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705B1 -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 Google Patents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705B1
KR0176705B1 KR1019900021887A KR900021887A KR0176705B1 KR 0176705 B1 KR0176705 B1 KR 0176705B1 KR 1019900021887 A KR1019900021887 A KR 1019900021887A KR 900021887 A KR900021887 A KR 900021887A KR 0176705 B1 KR0176705 B1 KR 01767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 tray
loading
loading gear
gear
dis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218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3158A (ko
Inventor
다다오 구로스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ublication of KR910013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3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5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not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53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 G11B17/056Indirect insertion, i.e. with external loading means with sliding load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consisting of a single rotatable tray carrying the disk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22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 G11B17/26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from random access magazine of disc records the magazine having a cylindrical shape with vertical axi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02Cabinets; Cases; Stands; Disposition of apparatus therein or thereon
    • G11B33/08Insulation or absorption of undesired vibrations or sounds

Landscapes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 Automatic Disk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콤팩트디스크나 레이저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디스크를 재치하고, 겉상자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위치와 겉상자체내에 인입된 인입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디스크트레이의 로딩기구에 대한 것이다. 로딩기어와 디스크트레이의 랙과의 맞물림을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이 완료되기 직전에 해제하는 동시에, 로딩기어의 캠편과 디스크트레이의 피압접편과의 계합을 개시시키고, 그 후의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을 캠편의 피압접편에 대한 압동에 의해 행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속도를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완료직전에 감소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완료시에 생기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다. 이로써, 디스크트레이와 그 인입위치를 규제하는 상자체측의 부재와의 충돌에 의한 충돌음을 없애고, 또한 그 충돌로 인한 디스크플레이어의 각 부의 충격을 없애고, 디스크플레이어의 품위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제1도는 종래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의 요부에서의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제1a도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제1b도는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드스크트레이 로딩기구의 로딩기어의 사시도.
제3도는 디스크트레이가 겉상자체밖으로 인출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원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의 전체사시도.
제4도는 디스크트레이가 겉상자체내로 인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기구의 전체사시도.
제5도는 겉상자체를 벗겨낸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평면도.
제6도는 디스크트레이 및 샤시의 사시도.
제7도는 디스크트레이 및 샤시의 분해사시도.
제8도는 제5도의 Ⅷ - Ⅷ선에 따른 단면도.
제9도는 로딩기어의 확대평면도.
제10도는 로딩기어의 사시도.
제11도는 로딩기어의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제12도는 디스크트레이의 인출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2a도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제12b도는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3도는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완료직전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3a도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제13b도는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4도는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4a도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제14b도는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5도는 로딩완료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5a도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제15b도는 요부의 확대단면도.
제16도는 디스크트레이가 인입상태로부터 인입완료직전의 상태로 되돌아온 상태를 나타내는 요부의 확대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4 : 상자체 7 : 디스크트레이
13 : 랙 15 : 피압접편
20 : 기록매체디스크 27 : 디스크트레이로딩기구
28 : 로딩기어 34 : 인입상태유지편
35 : 캠편
본원 발명은 신규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콤팩트디스크나 레이저디스크 등의 기록매체디스크를 재치하고, 겉상자체에 대하여 인출(引出)된 인출위치와 겉상자체내에 인입(引入)된 인입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디스크트레이의 로딩기구에 관한 것이다.
디스크플레이어에는 기록매체디스크를 재치한 트레이를 플레이어의 상자체내에 대략 수평방향으로 인입하는 이른바 리니어스케이팅(linear skating)타입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를 채용한 것이 있다.
이와 같은 리니어스케이팅타입의 트레이로딩기구를 채용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있어서는, 디스크트레이의 로딩완료후 기록매체디스크의 처킹을 행하기 위해 디스크프레이의 하강 또는 메카니칼 데크(mechanical deck)의 상승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리니어스케이팅타입의 트레이로딩기구는 하나의 구동원으로 디스크트레이의 상자체내로의 인입 및 디스크트레이의 하강 또는 메카니칼 데크의 상승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디스크트레이에 형성된 랙과 맞물리는 로딩기어에는 톱니부와 결치부(缺齒部)가 형성되고, 그 톱니부가 디스크트레이의 랙과 맞물려 있을 때에 디스크트레이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고, 또 그 결치부에 의해 디스크트레이의 랙과 로딩기어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을 때 디스크트레이의 하강 또는 메카니칼 데크의 상승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는 기록매체디스크의 처킹을 디스크트레이에 대하여 메카니칼 데크를 상승시켜서 행하는 리니어스케이팅타입의 디스크 트레이 로딩기구 a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b는 하면이 개구된 박형의 상자모양의 디스크트레이이며, 그 안쪽에는 평면원형이고 평평한 디스크재치요부(凹部) 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디스크트레이 b는 도시하지 않은 상자체의 가이드부에 지지되어서 상자체내에 인입된 인입위치와 상자체로부터 그 대략 전체가 인출된 인출위치와의 사이를 이동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d는 디스크트레이 b의 하면에 그 이동방향으로 뻗도록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그 좌측면에 톱니부가 형성된 랙이며, 후술하는 로딩기어와 맞물려서 로딩기어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트레이 b의 인출 및 인입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e는 디스크트레이 b의 인입위치를 규제하는 디스크트레이 b측의 충돌편이며, 이 충돌편 e은 디스크트레이 b의 바로 앞쪽의 하면에 수직으로 설치되고, 후술하는 스토퍼부재에 충돌한 위치가 인입위치가 되도록 되어 있다.
f는 디스크트레이 b의 인입위치에서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디스크트레이 b측의 피압접편이며, 디스크트레이 b의 하면에서, 디스크 트레이의 인입위치에 있어서 후술하는 로딩기어의 위쪽에 위치하는 부분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있다.
g는 상자체의 저판(底板)내의 바로 앞쪽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은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로딩기어이며, 평기어의 형상이며, 로딩기어의 외주에지의 대략 210˚의 범위에 기어톱니가 형성된 톱니부 h와, 그 나머지의 기어톱니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결치부 i를 구비하고 있다.
j는 로딩기어 h의 하면에 이것과 동심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캠통이고, 이 캠통 j의 외주면에는 캠홈 k이 형성되어 있다.
은 로딩기어 g의 상면에 형성된 인입상태지지편이며, 평면에서 보아 중심각이 약 165˚의 원호형이고, 로딩기어 g와 동심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이 인입상태지지편ℓ의 위쪽에서 본 시계회전방향측 에지와 톱니부 h의 반시계회전방향측 에지는 중심각에서 대략 110˚의 각도로 이간되어 있다.
