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9348B1 - 증기 터빈 밸브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증기 터빈 밸브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9348B1
KR0179348B1 KR1019890001205A KR890001205A KR0179348B1 KR 0179348 B1 KR0179348 B1 KR 0179348B1 KR 1019890001205 A KR1019890001205 A KR 1019890001205A KR 890001205 A KR890001205 A KR 890001205A KR 0179348 B1 KR0179348 B1 KR 0179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mode
signal
sequential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12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3313A (ko
Inventor
융-천 황 에드워드
Original Assignee
지.에이치.텔퍼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에이치.텔퍼, 웨스팅하우스 일렉트릭 코오포레이숀 filed Critical 지.에이치.텔퍼
Publication of KR8900133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33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9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9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7/00Regulating or controlling by varying flow
    • F01D17/10Final actuators
    • F01D17/12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 F01D17/18Final actuators arranged in stator parts varying effective number of nozzles or guide conduits, e.g. sequentially operable valves for steam turb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DINDEXING SCHEME FOR ASPECTS RELATING TO NON-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GAS-TURBINES OR JET-PROPULSION PLANTS
    • F05D2200/00Mathematical features
    • F05D2200/10Basic functions
    • F05D2200/11S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증기 터빈 밸브 제어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흡입 밸브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
제2도는 밸브 모드와 테스트 유량 조절 장치의 상세 블럭도.
제3도는 밸브 위치 설정점 논리를 도시하는 제1도의 밸브 양정 제어 장치중의 하나에 대한 상세 블럭도.
제4도는 제1도의 밸브 유량 트랙킹 장치와 양정-유량 블럭에 대한 상세 블럭도.
제5도는 제2실시예의 순차 모드 조절 방법에 대한 상세 블럭도.
제6a도, 제6b도 미치 제6c도는 순차 모드에서 밸브를 조절하기 위한 정상 시퀀스및 대체 시퀀스의 그래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체 전력 요구 신호 21,32,33,34 : 밸브 양정 제어 장치
36 : 작동 모드 신호 42,43,44,45 : 서보 장치
47,48,49,50 : 밸브 유량 결정 장치 58 : 트랙킹 장치
60 : 트랙킹된 유량 요구 신호 68,78 : 제산기
77 : 승산기 80 : 가산기
92,94 : 선택 수단
본 발명은 증기 터빈의 밸브 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상이한 작동 모드로 흡입 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미국에서 발전(發電)되는 대부분의 전기는 석탄 또는 원자로에 의해 가열된 보일러의 증기를 증기 터빈에 공급함으로써 생산된다. 증기 터빈에 의해 발전되는 전기의 양은 증기 터빈에 공급되는 증기의 양을 결정하는 흡입 밸브에 의해 제어된다. 통상적으로, 6∼8개의 흡입 밸브가 두가지 모드중 한 가지 모드로 작동된다.
단일 밸브 모드 혹은 동조 모드(unison mode)에서는 모든 밸브가 동일한 속도로 개방된다. 이 모드는 증기 터빈의 구동시에 가장 흔히 사용되어 유입 증기에 의해 회전자(rotator)가 균등하게 가열된다.
부분 개방된 밸브는 증기 에너지를 차단하여 에너지 손실을 초래하며, 모든 밸브가 부분 개방되는 경우에는 1개 또는 2개의 밸브만이 부분 개방된 경우보다 현저하게 많은 에너지가 손실된다. 그 결과, 증기 터빈이 작동되는 대부분의 시간 동안에는 순차 작동 모드가 이용된다. 순차 작동 모드에서는 먼저 3개 또는 4개의 밸브가 완전하게 개방될 때까지 동일한 속도 또는 거의 동일한 속도로 개방된다.
그리고나서, 추가의 증기 유량이 요구되는 경우, 증기 터빈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1개 또는 2개의 밸브가 개방되고, 이들 밸브가 거의 완전하게 개방되었을 때, 또다른 1개 또는 2개의 밸브가 개방되는 등의 방식으로 동작이 이루어지며, 이러한 동작은 증기 터빈이 최종의 1개 또는 2개의 밸브에 의해 제어되거나 최대 용량에서 작동될 때까지 지속된다.
