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120B1 - 회전체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회전체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120B1
KR0178120B1 KR1019960023736A KR19960023736A KR0178120B1 KR 0178120 B1 KR0178120 B1 KR 0178120B1 KR 1019960023736 A KR1019960023736 A KR 1019960023736A KR 19960023736 A KR19960023736 A KR 19960023736A KR 0178120 B1 KR0178120 B1 KR 0178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ating shaft
spring
shaft
rotary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3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2969A (ko
Inventor
다게시 간노
Original Assignee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가부시기가이샤 니후고 filed Critical 오가사하라 도시아끼
Publication of KR980002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29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1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1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 F16F15/12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 F16F15/121Suppression of vibrations in rotating systems by making use of members moving with the system using elastic members or friction-damping members, e.g. between a rotating shaft and a gyratory mass mounted thereon using springs as elastic members, e.g. metallic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조립이나 제동력의 변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회전체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그 구성은, 베이스(31)와; 베이스(3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회전체(예를들면, 회전지지대(32))와; 베이스(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가 회전체(예를들면, 회전지지대(32))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샤프트(40)와;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되고, 상대향한 간격내로 회전샤프트(40)를 끼워넣고서 스프링(50)의 복원력으로 회전샤프트(40)를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회전샤프트(40)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회전샤프트(40)에 제동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베이스(31)에 고정된 스프링(50);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을 회전샤프트(40)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한 것이다.

Description

회전체의 제동장치
제1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동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평면도.
제6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제동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동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동장치 20 : 비디오 카메라
30 : 비디오 포트 31 : 베이스
32 : 회전지지대 40 : 회전샤프트
41 : 제1회전샤프트 411 : 몸통부
412 : 스프링장착부 413 : 지지축
414 : 연결홈 42 : 제2회전샤프트
421 : 스프링연결부 422 : 고정축
423 : 고정구멍 424 : 연결돌기
50 : 스프링 51 : 회전샤프트 협지부
60 : 코일스프링 70 : 홀더
71 : 축구멍 72 : 관통구멍
73 : 고정편 74 : 고정구멍
75 : 삽입홈 76 : 지지통
77 : 걸림돌기 80 : 캡
81 : 캡본체 82 : 고정축 관통구멍
83 : 부착편 84 : 걸림홈
[기술분야]
본 발명은 회전체의 제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를 비디오 포트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하는데 사용된다.
[종래의 기술]
종래, 이러한 종류의 제동장치에는,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단면이 대략 'U'자 형으로 굴곡된 판스프링이 사용되어 왔다.
상기 판스프링의 상대향한 간격내로 회전샤프트를 끼워넣고서 판스프링의 복원력으로 상기 회전샤프트를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회전샤프트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회전샤프트에 제동력을 부여하였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은 회전샤프트의 측방향으로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서 신장되어 있어, 회전샤프트의 거의 전 길이에 걸쳐서 협지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판스프링은, 제동력을 증가시키고자 할 때에는 회전샤프트의 압입력도 커지게 되어 회전샤프트의 압입이 곤란하게 된다는 제1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제동장치에서는, 그 제동력을 증가시키기 위해서 판스프링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혹은 두께를 증가시키거나, 반대로 회전샤프트의 외측지름을 크게 하는 등의 수단을 취하여 왔다.
그러나, 제동력이 증가됨에 따라 판스프링의 간격내로의 회전샤프트의 압입도 곤란하게 된다.
예를들면, 종래의 판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는 최대 토크가 5kgf·cm정도가 적당하나, 만일 10kgf·cm로 설정하려고 하면 회전샤프트의 압입이 곤란하다.
또, 상기한 종래의 판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는 제동장치의 토크 변경이 곤란하다는 제2문제점이 있었다.
즉, 토크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판스프링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혹은 두께를 변경하거나, 반대로 회전샤프트의 외측지름을 변경하는 등의 수단을 취하여 왔다.
