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7009B1 - 카트리지 교환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 교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7009B1
KR0177009B1 KR1019950031549A KR19950031549A KR0177009B1 KR 0177009 B1 KR0177009 B1 KR 0177009B1 KR 1019950031549 A KR1019950031549 A KR 1019950031549A KR 19950031549 A KR19950031549 A KR 19950031549A KR 0177009 B1 KR0177009 B1 KR 0177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slide
carriers
holders
carr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1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485A (ko
Inventor
다쓰노리 후지와라
야스유기 나카니시
고다로 오카
게이 시라하다
시게히로 이토
Original Assignee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오카 다카시,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오카 다카시
Publication of KR960015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7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7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5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wherein the disks are transferred from a fixed magazine to a fixed playing unit using a moving carriag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Landscapes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 각각에 디스크가 삽입된 카트리지를 가지고 있는 복수의 홀더와, 홀더에 고정된 핀을 그립하기 위한 그립부를 구비하고 있는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그 각각은 스크루샤프트가 회전함에 따라 전후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각각과 맞물려 있고,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는 베이스캐리어와 결합되어 그 베이스캐리어와 함께 움직일 수 있다.
카트리지는 한쌍의 캐리어의 전후이동으로 교환된다.
결과적으로, 캐리어 구조의 복잡성을 피할 수 있고, 복수의 그립핑기능을 갖추어야 할 필요를 없애고, 그것에 의해 요구되는 부품의 감소를 가져다 주고 더 나아가 언로딩이 완료되는 위치에서는 아무런 간섭도 없이 캐리어를 수직으로 움직이게 하며 그것에 의해 동작시간의 단축을 가져다 준다.

Description

카트리지 교환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1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우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좌측면도.
제4도는 제1도에서 홀더, 엘리베이터를 포함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좌측면도.
제6도는 홀더에 삽입된 카트리지를 보존하는 이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카트리지가 홀더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우측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카트리지가 홀더에 삽입된 것을 나타낸 좌측면도.
제9도는 카트리지가 홀더에 삽입되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홀더 캐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캐리어의 삽입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의 반송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의 반송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의 반송위치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의 반송위치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엘리베이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2a∼22c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3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베이스 캐리어의 핀(pin)의 그립부(gripping portion)를 나타내는 확대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베이스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베이스 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26도는 본 발명의 1 실시예인 록킹시스템(locking system)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27도는 본 발명의 제26도의 록킹시스템의 좌측면도.
제28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인 로킹시스템의 우측면도.
제29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록킹시스템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30도는 종래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프로팅데크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1도는 종래의 프로팅데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2도는 종래의 프로팅데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33도는 종래의 프로팅데크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로딩모터 21 : 감속시스템
22 : 동기샤프트(同期 Shaft) 23 : 스크루샤프트
24 : 스크루샤프트 25 : 캐리어
26 : 캐리어 30 : 홀더
31 : 엘리베이터 32 : 핀
33 : 핀 36 : 그립부
38 : 홀더캐처 40 : 베이스캐리어
41 : 슬라이드캐리어 42 : 뚜껑부
43 : 스프링 44 : 스톱퍼
50 : 프로팅 데크 51 : 가이드 플레이트
52 : 가이드 플레이트 53 : 프레임
54 : 프레임 55 : 모터
56 : 기어군(gear 群) 57 : 스텝플레이트
58 : 스텝플레이트 64 : 구멍
65 : 록 플레이트 66 : 스프링
67 : 홀더캐처 68 : 록 해제용 캠
본 발명은 디스크를 수납한 카트리지를 다수매 장진하여 연속 연주를 행하는 다연주재생장치(多演奏再生裝置)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이 종류의 복수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자동교환장치로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고 소 64-56055호에 나타내는 것이 있다.
제30도는 그 개략을 나타내는 것이다.
복수의 홀더(1)를 마련하고 그 중에서 1개를 캐처(2)가 선택적으로 그립하여, 홀더(1)를 가이드수단으로부터 뽑아서 로딩암(3)의 동작으로 캐처(2)와 홀더(1)를 이동시켜 카트리지를 테이프 주행기구(走行機構)에 세트하는 것이 있다.
제31도는, 복수의 카트리지의 종래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한예를 나타내는 것이다.
도면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삽입위치에서 모든 카트리지의 선택이 가능한 구조에서는 최상단의 상부, 최하단의 하부는 가이드(4)에 홀더(1)의 핀(5)이 삽입될 수 있는 스페이스채널(6)이 필요하게 되고, 이에 따라, 가이드(4)는 추가되는 채널길이에 의해 필요로하는 분만큼 상하로 길게 할 필요가 있어,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소형화가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제32도에 나타내는 것 같은 상(上)가이드(7)와 하(下)가이드(8)를 카트리지 삽입부와 카트리지 재생부로 나누어, 각각의 개구된 채널을 마련하는 구조를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재생부측의 가이드(7)(8)는 카트리지 재생부와 재생부이외의 부품사이에 예컨데 엘리베이터의 방진대(防振帶)를 확보하기 위하여 가능한한 작고 얇게 할 필요가 있다.
