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1236B1 -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1236B1
KR0181236B1 KR1019960048679A KR19960048679A KR0181236B1 KR 0181236 B1 KR0181236 B1 KR 0181236B1 KR 1019960048679 A KR1019960048679 A KR 1019960048679A KR 19960048679 A KR19960048679 A KR 19960048679A KR 0181236 B1 KR0181236 B1 KR 01812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belt
vehicle
solenoid
sensor unit
colli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424A (ko
Inventor
주용운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60048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123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9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12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12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85Anchoring devices with stopping means for acting directly up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by clamping or fri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5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 B60R2022/1957Anchoring devices with means to tension the belt in an emergency, e.g. means of the through-anchor or splitted reel type characterised by electric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40Actuators for moving a controlled member
    • B60Y2400/404Electro-magnetic actuators, e.g.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for moving a clutching member
    • B60Y2400/4045Electro-magnetic valves, i.e. solenoi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및 급정차시, 안전벨트에 의한 구속력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리트랙트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0)이 구성되며, 리트랙트 상부의 안전벨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10); 하우징(10) 내에 삽입된 안전벨트(B)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착부재(20);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압착부재(20)를 걸림턱(50)까지 하강시켜 안전벨트(B)가 압착되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30); 자동차의 충돌 및 급정차시의 쏠림을 감지하는 센서부(100); 센서부(100)의 작동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솔레노이드(30)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안전벨트 리트랙터의 풀림을 방지하여 탑승자가 자동차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안전벨트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충돌시 이를 감지하고 안전벨트를 록킹시킴으로써, 탑승자의 상체가 전방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Seat Belt Locking System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종래 차량의 안전벨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 시트의 일측에는, 하부에 장착된 고정부(1)로 부터 연장된 안전벨트(B)가 앵커 플레이트(3)를 통과하여 하부의 리트랙터(5)에 소정의 힘으로 감겨진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1)와 앵커 플레이트(3) 사이에 걸쳐지는 안전벨트(B)의 일단에는, 시트 벨트의 텅(Tongue)(2) 이 장착되며, 상기 앵커 플레이트(3)와 리트랙터(4) 사이에 걸쳐지는 안전벨트 (B)의 일단이, 자동차의 측면에 장착된 안내홀더(4)에 상하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끼워진다. 또한, 상기 시트의 타측에는, 상기 텅(2)과 결합되는 버클(2')이 벨트(B')에 의해 하부에 장착된 고정부(1')와 연결된다.