또, 상기 캠홈 k은 로딩기어 g의 톱니부 h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이 캠통 j의 상측부분에 대략 수평으로 형성되고, 로딩기어 g의 결치부 i의 아래쪽에 위치한 부분이 시계회전방향측으로 감에 따라 하측으로 변위해 가도록 형성되어 있다.
m은 상자체의 저판의 바로 앞에 치우친 위치에 돌출설치된 스토퍼부재이며, 디스크트레이 b가 인입위치에 왔을 때 상기 충돌편 e이 충돌하여, 디스크트레이 b가 그 이상 인입되는 것을 저지하는 것이다.
n은 상자체내의 상기 로딩기어 g의 후방에 배설된 메카니칼 데크이며, 그 후단부에 턴테이블 o이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이 턴테이블 o의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픽업 p이 지지되며, 또 메카니칼 데크 n의 전단부에 계합자 q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메카니칼 데크 n는 픽업 p이 지지된 부분으로부터 전방의 위치가 상자체에 좌우방향으로 뻗도록 고정된 지지축 r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서, 메카니칼 데크 n의 전후양단이 시소형으로 상하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계합자 q가 상기 로딩기어 g의 캠통 j의 캠홈 k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계합하여, 캠홈 k과의 계합위치가 낮을 때는 메카니칼 데크 n가 대략 수평상태로 되고, 턴테이블 o 및 픽업 p이 디스크트레이 b의 디스크재치요부 c의 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약간 돌출하도록 위치하며, 또 캠홈 k과의 계합위치가 높을때는 메카니칼 데크 n는 후단이 낮아지도록 경사져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카니칼 데크 n가 수평상태로 되어 디스크재치요부 c의 저면으로부터 턴테이블 o 및 픽업 p이 약간 돌출했을 때는 디스크재치요부 c내에 재치된 디스크 s가 턴테이블 o에 의해 처킹되도록 되어 있으며, 또 메카니칼 데크 n가 경사졌을 때는 디스크 s에의 처킹이 해제되어서 재차 디스크 s가 디스크재치요부 c에 재치되고, 디스크트레이 b의 상자체로부터의인출이 가능해진다.
이리하여, 이와 같은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a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디스크트레이 b가 인출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그 랙 d의 후단에 치우친 톱니가 로딩기어 g의 톱니부 h의 반시계회전방향측 에지에 위치하는 톱니와 맞물려 있으며, 이 상태로부터 로딩기어 g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랙 d을 후방으로 보내고, 디스크트레이 b를 상자체내에 인입한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메카니칼 데크 n의 계합자 q는 캠통 j상측의 캠홈 k과 계합하고 있으며, 따라서 메카니칼 데크 n는 경사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다음에, 디스크트레이 b가 상자체에 인입되어서 그 충돌편 e이 상자체측의 스토퍼부재 m에 충돌되면, 동시에 로딩기어 g의 톱니부 h의 시계회전방향측 에지에 위치하는 톱니와 랙 d의 앞에지에 위치하는 톱니와의 계합이 해제되고, 또한 로딩기어 g의 인입상태유지편 ℓ이 전방에서 보아 좌측으로 회전해 들어와서 그 내주면과 디스크트레이 b의 피압접편 f의 앞에지면이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이로 인해, 로딩기어 g가 더욱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해도 디스크트레이 b는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고, 또 인입상태유지편 ℓ과 피압접편 f의 계합에 의해 디스크트레이 b는 전방으로 인출되지 않고, 인입위치에 유지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로딩기어 g가 더욱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계합자 q는 캠홈 k에 안내되어서 아래쪽으로 변위해 가고, 메카니칼 데크 n가 수평상태로 되며, 턴테이블 o이 디스크 s를 처킹하게 되어 기록 또는 재생이 가능한 상태로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a에 있어서는 디스크트레이 b를 인입위치에 도달시켰을 때 그 충돌편 e이 상자체측의 스토퍼부재 m에 충돌되어, 충돌음이 발생하고, 또 적지 않게 그 충돌에 의한 충격이 메카니칼 데크 n 또는 회로기판 등으로 전파되어, 광학계를 구비한 당해 디스크플레이어에 악영향을 미친다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트레이를 상자체내에 인입하기 위한 로딩기어를 개량함으로써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완료시에 발생하는 충돌음을 없애고, 또 인입완료시의 충돌에 의해 디스크플레이어에 가해지는 충격을 없애어, 디스크플레이어의 품위를 향상시키도록 한 신규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의 한 양상에 의하면, 디스크들이 탈거가능하게 놓여지고,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위치와 상자체안에 인입된 인입위치사이를 이동하며, 이동방향의 측면을 따라 뻗은 랙을 구비하는 디스크트레이와;
상기 상자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상기 랙과 맞물리게 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는 로딩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트레이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기어와 대면하는 위치에 피압접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기어에는 상기 로딩기어와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호형을 가지고, 상기 피압접편과 결합하여 인입위치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피압접편과 맨 먼저 맞물리는 단부에 형성된 캠편을 포함하는 인입상태유지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 완료 직전에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므로 상기 피압접편에 대한 상기 캠편의 가압 운동에 의하여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을 완료하는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를 제공한다.
본원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쉽게 이해될 것이다.
다음에, 본원 발명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를 도면(제3도 내지 제16도)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는 본원 발명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를 복수의 콤팩트디스크를 수납하는 동시에 하나의 콤팩트디스크를 선택하여 재생을 행하는 이른바 오토체인지방식의 디스크플레이어로서,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완료후 메카니칼 데크가 상승하여 콤팩트디스크의 처킹을 행하는 디스크플레이어에 적용한 것이다.
[a 상자체]
(제3도 내지 제8도)
(1)은 디스크플레이어이다.
(2)는 디스크플레이어(1)의 겉상자체이며, 이 겉상자체(2)는 그 하면 및 후면(제3도에 있어서 좌경하방(左傾下方)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측이라 하고, 우경상방(右傾上方)으로 향하는 방향을 후측이라 한다. 또, 이 도면에 있어서 좌경상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측이라 하고, 우경하방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측이라 한다. 다음 설명에 있어서도 방향을 표시할 때는 이 방향에 의한다)이 개방된 비교적 얇은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전면판의 상측 대략 절반의 부분에 좌우방향으로 길고 좁은 트레이출입구(3)가 형성되어 있다.
(4)는 겉상자체(2)의 하면 및 후면을 폐쇄하는 샤시이며, 이 샤시(4)에 겉상자체(2)가 이것을 덮도록 장착되었을 때, 샤시(4)의 상면이 상기 트레이출입구(3)의 하변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또, (4a)는 샤시(4)를 평면에서 보아 그 좌후측의 부분에 형성된 장방형상의 메카니칼 데크배치공이며, 또 왼쪽 앞부분에는 후술하는 로딩기어나 로딩모터 등이 배치되는 요부(凹部)(4b)가 형성되어 있다.
(5)는 트레이지지돌기이며, 이들 트레이지지돌기(5)는 샤시(4)의 상판에 상기 트레이출입구(3)의 좌우양단과 각각 따로 대응하는 부분에 각각 전후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쪽을 향해서 돌출설치되어 있다.
(6)은 샤시(4)의 앞부분에서 트레이지지돌기(5)중 맨앞에 위치하는 좌우 2개중 약간 내측에 고정설치된 스토퍼부재이며, 이 스토퍼부재(6)는 고무 등의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며, 후술하는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위치를 규제한다.