이와같이 하면, 이 가이드의 부품은 강도, 정밀도의 점에서 제조가 곤란하든가, 혹은 제조 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제33도에 나타내는 것 같이 하가이드(9)는 프로딩 데크에 장착되고, 상가이드(10)는 상하이동하는 엘리베이터(11)에 부착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가 사용된다 해도 프로딩데크가 어떤 일정한 방진대를 확보하고, 또 메카니즘의 소형화를 목표로한 경우는 홀더 크램프부재(12)와 홀더핀(5)사이의 방진대를 확보하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종래의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있어서는 캐리어의 기구가 복잡하게 되어 있으므로, 이 메카니즘에 부착하는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부품수 또한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 카트리지를 반송하는 캐리어의 구성을 간단히 하고, 캐리어가 걸려서 선다든가, 파손, 진동하지 않는 카트리지 교환장치를 확보한 것이다.
또, 다른 목적은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길이가 이동가능하도록 된 캐리어에 의해 감소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의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삽입위치에 설치되고, 반출되는 카트리지의 위치가 재생위치로 되어 카트리지가 공급되는 거리를 감소되도록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를 바꾸는데 필요한 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미니디스크를 수납하는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가 설치되고, 카트리지 교환장치는 그 속에 삽입된 카트리지를 각각 보존하는 복수의 홀더와, 각 홀더에 고정된 복수의 핀과, 각 홀더에 보존된 각 카트리지를 로딩하는 구동원으로서의 로딩모터와, 로딩모터의 회전력을 전송하는 동기 샤프트와, 동기 샤프트로부터 전송된 회전력을 더 전송하는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와, 홀더상의 복수의 핀을 그립부로 그립하고, 스크루샤프트의 나사부에 걸어맞추어 한쌍의 스크루샤프트가 회전하므로서 스크루샤프트의 축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베이스캐리어와 결합되어 스크루샤프트상을 함께 이동가능한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베이스캐리어는 다수의 홀더중의 어느 홀더에 고정된 다수의 핀을 그립하며, 홀더내에 미니디스크등을 수용한 카트리지는 그립부로 각각 삽입·보존되고, 스크루부와 맞물린다.
스크루샤프트가 회전하므로서 베이스캐리어는 스크루샤프트에 따라 이동된다.
스라이드캐리어는 베이스캐리어와 결합되어 있으며, 베이스캐리어와 함께 스크루샤프트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된다.
이 구조로 슬라이드캐리어와 베이스캐리어를 구성하는 캐리어는 원하는 카트리지를 선택하기 위해서 카트리지 삽입부에서 수직으로 움직이고, 또 그것을 반송하는 홀더와 맞물린다.
캐리어는 수평 또는 스크루샤프트의 축을 따라 움직이게 되기 때문에 캐리어의 안정된 수평이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핀은 캐리어의 이동중 보존되기 때문에 진동에 대한 캐리어의 안정된 이동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또, 홀더의 핀은 홀더가 반송될 때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사이의 상대 슬라이딩동작에 의해 견고하게 보존된다.
또, 양쪽 스크루샤프트로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 모두를 움직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의 이동방향에 수직인 가로방향으로 편향(偏向)이 일어나지 않는다.
또, 홀더 핀은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간의 상대적 슬라이드에 의해 카트리지 삽입위치에서 구속을 받지 않게 유지할 수 있으므로, 캐리어는 핀의 간섭없이 수직으로 이동하므로서, 임의의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면에 따르면,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는 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와,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양측을 따라 이동하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한쌍의 스텝 플레이트와, 그리고,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2개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되어 있는 계단식 캠채널(cam channels)을 구비하고,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한쌍의 스텝 플레이트의 계단식 캠채널과 맞물려 있고, 적어도 로딩모터, 동기샤프트, 한쌍의 스크루샤프트, 한쌍의 베이스캐리어 및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는 한쌍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있으며, 각각의 한쪽끝은 베이스캐리어 한쪽끝을 누르고, 다른 한쪽끝은 슬라이드캐리어를 누르고 있다.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각각은 한쌍의 스프링의 각각을 통과한다.
결과적으로 스프링의 각각은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에 의해 형성되는 최소공간 내부에 넣어질 수 있다.
그러므로, 내부공간은 각 스프링을 포함하도록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스프링의 내경을 스크루샤프트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해 놓은 것은 스프링의 중심이 실제로 스크루축의 중심과 일치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 결과로, 스프링은 스크루샤프트와 접촉하지 않으며, 이로서 마찰부하가 생기지 않는다.
또, 넣어진 스프링시스템의 구성은 간단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크루샤프트의 스크루의 조이는 방향은 스프링의 감는 방향과 반대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하여, 스프링이 스크루샤프트와 접촉하게 되는 경우라도 스프링은 스크루샤프트의 스크루에 걸리는 일이 없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예에서, 각 슬라이드캐리어는 슬라이드캐리어와 맞물려 있는 스크루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엘리베이터를 따라 슬라이드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또, 엘리베이터는 슬라이드캐리어가 스크루샤프트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막기 위해 슬라이드캐리어를 그 위에 위치하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스크루샤프트의 회전방향에 있어서, 캐리어의 회전에 의해 일어나는 슬라이드캐리어의 덜커덕 거림(rattling)을 없앨 수 있다.
각 베이스캐리어는 테이퍼된 에지가 있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있으며, 각 슬라이드캐리어는 대응하는 베이스캐리어와 맞물려 있고 베이스캐리어의 그립부를 커버하기 위해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엘리베이터가 수직으로 움직일 때, 홀더가 그의 적정위치에서 약간 편향되면, 캐리어는 홀더에 의해 잡히던가 정지되는 것을 방지한다.
각 베이스캐리어의 그립부는 캐리어의 전진방향을 따라 홀더핀을 그립하는 앞그립부 또는 뒤그립부를 구비할 수도 있다.
