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775B1 -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775B1
KR0180775B1 KR1019950007247A KR19950007247A KR0180775B1 KR 0180775 B1 KR0180775 B1 KR 0180775B1 KR 1019950007247 A KR1019950007247 A KR 1019950007247A KR 19950007247 A KR19950007247 A KR 19950007247A KR 0180775 B1 KR0180775 B1 KR 018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celeration
door
signal
door opening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72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1695A (ko
Inventor
케이. 블랙번 브라이언
비. 젠트리 스코트
에프. 마주르 죠셉
호산 나우샤드
지. 맥커스키 제임스
Original Assignee
제임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리챠드 씨. 스니드
티알더블유 테크너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임스 엠. 루즈벨트, 티알더블유 비히클 세이프티 시스템즈 인코오포레이티드, 리챠드 씨. 스니드, 티알더블유 테크너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제임스 엠. 루즈벨트
Publication of KR95003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16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775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2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vehicle motion parameters, e.g. to vehicle longitudinal or transversal deceleration or speed val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차량용 탑승자 보호 장치(10)는 차량 도어(14)에 장착된 에어백(16)과 도어(14)의 측방향 가속도를 측정하기 위한 가속도계(30)를 구비한다. 제어기(20)는 가속도계 출력(34,36)을 모니터하고 도어(14)가 도어 개방 경우 또는 차량이 측방향 충돌 상태에 있는가를 결정한다. 제어기(20)는 차량 충돌 상태가 감지되면 에어백(16)을 작동시키고 차량 도어(14)가 개방되는 것으로 결정되면 에어백(16)의 작동을 불능으로 한다.

Description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도어 장착형 구속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가속도 센서 조립체의 세부도.
제3도는 제1도의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되는 처리 작동부를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
제3a도 내지 제3f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블럭도.
제4도는 제1도에 도시된 제어기에 대한 제어 프로세서의 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제5a도 및 제5b도는 도어가 고정 장애물까지 개방되는 경우, 제1도에 도시된 가속도계의 출력을 시간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
제6도는 제5a도 및 제5b도의 가속 그래프로부터 측정된 도어 속도를 시간 함수로 나타낸 그래프.
제7도는 제1도의 제어기에 대한 또 다른 제어 처리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제8도는 도어 개방 상태중의 도어 가속도 및 속도를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도어 장착형 에어백 구속 시스템 12 : 에어백 조립체
14 : 도어 조립체 16 : 에어백
20 : 제어기 26 : 도폭관
27 : 트랜지스터 28 : 팽창 유체원
30 : 가속도 센서 조립체 32 : 가속도계
본 발명은 차량의 에어백 구속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측면 충돌 보호용으로 채택된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탑승자의 좌석 위치 전방에 장착된 에어백을 포함하는 차량 구속 시스템은 당업계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전방 장착형 구속 시스템은 충돌 상태의 발생을 감지하기 위하여 관성 스위치나 가속도계를 구비한다. 상당히 강력한 충돌 상태가 감지되면 전방에 장착되어 있는 관련 에어백이 전개된다.
탑승자의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을 구비하는 측면 장착형 에어백 구속시스템 역시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종래 측면 장착형 에어백 구속 시스템은 도어에 접촉 스위치를 구비하고 있다. 도어에 상당히 강력한 충돌이 발생하면 스위치가 작동되고, 이에 의하여 도어에 장착된 에어백이 작동한다.
몇몇 도어 장착형 에어백 구속 시스템은 측면 충돌을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계를 사용한다. 이 가속도계에는 제어기가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가 상당히 강력한 측면 충돌이 발생하였다고 결정하면, 관련된 측면 에어백이 작동한다. 이러한 시스템의 일예가 블랙번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202,831호에 개시되어 있다.
충돌 감지 가속도계가 도어 장착형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구미하는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경우에 특정 문제가 발생한다. 그 문제란, 도어가 장애물까지 개방되는 경우에 도어 장착형 에어백이 우발적으로 전개될 수 있는 것이다. 개방중인 도어가 물체에 부딪히면, 가속도계는 그러한 도어의 갑작스런 정지를 외부 물체에 의한 도어에의 큰 충격과 동일한 것으로 즉, 다른 차량이 도어에 충돌하면 발생할 수 있는 것과 동일한 방향의 충격으로 간주하는 것이다. 이렇게 도어가 갑작스럽게 정지하면, 가속도계는 소정의 출력을 발생시키며, 이는 관련 제어기에 의해 전개를 필요로 하는 충돌 상태로 잘못 해석되어, 에어백이 제어기에 의하여 전개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에어백의 작동을 제어하고 도어가 장애물까지 개방되더라도 에어백이 우발적으로 전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장치는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 수단과,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감지 수단과 탑승자 구속 장치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어 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는 차량 도어에 장착된 에어백과, 도어 가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하여 도어에 장착된 충돌 감지 수단을 구비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작동시에 에어백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는 작동 수단을 구비한다. 제어 수단은 충돌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충돌 상태를 나타내면 작동 수단을 제어하여 에어백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작동 수단과 충돌감지 수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 수단은 또한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충돌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작동 수단이 우발적으로 여기(energization)되는 것을 방지하는 수단을 구비한다. 충돌 감지 수단은 도어에 장착된 가속도계를 구비한다. 제어 수단은 가속도계의 출력을 모니터하여 도어 속도를 측정한다. 제어기는 가속도 신호값이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고 측정된 속도가 제1 및 제2 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으면 도어 개방 상태가 발생 한것으로 결정한다. 상기 장치는 도어 개방 상태가 결정된 이후 예정된 시간 주기를 계측하는 타이밍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작동 수단의 여기를 방지하는 수단은 타이밍 수단이 예정된 시간 주기를 계측하면 작동 방지가 실시되도록 타이밍 수단에 응답한다. 에어백의 작동은 평균 가속도 한계 치보다 큰 평균 가속도치와 충돌 속도 한계치 보다 큰 측정 충돌 속도치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일예에서, 여기 방지 수단은 타이밍 수단이 예정된 시간 주기를 계측하는 동안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완전히 방지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측정된 충돌 속도치에 대한 비교용으로 사용되는 충돌 속도 한계치는 예정된 시간 주기 동안 증가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의 개방을 나타내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차량 도어에 장착된 에어백을 구비하는 에어백 구속 장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차량 도어의 측방향 가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또한 가속도 신호로부터 도어 속도를 측정하는 단계와, 상기 가속도 신호와 측정된 도어의 속도가 차량 도어의 개방을 나타내면 에어백의 작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방법은 가속도 신호값이 제1 및 제2 한계치 사이에 있고 가속도 신호로부터 측정된 속도가 제1 및 제2 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으면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방법은 도어 개방 상태가 측정된 이후 예정된 시간 주기를 계측하는 단계와, 타이밍 수단이 예정된 시간 주기를 계측하면 우발적 작동이 방지되도록 타이밍 수단에 응답하여 작동 수단의 우발적 여기를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에어백의 작동은 평균 가속도 한계치 보다 큰 평균 가속도치에 그리고 속도 한계치 보다 큰 측정 속도치에 응답하여 제어된다. 일예에서, 에어백의 전개는 상기 시간 주기 동안 완전히 방지된다. 또 다른 예에 따르면, 측정된 충돌 속도치에 대한 비교용으로 사용된 충돌 속도 한계치는 상기 시간 주기 동안 증가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특징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하기 설명을 고려하면 본 발명이 관계하고 있는 당업계에 숙련된 자에게는 명백하게 될 것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도어 장착형 에어백 구속 시스템(10)은 도어 조립체(14)에 장착되어 있는 에어백 조립체(12)를 구비한다. 설명을 목적으로 본 발명의 구속 시스템은 운전자 도어를 참조하여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차량 도어중 어떠한 것에도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2)는 도어 조립체(14)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저장 하우징(19)내에 장착된 에어백(16)을 구비한다. 에어백 조립체(12)가 도어에 장착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에어백 조립체를 도어의 팔걸이부, 차량좌석, 또는 기타 장소에 장착한 것을 포함하는 측면 에어백 장착 배열중 어떤 것에도 이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개 가능한 받침대(deployable bolster)또는 측면 충격 보호 장치중 어떤 것에도 이용될 수 있다.
