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215B1 -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215B1
KR0178215B1 KR1019950018643A KR19950018643A KR0178215B1 KR 0178215 B1 KR0178215 B1 KR 0178215B1 KR 1019950018643 A KR1019950018643 A KR 1019950018643A KR 19950018643 A KR19950018643 A KR 19950018643A KR 0178215 B1 KR0178215 B1 KR 0178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nversion element
optical
reflector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8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882A (ko
Inventor
정용배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18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8215B1/ko
Publication of KR9700028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11B15/08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by photoelectric sens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Landscapes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과 같은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회전체와 고정체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중공부를 갖는 축과, 회전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헤드로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화시키는 전기광 변환소자, 축의 중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전기광 변환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신호를 반사시켜 축의 중공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하는 제 1 반사경과, 축의 중공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 1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평으로 반사시키는 제 2 반사경 및 제 2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광전기 변환소자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회전체에서 고정체로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신호의 전달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tape recorder)의 헤드드럼(head drum)과 같은 회전체와 고정체사이의 신호전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체로부터 고정체에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한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VCR)나 캠코더(camcorder)등과 같은 테이프 레코더는, 헤드드럼과 같은 회전체의 회전에 의해 주행계의 일정한 주행 경로를 따라 주행하는 테이프에 기재된 영상 및 오디오 신호를 재생하거나 또는 신호를 기록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회전체에 대한 하나의 예로 헤드드럼을 제1도에 나타내어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헤드드럼(HD)은 회전체, 즉 어퍼드럼(upper drum: UD)이 축(Sh)에 압입되어 장착되고, 어퍼드럼(UD)의 하측방향에 고정체, 즉 로워드럼(lower drum: LD)이 축(Sh)에 끼워져 장착된다.
이 어퍼 및 로워드럼(UD, LD) 사이에는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rotor and stator transformer: Rt, St)가 각각 개재되고, 어퍼드럼(UD)의 하측면에 적어도 하나이상의 비디오 헤드(video head: Vh)가 부착된다.
그리고, 로워드럼(LD)의 하측에는 드럼모터(drum motor: DM)가 설치되며, 드럼모터(DM)의 구동에 따라 어퍼드럼(UD)이 회전되면서 비디오 헤드(Vh)에 의해 테이프의 재생/기록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런데, 이러한 헤드드럼(HD)은 어퍼드럼(UD)으로부터 로워드럼(LD)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는, 로우터 및 스테이터 트랜스포머(Rt, St)가 채용되는 복잡한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조립이 복잡해져 생산성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생산비용을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헤드드럼(HD)은 어퍼드럼(UD)의 상면에 회로기판(circuit board: Cb)을 장착하고 있는 바, 이 회로기판(Cb)의 도시하지 않은 회로소자들로부터 발생되는 신호를 로워드럼(LD)측에 전달하기 위해서는 도시하지 않은 와이어(wire)를 사용하여 배선하고 있다.
그러나, 와이어는 어퍼드럼(UD)의 회전에 방해받지 않도록 배선해야만 하므로, 헤드드럼(HD)의 조립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헤드드럼(HD)의 축(Sh)을 이용하여 어퍼드럼(UD)으로부터 로워드럼(LD)에 신호를 전달하기 위해서 도시하지 않은 브러쉬(brush)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브러쉬는 기구적인 접촉에 의해 신호를 전달하므로, 브러쉬의 마모 등에 의해 신호의 전달이 정확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순한 구성에 의해 회전체로부터 고정체에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신호의 전달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도록 한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의 회전체와 고정체사이의 신호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에 마련된 기록/재생 헤드와, 상기 회전체와 고정체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중공부를 갖는 축과,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로 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와, 상기 축의 중공부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로 부터의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축의 중공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하는 제 1 반사경과, 상기 제 1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재생용 광전기 변환소자와, 전송된 기록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록용 전기광 변환소자와, 상기 축의 중공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록용 전기광 변환소자로 부터의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축의 중공부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하는 제 2 반사경과, 상기 회전체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반사경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헤드로 출력하는 기록용 광전기 변환소자를 포함하는 신호전달 장치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회전체의 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2도는 재생용 구성요소만이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재생동작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전달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5도는 제2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신호전달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체 11 : 고정체
120 : 축 13 : 중공부
20 : 전기광 변환소자 21 : 반사경
22 : 광전기 변환소자 22 : 반사경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에 대한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하여 나타낸 도면으로, 설명의 편의상 재생작동만을 개시하고 있다. 제1도에서 회전체에 대한 하나의 예로 설명한 헤드드럼의 기본적인 구성은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체(10)와 고정체(11), 즉 헤드드럼(HD)의 어퍼드럼(UD)과 로워드럼(LD)은 축(12)에 끼워져 장착되고, 이 축(12)은 중공부(13)를 갖는다.