[b 디스크트레이]
(제3도 내지 제8도)
(7)은 상기 트레이지지돌기(5)에 의해 샤시(4)에 대하여 슬라이드할 수 있게 지지된 디스크트레이이며, 이 디스크트레이(7)는 위쪽에서 본 형상이 샤시(4)보다 대략 1주(周) 작은 대략 정방형상의 얇은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상면에는 이 디스크트레이(7)의 1변의 길이보다 약간 짧은 길이의 직경을 가진 큰 원형요부(8)가 형성되며, 또 이 원형요부(8)의 중심으로부터 테이블지지축(9)이 위쪽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 원형요부(8)의 저판의 좌후측부분에는 장방형의 절결(8a)이 형성되고, 이 절결(8a)은 디스크트레이(7)가 겉상자체(2)에 인입되었을 때 상기 샤시(4)의 메카니칼 데크배치공(4a)에 대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메카니칼 데크의 턴테이블 및 픽업 등이 원형요부(8)내에 돌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10)은 디스크트레이(7)의 하면에서 그 좌우양측부에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형성되고, 또 아래쪽으로 개구된 피안내홈이며, 상기 트레이지지돌기(5)에 슬라이드할 수 있게 계합됨으로써 디스크트레이(7)는 샤시(4)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게 지지된다.
(11)은 그 후단부가 디스크트레이(7)의 후방좌코너에 지지되며, 우경전방으로 뻗은 클램프암이며, 클램프암(11)은 좌경전방에서 보아 대략 ┐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대략 수평으로 뻗은 상편(上片)(11a)의 전단부에 형성된 구멍(11b)에 대략 드럼형상을 한 처키우재(12)가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처킹부재(12)는 2매의 원판과, 이 2매의 원판사이에 위치되 대략 도우넛형의 마그넷으로 이루어지며, 그 중심은 디스크트레이(7)의 후부좌코너와 상기 원형요부(8)의 중심과의 사이의 중간위치로부터 원형요부(8)의 중심에 치우쳐 위치하고 있다.
(13)은 디스크트레이(7)의 하면중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뻗도록 고정된 랙이며(제5도 내지 제8도 참조), 이 랙(13)은 디스크트레이(7)의 전후방향의 길이의 대략 절반의 길이로 그 전후방향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또 그 톱니가 좌측을 향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디스크트레이(7)는 이 랙(13)이 후술하는 로딩기구의 로딩기어에 의해서 전후방향으로 보내짐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며, 이로써 제3도에 도시하고, 또 제5도에 2점쇄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그 앞으로 치우친 대략 3분의 1정도의 부분이 트레이출입구(3)로부터 겉상자체(2)밖으로 돌출한 위치(이하, 이 위치를 인출위치라 함)와, 제4도에 도시하고, 또 제5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바와 같이, 디스크트레이의 앞끝면이 트레이출입구(3)를 막는 위치(이하, 이 위치를 인입위치라 함)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랙(13)의 앞끝에 위치하는 기어톱니(131)는 다른 기어톱니보다 그 톱니만이 크게 형성되어 있다.
(14)는 디스크트레이(7)의 하면의 전측의 좌우양단부에 수직으로 설치된 충돌편이며, 상기 피안내홈(10)보다 약간 내측에 위치되어 있고, 디스크트레이(7)가 겉상자체(2)에 인입되어 인입위치에 왔을 때 샤시(4)에 형성된 스토퍼부재(6)에 충돌편의 전방으로부터 충돌하도록 되어 있다.
(15)는 디스크트레이(7)의 하면에서 상기 랙(13)의 전단부로부터 좌경전방으로 약간 이간된 위치에 돌출설치된 피압접편이며,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로딩기어의 위쪽에 위치하고, 이 로딩기어의 상면에 형성된 인입상태유지편과 계합하도록 되어 있다.
[c 디스크테이블]
(제5도 내지 제8도)
(16)은 상기 디스크트레이(7)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디스크테이블이다.
이 디스크테이블(16)은 전체로서 본 형상이 대략 원판형을 이루며, 디스크트레이(7)의 원형요부(8)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직경을 가진 동시에, 그 중심부에 대략 원통형을 한 보스(17)가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형성되며, 이 보스(17)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7)에 설치된 테이블지지축(9)이 회전할 수 있게 삽입됨으로써, 상기 원형요부(8)내에 위치한 상태에서 디스크트레이(7)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다.
또, 디스크테이블(16)의 외주면에는 기어부(18)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테이블구동기어와 맞물려서, 이 테이블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디스크테이블(16)이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테이블(16)의 상면은 디스크트레이(7)의 상면과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되어 있다.
(19)는 디스크테이블(16)의 상면의 중심부와 외에지부와의 사이의 영역에 대략 환상으로 배열형성된 디스크재치부이며, 이들 디스크 재치부(19)는 그 외주의 일부가 잘려 있으나 전체로 보다 대략 원형을 이루는 얕은 요부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재치부(19)는 콤팩트디스크라고 하는 디스크(20)(제3도 참조)를 1매씩 재치하기 위한 요부이며, 그 크기는 디스크(20)가 대략 알맞게 수납되는 정도의 크기로 되어 있으며, 또 그 깊이는 이것에 재치된 디스크(20)가 디스크테이블(16)의 상면보다 약간 낮에 위치되는 정도의 깊이로 되어 있다.
또,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디스크재치부(19)는 전부 5개 배설되어 있으며, 따라서 디스크테이블(16)에는 최대 5매의 디스크(20)를 재치할 수 있다.
(21)는 디스크재치부(19)의 각 저부에 형성된 개구부이며, 이 개구부(21)는 디스크재치부(19)에서 재치된 디스크(20)의 일부를 후술하는 턴테이블 및 광학픽업 등으로 이루어지는 메카니칼 데크에 대면하게 하기 위한 구멍이며, 위쪽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는 동시에, 디스크재치부(19)가 상기 메카니칼 데크에 대항하고, 후술하는 재생위치에 왔을 때 전후방향으로 뻗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d 디크스테이블의 회전 및 위치제어]
(제5도 내지 제8도)
(22)는 디스크트레이(7)의 후방우코너에 배설된 테이블구동모터이며, 이 테이블구동모터(22)이 출력축에 출력풀리(23)가 고정되고, 이 출력폴리(23)와 테이블구동모터(22)의 왼쪽으로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종동풀리(24)와의 사이에 무단벨트(25)가 걸쳐져 있으며, 종동풀리(24)에는 이것과 동심으로, 또한 일체로 테이블구동기어(26)가 형성되며, 이 테이블구동기어(26)가 디스크테이블(16)에 형성된 상기 기어부(18)와 맞물려 있다.
그리고, 테이블구동모터(22)가 구동되면, 출력폴리(23) - 벨트(25) - 종동풀리(24) - 테이블구동기어(26)의 순으로 그 회전이 전달되어, 이로써 디스크테이블(16)이 회전되게 된다.
또한, 디스크테이블(16)은 항상 제5도에 있어서의 시계회전방향 및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또 디스크테이블(16)의 위치 및 디스크재치부(19)에 재치된 디스크(20)의 유무 등은 도시하지 않은 검출수단에 의해서 검출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스크테이블(16)은 디스크트레이(7)가 인출위치로부터 인입위치로 이동되어 가는 동안, 또는 인입위치에 와 있는 상태(이하, 인입상태라 함)에 있어서 필요에 따라 회전되는 동시에, 디스크재치부(19)중 재생을 행할 디스크(20)가 재치된 것이 상기 처킹부재(12)의 바로 아래의 위치(이하, 재생위치라 함)에 왔을 때 정지되도록 되어 있다.