에어백 조립체(12)에는 제어기(20)가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기(20)는 트랜지스터(27)를 통해 에어백 조립체(12)내에 있는 전기 작동식 도폭관(squib:2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20)는 트랜지스터(27)의 베이스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7)의 이미터는 전기적으로 접지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7)의 콜렉터는 도폭판(26)의 한 단자에 접속되어 있다. 도폭관(26)의 다른 단자는 다이오우드(29)를 통해 차량 밧데리에 그리고 캐패시터(31)형태의 예비 에너지원에 연결되어 있다. 제어기(20)는 트랜지스터(27)를 켜서 도폭관(26)을 작동시키므로써 상기 도폭관을 점화한다.
도폭관(26)은 팽창 유체원(28)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도폭관(26)이 제어기(20)에 의하여 점화되면, 팽창 유체원(28)은 팽창 유체를 에어백(16)으로 보낸다. 팽창 에어백(16)은 에어백 조립체(12)를 덮고 있는 커버 또는 전개 도어를 개방한다. 에어백(16)은 팽창시에 제1도에서 참조부호 16'로 지시된 작동 보호 위치까지 팽창한다.
제어기(20)는 가속도 센서 조립체(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가속도 센서 조립체(30)는 도어 조립체(14)의 하부 최후방 4분원(quadraht)에서 도어 조립체(14)의 내장 패널(inside trim Panel:42)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도 센서 조립체(30)는 가속도계(32)를 구비한다. 가속도 센서 조립체는 두 개의 출력단(34,36)을 갖고 있다. 출력단(34)은 가속도계(32)의 출력단에 직접 접속되고, 출력단(36)은 증폭 회로(38)를 통해 가속도계(32)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단(36)은 증폭 회로(38)에 의하여 설정된 이득 계수를 곱한 출력단(34)과 동일하다 증폭 회로(38)의 이득은 약 25가 바람직하다. 이러한 배열에 의하면, 도어 개방 경우를 감지하기 위하여(증폭 출력단(36)을 이용)그리고 측면 충돌 경우를 감지하기 위하여(비증폭 출력단(34)한 개의 가속도계를 사용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조립체(30)는 ±500G's(G's 는 32 ft/sec2과 동일한 가속도 단위이다)를 측정할 수 있다 출력단(36)의 신호는 로우(low)G 가속도 출력 신호로 간주된다. 출력단(34)의 신호는 하이(high) G가속도 출력 신호로 간주된다.
당업자라면 하이 G 가속도계와 로우 G 가속도계로써 별개의 두 가속도계를 구비하는 가속도 감지 조립체가 본 발명에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두 개의 가속도계가 사용되는 경우, 하이 G 가속도계는 ±50G's를 감지할 수 있고, 로우 G 가속도계는 ±20G's 를 감지할 수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도계(32)는 감도(感度)축선(40)을 갖는다(제1도). 도어 조립체(14)가 폐쇄되면, 축선(40)은 차량의 전방 대 후방종축(비도시)과 거의 직각으로 된다. 가속도 센서 조립체(30)는 지향성이 있으며, 축선(40)을 따라 어느 한 방향(43 또는 44)의 성분을 갖는 가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 조립체(30)는 축선(40)과 직각인 방향으로의 가속도에 대하여 비교적 민감하다. 축선(40)을 따라 일방향 43으로 측정된 가속도는 부(-)방향의 가속도로 정의된다. 이와 유사하게, 화살표 44 방향으로 측정된 가속도는 정(+)방향의 가속도로 정의된다. 그러므로, 도어 조립체(14)개방시에 부가속도 신호가 발생하고 차량(14) 도어로의 충돌 경우에 정가속도 신호가 발생한다.
하이 G 가속도 출력단(34)의 신호는 축방향 충돌 경우에 발생하는 차량 도어의 큰 축방향 가속도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제어기(20)에 의해 사용된다.로우 G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는 차량 도어 조립체(14)가 개방될 때 발생하는 것과 같은 차량 도어의 작은 가속도를 모니터하기 위하여 제어기(20)에 의해 사용된다. 차량 도어 조립체(14)의 개폐 경우와 관련하여, 예를 들면 ±20 G's와 같은 소량의 로우 G 가속도치를 감지하기 위하여 가속도계 출력을 증폭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어기(20)는 하이 G 출력단(34)의 신호를 계산하여 제공된 충돌의 경우를 전개 또는 비전개 충돌 경우로 분류할 것인가, 즉, 충돌시에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한다. 에어백은 제어기(20)가 전개를 필요로 하는 충돌 발생이라고 결정한 경우에만 전개된다.
차량의 운행중에, 구덩이에 충돌하거나, 비포장 도로를 달리거나, 또는 연석(緣石)에 충돌하여 가속도계(32)에 의해 유사한 출력 신호가 발생될 수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렇게 발생된 가속도 신호는 본원에서 가속도 노이즈로 언급된다. 제어기(20)는 가속도 노이즈와 전개 충돌 상태를 구별하여 가속도 노이즈에 응답한 에어백의 우발적 전개를 방지한다.
제어기(20)는 출력단(36)의 신호, 즉 로우 G 가속도 출력 신호를 모니터 및 분석하여, 도어 개방 경우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제어기는 로우 G 가속도 출력 신호로부터 가속도 노이즈를 여과한다. 도어 조립체(14)가 개방되면, 초기에 화살표 43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가속된다. 당업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차량의 종축에 대한 도어 조립체(14)의 가속도 방향 각도는 도어가 장착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때 변화한다. 그러나 축선(40)이 도어에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가속도는 축선(40)과 평행하게 남아있다.
도어 조립체(14)가 화살표 43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회전 개방되면서 고정 막대기, 건물의 측벽, 주차된 자동차 등과 같은 고정 장애물(50)에 충돌하면, 장애물에 의한 도어 조립체(14)의 갑작스런 정지는 화살표 44로 지시된 방향으로 큰 정가속도 성분을 발생시킨다. 도어의 기준 프레임에 대한 정가속도 성분은 출력단(34)에서 가속도계(32)로부터의 출력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기(20)의 구조에 따라, 정가속도 성분은 제어기(20)가 장애물 충돌 경우를 전개 충돌 경우로 오인하여 도폭관(26)의 여기를 개시함으로써 에어백의 불필요한 전개를 발생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기(20)는 도어 개방 경우가 발생하는 시기를 측정하고, 이러한 발생에 응답하여, (i)도어 개방 경우가 감지된 이후 예정된 시간 주기 동안 에어백의 전개를 불가능하게 하거나, (ii)제어기(20)가 도폭관(26)을 여기하기 전에 경과되어야만 하는 점화 한계를 일시적으로 상승시킨다.
언급된 바와 같이, 가속도계(32)는 ±500G's를 측정할 수 있고 약 5mV/G 감도와 동일한 수치를 갖는 전기 신호를 출력한다. 도어 개방 경우는 -1 내지-3.50's 범위의 가속도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도어 개방 경우에 기인하여 발생된 가속도는 가속도계로부터 -5mV 내지 -17.5mV 범위의 전압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작은 범위에 있는 가속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언급된 바와 같이, 가속도계 출력은 증폭 회로(38)(25의 이득을 갖는 것이 바람직한)에 의하여 증폭된다. 증폭 회로(38)의 비교기(86)는 제어기(20)의 입력단(61)(제3도)에 접속되어 있다.
제3도를 참조하면, 제어기(20)내부에서 수행되는 기능이 기능적인 블럭도 형태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어기(20)는 마이크로 컴퓨터가 바람직하다. 설명의 간략과 이해의 용이함을 위하여, 제어기의 작동을 기능적인 블럭도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기능은 하기에 기술된 방식으로 마이크로 컴퓨터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컴퓨터의 사용이 바람직한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제어기에 의하여 수행된 기능이 개별 아날로그 및 디지탈 회로를 이용하여 구체화 될 수 있음을 당업자는 알 수 있다. 이러한 회로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되어 제3도에 도시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가속도계(32)의 출력단(36)의 증폭 신호는 제어기(20)의 비교기(62)에 의하여 제1 한계치(60)와 비교된다. 가속도계(32)의 출력단(36)의 증폭 신호는 제어기(20)의 비교기(66)에 의하여 제2 한계치(64)와 비교된다. 비교기(62,66)의 결과는 제어기(20)의 가산기(70)에 의하여 가산된다.
