift enhancing beam attachment with movable counterweights
US4788820A (en) * 1987-05-15 1988-12-06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ydraulic circuit for large crane
US4953722A (en) * 1988-11-09 1990-09-04 The Manitowoc Company, Inc. Crane and lift enhancing beam attachment with moveable counterweight
FR2647768B1 (fr) * 1989-05-30 1992-01-10 Donnadieu Jean Pierre Appareil de levage de charges lourdes
US4995518A (en) * 1989-08-11 1991-02-26 Mcghie James R Detachable floating counterweight
DE9107158U1 (ko) * 1991-06-11 1991-07-25 Frank Abels Consulting & Technology Gmbh, 3042 Munster, De
US5598935A (en) * 1993-03-18 1997-02-04 American Crane Corporation Frame structure for lift crane machinery
DE29816385U1 (de) * 1998-09-11 1999-04-08 Liebherr Werk Ehingen Kran, vorzugsweise Derrickkran
JP3436157B2 (ja) * 1998-10-29 2003-08-11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クローラクレーン
JP4224879B2 (ja) * 1998-11-11 2009-02-18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自走式クレーン
WO2005030632A1 (en) * 2003-10-02 2005-04-07 Itrec B.V. A mobile crane
US7370767B2 (en) * 2003-07-03 2008-05-13 Itrec B.V. Mobile crane
DE102006015307A1 (de) 2005-11-17 2007-05-24 Terex-Demag Gmbh & Co. Kg Mobiler Großkran
DE102006010488A1 (de) * 2005-11-17 2007-05-24 Terex-Demag Gmbh & Co. Kg Modularer Gegengewichtswagen für Krane, insbesondere für Großkrane
US7967158B2 (en) 2006-10-27 2011-06-28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Mobi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US7546928B2 (en) * 2006-10-27 2009-06-16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Mobile lift crane with variable position counterweight
US7766176B2 (en) * 2008-11-11 2010-08-03 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Mobile lift crane with lift enhancing attachment
EP2419360A4 (en) * 2009-04-17 2013-08-28 Bigge Crane & Rigging Co RING DERRICK WITH STATIONARY COUNTERWEIGHT
US9278834B2 (en) 2009-08-06 2016-03-08 Manitowoc Crane Group, LLC Lift crane with moveable counterweight
DE202009011577U1 (de) * 2009-08-26 2011-01-05 Liebherr-Werk Ehingen Gmbh Kran
US9102507B2 (en) * 2011-06-29 2015-08-11 Liebherr-Werk Ehingen Gmbh Method of operating a crane and crane
DE102012001377B4 (de) * 2011-12-01 2023-12-28 Liebherr-Werk Ehingen Gmbh Ballastwagen für einen Derrickkran
CN103253602B (zh) * 2012-02-15 2015-12-16 徐工集团工程机械股份有限公司 可提升式自行履带车超起装置及起重机
CN102530747B (zh) * 2012-03-12 2014-07-23 上海三一科技有限公司 一种履带配重小车同步结构及包括该结构的起重机
NO2694106T3 (ko) * 2012-09-12 2018-05-12
JP6568086B2 (ja) 2014-01-27 2019-08-28 マニタウォック クレイン カンパニーズ, エルエルシーManitowoc Crane Companies, Llc 改良された可動式カウンタウエイトを備えた吊り上げクレーン
EP3099620A4 (en) 2014-01-27 2017-10-11 Manitowoc Crane Companies, Inc. Height adjustment mechanism for an auxiliary member on a crane
DE102014012661B4 (de) * 2014-08-22 2019-11-14 Liebherr-Werk Ehingen Gmbh Verfahren zum Betrieb eines Krans und Kran
DE102015200358A1 (de) * 2015-01-13 2016-07-14 Terex Cranes Germany Gmbh Kran sowie Stützeinheit für einen derartigen Kran
WO2017064966A1 (ja) * 2015-10-13 2017-04-20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移動式クレーンの伸縮ビーム抜け出し防止用検知装置及び移動式クレーン