그러나, 판스프링의 재질을 변경하거나 혹은 두께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판스프링을 새로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회전샤프트의 외측지름을 변경한다 하더라도 회전샤프트를 새로 제조하지 않으면 안된다. 또, 토크의 변경량도 판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세세하게 변경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여기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제1, 제2문제점에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이하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범위 제1항의 발명은, 회전샤프트의 압입력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제동력의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회전체의 제동장치를 제공하려고 하는 것이다.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은, 상기한 제1항에 기재된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범위 제2항의 발명은, 일방향성 클러치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은,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범위 제3항의 발명은, 스프링의 장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은, 상기한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목적으로 한다.
즉, 청구범위 제4항의 발명은, 스프링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 그 내용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프링(50)을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40)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회전샤프트(40)에는,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향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예를들면 코일스프링(60))를 형성하고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2가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회전샤프트(40)는, 예를들면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홀더(7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홀더(70)를 통하여 회전체인 회전지지대(32)와 베이스(31)와의 일측에 고정되어 있다.
둘째로, 상기 홀더(70)에는, 예를 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0)을 끼워넣기 위한 복수의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스프링(50)은, 예를들면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선재로 형성되어 있다.
[작용]
이어서, 상기한 특징점을 구비한 각 청구항에 기재된 각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이하 설명한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즉, 스프링(50)을 회전샤프트(40)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분할하여 배치하고 있기 때문에, 스프링(50)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또, 스프링(50)의 개수를 증가시켜서 제동력을 증가시킨다 하더라도 각각의 스프링(50)에 대한 회전샤프트(40)의 삽입력이 변화되지 않는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즉, 클러치(예를들면, 코일스프링(60))가 작용하는 방향으로 회전체인 회전지지대(32)를 회전시킬 때에는 제동력이 작용하지 않으므로, 회전지지대(32)를 비교적 가벼운 힘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즉, 각 스프링(50)을 홀더(70)의 삽입홈(75)에 끼워넣는 것만에 의하여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고, 끼워넣는 스프링(50)의 개수를 변경함으로써 제동력을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작용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즉, 각 스프링(50)이 선재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제조가 용이하다.
[실시예]
제1도 내지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한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1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사시도, 제2도는 제동장치의 사용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종단면도, 제5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평면도, 제6도는 제동장치의 분해 종단면도, 제7도는 제6도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종단면도, 제8도는 제동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종단면도, 제10도는 제동장치의 조립상태를 나타낸 평면도를 각각 나타낸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10은 제동장치를 나타내며, 이 제동장치(1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들면 액정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20)를 장착하는 비디오 포트(30)에 사용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비디오 포트(30)를 예로 하여 설명하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랩탑형 워드프로세서나 퍼스널 컴퓨터, 액정 텔레비젼, 세탁기 등의 가전기기의 덮개등의 힌지부분에 사용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가구나 사무기기 등에도 널리 사용할 수 있다.