[e 로딩기구]
(제5도, 제7도 내지 제16도)
(27)은 상기 디스크트레이(7) 및 메카니칼 데크를 이동시키기 위한 로딩 기구이다.
[e-1 로딩기어]
(제9도 내지 제11도)
(28)은 샤시(4)의 좌측앞에 치우쳐 설치된 평기어형의 로딩기어이며, 이 로딩기어(28)는 그 외주에지에서 중심각이 대략 210˚의 범위로 구동기어부(29)가 형성되고, 나머지의 대략 150˚의 범위가 결치부(30)로 되며, 또 로딩기어(28)의 하면의 중심으로 삽통공이 형성된 보스(31)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샤시(4)의 상기 요부(4b)내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 구동기어부(29)가 소정의 위치에서 디스크트레이(7)의 랙(13)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또, 로딩기어(28)의 기어부(29)중 위쪽에서 보아 시계회전방향측 끝에 위치하는 기어톱니(291)(이하, 제1의 기어톱니라 함)와 그 이웃의 기어톱니(292)(이하, 제2의 기어톱니라 함)사이의 톱니저부에 반경방향으로 뻗는 한변(32a)의 단부가 개구하며, 다른 변(32b)이 둘레방향으로 뻗는 대략 L자형의 절결(32)이 형성되어서, 이로써 기어부(29)의 당해 부분에 반경방향으로 탄력성을 가진 탄성편(33)이 형성되며, 이 탄성편(33)의 선단에 제1의 기어톱니(291)가 위치하고 있어 반경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L자형의 절결(32)의 한변(32a)의 제2의 기어톱니(292)측 에지부에는 로딩기어(28)의 대략 중심측으로 향하는 스텝부(32c)가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탄성편(33)의 선단부에는 상기 스텝부(32c)에 대향하는 볼록부(33a)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편(33)이 외측으로 휘었을 때 상기 볼록부(33a)가 스텝부(32c)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써 탄성편(33)의 외측에의 요굴량(撓屈量) 즉 제1의 기어톱니(291)의 바깥쪽으로의 돌출량이 구제되고 있다.
또한, L자형의 절결(32)의 다른 변(32b)의 탄성편(33)측의 반대측 에지부의 한변(32a)에 치우친 위치에는 이 절결(32)의 간격을 좁히도록 돌출부(32d)가 형성되어 있으며, 탄성편(33)이 내측으로 휘었을 때 탄성편(33)의 선단에 치우친 부분이 상기 돌출부(32d)에 접촉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로써 탄성편(33)의 내측으로의 요굴량 즉 제1의 기어톱니(291)의 오목하게 들어가는 양이 규제되어 있다.
(34)는 로딩기어(28)의 상면으로서 그 중심과 외주에지와의 대략 중간위치에 로딩기어(28)와 동심으로 중심각이 대략 140˚의 원호형으로 형성된 돌조(突條)형상을 한 인입상태유지편이며, 이 인입상태 유지편(34)의 시계회전방향측 끝은 상기 구동기어부(29)의 제1의 기어톱니(291)로부터 중심각이 대략 85˚의 각도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치우친 곳에 위치되며, 또 이 인입상태유지편(34)의 반시계회전방향측 끝에는 이것과 연속해서 반시계회전방향으로 감에 따라 약간 바깥쪽으로 변위한 캠편(35)이 중심각이 대략 25˚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인입상태유지편(34)은 그 내측면(34a)이 상기 디스크트레이(7)의 인입상태에 있어서 피압접편(15)의 앞끝에지에 계합하여 디스크트레이(7)의 인입상태가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상기 캠편(35)은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오기 직전에 상기 피압접편(15)과 계합하도록 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그 계합은 로딩기어(28)와 랙(13)과의 맞물림이 풀림과 대략 동시에 이루어지며, 그 상태로부터 인입상태까지 디스크트레이(7)를 인입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편(35)의 선단부로 감에 따라 바깥쪽으로 변위하는 그 편위율(偏位率)은 로딩기어(28)가 등속회전한 경우에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와 랙(13)의 맞물림에 의한 디스크트레이(7)의 인입속도보다 이 캠편(35)과 피압접편(15)의 계합에 의한 디스크트레이(7)의 인입속도가 늦어지도록 설정되고, 또 캠편(35)의 선단부의 편위량(상기 인입상태유지편(34)의 내측면(34a)의 연장선상과 캠편(35)의 선단부를 로딩기어(28)의 직경방향으로 연결한 그 거리) ℓ은 랙(13)과 로딩기어(28)와의 맞물림이 풀린 순간에 있어서의 디스크트레이(7)의 겉상자체(2)의 트레이출입구(3)로부터의 돌출량 ℓ1과 대략 같으며, 또 그 상태에 있어서의 스토퍼부재(6)와 충돌편(14)과의 간격 l2보다 약간 크게 되어 있다. 또한, 언로딩동작이 개시됨과 동시에 디스크트레이(7)를 서서히 밀어내는 트레이 푸시아웃 캠편(60)이 캠편(35)의 내주측에 설치되어 있다. 캠편(60)은 언로딩시에 피압접편(15)을 밀어내는 돌출부(60a)가 캠편(35)의 선단부에 대면하도록 되어 있다.
[e-2 캠통]
(제9도 내지 제11도)
(36)은 로딩기어(28)의 하면에 이것과 동심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캠통이며, 이 캠통(36)의 외주면에 캠홈(37)이 형성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메카니칼 데크의 상승과 하강을 담당하는 것이다.
캠홈(37)은 캠통(36)의 외주면의 상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중심각이 대략 270˚의 범위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어서 메카니칼 데크를 하강위치에서 지지하는 부분(37a)(이하, 하강지지 부분이라 함)과, 시계회전방향으로 감에 따라 아래쪽으로 변위하여 중심각이 대략 75˚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어 메카니칼 데크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부분(37b)(이하, 이동부분이라 함)과, 하단에 치우친 위치에서 수평방향으로 뻗어 중심각이 대략 15˚의 범위로 형성되어 있어 메카니칼 데크를 상승위치에서 지지하는 부분(37c)(이하, 상승지지부분이라 함)으로 이루어진다.
또, 캠홈(37)의 하강지지부분(37a)과 이동부분(37b)의 경계부는 상기 로딩기어(28)의 제1의 기어톱니(291)로부터 대략 20˚의 중심각으로 반시계회전방향측에 치우친 곳에 위치하고, 또 캠홈(37)의 이동부분(37b)과 상승지지부분(37c)의 경계부는 상기 로딩기어(28)의 제1의 기어톱니(291)로부터 대략 60˚의 중심각으로 시계회전방향측에 치우친 곳에 위치하고 있다.
(38)은 캠통(36)의 하단에지에서 약간 위쪽으로 치우친 내주면에 형성된 내치기어부이며, 후술하는 구동기어와 맞물려 있다.
