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720B1 -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720B1
KR0178720B1 KR1019940016617A KR19940016617A KR0178720B1 KR 0178720 B1 KR0178720 B1 KR 0178720B1 KR 1019940016617 A KR1019940016617 A KR 1019940016617A KR 19940016617 A KR19940016617 A KR 19940016617A KR 0178720 B1 KR0178720 B1 KR 01787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mory
control
control signal
signal
system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6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광석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6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7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720B1/ko

Links

Landscapes

  • Multi Process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로 다른 동기를 가진 두 시스템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때, 두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으로 메모리를 제어하려고 한다. 그러나, 두 비동기 시스템간에 유선순위가 있다고 가정하면, 종래에는 하위 우선순위를 가진 시스템이 공유메모리로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동안일지라도 상위우선순위의 시스템의 제어신호가 발생하면 하위우선순위의 시스템은 동작을 멈추고, 상위우선순위의 시스템이 제어신호를 발생한다. 그러므로, 두 비동기 시스템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경우에 제어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시스템 중 어느 한 시스템이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공유메모리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다른 하나의 시스템은 그 동안 제어신호의 시작을 하지 못하게 하여 두 시스템간 서로 다른 제어신호의 충돌을 막아 데이타의 손실등을 방지하는데에 있다.

Description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시스템간의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신호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3 : 시스템 15 : 멀티플렉서
17 : 메모리
본 발명은 비동기 시스템간에 공유하여 사용하는 메모리제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비동기시스템간의 메모리 공유시 발생될 수 있는 제어의 충돌을 막기 위한 공유메모리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동기시스템들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용하여 사용하는 경우, 비동기시스템들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메모리를 제어하려 한다. 여기서, 두 비동기 시스템간에 우선순위가 있다고 가정하겠다. 하위우선순위를 가진 시스템이 공유메모리를 사용하는 동안에 상위우선순위의 시스템으로부터 메모리 사용을 위한 제어신호가 발생한다면, 하위우선순위의 시스템은 메모리 제어동작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위우선순위의 시스템이 발생하는 제어신호가 공유메모리로 인가된다. 이와같이, 두 개의 비동기 시스템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경우에 제어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즉, 두 시스템이 공유메모리를 동시에 제어하여 사용하려고 할 때, 하위우선순위의 시스템의 제어가 취소되거나 메모리제어의 오류가 발생되어 데이타의 손실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 비동기 시스템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경우, 두 시스템 중 어느 한 시스템이 공유메모리를 제어하고 있는 동안에는 다른 하나의 시스템에서는 공유메모리의 제어를 하지 못하도록 하여 두 시스템간 서로 다른 제어신호의 충돌을 막아 데이타의 손실등을 방지할 수 있는 공유메모리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두 개의 비동기 시스템간에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뿐만 아니라, 이 제어신호의 출력중임을 알리는 제1동작상태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상위의 우선순위를 갖는 제1시스템,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동작상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동작상태신호가 해소될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동작상태신호가 인가되면, 진행중인 상기 메모리 제어동작을 위한 제어신호의 일정 제어주기동안의 출력을 완료한 후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동작상태 신호가 해소될때까지 대기하는 제2시스템 및 우선순위가 상위에 있는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상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시스템 또는 상기 제2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로 전달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공유메모리 제어장치에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동기시스템간의 공유메모리 제어장치에 대한 블록도이며, 제2도는 제1도 장치의 동작에 따른 신호파형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시스템(11)이 제2시스템(13)보다 우선순위가 상위에 있다고 하겠다. 우선순위가 높은 제1시스템(11)은 제어신호(S1) 뿐만 아니라, 자신의 동작상태를 알리는 동작상태신호들(S1, S2)을 동시에 출력한다. 동작상태신호들(S1, S2)은 하이/로우로 출력되며, 하이상태이면 동작중이고, 로우상태이면 동작정지상태로 한다. 여기서, 제1동작상태신호(S1)는 제2시스템(13)으로 인가되어 제2시스템(13)의 동작여부를 판단하는 기준이 되며, 제2동작상태신호(S2)는 MUX(15)의 선택동작을 제어하도록 한다. 따라서, 우선순위가 낮은 제2시스템(13)은 제1시스템(11)으로부터 인가되는 제1동작상태신호S(2)에 따라 제어신호(P2)의 출력을 제어한다. MUX(15)는 우선순위가 높은 제1시스템(11)으로부터 인가되는 제2동작상태신호(S2)에 응답하여 제1시스템(11) 또는 제2시스템(13)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들(P1,P2)중 하나를 선택하여 메모리(17)로 전달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유메모리 제어장치의 동작을 제2도를 참조하여 좀더 자세히 설명하겠다.
제1시스템(11)은 메모리(17)의 제어를 시작하겠다는 것을 알리는 하이상태의 제1동작상태신호(S1)를 제2시스템(13)으로 인가한다. 아울러, 제1시스템(11)은 MUX(15)로 하이상태의 제2동작상태신호(S2)를 인가한다. 여기서, 제2시스템(13)으로 인가되는 제1동작상태신호(S1)의 한 주기시간폭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시스템(11)의 제어신호주기의 최대치시간폭(B)에 제2시스템(13)의 제어신호주기의 최대치시간폭(A)을 더한 만큼의 간격이다.
제2시스템(13)은 멀티플렉서(15)로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있지 않는 동안, 제1시스템(11)으로부터 하이상태(H)의 제1동작상태신호(S1)를 인가받으면, 그 동안은 제어신호의 발생을 시작하지 못한다. 제1시스템(11)이 제1제어신호(P1)의 출력을 끝마쳐 제1동작상태신호(S1)가 L상태가 되면 제2동작상태신호(S2)도 같이 L이 되므로 제2시스템(13)은 그때부터 제2제어신호(P2)의 발생을 시작할 수 있다.
그러나, 제2시스템(13)이 이미 멀티플렉서(15)로 제2제어신호(P2)를 발생하고 있을 경우에, 제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동작상태신호(S1)를 인가받아도 현재 수행하고 있는 제2제어신호(P2)의 출력은 중단되지 않고, 현재 진행중인 제어주기가 끝날때가지 출력이 계속된다. 현재 제1동작상태신호(S1)가 H상태이므로, 제2시스템(13)은 새로운 주기의 제어신호의 발생을 하지 못한다. 만약, 제1동작상태신호(S1)가 H상태에서 제2시스템(13)이 제2제어신호를 발생하면 제2(b)도의 빗금친 부분에 나타난 바와같이 제1제어신호(P1)와 제2제어신호(P2)가 겹처 신호의 충돌을 발생할 수가 있으므로, 제2시스템(13)은 제2제어신호(P2)를 발생하지 않고 잠시 중단을 한다. 그 다음 제1시스템(11)이 제1제어신호(P1)의 발생을 마치게 되면 제2동작상태신호(S2)도 같이 L가 되어 멀티플렉서(15)는 제2시스템(13)의 제2제어신호(P2)을 인가받을 준비를 한다. 제2시스템(13)은 좀전에 잠시 중단한 제어신호(P2)의 그 다으 제어주기부터 제어신호의 발생을 시작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동기가 다른 두 시스템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때, 두 비동기 시스템이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할 경우에 제어의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 시스템 중 어느 한 시스템이 멀티플렉서를 통하여 공유메모리로 제어신호를 출력할 때, 다른 하나의 시스템은 그 동안 제어신호의 실행시작을 하지 못하게 하여 두 시스템간 서로 다른 제어신호이 충돌을 막아 데이타의 손실 등을 방지하는데 있다.