[비디오 포트]
상기 비디오 포트(3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1)와, 이 베이스(3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된 액정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20)를 장착하는 회전체인 회전지지대(32)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비디오 포트(30)의 베이스(31)와 회전지지대(32) 사이에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동장치(10)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비디오 포트(30)는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32)위에 액정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20)를 장착하고, 액정 디스플레이가 부착된 비디오 카메라(20)에 전원을 공급하거나 충전하기 위한 것으로, 회전지지대(32)를 회전시킴으로써 액정 디스플레이의 각도를 임의로 변경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제동장치]
상기 제동장치(10)는,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일단부가 회전체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샤프트(40)와; 단면이 'U'자형으로 굴곡되고, 상대향한 간격내에 회전샤프트(40)가 끼워지고,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샤프트(40)를 양측에서 협지(挾持)하고, 회전샤프트(40)와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회전샤프트(40)에 제동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베이스(31)에 고정된 복수개의 스프링(50,…);을 구비하고 있다.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40)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0)의 개방된 간격내에 협지되어 회전체인 회전지지대(32)에 제동력을 부여하는 제1회전샤프트(41)와, 이 제1회전샤프트(41)의 일단측에 일방향성의 클러치를 구성하는 코일스프링(60)을 통하여 연결된 제2회전샤프트(4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제1회전샤프트(41)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상의 몸통부(411)의 일단부에 몸통부(411)보다 큰 지름으로 된 스프링 장착부(412)를 형성하고, 타단부에는 몸통부(411)보다 작은 지름으로 된 지지축(41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장착부(412)의 단면 중앙에는 제2회전샤프트(42)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홈(41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2회전샤프트(42)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에 제1회전샤프트(41)의 스프링 장착부(412)와 연결됨과 아울러 외측 둘레에 코일스프링(60)을 장착하는 큰 지름으로 된 스프링 연결부(421)를 형성하고 있다. 상기 스프링 연결부(421)에는 제2회전샤프트(42)를 회전지지대(32)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축(422)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고정축(422)에는 고정구멍(423)이 형성되어 있다. 또, 스프링 연결부(421)의 제1회전샤프트(41)와의 연결측 단면의 중앙에는 제1회전샤프트(41)의 연결홈(414)내에 끼어지는 연결돌기(424)이 돌출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
상기 코일스프링(60)은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전샤프트(41)의 스프링 장착부(412)측의 단면에서 몸통부(411)를 향하여 시계방향으로 감겨진 현권(弦卷)스프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회전샤프트(41)의 스프링 장착부(412)와 제2회전샤프트(42)의 스프링 연결부(421)의 외측둘레에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코일스프링(60)을 장착한 상태에서 제2회전샤프트(4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60)이 감겨 조여져서 제1회전샤프트(41)와 제2회전샤프트(42)가 서로 연결된다. 이것에 대하여, 제2회전샤프트(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코일스프링(60)이 풀려서 그 내측지름이 확대된다. 따라서, 코일스프링(60)이 제1회전샤프트(41)의 스프링 장착부(412) 및 제2회전샤프트(42)의 스프링 연결부(421)의 외측둘레에서 미끄러지므로 제1회전샤프트(41)와 제2회전샤프트(42) 사이의 회전력 전달이 차단된다.
[홀더]
상기 제1회전샤프트(41)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베이스(31)에 고정가능한 홀더(7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상기 홀더(70)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면이 개방된 상자형상의 부재로서, 길이방향의 일단부에는 제1회전샤프트(41)의 지지축(413)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축구멍(71)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타단부에는 제1회전샤프트(41)의 몸통부(41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관통구멍(72)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70)의 길이방향의 일측면에는 홀더(70)를 베이스(31)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편(73)이 외측으로 연이어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편(73)에는 고정구멍(74)이 형성되어 있다.
또, 홀더(70)의 내부에는 제1도, 제4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50)을 끼워넣기 위한 복수의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6개의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으나, 삽입홈(75)의 수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또, 홀더(70)의 관통구멍(72)을 형성한 타단부에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측을 향하여 제1회전샤프트(41)의 스프링 장착부(412) 및 제2회전샤프트(42)의 스프링 연결부(421)를 지지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지지통(76)이 연이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통(76)의 선단 개방부에는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회전샤프트(42)의 고정축(422)을 끼워 통하게 함과 아울러 선단 개방부를 덮는 캡(80)이 착탈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상기 캡(80)은 제1도,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반형상의 캡본체(81)의 대략 중심부에 제2회전샤프트(42)의 고정축(422)을 끼워 통하게 하기 위한 고정축 관통구멍(82)을 형성하고, 외측둘레에는 캡(80)을 지지통(76)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편(83,83)이 1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착편(83)의 대략 중앙에는 걸림홈(84)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지지통(76)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제1도, 제3도 및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걸림홈(84,84)내에 각각 걸어맞춰지는 걸림돌기(77,77)가 1쌍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걸림돌기(77)는 경사면이 지지통(76)의 개방단을 향한 단면 톱니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상기 각 스프링(50)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단면이 대략 'U'자형을 이루는 선재(線材)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50)의 길이방향의 대략 중간정도에는 각각 외측으로 원호형상으로 만곡된 회전샤프트 협지부(51,51)가 형성되어 있다.