전후 그립부는 핀이 그 위를 슬라이드하는 가이드의 중력방향으로 누르도록 끝이 뾰족하게 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홀더핀은 홀더가 덜커덕거림을 방지하기 위해 홀더의 반송중에 캐리어내의 일정위치에서 보존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는, 복수개의 홀더의 핀을 록하기 위해 훅과 같은 현상인 복수의 록 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풀어주는 복수의 슬라이드플레이트를 구동하는 기구와, 그리고 록킹방향으로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바이아싱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는 복수의 홀더의 각각을 록하도록 각 홀더의 구멍을 통해서 각 록플레이트의 끝(tip)이 들어가도록 구성된 복수의 록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바이아싱하는 복수의 스프링과, 복수의 록플레이트를 보존하는 홀더 캐처와,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엘리베이터와, 그리고, 홀더 구멍과 맞물려 있는 각 록플레이트의 끝을 풀도록 각 록플레이트를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매캐니즘(機構)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컨데 캠플레이트가 엘리베이터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이 하여 필요한 부품수를 줄이기 위해 록을 푸는 부재를 더 장치할 필요가 없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평면도를 나타내는 것이다.
제1도에 있어서, 20은 로딩모터, 21은 일련의 기어감속시스템, 22는 도면의 좌우측으로 로딩모터(20)의 구동력을 분배하는 동기샤프트, 23은 동기샤프트(22)로부터 분배된 구동력을 전송하는 좌측 스크루샤프트, 24는 우측의 스크루샤프트이다.
동기샤프트(22)가 회전될 때, 스크루샤프트(23), 스크루샤프트(24)는 기어(gear)구성이 같으며, 동기샤프트(22)로부터 스크루샤프트(23), (24)의 감속비도 같기 때문에 스크루샤프트(23), 스크루샤프트(24)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25는 스크루샤프트(23)의 나사부(Thread portion)와 맞물려서 스크루샤프트(23)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가능한 좌측의 캐리어이다.
26은 스크루샤프트(24)의 나사부에 맞물려서 스크루샤프트(24)의 회전에 의해 전후로 이동가능한 우측의 캐리어이다.
제2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26)의 우측면도이며, 동기샤프트(22)에 부착된 기어 e, 스크루샤프트(24)에 부착된 기어 d, 기어 d와 e 사이에 설치된 기어 c, 기어 f를 통해 스크루샤프트(24)에 회전력이 전송된다.
제3도는 제1도에 표시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캐리어(25)의 좌측면도이며, 로딩모터(20)로 부터의 회전력이 기어(A) 기어(B), 기어(E), 기어(F), 기어(C), 기어(D)를 통하여 스크루샤프트(23)로 회전력이 전송된다.
동기샤프트(22)는 좌우의 캐리어(25)와 캐리어(26)를 전후로 즉, 동기를 이루면서 세로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좌우측에 회전력을 전송한다.
제4도, 제5도는 제1도, 제2도, 제3도에 표시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홀더(30)와 엘리베이터(31)를 추가한 것이며, 엘리베이터(31)에 로딩모터(20), 감속시스템(21), 동기샤프트(22), 스크루샤프트(23),(24), 캐리어(25),(26)의 구성요소를 부착해 놓았으므로, 엘리베이터(31)의 움직임으로 이들 구성요소를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다음에 제6도, 제7도, 제8도는 홀더(30)에 카트리지(도시생략)가 각각 삽입된 홀더(30)를 보존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평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를 나타낸다.
제9도는 홀더캐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카트리지가 삽입될 위치를 「삽입위치」라 한다.
제6도에서 (32),(33),(34),(35)는 홀더(30)에 고정된 핀이다.
핀(32)은 캐리어(25)의 보존부(36)에 전후로 이동이 자유롭게 맞물려 있다.
핀(35)은 캐리어(26)의 보존부(37)에 이동할 수 있게 맞물려 있다.
홀더(30)는 폭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하기 위하여 후레임에 고정된 홀더 캐처(holder catcher)(38)(제9도)에 맞물려 있다.
홀더는 제6도의 도면 표면에 수직의 방향으로 전진이동하지 못하고, 제6도의 도면 표면에 수직방향으로 후진으로만 이동이 가능하다.
제10도, 제11도는 캐리어(25)의 구성을 상세히 나타내는 측면도이며, 그것은 각각 삽입위치와 반송위치에 위치한다.
이후부터는 홀더를 방송하도록 캐리어가 이동하고 있는 상태를 캐리어의 「반송위치」라 한다.
위에서 언급한 도면에서, 40은 스크루샤프트(23)의 나사부와 맞물려있는 베이스캐리어를 나타내며, 이로서 베이스캐리어는 스크루샤프트(23)의 길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고, 또 보존부(36)를 구비한다.
41은 베이스캐리어(40)와 결합되는 슬라이드캐리어를 표시하며, 스크루샤프트(23)의 가이드를 따라 베이스캐리어(40)와 함께 움직이게 할 수 있다.
42는 슬라이드캐리어의 뚜껑부를 나타내며, 이 슬라이드캐리어는 보존부(36)의 개방을 커버하기 위해 보존부(36)로 슬라이드 한다.
43은 스프링을 나타내며, 그의 한쪽끝은 베이스캐리어(40)에 눌려지고 다른끝 부분은 스크루샤프트(23)가 스프링(43)의 내측으로 관통하는 동안 슬라이드캐리어(41)에 눌려진다.
44는 삽입위치에서 슬라이드캐리어(41)와 접촉을 하는 스톱퍼(stopper)를 나타내며, 이 스톱퍼(44)는 엘리베이터의 구부림부에 설치되어 있다(도시생략).
