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827B1 -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827B1
KR0178827B1 KR1019940022636A KR19940022636A KR0178827B1 KR 0178827 B1 KR0178827 B1 KR 0178827B1 KR 1019940022636 A KR1019940022636 A KR 1019940022636A KR 19940022636 A KR19940022636 A KR 19940022636A KR 0178827 B1 KR0178827 B1 KR 0178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pick
drying
toothpicks
sweet potato
co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2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호정
윤정유
Original Assignee
성호정
윤정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호정, 윤정유 filed Critical 성호정
Priority to KR1019940022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827B1/ko
Priority to AU34858/95A priority patent/AU3485895A/en
Priority to PCT/KR1995/000116 priority patent/WO1996007367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8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5/00Devices for cleaning between the teeth
    • A61C15/02Toothpick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oodles (AREA)
  • Fodder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맥분과 고구마전분, 정제염을 사용하여서 된 면이쑤시개에 관한 것으로 소맥분 47%와 고구마전분 30%, 소맥전분 20%, 정제염 3%를 물과 함께 혼합반죽하고 소면기에서 숙면후 0.7∼1.2m/m의 원통형의 면대를 성형하여 건조대에서 건조 가능하게 절단하여 암실에서 1차건조한 뒤 2차냉동건조하여 냉동상태로 붙은 것을 분리작업 후 건조시킨 것을 3㎝∼5㎝의 크기로 절단하여주고 끝이 뾰족한 면이쑤시개형태로 가공하고 포장하여 일정기간(1년) 동안 보관이 가능하게 된 식사이후 잇새에 낀 음식물찌꺼기를 제거할 후 있도록 한 면이쑤시개로서, 종래 수입에 의존된 나무이쑤시개의 외화 지출을 절감할 수 있으며, 음식물찌꺼기에 들어간 나무이쑤시개로 가축사료용으로는 사용할 수 없었던 애로사항을 제거함으로써 버려진 음식물 찌꺼기를 사용함으로서 환경을 보호할 수 있으며 곡식으로 버려진 음식물찌꺼기를 사용함으로써 곡식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쑤시개로 사용 후 과자처럼 먹을 수도 있으며 잇몸을 보호하여 주기 때문에 곡식으로 된 건강 신면이쑤시개인 것이다.

Description

농산물을 이용한 면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 면이쑤시개의 일실시 제조공정도.
제2도는 본 발명 면이쑤시개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면이쑤시개 1 : 배합기
2 : 숙면기 4 : 1차암실건조기
5 : 2차냉동건조실 6 : 절단기
본 발명은 농산물의 전분을 이용한 면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농산물의 소맥분, 소맥전분과 산악지대에서 대량으로 생산되는 고구마를 재료로 하여 가공한 고구마전분을 주원료로 하여 면이쑤시개를 제공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밭에서 생산된 고구마를 가공한 고구마전분과 소맥분, 소맥전분을 배합기에서 60∼70℃정도의 물로 혼합하여 반죽한 것을 숙면기에서 130∼140℃ 정도의 온도를 유지하며 최대한 압력을 높인 상태에서 면 대하하고 이를 건조시킨 다음 이쑤시개에 필요한 적당한 약 30∼50m/m로 절단하여 끝단을 뾰쪽한 이쑤시개상태로 가공함으로써 식사 후에 잇몸 사이의 음식찌꺼기를 제거하는 이쑤시개로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사용 후에는 음식찌꺼기와 함께 가축사료로 제공하였을 때 음식찌꺼기와의 혼합이 쉽게 이루어져 음식찌꺼기를 가축 사료로 사용할 때 