흡입 밸브의 양정(揚程)-유량 특성(lift-to-flow characteristics)은 비선형적이다. 따라서, 종래의 제어 시스템은 이러한 사실을 인지하여 유량 요구를 밸브 양정 혹은 밸브 위치로 변환하기 위해 밸브의 양정-유량 특성을 기억한다. 그러나, 단 하나의 유량-양정 특성이 기억되므로, 이 특성에 대한 조절은 동조 작동 모드 및 순차 작동 모드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종래의 시스템을 사용하는 시스템은 미국 특허 제4,270,055호;제4,368,520호;제4,418,285호;제4,512,185호및 제4,554,788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동조 작동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에 대해 별도의 조절을 갖는 흡입 밸브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고, 증기 터빈이 작동하는 동안 변경될 수 있는 순차작동 모드에서 대체 시퀀스를 제공하며, 또한, 증기 터빈의 흡입 밸브를 제어하는 위치 신호를 발생하는 유량 요구로 변환시킴으로써 유량 요구의 트랙킹(tracking)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전체 전력 요구 신호(total power demand signal)에 응답하여 총 발전량을 변화시키도록 입력량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흡입 밸브가 사용되고, 이 흡입 밸브에 대한 제어가 (i)모든 밸브가 동일한 속도로 개방되는 동조 작동 모드와,(ii)제1그룹의 밸브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제2그룹의 밸브는 부분 개방 되도록 제어되는 순차 작동 모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이루어지는 발전 설비에서의 흡입 밸브에 대한 제어 방법및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며, 이러한 제어 시스템은 동조 작동 모드 및 순자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별도 세트의 조절 특성을 기어하는 수단과, 동조 작동 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중에서 밸브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과, 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조절 특성, 상기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밸브 작동 모드, 및 상기 전체 전력 요구 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흡입 밸브를 위치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력 변환 장치에 공급되는 에너지를 결정하는 복수의 흡입 밸브를 전체 전력 요구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동조 작동 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에 대해 별도 세트의 조절 특성을 제공하는 단계와, 동조 작동 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중에서 밸브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 제공된 조절 특성의 세트, 선택된 밸브 작동 모드, 및 상기 전체 전력 요구 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흡입 밸브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은 동조 작동 모드 및 순차 작동 모드에 대한 별도 세트의 조절 특성을 기억하는 수단과, 동조 작동 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중에서 밸브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과, 조절 특성의 세트, 밸브 작동 모드, 및 상기 전체 전력 요구 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흡입 밸브를 위치 설정하는 수단을 구비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 선택 수단은 전력 변환 장치가 작동하는 동안 순차 작동 모드에서 사용되는 정상 시퀀스와 대체 시퀀스중 한 시퀀스를 선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 시스템은 위치 신호를 가산하여 합을 산출하고, 쵸크비(choking factor)를 이용하여 이 합을 트랙킹된 유량 요구로 변환함으로써 흡입밸브를 통과하는 증기 유량을 트랙킹하는 트랙킹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제1도에는 증기 터빈에 대한 밸브 제어 시스템의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전기 발전을 위해 사용되는 증기 터빈은 2개 또는 4개의 드로틀 밸브와 약간의 조속기 밸브를 포함하는 흡입 밸브를 구비한다. 제1도의 블럭도에는 8개의 조속기 밸브 GV1∼GV8에 대한 제어가 도시되어 있다. 조속기 밸브 유량요구 신호, 즉 전체 전력 요구 신호(10)는 3개의 유량 설정점 조절 장치(12,13,14)에 공급된다. 밸브 테스트 유량 조절 장치(12)는 테스트 램프 신호(a testing ramp signal:16), 테스트되는 밸브의 수를 나타내는 신호(18)및 테스트되지 않는 밸브의 수를 나타내는 신호(20)를 수신한다. 밸브 테스트 유량 조절 장치(12)로부터는 테스트되는 밸브에 공급되는 테스트 유량 설정점 신호(22)및 테스트되지 않는 밸브에 공급되는 테스트 보상 유량 요구 신호(24)가 출력된다. 밸브테스트 유량 조절장치(12)는 테스트되는 하나 이상의 밸브에 적절한 보상을 제공함으로써 조속기 밸브 유량 요구 신호(10)에 의해 지시되는 필요로 하는 전체 유량 요구를 유지한다. 통상, 테스트는 주기적으로, 예를 들어 1개월마다 한번씩, 각각의 밸브를 완전히 폐쇄시키는 과정을 수반한다.