캐리어(25)는 베이스캐리어(40), 슬라이드캐리어(41) 및 스프링(43)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6도에 표시하는 캐리어(26)도 역시 캐리어(25)와 같은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제12도, 제13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카트리지 교환장치가 반송위치에 놓인 캐리어의 상태를 표시하는 정면도, 우측면도, 좌측면도이다.
50은 프로팅데크를 나타내며, 51은 프로팅데크(50)에 고정시킨 좌측가이드판을 나타내며, 또 52는 프로팅데크(50)에 고정시킨 우측가이드판을 나타낸다.
상기의 방법으로 구성된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있어서, 캐리어(25),(26)의 이동의 방향이 수직방향(또는 수직)으로, 또는 복수의 홀더가 적층(stacked)방향으로 움직이는 데 대해서 설명한다.
제15도, 제16도, 제17도는 이 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좌.우측면도이다.
53은 우측바닥, 뒤측을 구성하는 케이스의 프레임을 표시한다.
54는 좌측을 형성하는 케이스의 프레임을 나타낸다.
55는 이 프레임에 고정된 모터를 표시한다.
56은 감속기어군이다.
57은 전후로 움직이도록 모터로 구동되는 스텝플레이트을 표시한다.
58은 스텝플레이트을 표시한다.
31은 스텝플레이트(57)의 계단식 캠 채널(571) 및 (572) 및 스텝플레이트(58)의 계단식 캠 채널(581) 및 (582)을 통해 수직으로 움직이게 하는 엘리베이터이다.
기본적으로 캐리어의 수직이동은 카트리지 삽입위치의 복수의 카트리지중에서 어느 한 카트리지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카트리지가 전후로 반송되는 동안, 카트리지는 캐리어로 보존된다.
즉, 캐리어는 삽입위치에서 수직으로 움직이며, 그리고나서 카트리지를 반송하기 위해 원하는 홀더와 맞물리게 한다.
제15도, 제16도 및 제17도에 있어서, 모터(55)가 회전되면, 감속을 위한 기어군(56)은 모터 회전속도를 미리 정해진 회전속도로 바꾸기 위해 구동되므로, 이에 따라 스텝플레이트(57)와 스텝플레이트(58)는 전후 방향으로 이동되며, 즉 엘리베이터(31)에 의해 지지된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축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결국, 엘리베이터(31)는 한쌍의 스크루샤프트를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 또는 직각으로 움직인다.
결과적으로, 엘리베이터(31)로 지지되는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와 맞물려 있는 캐리어도 수직으로 움직이게 된다.
다음에는 캐리어(25) 및 (26)의 반송을 설명한다.
제1도에서, 로딩모터(20)가 회전되면, 그 회전은 감속시스템(21)으로부터의 동기샤프트(22)로 회전이 전송되며, 이는 스크루샤프트(23)를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이것으로 캐리어(25)를 움직인다.
동시에 스크루샤프트(24)도 또한 캐리어(26)를 움직이기 위해 회전하게 된다.
제10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캐리어(25)와 캐리어(26)가 카트리지 삽입위치에 있을 때, 제10도에 표시하는 바와같이 슬라이드캐리어(41)는 스톱퍼(44)에 접촉하므로, 뚜껑부(42)는 그립부(36)로부터 미끄러져 내려간다.
이와같이 하여 홀더(30)의 핀(32)은 구속받지 않고 그립부(36)안에만 있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캐리어(25)가 제6도의 도면에 직각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캐리어(26)는 또한 핀(35)과 그립부(37)를 잡을 수 있기 때문에 핀(35)은 그립부(37)로부터 자유롭다.
이와같이 하여 캐리어(26)는 도면에 대하여 직각으로 움직일 수 있다.
캐리어가 카트리지 반송위치에 위치될 때, 캐리어(25)는 제10도 및 제11도에 표시한 스프링의 힘으로 닫혀지는 그립부(36)에 의하여 제6도에 표시하는 홀더(30)의 핀을 잡아당기며, 이렇게 하므로서 홀더(30)는 스크루샤프트(23)의 축을 따라 움직이게 된다.
도면에 직각방향의 이동에 관해서는 뚜껑부(42)가 핀(32)을 가이드하기위해 스프링(43)의 힘으로 그립부(36)를 커버하며, 이것으로 제6도의 홀더의 핀(32)이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캐리어(26)는 캐리어(25)에서와 마찬가지 방법으로 동작한다.
반송부를 반송하는 캐리어는 위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삽입위치에서 수직으로 움직이고 또 카트리지를 방송하는 동안, 카트리지를 보존할 수 있기 때문에, 각 단계마다 캐리어의 그립기능을 마련해 줄 필요는 없고, 따라서 필요한 부품의 수는 줄일 수가 있고, 캐리어는 언로딩이 완료되는 앞에서 언급한 위치에서 즉시 상하로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또, 핀(32) 및 (35)가 진동이나 쇼크등에 기인해서 캐리어(25) 및 (26)으로부터 튀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한 구조에서 비정상적 잡음의 발생, 진동 저항의 감소, 구동력의 감소등과 같은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지만, 홀더가 꼬인다든가 또는 다른 문제 때문에 느슨해질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다.
즉, 캐리어의 베이스캐리어는 스크루샤프트의 회전방향에 대항하여 회전하기 때문에 베이스캐리어를 돌리려고 하는 힘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베이스캐리어(40)는 엘리베이터에 마련한 가이드에 의해 베이스캐리어의 회전을 방지하므로서, 진동함이 없이 매끄럽게 움직이게 할 필요가 있다.