섭취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버려지는 음식찌꺼기를 전량 가축사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함에 목적을 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수확한 고구마를 분말화한 고구마가루(전분) 약 30%를 60∼70℃ 온도의 물로 혼합 반죽하고 소맥분 약 47%, 소맥전분 약 20%에 약간의 정제염을 넣고 배합기에서 혼합 반죽한 것을 숙면기에서 적당한 굵기로 뽑아 건조대에서 수분을 건조한 다음 1차로 암실 건조하고 2차로 냉동 건조하여 이쑤시개에 필요한 길이로 절단하고 끝단을 뾰족하게 가공한 다음 포장하여 줌으로써 바람직한 면이쑤시개를 제조 공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현재까지 일반적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모든 이쑤시개는 대부분이 나무를 이용한 것이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그 이외에도 약간의 제품은 합성수지를 주원료로 하여 사출된 이쑤시개가 대체적으로 이용되어지고 있음을 널리 알려지고 있는 현실이나 나무를 원자재로 하여 가공한 이쑤시개나 합성수지를 원료로 사출성형한 이쑤시개는 모두 음식물과는 서로 다른 성분으로 된 물질이므로 오랜 시간이 지나도 음식찌꺼기와 혼합되지 않는 관계로 그 형체를 유지하고 있어 이와 같은 이쑤시개가 포함되어 있는 음식찌꺼기를 잘못하여 그대로 가축에게 사료로 제공하게 되면 이쑤시개의 뾰족한 부분이 가축의 입 또는 목구멍에 치명적인 상처를 주어 가축이 음식물의 섭취를 거부하게 되는 원인의 제공으로 인하여 가축의 성장속도가 떨어지고 필요시기에 양질의 좋은 고기를 대량으로 제공할 수 없어 축산농가에는 경제적인 부담을 주게 된다.
그리고 나무로 만들어지는 이쑤시개의 경우에는 오랜 기간이 지나면 나무로 된 이쑤시개가 퇴비화하여 자연생태계에는 별지장을 초래한다고 볼 수는 없으나 현재 이쑤시개로 사용되는 나무는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나무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라 전량 수입나무를 사용하여 제작되어지고 있는 실정이어서 외화의 낭비가 매우 많으며 수입나무에 기생하는 해충들이 자동적으로 국내에 들어와 병충해에 매우 약한 우리나라의 고유 나무들이 산에서 병들게 하는 주원인의 역할을 하고 있는 실정이었다.
합성수지를 사출성형하여 만들어지는 이쑤시개는 그 재질의 특성한 제품의 형태를 자유롭게 하고 색상과 모양들을 다양하게 하여 수요자의 기호에는 적합할지 모르나 일단 쓰고 버린 합성수지 이쑤시개는 한 세대가 지나가더라도 썩지 않아 이를 버렸을 경우에는 자연을 훼손하는 등의 문제점을 많이 내포하고 있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나무나 합성수지를 원자재로 하여 만들어지는 이쑤시개는 사람이 사용한 후에 이를 음식그릇에 그대로 버려진 상태에서 생성되는 음식물찌꺼기를 가축사료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어 음식점 또는 가정에서 음식물찌꺼기를 쓰레기와 함께 버리거나 하수구로 배출시킬 경우 산과 물을 더럽게 하는 공해물질이 대량으로 방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는 없는 상태였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모든 문제점을 해결하고 버려지는 음식찌꺼기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생산되는 면이쑤시개를 음식물에 함께 버렸을 때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면으로 된 이쑤시개가 음식물찌꺼기에 함께 풀려서 가축의 사료로 전량 회수 처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농산물의 증산효과와 음식물찌꺼기로 인한 공해방지 목적에도 도움을 줄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이쑤시개를 생산하는 제조공정을 제조과정별로 나누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공정]
우리나라의 산악지대에서 대량으로 재배되는 밭작물인 고구마를 흐르는 물로 깨끗하게 수세하고 가루로 분말화 시킨 고구마전분 약 30%를 60∼70℃ 정도의 물로 혼합 반죽하고 순수소맥분 약 47% 및 소맥전분 약 20% 정도를 함께 혼합하여 배합기(1)에서 고르게 배합할 때 약 3% 정도의 정제염을 함께 첨가하고 고르게 혼합 반죽하여 면으로 뽑을 수 있는 배합물을 얻게 하는 공정.