제어기(20)가 제1 한계치(60)및 제2 한계치(64)를 이용하여 도어 조립체(14)가 도어 개방 경우 여부를 결정한다. 도어 개방 경우가 부 방향으로의 가속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제1 및 제2 한계치(60,64)는 음수(negative number)로 정의된다. 따라서, 도어 개방 경우는 제1 한계치(60)보다 작고 제2 한계치(64)보다 큰 가속도 수치로 한정된다.
제1 한계치(60)는 시스템이 설치되는 특정 차량 플랫폼에 대하여 실험적으로 결정된다. 가속도 노이즈를 발생시키는 구동 경우에 발생되는 가속도 레벨을 실험을 통해 설정한다. 또한, 실험적으로 측정된 테스트 데이타는 실제 도어 개방 경우에 대한 가속도 레벨을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어떤 특정 차량 플랫폼에 관한 실험에 의하면 통상적인 도어 개방 가속도가 -1.75G's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1G의 제1 한계치가 가속도 노이즈의 적절한 여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실험에 의하여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1G는 제1 한계치(60)로써 일 실시예에 사용되었다.
또한, 제2 한계치(64)도 실험에 의해 선택된다. 제2 한계치를 결정하는데 있어서의 중요한 인자는 구속 시스템(10)이 장착되어 있는 측면과 반대 측면상에서의 차량에 대한 충돌 경우에 발생된 가속도이다. 예를 들면, 제1도에 도시된 구속시스템(1)이 운전자 도어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차량의 승객 측면으로의 충돌은 화살표 43으로 지시된 방향으로 운전자 도어를 포함하는 차량의 가속도를 발생시킨다. 또한, 도어 개방 가속도가 화살표 43 방향이기 때문에, 승객 도어로의 충돌은 가속도계 출력 신호의 양극성 견지에서 도어 개방 경우와 유사하다. 유일한 차이점은 가속도 신호의 크기이다. 차량의 승객 측면으로 충돌이 발생하면, 운전자 도어가 다른 차량 또는 그 차량이 장애물에 상당한 힘으로 부딪히는 2차 충돌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운전자 도어 에어백의 전개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실험에 의하면 제2 한계 레벨을 -3.5G's 내지 -5G's 사이로 설정하면 진짜 도어 개방 경우와 차량의 대향 측면으로의 측면 충돌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설명의 목적으로, -3,5G's가 한계치로 사용되었다. 감지된 가속도가 -3.5G's의 제2 한계치 보다 작으면, 즉 -6G's이면, 본 발명의 제어 장치는 전개에 필요한 조건을 무위로 만들거나 변경하지 않는다.-3.5G's 이하의 가속도치는 차량의 대향 측면으로의 충돌 결과로 추측된다. 실제적인 제2 한계치는 차량 플랫폼에 따라 변경된다.
전술한 바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속도계(32)로부터의 신호 출력이 -1G의 제1 한계치와 -3.5G's의 제2 한계치 사이의 가속도를 나타낼 때에만 가산기(70)의 출력이 디지탈 하이(HIGH) 또는 참(TRUE)이다. 한계치를 -1G 및 -3.5G's로 설정하는 것의 의미는 대응하는 가속도치를 나타내는 전압치를 설정하는 것임을 당업자가 알 수 있다. 예를 들면, 가속도의 출력이 SmV/G 이며, -SmV가 -1G에 상당하고 -17.5mV가 -3.5G's에 상당한다.
가속도계(32)의 비증폭 출력단(34)은 제어기(20)의 임력단(76)에 접속되어 있다. 제어기(20)는 에어백 조립체(12)가 결합되어 있는 차량의 측면상에 전개 충돌이 발생하였는가의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가속도계(32)의 출력단(34)의 신호를 분석한다. 에어백 조립체(12)가 제공되어 있는 차량의 측면으로의 충돌로부터 발생된 가속도는 정방향(44)이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20)는 차량 충돌 상태의 발생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출력단(34)의 가속도 신호의 두 성분 분석을 수행한다. 두성분 분석은 정방향(44)으로의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가 예정된 평균 가속도 한계치(82)보다 큰 것인가를 판별하는 분석(i)과 출력단(32)의 가속도 신호에 기초하여 정방향(44)으로의 측방향 속도치(94)가 최종 속도 한계치(84)보다 큰 것인가를 판별하는 분석(ii)을 포함한다.
아날로그 실시예에서,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는 저역 필터에 의하여 측정될 수 있다. 마이크로 프로세서 실시 예에서(후술됨),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는 현재 가속도치와, 상기 현재 가속도치에 바로 선행하는 다섯개의 연속적인 수치의 연속 합계를 전개하여 계산될 수 있다. 적정 평균을 구하기 위해서는 여섯 내지 열개의 샘플링이 충분한 것으로 간주된다. 설명을 위해서 여섯개의 샘플링이 사용되었다.
제어기(20)의 비교기(86)를 이용하여, 평균 가속도 한계치(82)에 대하여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를 비교하였다. 평균 가속도 한계치(82)는 해당 특정 차량 플랫폼을 이용하여 실험에 의하여 결정되었다. 평균 가속도 한계치를 설정하기 위하여, 소정의 차량 플랫폼에 가속도계를 장착하였다. 전개 및 비전개 충돌 상태를 위하여 평균 가속도를 결정한다. 한계치(82)는 전개 충돌 경우의 발생시에 초과하도록 이러한 충돌 경우로부터 결정된다.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가 평균 가속도 한계치(82)보다 큰 경우에, 비교기(86)의 출력은 하이 또는 참이다. 비교기(86)의 출력은 제어기(20)의 가산기(88)의 한 입력 신호로 사용된다.
또한, 제어기(20)는 가속도계(32)의 출력단(34)에 응답하여 속도치(94)를 결정한다. 속도치는 시간에 대하여 가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결정된다. 결정된 속도치는 에어백의 전개 여부를 결정하기 위하여 최종 속도 한계치와 비교된다.
적분이 차량의 키이-온(KEY-ON) 상태로부터 수행되기 때문에, 즉, 차량을 시동하면, 도어가 개폐되는 매 순간 마다 도어의 모든 가속도에 응답하여 속도치를 축적하도록 도어 가속도 신호가 계속 적분(integration)된다. 결정된 속도치가 시간 경과후 영(zero)으로 복귀하지 않으면, 최종 합계가 최종 속도 한계치(84)보다 큰 수치가 되는 속도치의 축적을 가짐으로써 비전개 상태 대신에 에어백 전개 상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속도치의 축적에 의해 발생하는 이러한 형태의 우발적 전개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어기(20)는 영 복귀 작동부(96)를 구비한다. 상기 영 복귀 작동부(96)는 가속도 신호의 각 샘플링에서 적분값으로부터 결정된 속도치의 일부분을 공제한다. 이것은 도어의 가속도로부터 측정된 속도가 실제로 영으로 복귀한 후 속도치를 점진적으로 영까지 복귀시킨다
측정된 속도치(94)는 제어기(20)에 의하여 수행된 비교 작동부(100)의 어느 한 입력 신호이다. 속도치(94)는 곱셈기(114)를 이용하는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를 통해 설정된 승수로 곱하여진 예정된 속도 한계치(104)와 비교하게 된다. 최종 곱셈은 비교기(100)의 제2 입력인 최종 속도 한계치(84)를 제공한다. 속도 한계치(104)는 소정 플랫폼의 차량에 가속도계를 장착하고, 차량을 전개 및 비전개 충돌 상태로 충돌시키는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 것이다. 충돌 속도치는 측정되고, 속도 한계치는 속도치가 전개 충돌 상태중에 속도 한계치를 초과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도어 비개방 경우중에, 즉 가속도 신호의 값이 -lG 내지 -3.SG 윈도우 사이에 속하지 않으면, 승수는 결정된 속도치(94)가 예정된 속도 한계치(104)와 비교되도록 1이 된다. 비교기(100)의 출력은 가산기(88)에 제2 입력을 제공한다. 예정된 속도치(94)가 비도어 개방 경우중에 속도 한계치(104)보다 크면, 리교기의 출력은 하이 또는 참이다.