Claims (3)

  1. 두 개의 비동기 시스템간에 하나의 메모리를 공유하여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제어신호 뿐만 아니라, 이 제어신호의 출력중임을 알리는 제1동작상태신호를 동시에 출력하는 상위의 우선순위를 갖는 제1시스템;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지 않는 동안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동작상태신호가 인가되면,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동작상태신호가 해소될때까지 대기하고,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는 동안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상기 제1동작상태신호가 인가되면, 진행중인 상기 메모리 제어동작을 위한 제어신호의 일정 제어주기동안의 출력을 완료한 후 상기 제1시스템의 제1동작상태 신호가 해소될때까지 대기하는 제2시스템; 및 우선순위가 상위에 있는 상기 제1시스템으로부터 인가되는 동작상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1시스템 또는 상기 제2시스템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들중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메모리로 전달하는 선택부를 포함하는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스템은 상기 제2시스템의 제어신호가 한 주기의 최대폭만큼 시간이 경과한 후부터 메모리제어신호를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시스템은 상기 선택부의 선택을 결정하는 제2동작상태신호를 더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KR1019940016617A 1994-07-11 1994-07-11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KR0178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617A KR0178720B1 (ko) 1994-07-11 1994-07-11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6617A KR0178720B1 (ko) 1994-07-11 1994-07-11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8720B1 true KR0178720B1 (ko) 1999-05-15

Family

ID=19387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6617A KR0178720B1 (ko) 1994-07-11 1994-07-11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72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10838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птимизации организации доступа к общей шине во время передачи данных с прямым доступом к памяти
US4663730A (en) Sequence controller
KR0178720B1 (ko) 공유메모리 제어장치
US20060047866A1 (en) Computer system having direct memory access controller
WO2007023456A2 (en) Microcontroller waveform generation
US5453983A (en) Port controller
JP3625536B2 (ja) 複数のクロック信号を用いて回路を同期させる装置と方法
JP3557522B2 (ja) 割込信号生成装置
KR100278666B1 (ko) 버스 아비터
JP4788004B2 (ja) 情報処理装置、pciバス制御方法、およびpciバス制御プログラム
JP2648017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
JPH07129503A (ja) 調停装置
JP2841405B2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制御回路
JPS63198110A (ja) 電子機器の動作速度制御方式
JPH06214947A (ja) 情報処理装置
JPH06175859A (ja) プロセッサ応用装置
JPH0740229B2 (ja) 割り込み入力信号制御方式
JPS60140920A (ja) パルス発生器
JPH03208151A (ja) Dmaコントローラ
JPH05120182A (ja) 割り込み制御方法
JPH01131948A (ja) バス制御装置
JPH07182272A (ja) Dmaコントローラ回路
JPH056336A (ja) バス制御方法
JPH07249021A (ja) マイコンシステム
JPS61163455A (ja) チャネル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3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