단일 밸브 유량 조절 장치(13)와 순차 밸브 유량 조절 장치(14)는 각각 단일 신호 유량 설정점 신호(26)와 순차 유량 설정점 신호(28)를 출력한다. 이들 유량 요구 신호(26,28)중 어느 신호가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32,33,34)에 의해 사용되는 지는 단일 밸브 제어 모드 신호(36)에 의해 결정된다.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32,33,34)는 대응하는 조속기 밸브의 서보 장치(42,43,44,45)에 위치 제어신호(37,38,39,40)를 공급한다. 제1도에는 조속기 밸브 GV1,GV2,GV7및 GV8에 대한 밸브 양정 제어 장치, 설정점 신호, 서보장치 등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조속기 밸브 GV3,GV4,GV5및 GV6에 대해서도 동일 장치 및 신호가 제공되며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점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8개의 조속기 밸브를 갖는 증기 터빈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서보 장치(42,43,44,45)는 대응 조속기(흡입)밸브의 위치를 나타내는 감지 위치 신호(47,48,49,50)를 공급한다. 감지된 위치 신호(47,48,49,50)는 밸브 유량 결정 장치(52,53,54,55)에 공급된다. 밸브 유량 결정 장치(52,53,54,55)는 감지된 위치 신호를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32,33,34)와 밸브 유량 트랙킹 장치(58)에 공급되는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로 변환한다. 밸브 유량 트랙킹 장치(58)는 밸브가 적절하게 작동하는 지를 확인하기 위해 입력 유량 요구 신호(10)와 비교될 수 있는 트랙킹된 유량 요구 신호(60)를 출력한다.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는 수동 작동 모드 신호(62)가 공급될때 수동 제어 모드에서 사용된다.
제2도에는 밸브 모드와 테스트 유량 조절 장치(12,13,14)의 상세한 블럭도가 도시되어 있다. 테스트 램프 신호(16)는 감산기(64)에 공급되고, 밸브 유량 요구 신호(10)는 유량-계수 특성부(66)와 제산기(68)에 공급된다. 제산기(68)에 의해 출력된 제산 신호는 적절한 조절된 신호 유량 요구 신호(26)를 조사(look-up)하기 위해 동조 밸브 특성부(70)에서 사용된다. 밸브 유량 요구 신호(10)를 제산하기 위해 제산기(68)에 의해 사용되는 계수(72)는 유량-계수 특성부(66)를 액세스하기 위해 밸브 유량 요구 신호(10)를 사용함으로써 선택된다. 단일 유량 설정점 신호(26)는 단일 밸브 특성부(70)에 의해 출력되어 감산기(64,74)에 공급된다.
테스트 램프 신호(16)는 감산기(64)에서 단일 유량 설정점 신호(26)로부터 감산되며, 테스트 유량 설정점 신호(22)가 음(negative)의 상태가 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그 감산 결과가 비음(non-negative)출력 장치(76)에 의해 검사된다. 테스트 유량 설정점 신호(22)는 감산기(74)에 의해 신호 유량 설정점 신호(26)로부터 감산되며, 그 출력이 승산기(77)에서 테스트되는 밸브의 수(18)에 의해 승산되고 제산기(78)에서 테스트되지 않는 밸브의 수(20)에 의해 제산되어 테스트 보상 유량 신호(24)를 발생시킨다.
