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018B1 - 미백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미백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018B1
KR0177018B1 KR1019960012137A KR19960012137A KR0177018B1 KR 0177018 B1 KR0177018 B1 KR 0177018B1 KR 1019960012137 A KR1019960012137 A KR 1019960012137A KR 19960012137 A KR19960012137 A KR 19960012137A KR 0177018 B1 KR0177018 B1 KR 0177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elan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1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024A (ko
Inventor
이훈
남상인
김민호
손정관
Original Assignee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경식, 제일제당주식회사 filed Critical 손경식
Priority to KR10199600121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7018B1/ko
Publication of KR9700690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0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되어 있는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화장료 조성물
2. 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피부화장료의 피부 미백효과의 증대
3. 그 기술적 과제의 해결방법의 요지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을 배합시킴으로써 피부의 미백효과를 증대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화장품

Description

미백 화장료 조성물
제1도는 원료별 티로시나아제 저해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제2도는 미백화장품 사용에 따른 미백 생체효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을 배합시킨 혼합액이 상기 추출물 각각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피부의 미백 기능을 극대화 시킨 피부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색소로는 멜라닌 헤모글로빈, 카로티노이드가 있다. 피부, 모발, 눈의 다양한 색깔이 이들 색소에 의해 결정된다. 피부에 있어 색깔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색소는 멜라닌이며 멜라닌의 양과 성질 그리고 분포의 정도에 따라 피부색이 결정되어 진다.
인간에게 있어 피부나 모발의 색소는 햇빛(특히 자외선)의 유해한 영향으로부터 보호해주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색소가 부족한 사람은(병명:ALBINOS) 햇빛에 매우 민감하여 화상을 입기 쉬우며 어린 나이에도 피부암 발생 확률이 높다. 단파장의 자외선(290∼320nm) 및 발암 물질은 피부에서 산소 라디칼을 형성 시키는데 이 산소 라디칼이 피부 세포를 공격하여 피부를 노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멜라닌의 주요한 기능은 산소 라디칼을 제거하여 이에 의한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멜라닌이 많다는 것을 물리적, 화학적 독성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기 위한 효과적인 대응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멜라닌의 생성을 촉진하는 요인들로서는 위의 햇빛(자외선)뿐만 아니라 에스트로겐, 프로스타글란딘, 및 블레오미신과 같은 호르몬 등이 있다.
멜라닌의 생성과 소멸 싸이클은 햇빛(자외선)에 의해 피부의 멜라노사이트가 분열이 일어나며 골지체에서 티로시나제가 합성되고 골지체와 소포체가 결합하여 멜라닌을 만드는 멜라노좀이 형성된후 멜라닌이 생성된다. 이 멜라닌은 피부 세포에 전달되고 표피 박리와 함께 멜라닌이 상실되어 소멸되는 순환 작용을 보인다.
이 멜라닌은 멜라노좀내에서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시나제를 원료로 하여 생성되는 도파퀴논, 도파크로롬, 인돌-5, 6-퀴논으로부터 만들어지는 복잡한 중합체이다.
이 멜라닌 생성 메카니즘의 특징은 티로시나제라는 단 한 개의 효소가 관여하는 반응으로 이 티로시나제 활성을 억제하여 멜라닌 생성을 막아 줌으로서 미백 효과를 기대하는 것이다.
미백 화장품에 있어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는 크게 다음과 같이 나눌 수 있다. 즉, 그 한가지 방법으로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멜라닌 생성의 주 원인을 제거하는 것으로서, 이 방법은 화장품 조성물로서 광 산란제 또는 광 차단제를 함유케하여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한가지 방법으로는 글루코사민과 같이 티로시나제가 활성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한 코어 탄수화물(Core carbohydrate)의 합성을 저해하므로서 멜라닌 생성을 억제시킨다. 다른 한가지 방법으로는 효모산(Kojic Acid) 또는 알부틴과 같이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유일한 효소인 티로시나제의 기능을 방해하는 방법도 있다. 또 다른 방법으로는 하이드로 퀴논과 같이 멜라닌을 생성하는 세포인 멜라노사이트에 대하여 특이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어 세포분열을 방해하는 방법도 있다.
