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0426B1 -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0426B1
KR0180426B1 KR1019960045963A KR19960045963A KR0180426B1 KR 0180426 B1 KR0180426 B1 KR 0180426B1 KR 1019960045963 A KR1019960045963 A KR 1019960045963A KR 19960045963 A KR19960045963 A KR 19960045963A KR 0180426 B1 KR0180426 B1 KR 01804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shift lever
idle
state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269A (ko
Inventor
장창욱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5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042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7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04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04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id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21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 F02D41/021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 F02D41/0225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conditions exterior to the engine in relation with elements of the transmission in relation with the gear ratio or shift lever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Vehicle Engines Or Engines For Specific Us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을 구동시키는 데 필요한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구동 상태 감지 수단과; 상기 차량 구동 상태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면 상기 변속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에서 판단된 변속레버의 위치에 해당하는 아이들 보정값을 메모리 맵에서 설정하여 아이들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아이들 보정 신호를 인가 받아 연료 량과 공기 량을 증가시켜 엔진의 아이들 상태를 보정하는 구동 수단으로 이루어져 있어, 변속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전진 주행 상태와 후진 주행상태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후진 주행신호 인히비터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엔진이 아이들 상태일 때 후진 주행단 인히비터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후진시 해당하는 엔진 아이들 상태 보상신호를 설정하여 엔진 아이들 보상을 수행함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차량에서 후진 주행 시에도 엔진의 시동이 정지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에서 아이들 상태에서 후진시 엔진의 시동이 정지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속레버의 R레인지를 검출하는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차량이 아이들 상태일 때 후진중이면, 연료 량과 공기 량을 증가시키는 메모리에 저장된 후진 단에 해당하는 아이들 보정 신호를 설정하여 구동 수단에 출력하여 줌으로서, 아이들 상태에서 후진중 엔진이 정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 변속기를 장착한 차량은 원활한 변속 및 주행상태를 이루기 위하여 자동 변속기 내부의 오일 펌프를 구동해야 하므로 아이들시 엔진에 걸리는 부하는 크게된다.
또한 차량의 전지 주행 및 후진 주행을 위하여 변속레버를 D 및 R레인지에 위치시 엔진은 추가적인 부하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엔진이 아이들 상태일 때 자동 변속기 차량은 상기의 변속레버의 위치를 감지하는 인히비터 스위치(Inhibitor S/W)가 D 및 R레인지 일 때 엔진제어 수단에 로우 레벨(Low Level)신호를 출력하여 엔진 제어 수단으로 하여금 아이들 상태에서 차량의 전진 및 후진 주행시 아이들 신호 보상을 일정하게 수행하여 주행하도록 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기술은 전진 및 후진 주행시 아이들 신호 보상을 일정하게 수행함으로써, 실제 전진 주행상태에서는 엔진의 시동이 정지하지 않았으나, 후진 주행시 엔진의 시동이 정지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전진 주행시에 자동 변속기의 각종 클러치 및 브레이크에 가하는 유압보다 후진 주행시에 가하는 유압이 크게되는 경우가 많다.
상기는 후진 주행시의 기어비가 전진 1속 주행시의 기어비 보다 크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변속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전진 주행상태와 후진 주행상태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후진 주행신호 인히비터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엔진이 아이들 상태일 때 후진 주행단 인히비터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후진시 해당하는 엔진 아이들 상태 보상신호를 설정하여 엔진 아이들 보상을 수행함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차량에서 후진 주행시에도 엔진의 시동이 정지하지 않는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을 구동시키는 데 필요한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구동 상태 감지 수단과;
상기 차량 구동 상태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면 상기 변속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에서 판단된 변속레버의 위치에 해당하는 아이들 보정값을 메모리 맵에서 설정하여 아이들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아이들 보정 신호를 인가 받아 연료 량과 공기 량을 증가시켜 엔진의 아이들 상태를 보정 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본 발명은,
엔진이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의 위치를 판독하여, 변속레버가 R레인지에 위치하였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가 R레인지인 경우, 메모리의 후진 맵에 설정된 아이들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장치 구성 블럭도이고,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이다.
상기한 목적을 구체적으로 달성하여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상태 감지 수단(10)의 구성은,
변속레버의 위치가 전진, 후진, 중립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레버 감지부(11)와;
엔진의 아이들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아이들 상태 감지부(12)로 이루어져 있다.
첨부한 제3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상기의 변속레버 감지부(11)는,
변속레버가 전진 주행상태인 D 또는 2, L레인지 일 때 스위치가 오프되고, 변속레버가 중립 및 파킹 위치에 있을 때 온 되는 중립(Neutral)스위치(1)와;
변속레버가 후진 주행상태인 R레인지 일 때 스위치가 온 되어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후진(REverse)스위치(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첨부한 제1도에 도시되어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동 수단(30)의 구성은,
상기 엔진 제어 수단(20)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연료 분사 량을 조절하는 인젝터(31)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20)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흡입되는 공기 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3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행 상태를 이루면 엔진 제어 수단(20)은 차량상태 감지 수단(10)의 아이들 상태 감지부(12)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엔진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한다(S100).
하지만 상기에서 엔진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가 아닌 경우, 엔진의 부하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초기 상태로 리턴 한다.
따라서 상기 엔진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인 경우, 엔진 제어 수단(20)은 변속 레버의 위치를 판독하고(S110), 상기의 변속레버가 후진 주행단인 R레인지에 위치하여 있는가를 판단한다(S120).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후진 주행단인 R레인지에 위치한 경우, 메모리의 후진 맵에 설정된 아이들 보정 신호를 구동 수단(30)에 출력하고(S130), 초기단계로 리턴 한다.
하지만, 변속레버가 후진 주행단이 아닌 경우, 전진 주행단에 위치하였는가를 판단한다(S121).
상기에서 변속레버가 전진 주행단인 D 또는 2, L레인지 인 경우, 메모리의 전진 맵에 설정된 아이들 보정 신호를 구동 수단(30)에 출력하고 리턴 한다(S122).
그러나 엔진의 상태가 아이들 상태일 지라도, 변속레버가 중립 및 파킹 상태이면, 엔진의 부하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초기 상태로 리턴 한다.
상기한 실시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실시예로부터 용이하게 설명할 수 있는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서 변속레버의 위치를 검출하는 인히비터 스위치에서 전진 주행상태와 후진 주행상태를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도록 후진 주행신호 인히비터 스위치를 추가로 설치하여 엔진이 아이들 상태일 때 후진 주행단 인히비터 스위치가 온 상태이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후진시 해당하는 엔진 아이들 상태 보상신호를 설정하여 엔진 아이들 보상을 수행함에 따라 아이들 상태인 차량에서 후진 주행시에도 엔진의 시동이 정지하지 않은 효과를 가진 엔진 제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6)