[e-3 구동계]
(제7도, 제8도, 제12도 내지 제16도)
(39)는 샤시(4)에 고정된 로딩모터이며, 이 로딩모터(39)의 출력축에 구동풀리(40)가 지지되어 있다.
(41)은 샤시(4)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고, 또한 소경(小徑)의 기어부(42)가 일체적으로 설치된 감속풀리이며, 이 감속풀리(41)와 상기 구동풀리(40)와의 사이에 무단벨트(43)가 걸쳐 있다.
(44)는 샤시(4)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감속기어이며, 이 감속기어(44)는 상기 감속풀리(41)의 기어부(42)와 맞물리는 평기어부(44a)와 상기 캠통(36)의 내치기어부(38)와 맞물리는 약간 두꺼운 피니언기어부(4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로딩모터(39)가 회전하면, 그 회전이 구동풀리(40) - 벨트(43) - 감속풀리(41) - 기어부(42) - 감속기어(44)의 평기어부(44a) 감속기어(44)의 피니언기어부(44b) - 캠통(36)의 내치기어부(38) - 로딩기어(28)의 전달계로(傳達系路)로 전달되며, 이로써 로딩기어(28)가 회전되게 된다.
또한, 로딩모터(39)는 상기한 디스크트레이(7)의 겉상자체(2)내에의 인입이나 메카니칼 데크의 상승(이하, 이들 동작을 로딩이라 함)을 행할 때는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딩기어(28) 및 캠통(36)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또 디스크트레이(7)의 겉상자체(2)로부터의 인출이나 메카니칼 데크의 하강(이하, 이들 동작을 언로딩이라 함)을 행할 때는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로딩기어(28) 및 캠통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e-4 메카니칼 데크]
(제7도, 제12도 내지 제16도)
(45)는 샤시94)의 좌측절반의 약간 후방에 치우친 위치에 배설된 메카니칼 데크이며, 측방향에서 보아 크랭크형상의 메카니칼 샤시(46)와, 이 메카니칼 샤시(46)의 후단부상면에 배치된 턴테이블(47)과, 이 턴테이블(47)의 약간 전방에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지지된 픽업(48) 등으로 이루어진다.
메카니칼 샤시(46)는 샤시(4)의 메카니칼 데크 배치공(4a)보다 1주(周)정도 작고 상기 턴테이블(47) 및 픽업(48) 등이 배설된 기구부(46a)와, 이 기구부(46a)의 앞끝에지로부터 약간 내려간 위치가 전방으로 돌출하고, 좌우폭의 치수와 전후의 길이가 기구부(46a)의 대략 절반의 크기를 한 지지부(46b)로 이루어지며, 이 지지부(46b)의 좌우 양측면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옆쪽으로 돌출한 지지축(49)이 일체로 형성되고, 또 지지부(46b)의 앞끝에지에는 상기 캠통(36)의 캠홈(37)과 슬라이드할 수 있게 계합하는 구형(球形)의 계합자(50)가 일체적으로 돌출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메카니칼 데크(45)는 메카니칼 샤시(46)의 지지축(49)이 샤시(4)의 메카니칼 데크 배치공(4a)과 요부(4b)와의 사이에 위치하여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각각 개구하는 지지공(4c)을 가진 지지리브(4d)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됨으로써, 시소형으로 요동가능한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51)은 메카니칼 샤시(46)의 지지부(46b)의 전단하부와 샤시(4)의 저판과의 사이에 압축시켜 설치된 코일스프링이며, 이것에 의해 메카니칼 샤시(46)에는 왼쪽에서 보아 반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져 있으며, 메카니칼 샤시(46)는 그 기구부(46a)의 상면이 샤시(4)의 상면과 대략 동일면이 되는 상승위치와 왼쪽에서 보아 반시계회전방향으로 대략 15˚의 각도로 경사진 하강위치와의 사이에서 요동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메카니칼 샤시(46)의 상승위치에서의 정지는 메카니칼 샤시(46)의 기구부(46a)의 후단하부로부터 후방으로 돌출설치된 돌출편(52)이 이 돌출편(52)의 궤적상에 위치하도록 샤시(4)에 고정된 회전지지판(53)에 접촉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있고, 또한 디스크테이블(16)의 디스크재치부(19)가 소정의 위치에 있는 경우에 메카니칼데크(45)가 상승위치에 오면, 그 턴테이블(47) 및 픽업(48)은 디스크트레이(7)의 원형요부(8)의 절결(8a) 및 디스크재치부(19)의 개구부(21)를 통해서 디스크재치부(19)내에 돌출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 이때 그 디스크재치부(19)내에 디스크(20)가 재치되어 있으면, 이 디스크(20)가 턴테이블(47)에 재치되어서 디스크재치부(19)의 저부로부터 멀어지고, 또한 턴테이블(47)과 그 위쪽에 위치하는 상기 처킹부재(12)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어 디스크재치부(19)의 저부로부터 약간 떠 있는 상태로 처킹된다.
[f 동작]
(제12도 내지 제16도)
이리하여, 이상과 같이 구성된 로딩기구(27)에 의한 디스크트레이(7) 및 메카니칼 데크(45)의 로딩 및 언로딩은 다음과 같이 행해진다.
[f-1 로딩]
디스크트레이(7)가 인출위치에 와 있는 상태(이하, 인출상태라 함)에 있어서, 로딩지령이 입력되면, 로딩모터(39)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와 같이 로딩기어(28) 및 캠통(36)이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디스크트레이(7)를 인입하는 위치방향으로 이송하고, 다시 그후 메카니칼 데크(45)를 상승위치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된다.
즉, 디스크트레이(7)의 인출상태(제12도 참조)에 있어서는, 랙(13)의 무단측 기어의 톱니와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의 반시계방향 회전방향측단의 기어톱니가 맞물려 있으며, 또한 메카니칼 샤시(46)의 지지부(46b)의 계합자(50)는 캠통(36)의 캠홈(37)의 하강지지부분(37a)중 반시계회전방향끝과 계합하고 있으며, 그리고 로딩기어(28) 및 캠통(36)이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디스크트레이(7)는 그 랙(13)이 맞물리는 로딩기어(28)의 회전에 따라 인입위치방향으로 이송되고, 또한 메카니칼 샤시(46)의 계합자(50)는 캠홈(37)의 하강지지부분(37a)내를 상대적으로 슬라이드해서 상하방향의 위치는 그대로의 상태로 유지된다.
그리고,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근처까지 오면, 먼저 계합자(50)가 캠홈(37)의 하강지지부분(37a)으로부터 이동부분(37b)으로 이행되어 메카니칼 데크(45)의 위쪽위치에의 경동이 개시되며, 또한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로부터 일정한 거리 ℓ만큼 앞에 위치(이하, 인입완료직전위치라 함)하였을 때,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의 제1기어톱니(291)와 랙(13)의 전단톱니(131)에 인접한 제2의 랙톱니(132)와의 맞물림이 풀리고, 이와 동시에, 로딩기어(28)의 상면에 형성된 캠편(35)의 끝부(35a)에 디스크트레이(7)의 피압접편(15)이 계합하게 된다(제13도 참조).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다시 로딩기어(28)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더 회전하면 디스크트레이(7)의 피압접편(15)이 로딩기어의 캠편(35)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되며, 이로써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인입되고, 또한 인입완료직전위치로부터 인입위치까지의 사이에 있어서, 디스크트레이(7)의 상기 충돌편(14)이 샤시(4)의 상기 스토퍼부재(6)에 맞닿고, 또한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도달했을 때는 상기 충돌편(14)이 스토퍼부재(6)를 약간 누른 상태로 이것에 탄성적으로 접하게 된다(제14도 참조).