이러한 알려진 사실들을 근거로하여 본 발명자들은 여러 가지 화합물, 추출물 등을 대상으로 실시중인 미백효과 테스트 방법을 동원하여 실험한 결과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에서 미백 활성 효과를 확인 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은 통상적인 화장료로서 에멀젼상, 가용화 상태에서 혼합되어 사용된다. 화장료로서 피부를 하얗게하는 미백 기능은 주요한 관심의 초점중 하나이다.
따라서 앞에서 기술한 미백 기능을 발휘할 수 있게 하는 4가지 효과중 특히,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은 멜라닌 생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하는 효과를 보인다.
송이 추출물은 10년이상된 소나무 밑에서 자란 송이버섯을 에탄올로 추출하였으며 MATUTAKE ALCOHOL, 수종의 폴리 사카라이드 및 지방산 등을 함유하고 있어 여러 실험을 통하여 티로시나제 억제작용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송이 추출물은 상품명 TRICHOLOMA MATSUTAKE(CAMPO)로도 구입할 수 있다.
기린초 추출물은 실온 상태에서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 시킨다음 용매와의 접촉면을 높이기 위하여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쇄 시켰다. 분쇄된 기린초 100 중량 그람당 용매로서 물을 500 중량 그람을 혼용하여 다시 분쇄기로 충분히 분쇄, 교반 혼합하였다. 이를 다시 약 한달 동안 냉장 숙성 시킨다음 150매시 여과장치를 통하여 여과시켰다. 이를 다시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취한 후 다시 일주일 정도 냉장 숙성 시킨다. 이를 다시 200매시 여과장치를 통하여 여과시켜 잔여 불순물을 분리 시킨다. 이를 다시 실온에서 감압 농축시켜 담황색의 겔 상태의 기린초 추출물을 얻는다.
이와 같이 추출한 기린초 추출물에는 알부틴, 폴리사카라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티로시나제 억제 작용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이미 알려진 미백 기능 실험에 의해 확인한 결과 각각의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을 사용할때보다 이 두 추출물의 혼용에 의한 미백기능의 상승효과가 높게 나타남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송이-기린초 추출물은 피부 화장료 조성물을 기준으로 0.01 그람 중량% 내지 20.00 그람 중량%를 사용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로서의 기제 물질은 에멀젼 상에서는 정제수, 1가 도는 다가 알콜지방 및 오일, 계면 활성제 등이고 기타로 착향제 및 착색료, 방부제 등이다. 가용화 상태에서는 정제수, 계면활성제, 1가 및 다가 알콜 등이며 에멀젼 상과 같이 착향제 및 착색료, 방부제등을 사용한다.
또한 멜라닌 형성의 주요한 요인이 자외선임을 고려할때 송이-기린초 추출물의 미백 기능 효과외에 자외선으로부터 멜라닌의 재형성을 방지할 수 있는 벤조페논계와 같은 자외선 차단제 또는 광 산란제로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로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로 본 발명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있어 미백 기능 효과 실험은 통상적인 방법 중 맬라닌 생성 효소인 티로시나제와 멜라닌 생성 원료인 티로신을 반응시켜 멜라닌을 합성하는 과정에서 실험 하고자 하는 추출물을 첨가하여 멜라닌 생성량의 감소분을 측정하므로서 티로시나제 활성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송이-기린초: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의 함량비가 1:1인 혼합액이다.
[실시예 2-4 및 비교예]
하기 표 2에 지시된 조성에 따라 수상 성분과 유상 성분을 각 75℃ 까지 가열 시킨 다음 유상성분을 수상 성분에 혼합 유화한후 중화제를 넣고 40℃까지 냉각시킨후 향 및 첨가제를 넣어 크림상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실험 대상자 하박부 바깥쪽의 동일한 위치에 솔라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여 UV-A, B를 인공적으로 3일동안 3MED 씩 조사하여 피부를 탠닝 시킨후 실시예 2-4를 매일 1회씩 바른후 피부색 측정 기기인 Maxameter를 이용하여 한달간 피부색을 측정하였으며, 계절에 다른 자연 감소분을 보기 위해 시료를 바르지 않은 비교예를 선정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3에 나타난 바와 같다.
표3에서와 같이 각 실험 원료를 함유하는 화장료를 조성하여 약 한달간 인체 미백 실험을 한 결과 실시예 2가 실시예 3-4, 비교예 보다 미백 효과가 상대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Claims (3)