또, 베이스캐리어가 캐리어를 반송하는 동안 꼬이게 되면 스크루샤프트가 필요이상으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또, 진동저항을 개선키 위하여 베이스캐리어를 엘리베이터와 맞물리게 하므로서, 진동을 장치에 가하게 될 때는 베이스캐리어로 진동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제18, 19도, 제20도 및 제21도는 캐리어의 슬라이드캐리어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제18도에 나타낸 슬라이드캐리어에 있어서, 슬라이드캐리어(41)상의 구부림부(310)는 엘리베이터위를 슬라이드할 수 있게 설치되고, 그것은 베이스캐리어(40)와 슬라이드캐리어(41)가 스크루샤프트(23)의 회전력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바이하기 위해서이다.
제19도에 있어서는 엘리베이터(31)는 슬라이드캐리어(41)와 스크루샤프트(23)사이에 놓여지며, 화살표방향으로의 회전력에 대항하기 위해서이다.
이 구조로, 베이스캐리어(40)와 슬라이드캐리어(41)의 회전을 방지할 수가 있다.
제20도에 있어서, 긴구멍(311)이 엘리베이터(31)면 위에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드캐리어(41)는 돌출부가 있는 슬라이드캐리어(41)를 가이드하기 위해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며 이는 엘리베이터의 위측의 상면(上面)을 긴 구멍(311)을 따라 슬라이드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제21도는 엘리베이터(31)의 슬라이드부(312)는 베이스캐리어(40)의 측면을 가이드하기 위해 U-자로 꾸부려 놓았으며, 이것도 역시 캐리어의 느슨함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제10도 및 제11도에 있어서 스프링(43)은 압축코일 스프링이다.
스프링(43)은 내부직경을 스크루샤프트(23)의 외부직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하므로서, 스프링(43)은 스크루샤프트(23)의 길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스프링(43)의 외부직경을 베이스캐리어(40)의 내부직경과 같게 하므로서, 스프링(43)의 중심과 스크루샤프트(23)의 길이를 따라 움직일 수 있다.
스프링(43)의 외부직경을 베이스캐리어(40)의 내부직경과 같게하므로서, 스프링(43)의 중심과 스크루샤프트(23)의 중심을 일직선으로 나란히 할 수 있다.
또, 스프링(43)의 감는방향에 대하여 스크루샤프트(23)의 나사산의 조이는 방향을 반대로 하므로서, 만일 스프링(43)이 스크루샤프트(23)과 접촉하고 베이스캐리어(40)가 반송될 때 가한 부하가 증가하면, 발생할 수 있는 스프링의 변형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 베이스캐리어(40)가 스크루샤프트(23)에 의해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스프링(43)에 대하여 스크루샤프트(23)의 나사산의 조이는 방향을 반대로 하므로서, 스프링(43)이 잡히는 것을 방지하며, 이와같이 하므로서, 스크루샤프트(23)와 스프링(43)의 치수를 허용도를 스크루샤프트(23)의 조이는 방향이 스쿠루(43)의 경우에 비하여 줄일 수 있다.
이와같이 하여 스프링(43)의 감은방향에 대하여 스크루샤프트의 조이는 방향을 반대로 하는 것은 장치의 크기를 줄이는데 도움을 준다.
삽입위치에 보존된 홀더가 반송방향으로 뻗어서 돌출되어 정상위치에서부터 방향이 벗어나 있으면 홀더는 캐리어에 의해 걸리지 않고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이로서 홀더는 바르게 반송이 된다.
제22도 및 23도는 상술한 제1의 실시예에 따라 베이스캐리어에서 변형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22a도∼제22c도, 제23도에 있어서, 40은 홀더핀의 그립부를 구비하는 베이스캐리어를 나타내고, 41은 베이스캐리어(40)와 맞물려 있는 슬라이드 캐리어를 나타내며, 베이스캐리어(40)는 그립부를 커버하기 위해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22a도는 홀더의 핀(32)이 정상위치에 보존되어 있을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제22b도는 베이스캐리어(40)와 슬라이드 캐리어(41)가 아래쪽으로 움직이려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핀(32)은 그립부의 둥근 모서리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인다.
제22c도는 베이스캐리어(40)와 슬라이드캐리어(41)의 위쪽으로 움직이려 할 때의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핀(32)은 베이스캐리어(40)의 그립부의 둥근 모서리에 의해 화살표방향으로 움직인다.
베이스캐리어(40)의 그립부가 핀(32)을 반송방향으로 움직이게 할 때 위쪽 또는 아래쪽으로 강제력이 핀(32)에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핀(32)의 중심선이 제23도의 둥근모서리 Ra 및 Rb와 겹쳐지지 않게 설계되어 있다.
같은 처리가 핀(35)에도 마련되어 있다.
제22a∼22c도에 나타낸 캐리어는 상기 기술한 것 같은 구조를 하고 있으므로, 캐리어의 홀더핀이 그립부의 끝의 면(end face)을 뾰족하게 하거나 사각면(斜角面)으로 하여 핀 위치를 교정하는 것을 가능케하여, 즉 핀이 어느정도 편향되어 캐리어가 홀더핀에 잡히지 않고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다 하더라도 그립부의 곡면 또는 경사진 모서리에 의해 홀더위치를 교정하는 것을 가능케 한다.
결과적으로 홀더를 적정하게 반송하도록 캐리어의 록킹을 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핀이 반송되는 동안 발생하는 홀더의 상하 및 좌우의 느슨함을 제거할 필요가 있다.