제1도에 도시된 각각의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32,33,34)는 유사한 방법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제3도에는 흡입 밸브 또는 조속기 밸브 GV1에 대한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만이 도시되어 있다. 단일 유량 설정점 신호(26)와 테스트 보상 유량 신호(24)는 가산기(80)에 의해 가산되고, 가산기(80)에 의해 출력된 합 또는 테스트 유량 설정점 신호(22)중의 하나가 테스트 논리 상태 신호(84)의 제어 하에서 선택 수단(82)에 의해 선택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상 유량의 계산이 매우 간단하기 때문에 제3도의 실시예에서의 동조 밸브 작동 모드 혹은 단일 밸브 작동 모드 동안에만 테스트가 가능하다. 그러나, 순차 작동 모드에서 밸브를 테스트하고자 할 경우, 더 복잡한 보상 유량의 계산이 수행되도록 제3도의 구성에 대해 필요한 변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순차 유량 설정점 신호(28)는 순차 조절 유량 신호(90)를 발생하도록 순차 밸브 특성부(88)를 이용하여 변환되기 전에 이득/바이어스 계산 장치(86)에서 이득(G1)만큼 증배되고 바이어스(B1)만큼 감소된다. 속도 제한된 선택 수단(rate-limited selection means)(92)은 순차 조절 유량 설정점 신호(90)와 선택 수단(82)의 출력간을 전환시킨다. 조속기 밸브 GV1이 테스트될 경우, 테스트 유량 설정점 신호(22)가 선택 수단(82)에 의해 출력될 것이다. 일부의 다른 밸브가 테스트된다면, 동조 또는 단일 유량 설정점 신호(26)와 테스트 보상 유량 신호(24)의 조합이 선택 수단(82)에 의해 출력될 것이다. 이하에는 테스트되는 밸브가 전혀 없고, 그에 따라 선택 수단(82)에 의해 단일 유량 설정점 신호(26)가 발생되는 것으로 가정된다.
수동/자동의 속도 제한된 선택 수단(94)은 이후 설명되는 바와 같이 선택 수단(92)에 의해 출력된 조절된 유량 신호(96)와 개개의 밸브 유량을 지시하는 신호를 제공하는 개개의 밸브 트랙킹 유량 신호(98)간을 선택한다. 선택수단(92,94)은 각각 작동 모드 신호(36)와 수동/자동 제어 신호(62)에 의해 제어된다.
선택 수단(92)은 조절된 유량 신호(96)를 발생하도록 예를 들어 매초당 단일 조절된 유량 설정점 신호(26)와 순차 조절된 유량 설정점 신호(90)간의 차분의 1/100씩 변경시키는 것과 같이 100 단계에 걸쳐 한 작동 모드에서 다른 작동 모드로 점차적으로 전환하여 동조 작동 모드와 순차 작동 모드간의 변경을 제어함으로써 속도 제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찬가지로, 수동/자동 선택 수단(94)은 유량 제어 신호(100)을 발생시키기 위해 예를 들어 매초당 신호(96,98)간의 차분의 1/100의 단계로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에 의한 제어에서 조절된 유량 신호(96)에 의한 제어로 점차적으로 전환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량 제어 신호(100)는 유량-양정 특성(102)에 의해 변환되어 GV1 밸브위치 설정점 신호(37)를 발생시킨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의 유량-양정 특성(102)은 비선형적으로 나타나며, 대표적인 관계가 예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구성되는 밸브가 상이한 유량-양정 특성을 갖는 경우에도, 증기 터빈 상의 조속기 밸브는 항상 모든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32,33,34)에 사용하기 위한 단일의 유량-양정 특성(102)을 기억하는데 충분한 아주 유사한 방식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제한은 각각의 밸브 양정 제어 장치(31∼34)에 별도의 동조 밸브 특성(70)과 별도의 순차 밸브 특성(88)을 기억시킴으로써 최소화된다. 