또한, 회전체(10)의 하면에는 자기테이프로부터의 재생신호 및 자기테이프로의 기록신호를 전달하는 기록/재생 헤드(Vh)가 장착되며, 그의 상면에 헤드(Vh)를 거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발광시키는 전기장 변환소자(電氣光 變換素子: 20)가 장착되며, 이들 헤드(Vh)와 전기광 변환소자(20)는 헤드리더(Head Leader, HL)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술한 전기광 변환소자(20)는 발광 다이오드(發光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전기광 변환소자(20)의 광신호는 반사경(反射鏡: 21)에 의해 반사되어 축(12)의 중공부(13)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된다. 이 반사경(21)은 축(12)의 중공부(13) 상부에 대략 45°의 각도로 설치되고, 이때 반사경(21)은 평면형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한 반사경(21)으로부터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기 위한 광전기 변환소자(光電氣 變換素子: 22)가 축(12)의 중공부(13) 하부에 장착된다. 이 광전기 변환소자(22)는 프리앰프(Preamp, PA)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여기에서, 광전기 변환소자(22)는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것으로, 광전기 변환소자(22)는 수광 다이오드(受光 diode)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전기광 및 광전기 변환소자(20, 22)는 발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전기를 광으로, 그 광을 전기로 변화시키는 포토 커플러(photo coupler)에 의해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12)의 중공부(13) 하부에 대략 45° 의 각도로 평면형의 반사경(23)이 더 설치된다. 이 반사경(23)은 중공부(13)의 상부에 위치된 반사경(21)에 의해 반사되는 전기광 변환소자(20)의 광신호를 수평으로 반사시킨다. 이때, 광전기 변환소자(22)는 반사경(23)으로 부터의 광신호를 수광할 수 있는 적절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반사경(21, 23)을 원추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반사경(21, 23)이 원추형으로 형성되면, 축(12)의 중공부(13)에 반사경(21, 23)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원추상의 반사경(21, 23)은 전기광 및 광전기 변환소자(20, 22)를 다수개 사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신호를 전달하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에 대한 재생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 및 제3도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체(10)의 상면에 장착된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20)는 헤드(Vh)에서 헤드리더(HL)를 거쳐 입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켜 발광시킨다.
이와 같이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20)에 의해 발광되는 광신호는 반사경(21)에 반사되어 축(12)의 중공부(13)를 통하여 재생용 광전기 변환소자(22)에 전달된다.
또한, 재생용 광전기 변환소자(22)는 반사경(21)에 의해 반사된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화시켜 프리앰프(PA)로 전송한다. 이 전기적신호는 프리앰프(PA)에서 증폭되어 외부로 출력된다.
따라서, 재생용 전기광 및 광전기 변환소자(20,22)에 의한 광전변환방식(光電變煥方式)의 단순한 구성으로 회전체(10)로부터 고정체(11)에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므로, 조립이 간단해서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이 절감된다.
뿐만 아니라, 전기광 및 광전기 변환소자(20, 22)는 노이즈(noise)의 간섭을 적게 받아 신호의 전달이 정확하게 수행되고, 결과적으로는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된다.
그리고,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축(12)의 중공부(13) 하부에 반사경(23)이 더 설치될 경우에는, 반사경(23)이 반사경(21)에 의해 반사되는 전기광 변환소자(20)의 광신호를 수직에서 수평으로 반사시키게 된다.