제24도 및 제25도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베이스캐리어의 측면도이다.
이 도면에서 40은 홀더핀(32)의 그립부를 구비한 베이스캐리어를 나타낸다.
41은 그립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홀더핀(32)의 그립부를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드캐리어를 나타낸다.
32는 홀더에 고정된 핀을 나타낸다.
52는 핀이 반송될 때 핀이 슬라이드하도록 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나타낸다.
상술한 구조를 구비하는 반송방식에 있어서, 캐리어(25)의 전진방향에 대해 뒤방향에 마련된 그립부(362)는 우측으로 뾰족하게 경사져 있고, 캐리어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앞방향에 마련된 그립부(361)는 좌측으로 뾰족하여 경사져 있다.
그러므로, 그립부(362)와 (361)은 홀더가 로드 또는 언로드될 때, 가이드플레이트(52)에 대해 핀(32)을 누르는 힘이 가해진다.
위에서 기술한 바와같이 제24도와 제25도에 있어서, 베이스캐리어(40)는 캐리어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뒤쪽에 위치하고, 또한 우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그립부(362)와 캐리어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앞쪽에 위치하고, 또한 좌측으로 기울어져 있는 그립부를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홀더가 로드 또는 언로드될 때 가이드플레이트(52)에 대해 핀(32)을 누르는 힘이 발생된다.
이와같이 하여 수직부하가 홀더에 가해지며, 이것으로 홀더의 느슨해짐의 원인을 방지한다.
또, 기울기를 갖는 캐리어의 그립부의 홀더핀 접촉부를 마련하므로서, 홀더는 상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홀더는 홀더의 반송중 다른 부분과의 마찰에 따라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6도 및 제27도는 카트리지 교환장치의 홀더를 록킹시스템을 설명하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이를 도면에 있어서 33은 홀더(30)에 고정된 핀을 나타낸다.
60은 핀을 록킹하는 록플레이트를 나타낸다.
61은 록플레이트(60)로 코크(caulk)된슬라이드플레이트를 나타낸다.
62는 슬라이드면(61)을 누르는 캠 플레이트(Cam plate)를 표시한다.
63은 록플레이트(lock plate)(60)를 반시계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을 나타낸다.
이 구조에 있어서, 슬라이드플레이트(61)는 스프링(63)에 의하여 제27도(제26도에서 전진)의 우측으로 바이어스 된 것이다.
홀더(30)의 록(잠금)을 풀기 위해서는 캠플레이트(62)는 선택된 카트리지의 위치로 이동된다.
캡 플레이트(62)가 슬라이드플레이트(61)와 접촉을 하면 슬라이드 플레이트(61)는 내측으로 밀리고, 록플레이트(60)가 핀(33)과 록플레이트(60)사이의 록킹을 풀기 위해 시계방향으로 돌려진다.
결과적으로, 홀더(30)는 카트리지를 자유롭게 반송할 수 있다.
다른 카트리지가 선택되면,홀더(30)는 그의 반송위치로 들어간다.
이때에 록플레이트(60)는 캠 플레이트(62)와 접촉상태로 남아 있다.
이와같이 하여 록플레이트(60)는 우측으로 돌게 끔 유지된다.
그러므로, 홀더(30)를 삽입위치로 되돌려 보내는 것이 가능하다.
그 다음 캡 플레이트(62)가 수직으로 움직인다.
그 다음에는 슬라이드플레이트(61)가 스프링에 의해 우측으로 움직이게 되어 록플레이트(60)가 핀(32)을 록크하기위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제28도 및 제29도는 록킹시스템에 있어서, 다른 예에 따른 홀더의 측면도와 정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64는 홀더(30)에 설치된 구멍을 나타낸다.
65는 구멍(64)를 통과하고 그 끝에 위치시키므로서, 홀더(30)를 록킹하는 록플레이트를 나타낸다.
66은 록플레이트를 바이어싱하는 스프링이다.
67은 록플레이트(65)를 보존하는 홀더캐처를 나타낸다.
68은 엘리베이터(31)에 고정된 로크해제용 캠이다.
이 구조에 있어서, 홀더(30)의 로킹을 풀기위하여, 록해제용 캠(68)을 선택한 카트리지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다음 록 해제용 캠(68)은 록플레이트(65)의 경사진 면과 접촉하고, 록플레이트(65)를 우측으로 밀어올려 확대된 구멍(64)으로부터 빠져 나오게 하므로서, 록을 해제한다.
이 결과 록플레이트(65)의 끝(651)은 구멍(64)밖으로 벗어나게 되어, 록킹을 풀게 된다.
홀더를 록하기 위하여, 록해제용 캠(68)은 록플레이트(65)와 록해제용 캠(68)이 이탈하도록 움직이게 되며, 그 다음에 록플레이트(65)의 끝(651)은 홀더(30)가 록되도록 구멍(64)을 관통한다.
상기 언급에서 자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캐리어에 복수의 그립기능을 마련할 필요가 없고, 캐리어에 부착될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캐리어는 원하는 카트리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카트리지 삽입위치에서 수직으로 움직이고, 그리고 나서 홀더핀은 홀더가 움직이기 전에 그립되므로, 홀더를 고정하여 반송할 수 있다.
또, 스크루샤프트는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를 움직이게 하는 것이 가능하여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의 각각이 서로 동기적(同期的)으로 동작하므로, 좌우 스크루샤프트의 캐리어간에 아무런 편향(偏向)도 일어나지 않는다.