이러한 유량 조절 특성(70,88)을 수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특성을 나타내는 곡선의 그래픽적인 조작에 의해 특성을 수정하는 수단(104,105)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된 계산 장치(도시 생략)은 유량조절및 유량-양정 특성(70,88,102)을 기억하기 위한 장치, 제2도와 제3도에서 특성(70,88,102)을 위해 예시된 것과 같은 곡선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장치, 및 디스플레이된 곡선을 수정하고 수정된 곡선이 기억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지시하는 입력 수단을 포함한다. 이로써, 오퍼레이터는 밸브의 작동이 어떻게 변경되어야 하는 지를 계산하지 않고서도 흡입 밸브의 작동을 수정할 수 있게 된다. 곡선 수정 신호(104,105)는 입력 수단(도시 생략)에 의해 발생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위치 제어 신호(37,38,39,40)는 각각 서보 장치(42,43,44,45)중 대응하는 서보 장치에 공급되며, 이들 서보 장치(42,43,44,45)는 위치 제어 신호(37,38,39,40)에 따라 밸브를 위치 설정한다. 각각의 이들 서보 장치(42,43,44,45)는 밸브의 실제 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를 구비한다. 서보 장치(42,43,44,45)내의 감지기는 제1도에 도시된 감지된 위치 신호(47,48,49,50)를 발생시킨다. 이들중의 2개의 신호(47,50)가 밸브 유량 결정 장치(52,53,54,55)의 상세 블록도를 도시하고 있는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된 밸브 유량 결정 장치(52,55)는 감지된 위치 신호(47,50)를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110)로 변환하는 양정-유량 변환 특성부(107,108)를 포함한다. 다른 흡입 밸브에 대한 양정-유량 특성에 의해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에 대해 유사한 변환이 실행된다.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110,112등)는 가산기(114)에 의해 가산되어 언쵸크된 유량을 나타내는 합(116)을 발생한다. 쵸크비가 결정되며, 언쵸크/쵸크 유량 특성부(118)는 트랙킹된 유량 요구 신호(60)를 발생시키기 위해 신호(116)를 수정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트랙킹된 유량 요구 신호(60)는 요청된 유량 요구 신호(10)와 비교된다. 또한, 트랙킹된 유량 요구 신호(60)에 의해 표현되는 트랙킹된 유량 요구는 흡입 밸브가 적절하게 작동하고 있다는 확인을 제공하도록 오퍼레이터에게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시의 간략화를 위해, 제3도에는 하나의 순차 밸브 특성부(88)만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순차 작동 모드에서 사용될 수 있는 최소한 두개의 시퀀스(sequence)가 있다. 제5도에는 제2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요소가 도시되어 있다. 정상 시퀀스용 순차 밸브 특성부는 참조 부호 88로 도시되어 있다. 대체 시퀀스 순차 밸브 특성부(88')와 순차 조정 특성부(88'')는 또한 제2실시예에 제공된다. 시퀀스에서의 차이 때문에, 대체 이득 및 바이어스가 이득/바이어스 계산 장치(86')에 사용된다.
여러 순차 밸브 특성(88,88',88'')간의 차이가 제6a도, 제6b도 및 제6c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를 제어하기 위해 조정 특성(88'')이 사용된다. 밸브 유량 요구 신호(10)가 증가할 경우, 먼저 제1그룹의 밸브가 개방된 다음, 제2,제3 및 제5그룹의 밸브가 차례대로 개방된다. 각각의 그룹은 다음 그룹이 개방되기 전에 완전히 개방되고, 이로써 조절 동안 중첩이 발생되지 않는다. 통상적으로, 제1그룹에는 4개의 밸브가 존재하고, 제2, 제3그룹에는 각각 하나의 밸브가 존재하며, 제5그룹에는 2개의 밸브가 존재한다. 정상 시퀀스에서, 그룹은 동일 순서로 작동되지만, 다소의 중첩이 존재하며, 밸브의 개방은 참조 부호 88에 해당하는 그래프로 나타난 바와 같이 수정되어 요청되기 전에 개방을 시작하고 밸브 유량 요구 신호(10)가 증가한 후 다음 그룹의 밸브가 정상적으로 개방을 시작하는 지점을 경과할때까지 완전히 개방되기 직전에 잠시 정지한다. 이러한 중첩은 제6B도의 곡선에 의해 도시되어 있다.