따라서, 탑승자가 안전벨트(B)를 록킹시키기 위해 안전벨트의 텅(2)을 일정 이상의 힘으로 잡아당기면, 리트랙터(5)에 일정한 힘으로 감겨 있던 벨트가 풀리면서 안전벨트(B)의 전체 길이가 연장된다. 이때, 상기 텅(2)을 버클(2')에 결합시킨 다음, 탑승자가 잡아당기던 안전벨트(B)를 놓게 되면, 리트랙터(5)에 의해 안전벨트(B)가 일정한 힘으로 당김으로써, 텅(2)과 고정부(1)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는 탑승자의 허리부분을 구속하며, 텅(2)과 앵커 플레이트(3) 사이에 걸쳐지는 벨트는 탑승자의 가슴부분을 구속하게 되어 탑승자의 상체를 일정한 힘으로 구속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안전벨트는, 에어백(air bag)장치와 함께 자동차의 대표적인 안전장치로서, 자동차의 충돌시, 벨트의 풀림 속도가 일정이상이면 원심력으로 상기 리트랙터에서 더 이상의 풀림을 로크시킴으로써, 탑승자가 자동차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자동차의 충돌유형에 따라 리트랙터에서 벨트가 풀리는 속도도 다양함으로 모든 충돌에 리트랙터가 항상 안전벨트를 로킹 시킨다고 보장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충돌 및 급정차시, 이를 감지하고 압착부재에 의하여 리트랙터 상단부의 안전벨트를 압착하여 로킹 시킴으로써, 안전벨트에 의한 구속력을 확실하게 보장할 수 있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의 안전벨트 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의 요부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
도 4는 도 2중 A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하우징, 20: 압착부재, 30: 솔레노이드,
40: 제어부, 50: 걸림턱, 100: 센서부,
B: 안전벨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리트랙트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성되며, 일측에 형성된 제 1 홀과 타측에 형성된 제 2 홀을 차례로 관통한 리트랙트 상부의 안전벨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안전벨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에 피스톤 축이 연결되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압착부재를 상기 걸림턱까지 하강시켜 안전벨트가 압착되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자동차의 충돌 및 급정차시의 쏠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 부터의 신호입력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솔레노이드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센서부에서 자동차의 충돌(또는 급정차시의 쏠림)이 감지되면, 제어부를 통하여 솔레노이드로 구동신호가 입력되며, 구동신호를 입력받은 솔레노이드의 구동에 의해 안전벨트가 압착부재와 걸림턱 사이에서 압착됨으로써, 탑승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의한 안전벨트를 잡아당기는 힘이 리트랙트로 전달되지 않음으로 늘어나지 못한 안전벨트에 의하여 탑승자의 상체를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로부터 솔레노이드로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중단되어 솔레노이드의 작동이 멈추게 됨으로, 솔레노이드의 복원력에 의하여 압착부재가 상승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의 요부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 4는 도 2중 A의 사시도이다.
하우징(10)은, 자동차 안전벨트의 리트랙트(5) 상부에서, 차체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에 형성된 제 1 홀(11)과 타측에 형성된 제 2 홀(12) 을 차례로 통과한 리트랙트 상부의 안전벨트(B)가 이동 가능하게 관통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10)내의 안전벨트(B) 하측에는, 하우징(10)의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50)을 형성하여, 상기 압착부재(20)가 안전벨트(B)를 누르며 하강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재(20)가 안전벨트(B)를 사이에 두고 걸림턱(50)과 마주쳐서 상기 안전벨트(B)를 압착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0)의 내부에는, 압착부재(20)와 이 압착부재(20)와 연결되는 솔레노이드(30)가 구비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0)내의 안전벨트(B) 하부에는 2 개의 로드(31)(32)를 갖는 솔레노이드(30)가 설치되며, 이 2 개의 로드(31)(32)의 각 종단은, 상기 안전벨트(B)의 상부에 놓이는 압착부재(20)의 양단과 연결된다. 이때, 상기 로드(31)(32) 사이의 간격은 상기 안전벨트(B)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도록 충분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솔레노이드(30)에 구동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로드(31)(32)를 하강시켜서 상기 압착부재(20)가 하부의 안전벨트(B)를 하방으로 누르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30)로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중단되면, 솔레노이드(30)의 리턴 스피링에 의하여 상기 압착부재(20)가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압착부재(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의 기어를 갖도록 구성하고 이 원통형의 기어가 상기 로드(31)(32)와 의 연결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도록 장착하며, 상기 걸림턱(50)에는 상기 원통형의 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시킴으로써, 솔레노이드(30)의 작동시 상기 압착부재(20)와 걸림턱(50) 사이에 끼게 되는 안전벨트(B)가 견고하게 압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센서부(100)는 자동차의 충돌 및 급정차시의 쏠림을 감지하는 센서로서, 자동차의 충돌(또는 급정차시의 쏠림)이 감지되면, 소정의 신호를 출력시킨다.