예정된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가 평균 가속도 한계치(82)보다 크고 예정된 속도치(94)가 속도 한계치(94)와 승수(110)의 곱, 즉 최종 속또 한계치(84)보다 크면, 가산기(88)의 출력은 하이 또는 참이다. 제어기(20)의 가산기(88)의 출력단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27)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27)가 가산기(88)의 출력 단으로부터의 하이 또는 참에 의하여 턴온되면, 도폭관(26)은 여기되고, 에어백(16)을 전개시킨다.
도어가 도어 개방 경우에 있는 가를 나타내는 제어기(20)의 가산기(70)의 출력단은 시간 지연기(130)에 접속되어 있다. 이 시간 지연기는 레지스터(132)와 캐패시터(134)를 구비하는 RC 네트워크로써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RC 접속부, 즉 시간 지연기(130)의 출력단은 제어기(20)의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출력단(36)에서 모니터된 가속도 신호(로우 G 가속도 출력)가 시간 지연기(130)의 시상수에 의하여 제어된 예정된 시간 주기보다 큰 시간 주기 동안 제1 한계치(60)와 제2 한계치(64)사이의 가속도치를 나타내는 값에 있으면, 승수/타이머 회로(110)는 승수를 증가시킨다. 어느 하나의 값으로부터 높은 값(예를 들면, 4)까지 승수를 증가시키면 예정된 시간 주기(예를 들면 2초)동안 비교기(110)에서 사용된 최종 속도 한계치(84)가 증가한다. 한계가 상승된 승수 및 시간 주기의 값은 해당하는 여러 가지 차량 플랫폼 각각에 대하여 실험으로 결정된다.
시간 지연기(130)의 목적은 차량의 대향 측면으로의 충돌이 발생하면 도어 개방 지시(가산기(70)의 하이 출력)가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를 작동시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당업자가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3.5G's 보다 작은 부가속도, 예를 들면 -6G's를 발생시키는 차량의 대향 측면으로의 충돌은 극한치로 이동할 때 -lG 내지 -3.5G's의 범위를 반드시 통과하여야 한다. 가속도치가 한계치(60,64)에 의하여 한정된 영역을 통과할 때, 가산기(70)의 출력은 하이 또는 참이 된다. 시간 지연기(130)는 가산기(70)의 출력이 하이이면 중단 또는 실행하기 시작한다. 가산기(70)의 출력이 예정된 시간 주기 동안 하이로 남아 있는 경우에만,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는 작동하게 된다. 시간 지연기(130)가 존재하지 않으면,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는 차량의 대향 측면으로의 충돌 발생시에 작동하게 된다. 시간 지연기(130)의 실제값은 실험에 의하여 결정되지만, 예를 들어 75 msec정도가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기(20)는 프로그램 제어식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기가 바람직한 형태가 될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마이크로 컴퓨터 제어기는 중앙 처리장치, 적정 레지스터 및/또는 스크래치 패드 메모리, 프로그램 저장용 판독 전용 메모리(ROM),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탈 포멧으로 전환하는 아날로그 대 디지탈 컨버터, 프로그램 타이머, 인터럽트 제어기 등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소자와 상호 접속 관계는 당업계에 충분히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본원에 설명하지 않았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어기(20)의 마이크로 컴퓨터 실시예에 의하여 수행된 제어 프로세스(300)가 흐름도 형태로 도시되어 있다. 프로세스(300)는, 당업계에 공지된 바와 같이, 제어기의 내부 메모리가 카운터 셋트를 초기값으로 리셋하고 내부 타이머가 카운터 리셋되는 초기화 단계(302)를 구비한다. 단계(304)에서 하이 G 가속도 출력단(34)의 신호와 로우 G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 모두를 갖는 가속도계(32)의 출력은 샘플링된다.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는 단계(306)에서 결정된다.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는 시간에 대한 출력단(34)으로부터의 예정된 갯수의 샘플 가속도치를 합하여 결정된다. 가속도 출력단(34)의 신호는 예정된 시간에서 샘플 채취된다. 예정된 갯수의 샘플 가속도치, 예를 들면 여섯개를 더하여 여섯개의 가속도 샘플을 구하는데 필요한 시간 주기 동안 평균 가속도치가 얻어진다. 적정 가속도 평균을 구하는데 여섯개 내지 열개의 샘플링이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설명의 목적으로, 여섯개의 샘플링이 사용되었다.
양호한 실지 예에서,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는 여섯개의 초기 샘플링으로부터 가장 오래된 가속도치를 공제하고 최신 샘플 가속도치에 더하여 연속적으로 갱신(update)된다. 이러한 과정은 여섯개의 가속도치가 평균 가속도 결정부(80)내부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을 필요로 한다. 내부 프로그램 포인터가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의 제1 메모리 위치에서 시작하고 제1 샘플 가속도치를 제1 메모리 위치에 부가한다. 제1 가속도치가 저장된 후, 포인터는 제2 메모리 위치로 진행한다. 다음 샘플값은 제2 메모리 위치에 부가된다. 여섯개의 가속도치가 저장된 후, 포인터는 제1 메모리 위치로 복귀한다. 평균 가속도치를 갱신하기 위하여, 현행 포인터 위치에서의 메모리에 저장된 가속도치는 총합계에서 공제된다. 신규 가속도치 역시 저장 및 합계되어 신규 평균 가속도치를 설정한다. 블럭(80)에서 전개된 평균 가속도치가 여섯개의 가속도 샘플링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것과 동일한 시간 주기를 갖는 슬라이딩 타임 윈도우(sliding time window)에 걸쳐 결정되는 것은 당업자가 알 수 있다.
상기 과정은 속도치(94)가 결정되는 단계(308)로 진행한다.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르면, 충돌 속도치(94)는 시간에 대하여 가속도 신호를 적분하여 결정된다. 가속도치가 A와 동일하면, V로 지시된 속도치(94)를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어기(20)는 속도치(94)를 영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영 복귀 작동부(96)의 작동을 또한 수행한다. 상기 영 복귀 작동부(96)는 신규 가속도치가 단계(304)에서 샘플링되고 단계(308)에서 속도치가 결정되는 매 순간 마다 속도치(V)에 관하여 수행된다. 영 복귀 과정을 나타내면;
Vold값이 128과 같거나 그 이하이며, 영 복귀 루틴이 다음과 같이 전환된다:
단계(320)에서의 상기 과정은 단계(306)에서 결정된 평균 가속도치(A)가 ATH로 지시된 평균 가속도 한계치(82)보다 큰 것인가의 여부를 결정한다. 단계(32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상기 과정은 다음 가속도치가 샘플링되는 단계(304)로 복귀한다. 단계(32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며, 상기 과정은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의 타이머(제2 타이머로 언급됨)가 실행하고 있는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380)로 진행한다. 루프를 거치는 제1 시간 동안, 단계(330)에서의 결정은 부정이다. 단계(330)에서의 부정 결정에 의하여, 상기 과정은 로우 G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로부터의 가속도치가 제1 가속도 한계치(60)와 제2 가속도 한계치(64)사이인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340)로 분기한다. 단계(340)의 목적은 도어 개방 경우가 발생하였는 가를 결정하는 것이다.
가속도치가 출력단(36)에 존재하지만 영과 제1 한계치(60)사이에 존재하면(소환될 수 있는 것으로, 음수(negative number)이다), 상기 가속도는 도어 개방 경우의 결과가 아니고 가속도 노이즈의 결과로 간주될 수 있다 제2 한계치(64)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즉, 제2 한계치 보다 더욱 작은)의 가속도치는 센서와 반대 측면의 차량 충돌 결과로 간주된다. 가속도치가 제1 한계치(60)와 제2 한계치(64) 사이 이면, 가속도는 도어 개방 경우의 결과로 간주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한계치(60,64)는 각각의 차량 플랫폼에 대하여 실험에 의하여 결정된다.