제6c도의 대체 시퀀스에서, 밸브의 순서가 수정된다. 예컨대, 제1 및 제2그룹은 동일하게 유지되고, 참조 번호 4로 표시된 다음 그룹은 2개의 밸브를 포함하며, 참조 번호6으로 표시된 최종 그룹은 단하나의 밸브를 포함한다. 이러한 대체 시퀀스는 증기 터빈이 거의 전체 용량에서 작동되어 오직 하나의 밸브가 터빈의 작동을 제어할 때에 사용되며,이로써 드로틀 손실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 시스템은 증기 터빈이 작동하는 동안 정상 시퀀스와 대체 시퀀스를 전환시킬 수 있다. 선택 수단(120)은 이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대체 시퀀스 모드 신호(122)에 응답한다. 선택 수단(124)은 순차 조정 모드 신호(126)에 응답하여 정상적인 순차 밸브 특성(88)또는 조정 순차 밸브 특성(88'')을 선택한다. 이러한 선택 수단(120,124)은 속도 제한된 스위치이다.
본 발명이 독립 부품으로 구성된 것처럼 예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Intel 8086과 같은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적절하게 프로그래밍함으로써 실시되어 메모리 및 입력/출력 장치와 연동하여 전술된 기능들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많은 특징과 장점들을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히 알 수 있으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대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의 구성과 작동은 개시및 예시된 것으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많은 변경이 가능하며, 이들은 모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에 포함된다.

Claims (11)

  1. 전체 전력 요구 신호(10)에 응답하여 총 발전량을 변화시키도록 입력량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흡입 밸브가 사용되고, 흡입 밸브 제어가 (i)모든 밸브가 동일한 속도로 개방되는 동조 작동 모드와, (ii)제1그룹의 밸브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제2그룹의 밸브는 부분 개방되도록 제어되는 순차 작동 모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될 수 있는 발전 설비에서의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동조 작동 모드 및 순차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별도의 조절 특선의 세트를 기억하는 수단(31∼34)과;상기 동조 작동 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 중에서 밸브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92)과;상기 기억 수단에 기억된 조절 특성, 상기 선택 수단(92)에 의해 선택된 밸브 작동 모드, 및 상기 전체 전력 요구 신호에 따라서 각각의 흡입 밸브를 위치 설정하는 수단(42∼45)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 설비는 증기의 형태로 에너지가 공급되는 증기 터빈이며; 상기 동조 작동 모드 및 순차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상기 조절 특성을 독립적으로 수정하는 수단(104,105)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수단(42,43,44,45)은 흡입 밸브의 위치를 지시하는 감지된 위치 신호(47,48,49,50)를 발생하며; 상기 감지된 위치 신호를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로 변환하고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를 합산하여 합(116)을 산출하고 이 합을 쵸크비(118)와 승산하여 트랙킹된 유량 요구 신호(60)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흡입 밸브를 통해 흐르는 증기 유량을 트랙킹하는 수단(58)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92)은 상기 발전 설비가 작동하는 동안 상기 순차 작동 모드에서 정상 시퀀스와 대체 시퀀스중 한 시퀀스를 선택하는 수단(1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31∼34)은 상기 동조 작동 모드와 상기 순차 작동 모드에서의 정상 시퀀스 및 대체 시퀀스의 각각에 대응하는 상이한 변환 특성(88,88')을 기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수단(92)은 상기 흡입 밸브의 위치를 점차적으로 변경하도록 상기 위치 설정 수단(42,43,44,45)을 제어함으로써 상기 동조 작동 모드와 순차 작동 모드를 점차적으로 전환시키는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용 제어 시스템.