또, 캐리어는 홀더가 카트리지 삽입위치에 위치할 때 홀더핀없이 보존하도록 유지할 수 있기 때문에, 캐리어는 임의의 카트리지를 선택하도록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다.
또, 캐리어는 홀더핀의 간섭을 받음없이 또는 홀더핀에 걸리지 않고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기 때문에 홀더의 느슨해짐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그 회전으로 인한 캐리어의 덜커덕거림(rattling)과 그의 테이퍼로 인한 홀더의 덜커덕거림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에 진동이나 충격으로 인한 핀의 느슨해짐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각 스프링은 각 캐리어의 내측에 들어가 있기 때문에 구조를 간소화할 수 있도록 캐리어의 크기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 캠플레이트는 엘리베이터위에 설치되었기 때문에 록해제부재를 따로 마련할 필요가 없고, 반송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홀더 이외의 홀더들을 록할 수 있고, 또 요구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여러 가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서 벗어남 없이 광범이하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기한 실시예를 제외하고는 어떤 특수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6)

  1. 디스크가 수납된 카트리지를 교환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에 있어서, 삽입된 카트리지를 각각 보존하는 복수의 홀더와, 상기 복수의 홀더에 고정된 복수의 핀과,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어느 하나에 보존되는 카트리지를 장전하는 로딩모터와, 로딩모터의 회전력을 전송하는 동기샤프트와 동기 샤프트로부터 전송되는 회전력을 다시 전송하는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와, 홀더의 복수의 핀중의 하나를 그립하는 그립부를 각각 가지며,한쌍의 스크루 샤프트의 각각에 걸어맞추고, 한쌍의 스크루샤프트가 회전하므로서,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축에 따라서 이동할 수 있는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결합되고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한쌍의 스크루샤프트를 함께 이동시키며, 상기 홀더중의 하나가 이동하는 동안 상기 한쌍의 베이스 캐리어에 대응하는 그립부내에 그립된 상기 복수의 핀중의 하나의 수직이동을 제한하는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에 고정된 모터와,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축에 따라서이동되도록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한쌍의 스텝플레이트와,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축을 포함하는 평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계단식 캠채널을 구비하고, 평면에 수직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쌍의 스텝플레이트의 계단식 캠채널과 걸어맞추고, 적어도 상기 로딩모터, 상기 동기 샤프트, 상기 한쌍의 스크루샤프트,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 및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 캐리어를 지지하는 엘리베이터를 더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가 상기 장치내에 삽입되는 삽입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홀더의 각각을 록킹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 및 슬라이드캐리어에 의해 이송된 경우,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를 풀어주는 홀더 록킹수단과, 복수의 홀더핀을 록킹하기 위한 훅형상의 복수의 록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라이드 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풀어주는 복수의 슬라이드플레이트의 각각을 구동하는 수단과,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구동하는 수단과,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록킹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가 상기 장치내에 삽입되는 삽입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홀더를 각각 록킹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 캐리어에 의해 이송된 때,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를 풀어주는 홀더록킹수단과, 복수의 홀더를 각각 록킹하기 위하여 각 홀더의 구멍을 통하여 각 록플레이트의 끝에 들어가도록 구성된 복수의 록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바이어싱하는 복수의 스프링과, 복수의 록플레이트를 보존하는 홀더 캐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 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와 각 록플레이트와 걸어맞추는 구멍으로부터 각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선단을 풀도록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가 상기 장치내에 삽입되는 삽입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홀더를 각각 록킹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와 슬라이드캐리어에 의해 이송된 때,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를 풀어주는 홀더 록킹수단과, 복수의 홀더를 각각 록킹하기 위하여 각 홀더의 구멍을 통하여 각 록플레이트의 끝에 들어가도록 구성된 복수의 록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바이어싱하는 복수의 스프링과, 복수의 록플레이트를 보존하는 홀더캐처와, 수직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와 각 록플레이트와 걸어맞추는 구멍으로부터 각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선단을 풀도록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구동하는 엘리베이터에 장착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홀더가 상기 장치내에 삽입되는 삽입위치에서 상기 복수의 홀더의 각각을 록킹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 및 슬라이드캐리어에 의해 이송된 경우,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를 풀어주는 홀더록킹수단과, 복수의 홀더핀을 록킹하기 위한 훅형상의 복수의 록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로 회전자재하게 지지된 복수의 슬라이드플레이트와,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독립적으로 풀어주는 복수의 슬라이드플레이트의 각각을 구동하는 수단과,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구동하는 수단과, 복수의 록플레이트의 각각을 록킹방향으로 바이어싱하는 복수의 스프링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의 각각은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각각과 걸어맞춰서 회전방향으로부터의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 각각의 회전을 저지하기 위하여 엘리베이터에 따라서 슬라이드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의 각각은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가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를 이송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핀중의 하나의 수직상향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그립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의 각각의 그립부는 테이퍼된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의 각각은 대응하는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중의 하나와 걸어맞춰서, 그립부내에 위치하는 상기 복수의 핀중의 하나의 수직상향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의 각각의 그립부를 부분적으로 커버하는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의 각각의 슬라이드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중의 하나와 협동하여 상기 한쌍의 베이스 캐리어 각각의 그립부내에서 그립된 상기 복수의 핀중의 하나의 수직하향이동을 제한하는 가이드플레이트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의 각각의 그립부는,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의 각각 전진방향에 따라,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의 핀을 그립하는 앞그립부와 후그립부를 구비하고, 상기 앞 뒤 그립부는 핀을 슬라이드하는 가이드판으로 하향방향으로 상기 복수의 홀더의 하나의 핀을 누르도록 테이퍼가 붙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대응하는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와 베이스캐리어의 각각은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가 이송될 때, 대응하는 슬라이드 및 베이스캐리어를 서로 끌어당기도록 하는 스프링으로 된 작동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작동수단의 각각의 일단은 베이스캐리어중의 하나에 대항하여 눌려지고, 타단은 슬라이드캐리어에 대항하여 눌려지는 한쌍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대응하는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각각은 상기 스프링을 관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스프링의 각각의 내경은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각각의 외경보다 약간 크게 설정되어, 상기 한쌍의 스프링과, 상기 한쌍의 스크루 샤프트의 중심을 대략 일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한쌍의 스크루샤프트의 각각의 스크루를 조이는 방향과 한쌍의 스프링의 각각에 대응하는 감는 방향이 반대가 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의 각각은 상기 한쌍의 슬라이드캐리어가 상기 복수의 홀더중의 하나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복수의 핀중의 하나의 수직상향이동을 제한하도록 상기 한쌍의 베이스캐리어중의 하나에 대응하는 그립부의 상부를 커버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트리지 교환장치.