이로 인하여 고정체(11)의 하부에서 광전기 변환소자(22)의 위치를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배치하여 장치할 수 있으므로, 광전기 변환소자(22)의 장치가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반사경(21, 23)이 원추형인 경우에는, 축(12)의 중공부(13)에 반사경(21, 23)을 보다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원추형의 반사경(21, 23)은 전기광 및 광전기 변환소자(20, 22)를 다수개 사용하여 여러 방향에서 신호를 전달하는데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므로, 회전체(10)로부터 신호를 고정체(11)에 보다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20)와 광전기 변환소자(22) 만을 도시하여 재생작동을 설명하였고, 이와 반대의 기록작동은 도시하지 않았지만, 기록용 광전기 변환소자를 회전체(10)의 상면에 장착하고, 기록용 전기광 변환소자에 의해 변환된 광신호를 제 2 반사경(23)을 통해 반사하도록 구성함으로서, 기록 작동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전송된 기록신호이 기록용 전기광 변환소자에 의해 광신호로 변환되어 상기 축(12)의 중공부(13)의 하부에 위치한 제 2 반사경(23)을 통해 상기 축(12)의 중공부(13)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되면, 회전체(10)의 상면에 장착된 광전기 변환소자는 제 2 반사경(23)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헤드로 출력하여 기록작동을 행하게 된다.
한편, 상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를 설명한 것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적용범위는 이와 같은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일사상의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예에 의하면, 광전변환방식의 단순한 구성에 의해 회전체로부터 고정체에 신호가 효과적으로 전달되어 제품의 생산성이 향상됨과 동시에 생산비용이 절감되고, 신호의 전달이 정확하게 수행되어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것이다.

Claims (3)

  1.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드럼의 회전체와 고정체사이의 신호전달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10)에 마련된 기록/재생 헤드(Vh)와, 상기 회전체(10)와 고정체(11)가 끼워져 장착되도록 중공부(13)를 갖는 축(12)과, 상기 회전체(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헤드(Vh)로 부터의 전기적 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20)와, 상기 축(12)의 중공부(13)의 상부에 위치하여, 상기 재생용 전기광 변환소자(20)로 부터의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축(12)의 중공부(13)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하는 제 1 반사경(21)과, 상기 제 1 반사경(21)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켜 출력하는 재생용 광전기 변환소자(22)와, 전송된 기록신호를 광신호로 변환시키는 기록용 전기광 변환소자(20)와, 상기 축(12)의 중공부(13)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기록용 전기광 변환소자(20)로 부터의 광신호를 반사시켜 상기 축(12)의 중공부(13)를 통하여 수직으로 전달하는 제 2 반사경(23)과, 상기 회전체(10)의 상면에 장착되어, 상기 제 2 반사경(23)에 의해 반사되는 광신호를 수광하여 광신호를 전기적 신호를 변환하여 상기 헤드로 출력하는 기록용 광전기 변환소자(22)를 포함하는 신호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21, 23)은 평면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21, 23)은 원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전달 장치.
KR1019950018643A 1995-06-30 1995-06-30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KR0178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643A KR0178215B1 (ko) 1995-06-30 1995-06-30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8643A KR0178215B1 (ko) 1995-06-30 1995-06-30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82A KR970002882A (ko) 1997-01-28
KR0178215B1 true KR0178215B1 (ko) 1999-04-15

Family

ID=194190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8643A KR0178215B1 (ko) 1995-06-30 1995-06-30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82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5752B1 (ko) 2005-12-06 2013-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메모리 시스템 및 그것의 부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882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1934A (en) Video tape recorder
KR0178215B1 (ko)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JP2007243357A (ja) 伝送装置
KR0137165Y1 (ko) 회전체의 신호전달 장치
USRE39569E1 (en) Head drum assembly for tape recorder
JPS62210743A (ja) 回転体情報伝達装置
US6285650B1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of an optical pickup
KR19990012369A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드럼 조립체
KR0141859B1 (ko) 헤드드럼 조립체
JP2576121Y2 (ja) ピックアップ装置の伝送線路装置
JPH0121521B2 (ko)
JPS586204B2 (ja) 回転形磁気ヘッド装置
KR97000860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
KR930002270Y1 (ko) 회전헤드드럼의 신호전달장치
KR10019356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드럼장치
JPH03218611A (ja) 回転トランス装置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KR0112071Y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오디오/콘트롤 헤드 신호연결장치
KR0170121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메인 회로기판과 헤드드럼 조립체의 신호전달구조
KR930002780Y1 (ko) 자기기록 재생기의 비디오 헤드와 트랜스로터 사이 신호 연결장치
JP298123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184602A (ja) 回転ヘッド装置
JP2001058766A (ja) エレベータの映像装置
JPH07109643B2 (ja) 回転磁気ヘッド型ビデオテ−プレコ−ダ
JPH05166313A (ja) 磁気ヘッド
JPS59188804A (ja) 回転ヘツ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