[제2공정]
제1공정을 거쳐 얻어진 고구마전분, 소맥분, 소맥전분에 정제염이 혼합된 배합물을 숙면기(2)에 넣고 약 130∼140℃의 온도를 유지하며, 최대한 압력을 높혀준 상태에서 이쑤시개의 굵기에 적당한 직경 약 0.7∼1.5m/m의 원통형 굵기로 압출하여 건조대에 걸 수 있도록 긴 길이로 절단하여 건조대(3)에서 통풍 또는 열풍이나 자연건조를 이용한 건조방식을 거쳐 햇빛이 차단된 암실에서 1차건조실(4)에서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여 준 것을 냉동건조실(5)로 옮겨 재차 약 24시간 정도 건조하여 준다.
[제3공정]
제2공정을 거쳐 냉동되어진 면대를 냉동건조실에서 인출하여 상호 분리하는 분리작업으로 면대를 각각 분리시킨 것을 일반상온에서 일반건조시킨 다음 이쑤시개에 필요한 약 3∼5㎝ 길이로 면대를 절단기(6)에서 절단하고 끝단을 뾰족한 이쑤시개 형태로 가공하는 가공공정(7)을 거쳐 각각의 면이쑤시개(A)를 포장하여 이를 일정숫자를 완제품처리하여서 되는 것이다.
상기한 제조공정을 거쳐서 생산되어진 면이쑤시개(A)는 그 원재료가 고구마전분, 소맥분, 소맥전분에 약간의 정제염을 첨가 혼합 교반하여서 된 면대를 이용하여 만들어진 면이쑤시개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원재료의 성분과 그 배합배율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이쑤시개는 그 원재료를 식용이 가능한 농산물의 전분을 주원료로 하여 제조되었기 때문에 사용 후 음식물찌꺼기에 함께 버려도 일정시간 동안 음식물과 함께 섞여 있으며 단단한 면대형의 면이쑤시개도 다른 국수와 같이 부드러워지며 섭취가 용이하여 음식물찌꺼기와 함께 가축사료로도 사용이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면이쑤시개는 획기적인 발명이라 할 것으로 원재료를 식용의 농산물로 가공하였으므로 음식점에서 생성되는 음식물찌꺼기에 섞여있는 면이쑤시개를 그대로 있게 한 상태에서 가축사료로 제공하여도 가축에 피해를 주지 않고 음식물찌꺼기에 농산물 중 소맥분이나 고구마전분이 함유된 찌꺼기를 공급함으로 가축의 영양에도 일익을 담당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식물찌꺼기를 쓰레기로 버리지 않고 가축사료로 활용함으로써 지구촌에서 모자라는 식량난을 해결하는데 일익을 담당하고 음식물찌꺼기로 인한 쓰레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한 것이다.

Claims (2)

  1. 면대 가공이 용이한 농산물로서 고구마전분 약 30%를 60∼70℃ 정도의 물로 혼합 반죽한 것에, 소맥분 약 47%, 소맥전분 약 20%에 정제염 약 3%를 혼합 반죽한 배합물을 약 130∼140℃의 온도를 유지하며, 압력을 최대로 높인 상태에서 면대로 형성하고 냉동건조 후 공지의 이쑤시개 가공방법으로 뾰족하게 가공하여서 된 면이쑤시개.
  2. 고구마전분, 소맥분, 소맥전분과 정제염을 60∼70℃ 물로 반죽한 제1공정의 배합물을 숙면기에서 약 130∼140℃ 온도와 높은 압력에서 약 0.7∼1.5m/m 굵기의 원통형으로 성형하고 공지의 일반건조방식의 건조대를 거쳐 1차암실건조와 2차냉동건조를 순차적으로 각각 24시간 정도씩 건조 후 분리작업을 하고 일반건조하고 공지의 이쑤시개장치에서 3∼5㎝ 길이로 절단시켜 끝단을 뾰족하게 가공 후 포장하여서 된 농산물을 이용한 면이쑤시개의 제조방법.