  7. 생산되는 총 전력량을 제어하도록 입력량을 제어하기 위해 복수의 흡입 밸브가 사용되며, 흡입 밸브 제어가 전체 전력 요구 신호(10)에 응답하여 실행되고,(i)모든 밸브가 동일한 속도로 개방되는 동조 작동 모드와, (ii)제1그룹의 밸브는 개방 상태로 유지되고 제2그룹의 밸브는 부분 개방되는 순차 작동 모드에 의해 선택적으로 실행되는 발전 설비에서의 복수의 흡입 밸브를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동조 작동 모드 및 순차 작동 모드에 대응하는 별도의 조절 특성(70,88)의 세트를 제공하는 단계와;상기 동조 작동 모드및 순차 작동 모드중에서 밸브 작동 모드를 선택하는 단계와;상기 별도의 조절 특성 세트 제공 단계에서 제공되는 조절 특성의 세트,상기 밸브 작동 모드 선택 단계에서 선택되는 밸브 작동 모드, 및 상기 전체 전력 요구 신호(10)에 따라서 각각의 흡입 밸브를 위치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순차 작동 모드는 정상 시퀀스(88)와 대체 시퀀스(88')를 포함하며;상기 선택 단계는 상기 발전 설비가 작동하는 동안 순차 작동 모드에서 정상 시퀀스 및 대체 시퀀스중의 한 시퀀스를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 제어 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단계에서의 흡입 밸브의 위치 설정치를 밸브를 통과하는 유량의 지시로 변환함으로써 유량 요구를 트랙킹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 제어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설정 단계는, 상기 별도의 조절 특성 세트 제공 단계에서 제공되는 조절 특성, 상기 선택 단계에서 선택되는 밸브 작동 모드, 및 상기 전체 전력 요구 신호(10)에 따라서 흡입 밸브의 요구된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상기 요구된 위치 결정 단계의 결정에 따라 상기 흡입 밸브를 소정의 위치에 위치 설정하기 위한 위치 제어 신호(37,38,39,40)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 제어 신호에 따라 상기 흡입 밸브의 위치를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며;상기 트랙킹 단계는, 감지된 위치 신호(47,48,49,50)를 발생하기 위해 각각의 흡입 밸브의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감지된 위치 신호의 각각을 대응하는 양정-유량 특성(107,108)에 따라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를 가산하여 쵸크비(118)와 승산함으로써 밸브를 통과하는 유량의 지시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오포레이터가 상기 감지된 위치 신호(47,48,49,50)를 조절하는 수동 모드의 작동시에 상기 변환 단계에 의해 발생된 개개의 밸브 유량 신호(98)를 위치 제어 신호(37,38,39,40)로 변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 밸브 제어 방법.
KR1019890001205A 1988-02-05 1989-02-02 증기 터빈 밸브 제어 시스템 KR0179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3,301 1988-02-05
US07/153,301 US4811565A (en) 1988-02-05 1988-02-05 Steam turbine valve management syste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3313A KR890013313A (ko) 1989-09-22
KR0179348B1 true KR0179348B1 (ko) 1999-03-20

Family

ID=225466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1205A KR0179348B1 (ko) 1988-02-05 1989-02-02 증기 터빈 밸브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4811565A (ko)
JP (1) JP2935500B2 (ko)
KR (1) KR0179348B1 (ko)
CN (1) CN1021746C (ko)
CA (1) CA1303367C (ko)
ES (1) ES2012261A6 (ko)
IT (1) IT12326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66940A (en) * 1988-07-25 1989-09-19 Westinghouse Electric Corp. Computer aided tuning of turbine controls
US4903490A (en) * 1988-10-14 1990-02-27 Westinghouse Electric Corp. Cam-driven valve system for steam turbines
US5046318A (en) * 1990-03-05 1991-09-10 Westinghouse Electric Corp. Turbine power plant automatic control system
US5621654A (en) * 1994-04-15 1997-04-15 Long Island Lighting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economic dispatching of electrical power
JP4913079B2 (ja) * 2008-02-14 2012-04-11 株式会社東芝 タービン制御弁制御装置
US8925319B2 (en) * 2012-08-17 2015-01-06 General Electric Company Steam flow control system
CN103046972B (zh) * 2012-12-13 2014-12-10 哈尔滨工业大学 汽轮机单阀或多阀的一种非线性自动无扰切换方法
US9158307B2 (en) * 2013-05-20 2015-10-13 General Electric Company System and method for feed-forward valve test compensation