  1. 차량을 구동시키는데 필요한 신호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차량 구동 상태 감지 수단과; 상기 차량 구동 상태 감지 수단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인가 받아 엔진이 아이들 상태이면 상기 변속레버 위치를 판단하고, 상기에서 판단된 변속레버의 위치에 해당하는 아이들 보정값을 메모리 맵에서 설정하여 아이들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엔진 제어 수단과; 상기 엔진 제어 수단에서 출력되는 아이들 보정 신호를 인가 받아 연료량과 공기량을 증가시켜 엔진의 아이들 상태를 보정 하는 구동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엔진 제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차량상태 감지 수단은, 변속레버의 위치가 전진, 후진, 중립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 신호를 출력하는 변속레버 감지부와; 엔진의 아이들 상태를 감지하여 해당하는 전기신호를 출력하는 아이들 상태 감지부.
  3. 청구항 1에 있어서, 구동 수단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연료 분사량을 조절하는인젝터와; 상기 엔진 제어 수단의 제어 신호를 인가 받아 흡입되는 공기량을 조절하는 스로틀 밸브로 이루어져 있다.
  4. 엔진이 아이들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의 위치를 판독하여, 변속레버 R레인지에 위치하였는가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 R레인지 인 경우, 메모리의 후진 맵에 설정된 아이들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엔진 제어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변속레버가 R레인지가 아닌 경우, 변속레버가 D 또는 2,L레인지가 판단하는 단계와; 변속레버가 D 또는 2,L레인지 인 경우, 메모리의 맵에 저장된 아이들 보정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엔진 제어 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변속레버가 D 또는 2,L레인지가 아닌 경우, 아이들 보정을 수행하지 않고, 초기단계로 리턴하는 엔진 제어 방법.
KR1019960045963A 1996-10-15 1996-10-15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804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963A KR0180426B1 (ko) 1996-10-15 1996-10-15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963A KR0180426B1 (ko) 1996-10-15 1996-10-15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69A KR19980027269A (ko) 1998-07-15
KR0180426B1 true KR0180426B1 (ko) 1999-03-20

Family

ID=194775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963A KR0180426B1 (ko) 1996-10-15 1996-10-15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042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75B1 (ko) * 2009-11-04 2015-04-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Isg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6728A (ko) * 2001-09-28 2003-04-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엔진의 스로틀 밸브 제어 방법
KR100440165B1 (ko) * 2002-06-29 2004-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변속기 차량의 흡입 공기량 학습 보정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9675B1 (ko) * 2009-11-04 2015-04-06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Isg차량의 시동제어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69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84500B2 (ja) 発進クラッチ制御装置
US20020095248A1 (en) Vehicle drive system
KR20010055345A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총합 제어 방법
KR0180426B1 (ko) 엔진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6497637B2 (en) Vehicular constant-speed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vehicle speed
KR100448769B1 (ko) 자동 변속기 차량의 엔진 출력 저하에 따른 변속패턴 제어방법
KR100387474B1 (ko) 자동 변속기의 후진중 전진 변속 제어방법
JPH10318288A (ja) 自動クラッチ制御装置
JPS646436Y2 (ko)
KR100276895B1 (ko) 자동변속기 중립단에서 주행단으로의 변속 제어 방법
KR20010059407A (ko) 차량용 엔진 제어 방법
JP3237395B2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ハンチング防止装置
JP3633128B2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H0439133A (ja) 自動変速機搭載車両の制御装置
JPS6245943Y2 (ko)
KR100308962B1 (ko) 고지에서자동변속기의킥다운변속제어장치및그방법
KR19990081036A (ko) 자동 변속기의 오조작 방지 장치 및 방법
JPH0531317Y2 (ko)
KR100320529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댐퍼 클러치 제어 방법
JPH078290Y2 (ja) 定速走行装置付車両の自動変速装置
JPH01113562A (ja) 自動変速機を備えた車両のエンジン制御装置
KR100360803B1 (ko) 무부하 주행 및 감속시의 연료량 보정방법
KR100401753B1 (ko) 자동변속기 스타트모드 제어방법
JPH0625399Y2 (ja) 車両用変速装置
KR20030006267A (ko) 캔통신을 이용한 자동변속기 변속제어 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