KR1019940022636A 1994-09-08 1994-09-08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KR0178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36A KR0178827B1 (ko) 1994-09-08 1994-09-08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AU34858/95A AU3485895A (en) 1994-09-08 1995-09-11 Toothpick of noodle type us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PCT/KR1995/000116 WO1996007367A1 (en) 1994-09-08 1995-09-11 Toothpick of noodle type using agricultural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2636A KR0178827B1 (ko) 1994-09-08 1994-09-08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8827B1 true KR0178827B1 (ko) 1999-04-01

Family

ID=193923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2636A KR0178827B1 (ko) 1994-09-08 1994-09-08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0178827B1 (ko)
AU (1) AU3485895A (ko)
WO (1) WO199600736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8996A (zh) * 2013-10-24 2014-02-19 岳阳立诚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的淀粉牙签及其制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89198A5 (de) * 1995-08-30 1998-12-15 Hanspeter Baldauf Zahnstocher.
ITCB20130001A1 (it) * 2013-01-22 2014-07-23 Roberto Barrea Bastoncini naturali per la pulizia interdental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842A (en) * 1910-02-07 1910-10-25 Albert H Baird Composition toothpick.
CH196070A (de) * 1936-03-05 1938-02-28 Arthur Dr Med Haeberlin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ntiseptischen Gerätes zum Reinigen von Zähn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588996A (zh) * 2013-10-24 2014-02-19 岳阳立诚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的淀粉牙签及其制作方法
CN103588996B (zh) * 2013-10-24 2016-05-04 岳阳立诚食品科技有限公司 一种可降解的淀粉牙签及其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3485895A (en) 1996-03-27
WO1996007367A1 (en) 1996-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489417B (zh) 合并了可食树脂和生皮的动物咀嚼物
CN103445035B (zh) 一种番鸭配方颗粒饲料制作方法
CN103997905A (zh) 泡叶藻动物咀嚼物
CN103392943B (zh) 一种松鼠配方饲料制作方法
CN102726604B (zh) 一种火鸡配方颗粒饲料的制作方法
CN106962623A (zh) 一种育肥牛饲料及其配制方法
CN105028965A (zh) 一种田螺配方饲料
KR0178827B1 (ko) 농산물을 이용한 면 이쑤시개 및 그 제조방법
CN105028964A (zh) 一种刺猬专用配方饲料的生产方法
CN105146110A (zh) 一种琴鱼配方饲料及其生产方法
CN105166496A (zh) 一种低成本环保型青鳞鱼配合饲料及其制作方法
CN102763788B (zh) 一种肉狗配方疙瘩饲料制作方法
CN104256210A (zh) 一种田螺专用饲料
JPS62210935A (ja) ゴカイ等に類似の構造を有する釣餌製造方法
KR890003737B1 (ko) 송엽분말을 함유시킨 영양당면의 제조방법
KR102258211B1 (ko) 뽕잎을 포함한 먹이를 이용한 수산물 양식방법
CN106036097A (zh) 一种用于乳猪饲料的植物糖及其制备方法
KR200226507Y1 (ko) 치아 씹으면서 딱세
KR970004202B1 (ko) 전분을 이용한 이쑤시개의 제조방법
KR20010025606A (ko) 치아 씹으면서 간단히 딱는 재료
Ngọc et al. Feeds and feeding regime for cattle
KR100244563B1 (ko) 가축사료의 제조방법
KR101554844B1 (ko) 콩 쥐치포 및 그 생산 방법
CN112544823A (zh) 一种诱食水产饲料及其生产工艺
KR20020066892A (ko) 전복양식용 배합사료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