또한,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도달하는 동시에 상기 피압접편(15)은 캠편(35)과의 계합으로부터 인입상태유지편(34)과의 계합으로 이행되고, 그 이상 로딩기어(28)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더 회전해도, 인입상태유지편(34)이 로딩기어(28)와 동심의 원호상태를 나타내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계합에 의한 디스크트레이(7)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있다.
또한,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있을 경우에, 그 랙(13)의 제1의 랙톱니(131)는 다른 랙톱니보다 약간 크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선단부가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의 톱니단부의 원형보다 안쪽에 위치되어 있다.
한편, 로딩기어(28)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안, 메카니칼 샤시(46)는 그 계합자(50)가 캠통(36)의 캠홈(37)의 이동부분(37b)에서 상대적으로 이동하므로 메카니칼 샤시(46)는 상승위치방향으로 이동되어 가고, 다시 캠통(36)의 반시계회전방향으로써 회전에 의해 메카니칼 샤시(46)의 계합자(50)는 캠홈(37)의 상승위치유지부분(37c)에 계합되어, 매카니칼 데크(45)의 로딩이 완료된다(제15도 참조).
또한,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로 유지된 상태는 스토퍼부재(6)와 충돌편(14)이 탄성적으로 접한 상태에 해당하므로, 디스크트레이(7)로 인출하는 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져 있어서, 이 때문에 피압접편(15)이 인입상태유지편(34)의 내측면(34a)에 압접되고, 디스크트레이(7)는 샤시(4)에 대해 요동이 없고, 그 상태가 유지된다.
[f-2 언로딩]
상기와 같은 로딩완료상태에 있어서, 언로딩지령이 입력되면, 로딩모터(39)가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상기와 같이 로딩기어(28) 및 캠통(36)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메카니칼 데크(45)를 하강위치방향으로 하강시켜, 디스크트레이(7)를 인출위치방향으로 이송하게 된다.즉, 상기와 같은 메카니칼 데크(45)의 로딩완료상태에 있어서는 메카니칼 샤시(46)의 지지부(46b)의 계합자(50)는 캠통(36)의 캠홈(37)의 상승위치지지부분(37c)중 시계회전방향측끝과 계합하고 있으며, 또한 로딩기어(28)의 결치부(30)가 디스크트레이(7)의 랙(13)의 궤적(軌跡)상에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상기와 같이 랙(13)의 제1의 랙톱니(11)의 선단부는 구동기어부(29)의 톱니단부원보다 내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로딩기어(28) 및 캠통(36)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메카니칼 샤시(46)의 계합자(50)가 캠홈(37)의 상승위치지지부분(37c)에서 이동부분(37b)으로 상대적으로 이동하고, 메카니칼 데크(45)가 하강위치방향으로 이송된다.
또한, 이때 디스크트레이(7)는 그 피압접편(15)이 로딩기어(28)의 인입상태 유지편(34)과의 계합상태로 유지되어 있으며, 또한 그 랙(13)이 로딩기어(28)의 결치부(30)와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디스크트레이(7)는 인입상태로 유지된 채이다.
그리고,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의 제1의 기어톱니(291)가 랙(13)에 가까운 위치까지 오면, 먼저 상기 피압접편(15)이 인입상태유지편(34)과의 계합으로부터 캠편(35)과의 계합으로 이행되고, 디스크트레이(7)에의 인입상태에서의 유지력이 해제되어, 전방으로의 이동이 허용되고, 다시 로딩기어(28)가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부(29)의 제1기어톱니(291)가 랙(13)의 제1의 랙톱니(131)의 선단부에 접촉해서, 랙(13)을 전방으로 약간 이동시키고, 이에 의해 구동기어부(29)와 랙(13)과의 맞물림이 개시된다.
또한, 상기 피압접편(15)의 인입상태유지편(34)과의 계합이 캠편(35)과의 계합으로 이행되는 동시에, 디스크트레이(7)는 트레이 푸시아웃 캠편(60)의 돌출부(60a)에 의해 점차 밀어낸다. 랙(13)의 제1의 톱니(131)와 구동기어부(29)가 계합될 때, 디스크트레이(7)는 이동상태로 되므로 랙(13)의 제1의 톱니(131)와 구동기어부(29)가 충돌할 때 발생하는 충격이 경감된다.
또한, 랙(13)의 제1의 톱니(131)와 구동기어부(29)의 제1의 기어톱니(291)가 맞물릴 때, 제1의 기어톱니(291)가 탄성편(33)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의 접촉시에 상기 탄성편(33)이 약간 중심측으로 휘어져서, 그 충격이 완화되고 또한 충돌음 등도 발생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제16도 참조).
또한,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와 랙(13)과의 맞물림이 개시된다. 디스크트레이(7)의 피압접편(15)과 캠편(35)과의 계합이 풀리고, 디스크트레이(7)는 전방으로 즉 인출위치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그래서, 다시 로딩기어(28) 및 캠통(35)이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메카니칼 샤시(46)의 계합자(50)는 캠홈(37)의 이동부분(37b)으로부터 하강위치지지부분(37a)으로 이행하여, 메카니칼 데크(45)는 하강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디스크트레이(7)가 인출위치방향으로 인출되어, 언로딩이 완료된다.
[g 기타]
(54)는 언로딩상태에서 로딩모터(39)를 구동하지 않고(예를 들면, 정전시), 디스크트레이(7)를 수동으로 인입위치에 수납할 경우에 있어서, 로딩기어(28)의 구동기어부(29)와 랙(13)과의 맞물림이 풀리는 동시에 로딩기어(28)를 반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로딩기어(28)의 캠편(35)과 디스크트레이(7)의 피압접편(15)과의 계합을 확실하게 하기 위한 강제회전기구이다.
이 강제회전기구(54)는 그 굴곡부가 샤시(4)에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된 대략 L자형의 탄접 L자암(55)과, 이 탄접 L자암(55)의 한쪽의 암(55a)의 선단부에 계지되어 이것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인장스프링(56)을 구비하고, 탄접 L자암(55)의 인장스프링(56)이 계지된 암(55a)과는 별도의 암(55b)의 선단부가 캠통(36)의 외주면의 하단에지에 탄성적으로 접근하여 있다.