CN103670536B (zh) * 2013-05-30 2015-04-15 甘肃大唐国际连城发电有限责任公司 一种火力发电厂汽轮机调门流量的调节方法
CN104501879B (zh) * 2014-11-26 2017-10-24 国家电网公司 一种汽轮机主汽阀流量测定方法
CN104849055B (zh) * 2015-05-21 2017-06-2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汽轮机高调门进汽顺序测试试验的优化方法
CN105134311B (zh) * 2015-08-17 2016-08-31 西安西热节能技术有限公司 一种超/超超临界喷嘴配汽汽轮机运行阀位确定方法
CN110318824B (zh) * 2019-07-05 2021-09-24 山东中实易通集团有限公司 一种涉及汽轮机阀门管理的背压修正函数整定方法及系统
CN112944007B (zh) * 2019-12-11 2023-09-01 浙江三花智能控制股份有限公司 控制方法、控制系统及电动阀
CN112901288B (zh) * 2021-02-05 2023-02-28 神华神东电力有限责任公司 汽轮机调节阀的切换方法及控制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097488A (en) * 1961-11-03 1963-07-16 Gen Electric Turbine control system
US3097489A (en) * 1962-11-02 1963-07-16 Speed
JPS5621884A (en) * 1979-07-31 1981-02-28 Toshiba Corp Ink ribbon device for printer
US4320625A (en) * 1980-04-30 1982-03-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stress controlled loading of steam turbin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32621B (it) 1992-02-28
KR890013313A (ko) 1989-09-22
CN1035704A (zh) 1989-09-20
CA1303367C (en) 1992-06-16
IT8941515A0 (it) 1989-02-02
CN1021746C (zh) 1993-08-04
JP2935500B2 (ja) 1999-08-16
JPH01240703A (ja) 1989-09-26
ES2012261A6 (es) 1990-03-01
US4811565A (en) 1989-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9348B1 (ko) 증기 터빈 밸브 제어 시스템
US4437313A (en) HRSG Damper control
US4120159A (en) Steam turbine control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ratio of steam flow between under full-arc admission mode and under partial-arc admission mode
KR0149864B1 (ko) 터빈 제어기의 컴퓨터 보조운전방법
GB207475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rmal stress controlled loading of steam turbines
US4912732A (en) Automatic steam generator control at low power
KR840000920B1 (ko) 유동 또는 일정 압력보일러용 터빈 제어시스템
US4178762A (en) Efficient valve position controller for use in a steam turbine power plant
US4007595A (en) Dual turbine power plant and a reheat steam bypass flow control system for use therein
US4088875A (en) Optimum sequential valve position indication system for turbine power plant
US417738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ed-temperature valve mode transfers in a steam turbine
US4418285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turbine power plant in the single and sequential valve modes with valve dynamic function generation
US4178763A (en) System for minimizing valve throttling losses in a steam turbine power plant
EP0004415B1 (en) System for minimizing valve throttling losses in a steam turbine power plant
US4270055A (en) System and method for transferring the operation of a turbine-power plant between single and sequential modes of turbine valve operation
JPH0222203B2 (ko)
US4512185A (en) Steam turbine valve test system
US4213304A (en) Boiler control system
JP2825235B2 (ja) 蒸気加減弁制御装置
GB1429324A (en) Method employing valve management for operating a steam turbine
JPH0849505A (ja) 蒸気弁試験装置
US3939660A (en) Acceleration control arrangement for turbine system, especially for HTGR power plant
JPS61106903A (ja) 調速方式切換装置
JPH0486359A (ja) コージェネレーションプラントの出力制御装置
JPH04113157A (ja) ガス給湯器の能力多段切替における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7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