단계(34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즉, 도어 개방 경우가 발생하면, 제어기(20)는 시간 지연기(130)(제1 타이머로 언급)가 개시되거나 연속 실행을 가능케하는 단계(345)로 진행한다. 그리고, 본 프로세스는 제1 타이머가 75msec에 도달하였는가의 여부에 관하여 결정하는 단계(350)로 진행한다. 결정이 부정이면, 루프를 경과하는 제1 시간으로써, 본 프로세스는 단계(304)로 복귀한다. 단계(35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도어 개방 경우가 발생하고 제어기(20)는 예정된 값만큼 속도 한계치(104)를 곱하여 단계(360)에서의 속도 한계치(104)의 값을 조정한다. 이것은 단계(370)에서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를 작동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작동하게되면, 단계(370)에서의 타이머는 예정된 시간 주기, 예를 들면 2초 동안을 중단한다. 단계(376)에서는 단계(308)에서 결정된 속도치가 한계치 VTH(84)보다 큰 것인가를 결정한다.
비도어 개방 경우중에, 속도치는 속도 한계치VTH(104)와 비교된다. 그러나, 도어 개방 경우중에, 단계(360,370)는 예정된 시간 주기 동안의 값을 증가시켜 속도 한계치를 조절한다, 속도 한계치가 4의 값으로 곱하어 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계증가는 비도어 개방 경우의 완료에 적절한 짧은 간격, 약 2초 동안 계속 된다.
단계(376)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본 프로세스는 다음 가속도치가 샘플링, 처리 및 부가되는 단계(304)로 실행한다. 단계(376)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즉, 평균 가속도가 한계치 ATH보다 크고 속도치가 최종 한계치 VTH보다 크면, 본 프로세스는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380)로 진행한다.
단계(34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즉, 상기 경우와 도어 개방 경우가 아니면, 본 프로세스는 단계(376)로 진행한다. 이 상황에서 단계(376)의 결정에 사용된 속도 한계치 VTH는 하나의 값과 한계치(104)의 곱이다.
단계(33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즉, 도어 개방 경우가 감지되기 때문에 단계(370)에서 타이머가 작동되지만, 단계(370)에서 개시된 시간의 정지가 완료되지 않으면, 제어기(20)는 조절 한계치(단계(360))가 단계(376)에서의 결정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단계(394)로 진행한다. 그러므로, 도어 개방 경우가 감지되면, 단계(370)에서 개시된 타이머에 의하여 정지된 시간 주기 동안의 속도 비교에 조절속도 한계치가 사용됨을 당업자는 알 수 있다. 속도치가 도어 개방 경우 동안 단계(376)에서 결정된 조절 한계치를 초과하면, 구속 장치는 작동된다.
제3a도는 제3도의 일부 변형 예이며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지연기(130)의 출력단은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대신에 디스에이블(disable)타이머(400)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100)는 고정값인 속도 한계치(104)에 대하여 속도치(94)를 비교한다. 작동시에, 타이머(400)는 예정된 디스에이블 시간 주기 동안 정지한다.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의 출력단은 전환 트랜지스터(410)에 접속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10)는 가산기(88)의 입력단과 접지단 사이에 접속되어 있다. 비교기(100)의 입력단은 레지스터를 통해 가산기(88)의 입력단에 접속되어 있다. 타이머(400)가 정지되면, 가산기(88)의 한 입력 신호가 로우(LOW)라 되어 한계치를 상승시키는 대신에 에어백(16)의 전개를 방지한다.
디스에이블 기능은 제어기(20)가 마이크로컴퓨터인 경우 제어기(20)의 내부에서 수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4도를 참조하면, 제3a도에 도시된 또 다른 디스에이블 실시 예에서, 단계(340)에서의 긍정 결정이 단계(415)로 진행하며, 상기 단계(415)에서 구속 시스템은 타이머(400)에 의하여 제어된 예정된 시간 주기 동안 사용되지 않는다. 시간 주기가 종료된 후, 본 프로세스는 단계(304)로 진행한다. 구속 장치의 작동은 디스에이블 시간 주기가 종료될 때까지 방지된다.
제3도의 또 다른 변형예인 제36도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는 디지탈 하이(digial HIGH)와 균등한 전기 에너지원과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사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도어 스위치(450)를 구비한다. 스위치(450)는 관련 도어 조립체(14)가 폐쇄될 때만 개방하는 통상적인 폐쇄 스위치이다. 도어 조립체(14)가 개방하면, 스위치(450)는 닫힌다. 스위치(450)가 닫히면, 예정된 EL스에이블 시간 주기의 중단을 개시하는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의 입력단에 디지탈 하이를 인가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에이블 타이머(400)가 중단되면, 가산기(88)의 한 입력단의 신호는 로우가 된다. 그러므로, 도어 조립체(14)가 개방되면, 구속 시스템은 시간 주기 동안 사용 불능상태에 있다. 또한, 도어 개방은 도어 랫치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될 수 있다.
제3c도에 도시된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스위치(450)는 스위치(410)에 직접 접속되어 있다. 스위치(450)가 개방되는 도어에 의하여 닫히면, 가산기(88)의 한 입력단의 신호는 로우가 되어 구속 시스템을 사용 불능 상태로 만든다.
제3d도를 참조하면, 또 다른 실시예는 디지탈 하이와 균등한 전기 에너지원과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사이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도어 스위치(450) 구비한다. 스위치(450)는 통상적인 폐쇄 스위치, 즉 관련 도어 조립체(14)가 닫힐때에만 개방 상태에 있다. 도어 조립체(14)가 개방하면, 스위치(450)는 닫히고 승수/타이머(110)의 입력단에 디지탈 하이를 인가하여, 속도 한계치(1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예정된 승수로 곱하여 진다. 이것은 예정된 시간 주기 동안 도어 조립체(14)가 개방될 때는 언제나 승수/타이머 회로(110)에 의하여 비교기(100)에서 사용된 속도 한계치를 상승시킨다.
제5a도 및 제5b도를 참조하면, 가속도계 출력단(36)의 신호와 가속도계 출력단(34)의 신호 각각이 도어 개방 경우 동안의 시간에 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제6도는 시간에 대한 예정된 속도치(94)를 나타낸다 제5b도의 진폭 축척(scale)은 제5a도의 축척율에 비해 약 150 배이다. 제로 시간에서, 도어 개방이 우선적으로 시작한다. 도어 개방 경우(제5a도)의 약 80 msec에서 가속도치는 1-G의 제1 한계치(60)보다 작게 된다. 시간 지연기(130)에 의하여 제공된 75msec 이후에(도어 개방 경우로부터 약 155msec에서), 6ft/sec 의 예정된 속도 한계치(104)는 상기 값에 4를 곱하여 조절된다(제6도).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는 가속도치가 -lG 내지 -3.5G 윈도우에 여전히 속하고 있기 때문에 I55msec 시점에서 개시되는 것에 주목하여야 한다. 이러한 곱셈, 즉 한계치 조절은 다음 2초 동안 계속되고 2155msec까지 증가된 한계치를 유지한다. 도어 개방 경우로부터 약 400msec에서, 도어는 도어로의 실질적인 가속도(제5b도)를 발생시키는 즉 정방형으로 단단한 장애물에 부딪힌다.
제6도를 참조하면, 장애물 충돌로부터 예정된 속도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어가 장애물에 부딪힐 때, 속도치는 6ft/sec의 속도 한계치(104)를 초과한다. 속도 한계치가 비교기(100)의 한 입력단에 직접 제공되면, 비교기(100)의 입력한의 신호는 하이로 전환된다. 하이로의 전환에 의하여,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가 이러한 시간에서 관련 한계치(82)이상일 경우에 발생하는 에어백을 우발적으로 전개시킬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우발적 전개는 155msec 시점에 한계치를 조절함으로써 방지된다. 그러므로, 본 시스템은 장애물로 개방되는 도어의 결과로 인한 우발적 에어백 전개를 방지할 수 있다. 당업자에게는 전개 회로를 불능으로 만드는 상기 방법은 에어백의 우발적 전개를 방지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제3도, 제3e도,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어 가속도 및 속도에 기초하여 도어 개방을 결정한다. 제3도의 일부 변형예인 제3e도를 참조하면, 제어기(20)는 로우 G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를 모니터하고, 가속도 측정부(500)에서, 가속도치가 전술한 바와 같이 예정된 가속도 윈도우에 속하는가를 결정한다. 제어기(20)는 또한 속도 측정부(502)에서 로우 G 센서 출력으로부터의 속도를 결정하고, 속도치가 예정된 속도 윈도우에 속하는 가를 결정한다. 측정부(500,502)에서의 윈도우 비교기능은 유사하지만 상이한 한계치를 갖는다. 로우 G 센서로부터의 가속도치가 가속도 윈도우에 속하면, 가속도 측정부(500)의 출력은 디지탈 하이또는 참이다. 로우 G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로부터 결정된 속도치가 속도 윈도우에 속하면, 속도 측정부(502)의 출력은 디지탈 하이 또는 참이다.