KR1019950031549A 1994-10-03 1995-09-23 카트리지 교환장치 KR0177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890394A JP3215771B2 (ja) 1994-10-03 1994-10-03 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JP94-238903 1994-10-0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485A KR960015485A (ko) 1996-05-22
KR0177009B1 true KR0177009B1 (ko) 1999-04-15

Family

ID=17036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1549A KR0177009B1 (ko) 1994-10-03 1995-09-23 카트리지 교환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87989A (ko)
JP (1) JP3215771B2 (ko)
KR (1) KR0177009B1 (ko)
CN (1) CN1082226C (ko)
DE (1) DE1953350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31294B2 (ja) * 1994-10-19 2004-05-24 三菱電機株式会社 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JP3434420B2 (ja) * 1996-08-28 2003-08-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チェンジャ
CN105244047B (zh) * 2015-11-06 2017-09-12 苏州互盟信息存储技术有限公司 单张抓起顺序收集式抓盘器、抓盘系统及加载光盘的方法
CN107334385A (zh) * 2017-04-14 2017-11-10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烤制烹饪设备
CN112237315B (zh) * 2019-07-17 2023-09-29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扣具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0131B2 (ja) * 1984-11-08 1995-07-31 ソニー株式会社 デイスクチエンジヤ付デイスクプレ−ヤ
JPS6450274A (en) * 1987-08-21 1989-02-27 Pioneer Electronic Corp Auto-changer type disk player
US5046059A (en) * 1987-08-22 1991-09-03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ultiple disc player with mechanism for changing of discs
JPS6489066A (en) * 1987-09-30 1989-04-03 Pioneer Electronic Corp Autochanger device for digital audio cassette tape player
US5021902A (en) * 1988-02-17 1991-06-04 Hitachi, Ltd. Tape changer for loading and unloading a magazine of magnetic tape cartridges
US5084859A (en) * 1988-07-15 1992-01-28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Multi-magazine disc player
JPH03222141A (ja) * 1990-01-29 1991-10-01 Pioneer Electron Corp テーププレーヤのカセットオートチェンジ装置
US5045958A (en) * 1990-03-05 1991-09-03 Storage Technology Corporation Positioner for magnetic tape cartridge magazine
US5267225A (en) * 1991-02-26 1993-11-3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Automatic disc player system loaded with a multiplicity of selectable discs
US5450391A (en) * 1994-01-18 1995-09-12 Sony Electronics Inc. Cartridge engagement system for optical disk cartridg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33508A1 (de) 1996-04-04
KR960015485A (ko) 1996-05-22
DE19533508C2 (de) 1998-09-10
JPH08106702A (ja) 1996-04-23
CN1082226C (zh) 2002-04-03
JP3215771B2 (ja) 2001-10-09
US5587989A (en) 1996-12-24
CN1120722A (zh) 1996-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4396B1 (en) Tape apparatus mechanism
US4850485A (en) Cartridge magazine
CA2029221A1 (en) Mass loader mechanism and method
KR0177009B1 (ko) 카트리지 교환장치
US5894469A (en) Disk file apparatus for automatically taking out and inserting disk cartridges
US5230574A (en) Recording apparatus having a compound movement print head
US5654838A (en) Library apparatus having recording medium entry and ejection units
JPH0512821A (ja) カートリツジ・マガジン
US5481419A (en) Cassette holder moving mechanisms
US5140475A (en) Tape recorder with automatic pre-reproduction tape slack eliminating function
US5394282A (en) Cartridge holding mechanism for magnetic tape cartridge apparatus
KR20130027423A (ko) 디스크 반송 장치
JP2001155399A (ja) 磁気テープライブラリ装置
JP2687402B2 (ja)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US5724207A (en) Cassette holder for individually holding different size cassettes
JPH08195013A (ja) 集合型情報記録装置
EP1100082B1 (en) Cassette holder
US8122461B2 (en) Optical disc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trays with a cam for contacting the plurality of trays
KR930003186B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테이프 이완 해소장치
JPH08115553A (ja) カートリッジ交換装置
JP2841499B2 (ja) カセツトオートチエンジヤー
KR930010476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헤드 착설판 이동타이밍 제어장치
KR19990031247A (ko) 광기록 매체 트레이 취출장치
CN1174379A (zh) 磁带记录器的磁带盘心锁定释放机构
JP3455317B2 (ja) 記録媒体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0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