[조립순서]
이어서, 상기한 구성으로 된 제동장치(10)의 조립순서에 대하여 제7도 내지 제10도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우선, 부여할 제동력에 대응하여 홀더(70)에 형성된 삽입홈(75)내에 스프링(50)을 끼워넣는다.
그 후, 홀더(70)의 관통구멍(72)내로 제8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회전샤프트(41)의 지지축(413)측부터 끼워넣어서 지지축(413)을 축구멍(7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함과 아울러 스프링 장착부(412)를 지지통(76)내에 끼운다.
이때, 제1회전샤프트(41)의 몸통부(411)는 스프링(50)의 회전샤프트 협지부(51,51)사이에 압입되게 되는데, 스프링(50)이 복수의 선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압입저항이 작아 회전샤프트 협지부(51)사이에 제1회전샤프트(41)를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다.
이와 같이, 홀더(70)내로 제1회전샤프트(41)를 끼워넣은 후,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지통(76)내에 있는 제1회전샤프트(41)의 스프링 장착부(412)의 외측둘레에 코일스프링(60)의 일단부를 장착하고, 연결홈(414)내에 제2회전샤프트(42)의 연결돌기(424)를 끼워넣음과 아울러 제2회전샤프트(42)의 스프링 연결부(421)의 외측둘레에 코일스프링(60)의 타단부를 장착하여 제1회전샤프트(41)와 제2회전샤프트(42)를 연결한다.
그 후, 제8도 내지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캡(80)의 고정축 관통구멍(82)내로 제2회전샤프트(42)의 고정축(422)을 끼워 통하게 하고, 부착편(83)의 걸림홈(84)내에 지지통(76)의 걸림돌기(77)를 걸어맞춰서 지지통(76)의 선단 개방부에 캡(80)을 피착하여 고정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한 제동장치(10)를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디오 포트(30)에 부착한다.
즉, 제2회전샤프트(42)의 고정축(422)을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지지대(32)에 고정함과 아울러 홀더(70)의 고정편(73)을 베이스(31)에 고정한다.
[사용방법]
이어서, 상기한 순서에 의하여 조립된 제동장치(10)의 사용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회전샤프트(41)는 스프링(50)의 복원력에 의해서 회전샤프트 협지부(51)사이에 양측에서 협지되어 있으므로, 스프링(50)의 회전샤프트 협지부(51,51)와 제1회전샤프트(41)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제1회전샤프트(41)에 제동력을 부여하고 있다.
그리고, 제1도에 있어서, 제2회전샤프트(42)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코일스프링(60)의 작용에 의해서 제1회전샤프트(41)와 제2회전샤프트(42)가 일체가 되어 동시에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2회전샤프트(42)에 제동력이 부여된다.
반대로, 제1도에 있어서, 제2회전샤프트(4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 경우에는, 제1회전샤프트(41)와 제2회전샤프트(42)과 분리되어 제2회전샤프트(42)만이 회전하게 됨으로써, 제2회전샤프트(42)에는 제동력이 부여되지 않는다.