  1. 송이 추출문과 기린초 추출물의 혼합물이 함유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혼합물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0.01 매지 20.0 그람 중량%인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송이 추출물과 기린초 추출물의 함량비율이 1:1인 조성물.
KR1019960012137A 1996-04-17 1996-04-17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0177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37A KR0177018B1 (ko) 1996-04-17 1996-04-17 미백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2137A KR0177018B1 (ko) 1996-04-17 1996-04-17 미백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4A KR970069024A (ko) 1997-11-07
KR0177018B1 true KR0177018B1 (ko) 1999-03-20

Family

ID=1945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137A KR0177018B1 (ko) 1996-04-17 1996-04-17 미백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701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8438A (ko) * 2002-11-01 2004-05-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441596B1 (ko) * 2001-06-30 2004-07-2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470158B1 (ko) * 2001-12-05 2005-03-08 주식회사한국파마 기린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이들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JP2010120869A (ja) * 2008-11-18 2010-06-03 Noevir Co Ltd 抗老化剤、抗炎症剤、美白剤、及び抗酸化剤
KR101698410B1 (ko) * 2016-02-19 2017-02-01 (주)진셀팜 기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022681A (ko) * 2015-08-21 2017-03-02 (주)아모레퍼시픽 섬기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1444B1 (ko) * 2001-10-19 2004-10-06 이석일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1596B1 (ko) * 2001-06-30 2004-07-23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미백과 세포 증식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화장료 조성물
KR100470158B1 (ko) * 2001-12-05 2005-03-08 주식회사한국파마 기린초 추출물, 이로부터 분리한 화합물 및 이들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제학적 조성물
KR100495956B1 (ko) * 2002-07-12 2005-06-1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상지 추출물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20040038438A (ko) * 2002-11-01 2004-05-08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아스코르브산 2-글루코시드 및 송이 추출물을 포함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2010120869A (ja) * 2008-11-18 2010-06-03 Noevir Co Ltd 抗老化剤、抗炎症剤、美白剤、及び抗酸化剤
KR20170022681A (ko) * 2015-08-21 2017-03-02 (주)아모레퍼시픽 섬기린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698410B1 (ko) * 2016-02-19 2017-02-01 (주)진셀팜 기린초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및 증식성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024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L211313B1 (pl) Kompozycje rozjaśniające do miejscowego stosowania i sposób ich stosowania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0177018B1 (ko)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40037521A (ko) 생큐노라이드 a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60575B1 (ko) 흑미강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KR101835356B1 (ko) 초고압 균질화를 이용하여 추출 수율이 증진된 권백 추출물의 제조방법
EP0585018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oloring hair and skin and for UV-protection
KR100920896B1 (ko) 블루로터스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81700B1 (ko) 생큐노라이드 a 및 글루콘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30090188A (ko) 락테이트 및 감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조성물
KR100495454B1 (ko) 피토라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9990085941A (ko) 포도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88463A (ko) 아로니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552269B1 (ko) 금등화 추출물 또는 비자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6853B1 (ko) 백심 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253422B1 (ko) 실리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A s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Cili extract)
KR20010018657A (ko) 괴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61115B1 (ko) 함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35329B1 (ko) 엘라직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활성을 갖는 장딸기의 열매 추출물
KR20050108541A (ko) 검은콩, 흑미 및 검은깨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13556B1 (ko) 천궁 추출물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10088120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