JP6288154B2 (ja) * 2015-10-13 2018-03-07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移動式クレーンの伸縮ビーム抜け出し防止用検知装置及び移動式クレーン
CN105584941B (zh) * 2016-02-29 2017-06-30 浙江三一装备有限公司 一种桁架臂变径器和履带起重机
US11884520B2 (en) * 2020-12-21 2024-01-30 National Oilwell Varco, L.P. Mobile tower crane systems and methods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40857A (en) * 1961-08-02 1964-07-14 Manitowoc Engineering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load
US3202299A (en) * 1963-07-22 1965-08-24 T S Decuir Mobile guy derrick and counter balancing crane
US3485383A (en) * 1968-02-09 1969-12-23 Manitowoc Co Auxiliary support for cranes
US3842984A (en) * 1970-12-29 1974-10-22 American Hoist & Derrick Co Crane counterbalancing trailer assembly
US3777900A (en) * 1971-12-20 1973-12-11 Sam Wallace Co Inc Building crane
US3836010A (en) * 1972-01-19 1974-09-17 Riggers Mfg Co Counter-balanced crane structure
US4170309A (en) * 1978-02-14 1979-10-09 Riggers Manufacturing Company Counterbalanced tower crane
US4243148A (en) * 1979-05-18 1981-01-06 Riggers Manufacturing Company Counterbalanced tower crane
US4258852A (en) * 1979-05-25 1981-03-31 Harnischfeger Corporation Auxiliary counterweight arrangement for mobile crane
US4349115A (en) * 1980-04-14 1982-09-14 Riggers Manufacturing Co. Crane
US4508232A (en) * 1981-12-10 1985-04-02 Riggers Manufacturing Co. Counterbalanced crane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240290A (en) 1988-08-09
GB8412025D0 (en) 1984-06-20
GB2140772A (en) 1984-12-05
JPS59207394A (ja) 1984-11-24
KR850002441A (ko) 1985-05-13
US4614275A (en) 1986-09-30
GB2140772B (en) 1986-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70001405B1 (ko) 고하중용 크레인
US4461369A (en) Articulated boom and assembly therefor
US4646875A (en) Articulated boom structure
JP4454861B2 (ja) クレーン、特に移動式クレーン
US5005714A (en) Crane, in particular a large mobile crane
US4602462A (en) Boom articulating mechanism for aerial devices
US20090272708A1 (en) Modular Counterweight Carriage for Cranes, in Particular for Large Crane
JP7309760B2 (ja) 主ブームと主ブーム張出しとの間に可動アダプタを備える車両クレーン
KR100254362B1 (ko) 운송식 다목적 크레인
CN102303821A (zh) 基于钢绳牵引变幅的吊臂平衡式动臂塔机
CN202296907U (zh) 基于钢绳牵引变幅的吊臂平衡式动臂塔机
CN101955133B (zh) 一种移动式起重机
US4498596A (en) Supplementary equipment for use with a self-propelled crane with a telescopic jib
RU2249561C2 (ru) Устройство складывания стрелы крана с элементами, укладываемыми один в другой
CN110203833B (zh) 一种折叠式正面吊运机吊具
US4770271A (en) Transportable, articulated-arm crane
RU2191156C2 (ru) Подъе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мачты для башенного крана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мачтой
CN115010063A (zh) 一种跨越障碍能力强的绝缘高空作业平台臂架及运行方法
CA1198691A (en) Jib assembly
CN109537433B (zh) 舟桥全向自动推送平台
KR20000035171A (ko) 리프트 방법 및 플로팅 리프트 실린더 부착물을 구비한 장치
CN104891358A (zh) 配重移动装置及起重机
SU594021A1 (ru) Грузоподъемный кран
CN214141475U (zh) 一种臂架联动机构及高空作业设备
CN216190599U (zh) 超起配重变幅装置及作业机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10702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