또한, 상기 캠통(36)의 외주면의 하단에지로서 위쪽에서 보아 구동기어부(29)의 제1의 기어톱니(291)보다 중심각이 약 180˚의 각도로 어긋난 위치에 요부(57)가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디스크트레이(7)를 수동으로 밀어넣었을 때에 캠통(36)의 외주면에 탄성적으로 접하여 있는 탄접 L자암(55)의 암(55b)의 선단부가 상기 요부(57)에 이르는 곳에서 인장스프링(56)의 탄발력에 의해 그 저부로 떨어지도록 캠통(36)을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게 되며, 캠통(36) 및 로딩기어(28)는 이것에 로딩모터(39)에 의한 회전력이 가해지지 않아도, 상기와 같이 강제적으로 회전되므로, 로딩기어(28)와 랙(13)과의 맞물림이 풀림과 거의 동시에 로딩기어(28)의 캠편(35)과 피압접편(15)과의 계합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도시생략된 상기 디스크플레이어(1)에는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온 것을 검출하는 리미터 스위치가 설치되고, 디스크트레이(7)가 인입위치에 오면, 로딩모터(39)가 정지하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현재상태가 로딩상태인지, 언로딩상태인지를 검출하는 검출스위치가 설치되어, 로딩 또는 언로딩을 지령하는 개방/폐쇄보턴을 눌렀을 때에 로딩모터의 정역회전을 결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의 기재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디스크트레이로딩기구는 디스크들이 탈거가능하게 놓여지고,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위치와 상가체안에 인입된 인입위치사이를 이동하며, 이동방향의 측면을 따라 뻗은 랙을 구비하는 디스크트레이와;
상기 상자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상기 랙과 맞물리게 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는 로딩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트레이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기어와 대면하는 위치에 피압접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기어에는 상기 로딩기어와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호형을 가지고, 상기 피압접편과 결합하여 인입위치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피압접편과 맨 먼저 맞물리는 단부에 형성된 캠편을 포함하는 인입상태유지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 완료 직전에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므로 상기 피압접편에 대한 상기 캠편의 가압 운동에 의하여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을 완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에 의하면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속도를 그 인입완료의 직전에 지연시킬 수 있으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완료시에 생기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디스크트레이와 그 인입위치를 규제하는 상자체측의 부재와의 충돌에 의한 충돌음을 없애고, 또한 그 충돌로 인한 디스크플레이어의 각 부에의 악영향을 없애고 디스크플레이어의 품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를 복수의 콤팩트디스크를 재치해 두는 것이 가능한 오토체인지식의 디스크플레이어에 적용한 것에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1매의 콤팩트디스크만 재생가능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적용해도 되며, 또한 콤팩트디스크플레이어에 한정하지 않고, 비디오디스크플레이어 또는 콤팩트디스크 및 비디오디스크 등 여러 종류의 디스크의 재생이 가능한 이른바 멀티디스크플레이어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1개의 로딩기어로 디스크트레이의 인입과 인출동작과 메카니칼 데크의 상승과 하강동작을 할 수 있는 디스크플레이어에 적용하였으나,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디스크트레이의 인입과 인출동작만을 하는 로딩기어를 구비한 디스크플레이어에 적용해도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나타낸 구체적인 형상이나 구조 또는 구성은 본원 발명의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의 실시에 있어서의 극히 일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원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Claims (6)

  1. 디스크들이 탈거가능하게 놓여지고,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위치와 상자체안에 인입된 인입위치사이를 이동하며, 이동방향의 측면을 따라 뻗은 랙을 구비하는 디스크트레이와; 상기 상자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상기 랙과 맞물리게 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는 로딩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트레이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기어와 대면하는 위치에 피압접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기어에는 상기 로딩기어와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호형을 가지고, 상기 피압접편과 결합하여 인입위치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피압접편과 맨먼저 맞물리는 단부에 형성된 캠편을 포함하는 인입상태유지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 완료 직전에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므로 상기 피압접편에 대한 상기 캠편의 가압 운동에 의하여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을 완료하는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언로딩이 개시됨과 동시에 상기 로딩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인출위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는 디스크트레이 푸시아웃 캠편이 형성되는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3. 디스크들이 탈거가능하게 놓여지고,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위치와 상자체안에 인입된 인입위치사이를 이동하며, 이동방향의 측면을 따라 뻗은 랙을 구비하는 디스크트레이와; 상기 상자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상기 랙과 맞물리게 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는 로딩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트레이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기어와 대면하는 위치에 피압접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기어에는 상기 로딩기어와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호형을 가지고, 상기 피압접편과 결합하여 인입위치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피압접편과 맨 먼저 맞물리는 단부에 형성된 캠편을 포함하는 인입상태유지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 완료 직전에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므로 상기 피압접편에 대한 상기 캠편의 가압 운동에 의하여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을 완료하며, 상기 로딩기어의 상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언로딩이 개시됨과 동시에 상기 로딩기어가 회전하여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인출위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피압접편과 맞물리는 디스크트레이 푸시아웃 캠편이 제공되고, 상기 로딩기어의 제1의 톱니는 상기 로딩기어의 반경방향으로 탄력성을 갖는 탄성편으로 제공되는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딩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로딩기어가 랙으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로딩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강제회전기구를 구비하므로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비작동 모드의 인입위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게 되는 디스크 로딩기구.
  5. 디스크들이 탈거가능하게 놓여지고, 상자체로부터 인출된 인출위치와 상자체안에 인입된 인입위치사이를 이동하며, 이동방향의 측면을 따라 뻗은 랙을 구비하는 디스크트레이와; 상기 상자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상기 랙과 맞물리게 하는 구동기어부를 가지는 로딩기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크트레이 하면에는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인입된 상태에서 상기 로딩기어와 대면하는 위치에 피압접편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로딩기어에는 상기 로딩기어와 동심원으로 형성된 원호형을 가지고, 상기 피압접편과 결합하여 인입위치에서 상기 디스크트레이를 유지시키며, 상기 피압접편과 맨 먼저 맞물리는 단부에 형성된 캠편을 포함하는 인입상태유지편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 완료 직전에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므로 상기 피압접편에 대한 상기 캠편의 가압 운동에 의하여 상기 로딩기어와 상기 랙사이의 맞물림을 해제한 후, 상기 디스크트레이의 인입을 완료하며, 상기 로딩기어를 회전시키는 회전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구동수단은 상기 로딩기어가 랙으로부터 분리됨과 동시에 상기 로딩기어를 회전시키기 위한 강제회전기구를 구비하므로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비작동 모드의 인입위치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캠편이 상기 피압접편과 맞물리게 되고, 상기 강제회전기구는 상기 로딩기어의 측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하게 되는 암과, 상기 암을 회전가능하게 가압하는 가압수단을 포함하는 디스크 로딩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트레이가 인입완료위치에 도달하면 상기 디스크트레이와 접촉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스토퍼수단을 더 포함하는 디스크 로딩기구.