가속도 측정부(500)의 출력과 속도 측정부(502)의 출력은 덧셈기(510)에 의하여 가산된다. 결정된 가속도 및 결정된 속도가 각각의 윈도우에 속하면, 가산기(510)의 출력은 디지탈 하이 또는 참이 되어 시간 지연기(520)를 작동시킨다. 시간 지연기(520)는 전술한 시간 지연기(130)와 유사한 방식으로 작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시간 지연기의 작동은 약 40msec이다. 그러므로, 가속도 및 속도가 40msec 주기 동안 윈도우내에 남아 있으면, 시간 지연기(520)의 출력은 디지탈 하이 또는 참이 된다. 시간 지연기(520)의 출력단은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에 접속된다.
제3f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시간 지연기(520)의 출력단은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에 접속되어 있다. 디스에이블 타이머(400)는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410)를 제어한다.
시간 지연기(520)의 출력이 디지탈 하이 또는 참 상태가 되면, 전술한 방식으로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제3e도)또는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제3f도)를 작동시켜 장애물로의 도어 개방 경우에 에어백의 우발적 전개를 방지한다.
제7도를 참조하면, 소자(500,502,510,520)에 대응하는 기능적 단계를 구비하며 제3e도 및 제3f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마이크로컴퓨터 실행을 위한 제어 프로세서의 세부사항을 보다 명확히 이해 할 수 있다. 단계(600)에서, 제어기(20)는 전술한 방식으로 그리고 당업계에 공지된 방식으로 초기화된다. 단계(602)에서, 제어기(20)는 가속도계(32)의 로우 G 출력단(36)의 신호를 판독한다. 본 프로세스는 제어기(20)가 로우 G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로부터의 갱신 속도치를 결정하는 단계(604)로 진행된다. 단계(606)에서 제2 타이머가 작동하고 있는가의 여부에 관하여 결정이 이루어진다. 제2 타이머는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제3e도)에서의 타이머 또는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제3f도)에서의 타이머이다. 제어 프로세스 동안의 제1 시간에서 단계(606)에서의 결정은 부정이다.
그리고, 본 프로세스는 가속도치와 속도치가 도어 개방 범위에 속하는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610)로 진행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도 범위는 -lG 와 -3.5G사이이다 속도 범위는 -3ft/sec와 -6ft/sec 사이이다.
단계(61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즉 도어 조립체(14)가 도어 개방 경우에 있지 않으면, 본 프로세스는 제어기(20)가 하이 G 출력단(34)의 신호를 모니터하는 단계(620)로 진행한다. 단계(622)에서, 제어기(20)는 전술한 방식으로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를 결정한다. 단계(624)에서, 제어기는 전술한 방식으로 속도치(94)를 결정한다. 그리고 본 프로세스는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와 속도치(94)가 각각의 한계치 보다 큰 것인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630)로 진행한다. 단계(63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에어백은 단계(640)에서 작동된다. 단계(63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본 프로세스는 제2 타이머, 즉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에서의 타이머 또는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에서의 타이머가 작동중인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650)로 진행한다. 단계(65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단계(620)로 복귀한다.
단계(61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즉 도어가 도어 개방 경우에 있으면, 상기 프로세스는 제어기(20)가 하이 G 출력단(34)의 신호를 모니터하는 단계(620)로 진행한다. 단계(622)에서, 제어기(20)는 전술한 방식으로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를 결정한다. 단계(624)에서, 제어기는 전술한 방식으로 속도치(94)를 결정한다. 그리고, 측방향 평균 가속도치(80)와 속도치(94)가 각각의 한계치 보다 큰것인가를 결정하는 단계(630)로 진행한다. 단계(63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에어백은 단계(640)에서 작동된다. 단계(63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제2 타이머, 즉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에서의 타이머 또는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에서의 타이머가 작동중 인가를 결정하는 단계(650)로 진행한다. 단계(65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단계(602)로 복귀한다.
단계(61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즉, 도어가 도어 개방 경우에 있으면, 제1 타이머가 작동중 인가 또는 그렇지 않은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660)로 진행한다. 단계(660)에서 언급된 제1 타이머는 시간 지연기(520)이다. 상기 루프를 경과하는 제1 시간에서, 단계(660)에서의 결정은 부정이다. 상기 프로세스는 제1 타이머 또는 시간 지연기(520)가 작동하게 되는 단계(666)로 진행한다. 단계(666)또는 단계(660)에서의 긍정적 결정으로부터, 상기 프로세스는 시간 지연기(520)에 의하여 40msec가 경과하였거나 중단되었는가의 여부에 관한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670)로 진행한다. 단계(670)및 시간 지연기(520)는 참(true) 도어 개방 경우가 발생하고 있는가를 보장하기 위하여 필터링(filtering)을 제공한다. 시간 지연기(520)가 중단하면, 자동적으로 리셋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필터링은 차량의 대향 측면에서의 충돌이 발생하면 에어백을 전개하기 위한 필요조건을 불능으로 만들거나 변경시키는 것을 방지한다.
단계(670)에서의 결정이 부정이면, 상기 프로세스는 단계(620)로 진행한다. 단계(67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에서의 제2 타이머는 작동을 개시하거나, 디스에이블 타이머(400)에서의 타이머는 작동을 개시한다. 단계(674)에서, 제1 타이머는 리셋된다. 단계(674)또는 단계(606)에서의 긍정 결정으로부터, 상기 프로세스는 제어기가 승수/타이머 작동부(110)로부터의 승수에 속도 한계치(104)를 곱하여 비교기(100)에서의 조절 속도 한계치를 사용하는 단계(680)로 진행한다. 물론, 디스에이블 타이머(400)를 사용하는 실시예에서, 단계(680)는 삭제되고 단계(674)로부터 단계(650)까지 진행할 수 있다. 단계(68)로부터, 상기 프로세스는 단계(620)로 진행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계속된다.
제2 타이머가 중단하면, 단계(650)에서의 결정은 긍정이고 2초가 경과하였는가의 여부에 관하여 결정이 이루어지는 단계(690)로 진행한다. 단계(690)에서의 결정이 긍정이면, 즉 2초가 경과하였으면, 상기 프로세스는 제2 타이머가 리셋되는 단계(694)로 진행한다. 단계(690)또는 단계(694)에서의 부정적 결정에 의하여 단계(602)로 복귀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가속도계(32)의 로우 G 출력단(36)의 신호로부터 결정된 가속도 및 속도의 함수로써 도어 개방이 결정되는 것은 전술한 바로부터 알수 있다. 시간 지연기(520)로부터의 출력이 승수/타이머 작동부(110)에 연결되면, 속도 한계치는 상승한다. 시간 지연기(620)의 출력이 타이머(400)에 연결되면, 에어백의 작동은 전술한 바와 같이 완전히 작동 불능 상태로 된다.
제8도를 참조하면, 가속도계(32)의 로우 G 출력단(36)의 신호는 시간에 대하여 도식되어 있으며 제5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한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낸다. 또한, 제8도에는 제3e도 및 제3f도의 속도 측정부(502)에서 그리고 제7도의 흐름도의 단계(604)에서 발생된 결정 속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8도의 그래프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가속도 출력단(36)의 신호는 도어 개방 경우가 시작된 이후 약 80msec에서 -1G 보다 작게된다. 그러나, 80msec 시점에서, 속도는 -3ft/sec 내지 -6ft/sec의 속도 윈도우에 속하지 않는다. 도어 개방 경우로부터 대략적인 시간 t1에서, 결정된 속도치는 -3ft/sec 내지 -6 ft/sec 윈도우에 속한다. 이 시점에서, 단계(610)에서의 결정은 긍정이고, 그 결과 제1 타이머 또는 시간 지연기(520)가 단계(666)에서 작동개시된다. 가속도 측정부(500)에서의 가속도와 속도 측정부(502)에서의 속도가 시간 지연기(520)의 타이머가 작동하는 동안의 전체 40msec 주기 동안 관련 윈도우에 속하고 있기 때문에, 제어기는 한계치를 조절하거나, 시간 t2에서의 에어백 전개를 불능으로 한다. 속도 한계치는 조절된 상태로 남아있거나 전개는 시간 t2로부터 시작하여 2초동안 불능으로 남아있다.