이와 같은 센서부(100)은, 자동차의 정면 충돌여부에 따라 소정의 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센서(110)와, 자동차가 일측으로 빠르게 감가속되는 것을 감지하는 쏠림감지센서(120)가 병렬로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30)와 상기 센서부(100)에는 제어부(40)가 연결 구성되는데, 이때, 센서부(100)로 부터 구동신호 입력되면 일정 시간동안만 상기 솔레노이드(30)로 작동신호를 입력시킴으로써, 그 시간동안만 솔레노이드(30)가 작동되어 안전벨트(B)를 압착시킨 후 솔레노이드(30)의 리턴 스프링력에 의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원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충격감지센서(110)에서 자동차의 충돌에 해당되는 신호가 출력되거나 쏠림감지센서(120)에서 자동차가 한쪽으로 빠르게 쏠림에 따른 소정의 신호가 출력되면, 이를 감지한 제어부(40)에서 솔레노이드(30)로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제어신호를 입력받은 솔레노이드(30)의 구동에 의해 압착부재(20)가 하강되어 안전벨트(B)를 압착부재(20)와 걸림턱(50) 사이에서 압착되도록 한다. 이때, 압착부재(20)의 원통형 기어와 걸림턱(50)의 나사산 사이에 안전벨트(B)가 끼게 됨으로써, 탑승자의 상체의 움직임에 의한 안전벨트(B)를 잡아당기는 힘이 리트랙트(5)로 전달되지 않음으로 탑승자의 상체가 안전벨트(B)내에서 단단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40)로 부터 솔레노이드(30)로 입력되는 구동신호가 중단됨으로 솔레노이드(30)의 작동이 멈추고, 솔레노이드 (30)의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압착부재(20)가 상승되어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충돌 또는 급정차시, 이를 감지하여 리트랙트 상부의 안전벨트를 압착하여 고정시킴으로써, 리트랙터의 풀림에 의한 안전벨트의 늘어남을 방지하여 탑승자가 자동차 밖으로 튀어나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다.

Claims (3)

  1. 자동차 안전벨트의 리트랙트 상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의 하부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걸림턱이 구성되며, 일측에 형성된 제 1 홀과 타측에 형성된 제 2 홀을 차례로 관통한 리트랙트 상부의 안전벨트가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 삽입된 안전벨트의 상측에 설치되는 압착부재; 상기 압착부재에 피스톤 축이 연결되며, 입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상기 압착부재를 상기 걸림턱까지 하강시켜 안전벨트가 압착되도록 구동되는 솔레노이드; 자동차의 충돌 및 급정차시의 쏠림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 부터의 신호입력에 따라 일정시간 동안 상기 솔레노이드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자동차의 정면 충돌을 감지하는 충격감지센서와 차체의 쏠림을 감지하는 쏠림감지센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재는 회전가능한 원통형의 기어로 구성되며, 상기 걸림턱에는 이 원통형의 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KR1019960048679A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KR01812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679A KR0181236B1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679A KR0181236B1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24A KR19980029424A (ko) 1998-07-25
KR0181236B1 true KR0181236B1 (ko) 1999-05-01

Family

ID=19479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679A KR0181236B1 (ko) 1996-10-25 1996-10-25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12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424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057116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057112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375960B1 (ko) 웨빙 리트렉터, 웨빙 리트렉터 제어 방법 및 차량
US5944350A (en) Buckle pretensioner
US5634664A (en) Safety seat belt device
EP0655371A1 (en) Belt tightener for seat belt
EP0434842A1 (en) Pre-tensioner
US20050284976A1 (en) Method for operating a belt retractor and a belt retractor for a safety belt
US5004178A (en) Seat belt apparatus
KR0181236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KR100439789B1 (ko) 자동차용 시트 벨트의 프리텐션너 구조
WO2004041602A1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4501221B2 (ja) バックル装置
DE10204476A1 (de) Gurtstraffer
JP6284501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1285438A (ja) シートベルトのプリローダ装置
CN215706185U (zh) 一种汽车安全预警系统装置
KR100613771B1 (ko) 차량의 시트벨트 제어장치
KR0151579B1 (ko) 자동차의 시트 벨트 자동 압착장치
KR100452781B1 (ko) 안전벨트의 버클스위치
KR0181229B1 (ko) 자동차의 안전벨트 구속장치
KR100341486B1 (ko) 시트벨트 리트렉터 작동장치
KR100255445B1 (ko) 승객 보호용 시트 벨트 록킹장치
KR100461312B1 (ko) 시트벨트 장치의 어퍼앵커플레이트 구조
KR100362115B1 (ko) 상용차용 제동시 공기식 시트버클 자동 감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