KR1019900021887A 1989-12-28 1990-12-27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KR0176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329989 1989-12-28
JP89-343299 1989-1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3158A KR910013158A (ko) 1991-08-08
KR0176705B1 true KR0176705B1 (ko) 1999-04-15

Family

ID=183604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21887A KR0176705B1 (ko) 1989-12-28 1990-12-27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123005A (ko)
KR (1) KR0176705B1 (ko)
MY (1) MY10458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5592B2 (ja) * 1990-09-03 1998-06-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デイスクローデイング装置
JP2842952B2 (ja) * 1991-05-24 1999-01-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記録媒体搬送装置
KR940011086B1 (ko) * 1991-12-23 1994-11-23 삼성전자 주식회사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
US5608705A (en) * 1992-03-19 1997-03-04 Sony Corporation Disk loading apparatus with rotationally engaging disk table
JP3064720B2 (ja) * 1992-04-22 2000-07-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ディスクローディング装置
JP3531200B2 (ja) * 1993-03-05 2004-05-24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GB2276755B (en) * 1993-04-02 1997-03-26 Sony Corp Loading apparatus for recording medium
JPH06301984A (ja) * 1993-04-12 1994-10-28 Olympus Optical Co Ltd 光学的情報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413663B2 (ja) * 1993-04-28 2003-06-03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装置
JP3339210B2 (ja) 1994-07-04 2002-10-28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
JP3575063B2 (ja) 1994-07-04 2004-10-06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再生方法
US5609102A (en) * 1995-01-17 1997-03-11 Autoroll Machine Corporation Fixture for holding a compact disc to be silk-screen printed
JP3316375B2 (ja) * 1996-04-30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ディスク収容マガジンの制御方法
DE19623124A1 (de) * 1996-06-10 1997-12-11 Eastman Kodak Co Vorrichtung zur Entnahme eines Plattenhalters aus und/oder Rückgabe an ein auswechselbares Magazin
JPH1031854A (ja) * 1996-07-18 1998-02-03 Mitsumi Electric Co Ltd ディスク装置
KR19980020837A (ko) * 1996-09-12 1998-06-25 구자홍 디스크 플레이어의 디스크 안착부재 이동장치
US5978325A (en) * 1996-09-13 1999-11-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hucking an optical disk and driving a tray in optical disk player
KR100249381B1 (ko) * 1996-09-13 2000-03-15 구자홍 디스크 플레이어의 로딩장치
SG105446A1 (en) * 1996-09-21 2004-08-27 Oak Technology Inc Loading mechanism with linear gear bar for an optical disc drive
KR19980023455A (ko) * 1996-09-30 1998-07-06 배순훈 디스크 채인져 시스템의 트레이 오픈/클로즈 제어 장치 및 방법
US6208606B1 (en) * 1996-10-08 2001-03-27 Kabushiki Kaisha Toshiba Disc reproducing apparatus
KR100194238B1 (ko) * 1996-10-30 1999-06-15 윤종용 광 디스크 플레이어의 트레이 이송장치
DE19809326A1 (de) * 1998-03-05 1999-09-09 Grundig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für das Laden von Datenträgern
DE19811684A1 (de) 1998-03-18 1999-09-23 Bosch Gmbh Robert Vorrichtung zur Bereithaltung und Auswahl mindestens einer Speicherplatte
US6782544B2 (en) 1998-06-01 2004-08-24 Microboards Technology, Llc Memory storage disk handling system having a servo-driven elevator pin
US6337842B1 (en) * 1998-06-01 2002-01-08 Microboards Technology, L.L.C. Disk handling system having a telescoping elevator pin
US7032232B2 (en) * 1998-06-01 2006-04-18 Microboards Technology, Llc Memory storage disk handling system
JP3609952B2 (ja) * 1999-02-01 2005-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US6252839B1 (en) * 1999-03-01 2001-06-26 Behavior Tech Computer Corp. CD-ROM reader mechanism
US6285633B1 (en) * 1999-04-12 2001-09-04 Glory Horse Industries Limited Multiple disc changing apparatus
US6195312B1 (en) * 1999-04-16 2001-02-27 Ya Horing Electronic Co., Ltd. CD changing device
JP3754621B2 (ja) * 2001-02-16 2006-03-15 日本電産ピジョン株式会社 カム構造
KR100403590B1 (ko) * 2001-07-23 2003-10-30 삼성전자주식회사 광디스크 체인저
US6793302B2 (en) 2002-03-22 2004-09-21 Microboards Technology, Llc In-line marking system
US7063746B2 (en) * 2002-10-15 2006-06-20 Microbroads Technology, Llc In-line marking system
US6887313B2 (en) 2002-10-15 2005-05-03 Microboards Technology, Llc In-line marking system
US7390362B2 (en) * 2002-10-15 2008-06-24 Microboards Llc Thermal printer
US7150790B2 (en) * 2002-10-15 2006-12-19 Microboards Technology, Llc In-line marking system
EP1503374A3 (en) * 2003-07-30 2005-02-09 ORION ELECTRIC CO., Ltd. Pickup shift device
TWI242182B (en) * 2003-09-04 2005-10-21 Lite On It Corp An adjusting method of the tray-in and tray-out speed in optical disk drives
JP4052271B2 (ja) * 2004-03-19 2008-02-27 船井電機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CN101022026A (zh) * 2006-02-16 2007-08-22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碟机托盘进出仓控制装置及其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30805A (en) * 1977-08-12 1979-03-07 Koufu Sankyo Kk Device for ejecting cassette in cassette tape recorder
JPS5718043A (en) * 1980-07-08 1982-01-29 Clarion Co Ltd Tape player
JPH0430671Y2 (ko) * 1985-04-17 1992-07-23
JPH0675329B2 (ja) * 1986-02-18 1994-09-21 ソニー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US4893295A (en) * 1986-06-11 1990-01-09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Front loading disk play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104581A (en) 1994-04-30
KR910013158A (ko) 1991-08-08
US5123005A (en) 1992-06-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6705B1 (ko) 디스크트레이 로딩기구
KR100251251B1 (ko) 디스크형 기록 매체용 신호 기록 및 재생장치
US20050201217A1 (en) Recording medium driving device
US5251195A (en) Disc player with simplified lifting and lowering mechanism
JPH0550066B2 (ko)
US4317145A (en) Cassette tape recorder with an engagement mechanism for locking a movable chassis
USRE37170E1 (en) Disc loading mechanism in a disc player for positioning a disc and an optical pickup while reducing mechanical shocks to the disc tray
US5237555A (en) Disc player
US6982933B2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and recording medium cartridge holder
KR100538022B1 (ko) 디스크장치
JPH06349218A (ja) 光磁気ディスク装置
JP5158329B2 (ja) ディスク装置
JP3726800B2 (ja) ディスク記録再生装置
US6487159B1 (en) Disc player
JP2917512B2 (ja) ディスクトレイローディング機構
JPS6080159A (ja) デイスク再生装置のデイスク自動装着装置
JP3607092B2 (ja) ディスクドライブ装置
JPH0132204Y2 (ko)
JPH0633570Y2 (ja) デイスクプレ−ヤ
KR200168386Y1 (ko) 광디스크 플레이어의 척킹/언척킹 유지구조
JP3807278B2 (ja) ディスク装置
KR200158386Y1 (ko) 광 디스크 드라이버의 픽업 리드인 위치 제어장치
KR19990047077A (ko) 광 디스크의 로딩 및 언로딩장치
JP2002343008A (ja) 記録媒体ドライブ装置
KR20000007146U (ko) 씨디플레이어의 캠기어 록킹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27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