또한, 코일스프링(60)을 구성하는 현권스프링의 권취방향을 역권취로 함으로써, 제2회전샤프트(42)에 제동력을 부여하기 위한 회전방향을 역전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서는 베이스(31)측에 홀더(70) 및 스프링(50)을 지지하고, 회전샤프트(40)를 회전지지대(32)측에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였으나, 이것과는 반대로 베이스(31)측에 회전샤프트(40)를 회전 불가능하게 지지하고, 회전지지대(32)측에 홀더(70) 및 스프링(50)을 지지하여도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회전샤프트의 압입력을 저감할 수 있을 뿐만아니라 제동력의 변화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회전체의 제동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일방향성 클러치를 사용함으로써 베이스에 대하여 회전체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다.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 또는 제2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홀더의 삽입홈에 스프링을 용이하게 장착할 수 있다.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스프링의 제조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베이스(31)와; 상기베이스(31)에 회전가능하게 축지지되는 회전지지대(32)와; 상기 회전지지대(32)와 베이스(31)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적어도 일단부가 회전지지대(32)와 베이스(31)의 타측에 회전불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샤프트(40)와; 단면이 대략 'U'자형으로 굴곡되고, 상대향한 간격내로 상기 회전샤프트(40)를 끼워넣고서 스프링(50)의 복원력으로 상기 회전샤프트(40)를 양측에서 협지함으로써 회전샤프트(40)와의 사이의 마찰저항에 의해서 회전샤프트(40)에 제동력을 부여함과 아울러, 상기 회전지지대(32)와 베이스(31)와의 상기 일측에 고정된 코일스프링(60)을 구비한 회전체의 제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50)을 상기 회전샤프트(40)의 축방향으로 복수개 배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회전샤프트(40)에는 일방향의 회전력 전달을 차단하는 클러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회전샤프트(40)는 홀더(70)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이 홀더(70)를 통하여 회전지지대(32)와 베이스(31)와의 일측에 고정됨과 아울러, 상기 홀더(70)에는 스프링(50)을 끼워넣기 위한 복수의 삽입홈(75)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프링(50)은 선재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체의 제동장치.
KR1019960023736A 1995-10-31 1996-06-25 회전체의 제동장치 KR017812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282698A JPH09126261A (ja) 1995-10-31 1995-10-31 回転体の制動装置
JP95-282698 1995-10-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2969A KR980002969A (ko) 1998-03-30
KR0178120B1 true KR0178120B1 (ko) 1999-03-20

Family

ID=176558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3736A KR0178120B1 (ko) 1995-10-31 1996-06-25 회전체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9126261A (ko)
KR (1) KR01781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05291U1 (de) * 2003-04-01 2003-06-18 Schneider Eng Gmbh Schwenklager für eine Klappe, insbesondere für die Klappe vor einem Tankverschluss in einem Kraftfahrzeug
CN106555815A (zh) * 2015-09-25 2017-04-05 昆山玮硕恒基电子科技有限公司 可变旋转扭力双轴同动转轴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126261A (ja) 1997-05-13
KR980002969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40830B2 (ja) 摩擦ヒンジ装置
US5913351A (en) Tilt hinge
US5037231A (en) Joint device for connecting two rotatable members
JP3836149B2 (ja) クリップフリクションヒンジ
US6038739A (en) Tilt hinge
US6671927B2 (en) Rotating mechanism for LCD monitor
JP3814310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9303032A (ja) チルトヒンジ
US6775884B2 (en) Clip-type friction hinge device
KR0178120B1 (ko) 회전체의 제동장치
JP3504865B2 (ja) ヒンジ装置
KR100457198B1 (ko) 회전댐퍼 및 어시스트 그립 장치
JP2001065543A (ja) 開閉トルク変動可能なチルトヒンジ
JPH11272187A (ja) チルトヒンジ
JPH0468182A (ja) 開閉装置
JPH1047337A (ja) チルトヒンジ
KR200176127Y1 (ko) 클립형 토션 스프링을 사용한 마찰 힌지 장치
JP3763887B2 (ja) チルトヒンジ
JP2602161Y2 (ja) チルトヒンジ
JPH07217643A (ja) 軸受け具
JP4346720B2 (ja) チルトヒンジ
US4846013A (en) Torque takeout mechanism for rotary electronic part
JP2003194041A (ja) ヒンジ
JPH0714065U (ja) 摩擦ヒンジ
JPH078642U (ja) 開閉機構における潤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