본 발명에 관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는 개량, 변경, 및 수정을 인지할 수 있다. 이러한 당업자에 의한 개량, 변경, 및 수정은 청구범위에 의하여 보호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Claims (40)

  1.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감지 수단(32)과; 상기 감지 수단(32)과 탑승자 구속 장치(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제어 수단(20)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 수단(20)은 상기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타이밍 수단(110)을 구비하고, 상기 감지 수단(32)은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 개방중에 도어의 가속도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가속도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0)은 가속도계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구미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는 개방중인 도어의 가속도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0)은 가속도계 신호로부터의 속도를 결정하는 수단과, (i) 도어 가속도가 관련 가속도 한계 사이에 있는 시기와, (ii) 도어 속도가 관련 속도 한계 사이에 있는 시기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탑승자 구속 장치(16)는 도어 가속도와 도어 속도가 관련 한계 사이의 시기 중에만 작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방지 장치.
  4.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가속도를 신호로 제공하는 가속도 감지 수단(32)과;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그 개방을 신호로 제공하는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과; 측방향 가속도가 측방향 충돌 상태를 나타내고 도어 개방 상태가 감지되지 않으면 탑승자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가속도 감지 수단(32)에,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에, 그리고 상기 탑승자 구속 장치(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어 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가속도 감지 수단(32)에 연결되고 상기 가속도 신호가 미리 결정된 가속도 한계치 사이의 값으로 도어가 가속되는 것을 나타내면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제어 수단(20)은 도어 개방 상태가 나타나게 되면 탑승자 구속 장치(16)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60)은 도어 가속도로부터 도어 속도를 측정하는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도어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 그리고 도어 속도가 미리 결정된 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 중에만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0)은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수단(11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20)은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작동적으로 장착되어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4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0)은 가속도 신호로부터 평균 가속도치를 결정하는 가속도 결정 수단과, 가속도 신호로부터 속도치를 결정하는 속도 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은 평균 가속도치와 속도치에 응답하여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0.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도어의 측방향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가속도를 신호로 제공하는 가속도 감지 수단(32)과; 차량 도어의 개방 경우를 감지하여 그 개방을 신호로 제공하는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과; 상기 가속도 감지 수단(32)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측방향 속도를 결정하기 위하여, 상기 측방향 속도가 미리 결정된 한계치 보다 크면 탑승자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이 차량 도어 개방 경우로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한계치의 값을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가속도 감지 수단(32),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 그리고 탑승자 구속 장치(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0)은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으로부터의 신호가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수단(11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신호는 타이밍 신호가 제공되면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미리 결정된 한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가속도 감지 수단(32)에 연결되며, 상기 가속도계(32)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는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가속도치의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감지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으면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작동적으로 장착되어,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45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4. 차량의 도어에 장착되어, 차량의 측방향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 가속도를 신호로 제공하는 가속도 감지 수단(32)과;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도어 개방 경우의 발생시에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과; 상기 가속도 감지 수단(32),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 그리고 탑승자 구속 장치(16)에 작동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가속도 감지 수단(32)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도어의 평균 가속도(i)와, 차량 도어의 측방향 속도(ii)를 결정하고, 그리고 상기 평균 가속도치와 측방향 속도가 각각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이상이면, 또 가속도 신호가 도어 개방 경우의 결과가 아니면 탑승자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20)은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이 도어 개방 경우의 발생을 나타내면 상기 미리 결정된 제2 한계치를 조절하는 조절 수단을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도어 개방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도어 개방 경우의 발생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타이밍 수단(110)을 구비하며, 상기 제어 수단(20)은 타이밍 신호가 제공되면 상기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제2 한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가속도 감지 수단(32)에 연결되며, 상기 가속도계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를 감지하는 감지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는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가속도치의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은 감지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으면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가속도 신호로부터 도어 속도를 결정하는 속도 결정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고 도어 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 중에만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1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은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작동적으로 장착되어,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20. 차량 충돌 상태 동안에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는 구속 수단(16)과; 차량 충돌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충돌 감지 수단(32)과;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과 상기 구속 수단을 작동시키는 도폭관(26)과; 상기 충돌 감지 수단(32)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충돌 상태를 나타내면, 상기 도폭관(26)을 제어하여 구속 수단을 작동시키는 제어 수단과;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450)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상기 구속 수단의 우발적 작동을 방지하도록 작동 수단을 작동 불능화시키는 디스에이블(disable)수단(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집으로 하는 차량 안전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장치.
  21. 탑승자 구속 장치가 우발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작동 방지 방법에 있어서,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여 그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공급하는 단계와;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 방지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가 차량 도어의 개방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방지 단계는 상기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 방지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도어 개방중에 도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 방지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가속도 감지 단계는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에 속하는 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는 그 사이에서 도어 개방 경우를 나타내는 가속도치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 방지 방법.
  25.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개방 감지 단계는 도어의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감지된 가속도 및 감지된 속도가 관련 한계점에 속하는 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 방지 방법.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 단계는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작동적으로 장착되어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우발적 작동 방지 방법.
  27.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도어에 가속도계를 장착하는 단계와: 상기 가속도계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측방향 가속도를 감지하여,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가속도계로부터의 출력 신호가 측방향 충돌 상태를 나타내면 그리고 차량 도어가 개방중인 것으로 감지되지 않으면 탑승자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가 개방중인 것으로 감지되면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도어 개방이 최초로 감지되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주기 동안 계속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상기 가속도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를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는 그 사이에서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가속도치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감지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가속도 한계치 사이의 시기 중에만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2.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가속도를 감지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감지된 측방향 가속도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의 측방향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측방향 속도가 미리 결정된 한계치 보다 크면 탑승자 구속 장치를 작동 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이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한계치의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최초로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조정 단계는 타이밍 신호가 제공되면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4.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 개방을 감지하는 단계는 도어의 가속도를 감지하는 단계와, 감지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사이에 있는 가를 결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는 그 사이에서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가속도치 범위를 한정하며, 상기 감지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사이에 있으면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장착되어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6.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의 측방향 가속도를 감지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 도어의 개방을 감지하고 그것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가속도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출력 신호에 응답하여 차량 도어의 평균 가속도치와 차량 도어의 측방향 속도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평균 가속도와 측방향 속도가 각각의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보다 크면 탑승자 구속 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와; 상기 도어 개방 감지 수단이 차량 도어 개방의 발생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제2 한계치의 값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가 최초로 개방되는 것을 나타내면 미리 결정된 시간 주기의 타이밍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타이밍 신호가 제공되면 타이밍 신호의 시간 주기 동안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을 방지하는 단계를 또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8.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가속도계로부터의 신호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사이에 있는 시기를 감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며, 상기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는 그 사이에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가속도치의 범위를 한정하고,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감지된 가속도가 미리 결정된 제1 및 제2 한계치 사이에 있으면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개방 감지 단계는 도어와 차량 사이에 장착되어 도어 개방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도어 스위치에 의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구속 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40. 차량 안전 구속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 방법에 있어서, 차량 충돌 상태중에 탑승자의 이동을 구속하기 위하여 구속 수단을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 충돌 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단계와; 충돌 감지 신호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충돌 상태를 나타내면 구속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와; 도어 감지 수단으로부터의 신호가 차량 도어 개방을 나타내면 구속 수단을 작동 불능으로 만드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안전 구속장치의 작동 제어 방법.
KR1019950007247A 1994-05-27 1995-03-31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01807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50,361 1994-05-27
US08/250,361 1994-05-27
US08/250,361 US5538099A (en) 1994-05-27 1994-05-27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ir bag restrai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95A KR950031695A (ko) 1995-12-20
KR0180775B1 true KR0180775B1 (ko) 1999-04-01

Family

ID=22947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7247A KR0180775B1 (ko) 1994-05-27 1995-03-31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538099A (ko)
EP (1) EP0684162B1 (ko)
JP (1) JP3226438B2 (ko)
KR (1) KR0180775B1 (ko)
CA (1) CA2145051C (ko)
DE (1) DE6950573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424551A1 (de) * 1994-07-12 1996-01-18 Autoliv Dev Auslösevorrichtung für ein Fahrzeug-Sicherheitssystem mit einem Beschleunigungssensor
GB2311157B (en) * 1996-03-14 1999-11-03 Autoliv Dev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a crash detector
US6023664A (en) * 1996-10-16 2000-02-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Vehicle crash sensing system
JP3721242B2 (ja) * 1997-03-31 2005-11-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乗員拘束安全装置の制御装置
US5928300A (en) * 1997-10-30 1999-07-27 Simula Inc. Three-axis aircraft crash sensing system
DE19830835C2 (de) * 1998-07-09 2000-04-27 Siemens Ag Verfahren und System zum Auslösen eines Rückhaltemittels, insbesondere zum Seitenaufprallschutz, in einem Fahrzeug
US6219606B1 (en) * 1998-11-16 2001-04-17 Delphi Technologies, Inc. Restraint deployment control method having a delayed adaptable deployment threshold
DE19858760A1 (de) * 1998-12-18 2000-06-29 Siemens Ag Vorrichtung zum Steuern eines Insassenschutzmittels eines Fahrzeugs
US6371514B1 (en) * 2000-05-26 2002-04-16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Air bag module mounted in vehicle door
DE20015135U1 (de) * 2000-09-01 2001-01-11 Trw Repa Gmbh Gassack-Rückhaltesystem
US6559557B2 (en) * 2000-12-20 2003-05-06 Delphi Technologies, Inc. Error detection circuit for an airbag deployment control system
DE10147732A1 (de) * 2001-09-27 2003-05-08 Bayerische Motoren Werke Ag Verfahren zum Auslösen eines Fahrzeuginsassen-Rückhaltemittels
US20030117018A1 (en) * 2001-12-21 2003-06-26 Young James M. Current mirror seatbelt interface circuit
US7539568B2 (en) * 2002-06-03 2009-05-26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Crash pulse energy algorithm for an inflatable restraint system
FR2858957B1 (fr) * 2003-08-22 2006-08-18 Mollertech Sas Piece d'habillage pour vehicule automobile, avec un volet apte a masquer un coussin gonflable
DE10360823A1 (de) * 2003-12-23 2005-07-28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slösen mindestens einer Insassenschutzeinrichtung in einem Fahrzeug
DE112006002648B4 (de) * 2005-10-14 2010-11-25 Continental Automotive Systems US, In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uburn Hills Mischen von Sensoren zum Erzeugen alternativer Sensorcharakteristiken
JP2007137332A (ja) * 2005-11-21 2007-06-07 Denso Corp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4254787B2 (ja) * 2006-02-09 2009-04-15 マツダ株式会社 車両用エアバッグシステム
JP4483925B2 (ja) * 2007-10-04 2010-06-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衝突判定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CA2637155A1 (en) * 2008-04-01 2009-10-01 Boss Packaging Inc. Vibration sensor
US8633828B2 (en) * 2010-02-01 2014-01-21 Analog Devices, Inc. System and method for safing and monitoring a plurality of vehicle sensors
GB201307980D0 (en) * 2013-05-02 2013-06-12 Redtail Telematics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detecting collision
US9718425B2 (en) 2013-08-14 2017-08-01 Infineon Technologies Ag Crash detection
US10006929B2 (en) 2014-10-28 2018-06-26 Koninklijke Philip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reliable detection of opening and closing events
US9840166B2 (en) * 2015-04-13 2017-12-12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termining the number of people in a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672699A (en) * 1970-07-13 1972-06-27 Eaton Corp Automatic restraint system arming control
FR2279589A1 (fr) * 1974-07-24 1976-02-20 Peugeot & Renault Commande a distance de retracteurs de sangles de ceinture de securite
US4688825A (en) * 1986-05-05 1987-08-25 Wickes Manufacturing Company Seat belt retractor mechanism
JPS6349569A (ja) * 1986-08-18 1988-03-02 N S K Warner Kk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JPS6382857A (ja) * 1986-09-26 1988-04-13 Nissan Motor Co Ltd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DE3806694A1 (de) * 1988-03-02 1989-09-14 Bosch Gmbh Robert Elektronische einrichtung
DE3816587A1 (de) * 1988-05-16 1989-11-23 Messerschmitt Boelkow Blohm Einrichtung zur ausloesung einer passiven sicherheitseinrichtung
DE3841089A1 (de) * 1988-12-07 1990-06-1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wertung eines sensorsignals
DE3924507A1 (de) * 1989-02-18 1990-08-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ausloesung von rueckhaltemitteln
JP2963948B2 (ja) * 1990-06-13 1999-10-18 マツダ株式会社 車体側部のエネルギ吸収装置
US5363302A (en) * 1991-06-04 1994-11-08 Automotive Systems Laboratory, Inc. Power rate system and method for actuating vehicle safety device
US5202831A (en) * 1991-07-09 1993-04-13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ccupant restraint system using real time vector analysis
JPH05139240A (ja) * 1991-11-18 1993-06-08 Toyota Motor Corp 衝突速度感応型エアバツグ装置
US5339242A (en) * 1991-11-26 1994-08-16 Delco Electronics Corp. Method and apparatus for vehicle crash discrimination based on oscillation and energy content
US5322323A (en) * 1991-12-20 1994-06-2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Collision sensing system for side air bag system
US5318146A (en) * 1992-01-24 1994-06-07 Volkswagen Ag Electric circuit for activating an occupant safety device in an automotive vehicle
US5224733A (en) * 1992-02-27 1993-07-06 Simsic Joseph C Arm rest safety bag apparatus
JPH061201A (ja) * 1992-06-19 1994-01-11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エアバッグ装置
JPH06135295A (ja) * 1992-10-27 1994-05-17 Toyota Motor Corp 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JP2985543B2 (ja) * 1992-12-22 1999-12-0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用エアバッグ装置
US5566974A (en) * 1993-03-22 1996-10-22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restraining an occupant during a side imp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1695A (ko) 1995-12-20
JP3226438B2 (ja) 2001-11-05
CA2145051C (en) 1998-12-01
DE69505733T2 (de) 1999-06-17
DE69505733D1 (de) 1998-12-10
EP0684162B1 (en) 1998-11-04
JPH07323803A (ja) 1995-12-12
US5538099A (en) 1996-07-23
CA2145051A1 (en) 1995-11-28
EP0684162A1 (en) 1995-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775B1 (ko) 에어백 구속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558790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vehicle crash condition using velocity enhanced acceleration crash metrics
JP2972559B2 (ja) 速度変位測定を用いた車両衝突感知装置及び方法
JP4022050B2 (ja) 不感ボックスを有する速度/変位に基づいた安全機能を用いて、作動可能な拘束装置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3217791B2 (ja) 長期間低速度衝突を弁別する方法
US554630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vehicle crash conditions
US609555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side impact crash conditions with an enhanced safing function
JPH07121667B2 (ja) 乗客保護装置の作動装置
US5702124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ensing a vehicle crash using a displacement velocity metric
KR100631268B1 (ko) 자동차 에어백 시스템
JP3392180B2 (ja) 車両用安全装置の制御システム
JP2002356138A (ja) 車両ロールオーバ検出システム
WO2007067120A1 (en) An arrangement for detecting a crash
US677643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restraining device using switched thresholds based on crush zone sensors
JP2760953B2 (ja) 作動可能な保護装置の制御方法及び装置
US8433480B2 (en) Method and device for triggering personal protection means during a rollover accident
US727865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actuatab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ing an ultrasonic sensor
US65205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n occupant side restraining device with enhanced side safing function
KR100492501B1 (ko) 차량용 승차자 보호시스템
KR20010099832A (ko) 에어백 작동의 경우를 판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JP2002046571A (ja) 作動可能な乗員保護装置を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7251702A (ja) 車両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の作動方法
US5490066A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long-period, low-velocity crashes
EP0711232B1 (en) Method and System for Discrimitating long-period, low-velocity Crashes
JPH05305855A (ja) エアバック起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