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497B1 -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 Google Patents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497B1
KR0176497B1 KR1019940038325A KR19940038325A KR0176497B1 KR 0176497 B1 KR0176497 B1 KR 0176497B1 KR 1019940038325 A KR1019940038325 A KR 1019940038325A KR 19940038325 A KR19940038325 A KR 19940038325A KR 0176497 B1 KR0176497 B1 KR 01764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zzle
data
type
storage device
nozz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83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8761A (ko
Inventor
송경섭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400383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497B1/ko
Publication of KR960028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8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4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4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9Calibration, teaching or correction of mechanical systems, e.g. of the mounting hea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4Mounting of components, e.g. of leadless components
    • H05K13/0404Pick-and-place heads or apparatus, e.g. with jaws
    • H05K13/0408Incorporating a pick-up tool
    • H05K13/0409Suc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8Monitoring manufacture of assemblages
    • H05K13/081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 H05K13/0812Integration of optical monitoring devices in assembly lines; Processes using optical moni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devices or machines in assembly lines the monitoring devices being integrated in the mounting machine, e.g. for monitoring components, leads, component plac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은 1) 화상 인식 장치를 노즐 스토커의 첫번째 노즐의 윗면에 부착된 바코드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2) 바코드 상부에서 하나의 화면을 촬상하는 단계, 3) 촬상된 데이타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단계, 4)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에서 노즐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5) 상기 결정된 데이타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를 비교하는 단계, 6) 비교된 처리값으로 노즐 타입의 오류 및 노즐의 유, 무를 검사하는 단계, 7) 두 번째 노즐부터 마지막 노즐까지 상기 단계 1)에서 단계 6)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8) 전체 노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계 5)에서 비교한 각각의 노즐 데이타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작업자에 의해 노즐 타입을 재설정하거나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판의 마크를 화상 인식 장치에 의해 감지하므로 빠른 시간 내에 노즐의 타입을 구별할 수 있고,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의 타입을 전원 투입 시나, 기종 변경 시에 검사하게 되므로 노즐 설정 오류에 의한 흡착 에러 방지 및 노즐 타입 설정 오류에 의한 사용 노즐과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헤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제1도는 종래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에 채용되는 노즐 타입 인식장치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21 : X축 아암 12,22 : Y축 아암
13,23 : 헤드부 14 : 레이저센서
15,26 : 기억장치 16,27 : 비교장치
17,28 : 제어장치 18,29 : 디스플레이장치
24 : 화상 인식 장치
본 발명은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type) 인식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쇄 회로 기판(PCB)의 위치 틀어짐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화상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 스토커(stocker)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의 타입(type)을 자동으로 인식하여 교체할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업현장에서 각종 전자부품 및 소정의 회로소자들을 PCB 등과 같은 기판 상에 조립할 경우, 대개는 특정한 기능 및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작설치된 일종의 자동화설비가 사용된다. 그와 같은 자동화설비에는 전자부품 실장기나 이형부품 삽입기 등이 있다.
첨부 도면의 제1도에는 그와 같은 종래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의 일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를 참조하면, 종래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10)은 X축 아암(11) 및 Y축 아암(12)이 상호 직각으로 마련되고, X축 아암(11)에는 노즐(미도시)을 장착하기 위한 헤드부(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부(13)에는 노즐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미도시)의 데이타를 읽어들이는 기능을 수행하는 레이저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데이타를 기억하는 기억장치(15)와, 그 기억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데이타 및 노즐의 데이타를 비교하는 비교장치(16), 그리고 비교된 데이타의 상태를 검사하는 제어장치(17) 및 검사 시 오류발생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장치(18)로서의 모니터가 하나의 부분 시스템을 구성하며, 비교장치(16)에 의해 상기 레이저 센서(14)와 전기적으로 접속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종래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10)은 X, Y축 아암(11,12)을 이동시켜서 X축 아암(11)의 헤드부(13)에 장착되어 있는 레이저 센서(14)가 노즐 스토커(미도시)의 첫번째 노즐의 윗면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고, X, Y축 아암(11,12)을 조금씩 이동시키면서 상기 바코드를 스캐닝(scanning)하여 그 결과를 기억장치(15)에 기억해 둔다. 그렇게 하여 첫번째 바코드의 스캐닝이 완료되면, 상기 기억장치(15)에 기억해둔 값들을 조합하여 첫번째 노즐의 노즐 타입 번호를 제어장치(17)에서 구하게 된다. 그런 후, 구해진 노즐 타입 번호와 기억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첫번째 노즐의 노즐 스토커 데이타를 비교하여 그 결과치를 기억장치(15)에 기억시키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두 번째 노즐에서 마지막 노즐까지 상기의 과정을 반복하여 수행하며, 전체 노즐 각각에 대해 상기 기억장치(15)에 기억되어 있는 노즐 타입 번호와 첫번째 노즐의 노즐 스토커 데이타와의 비교 결과치를 검사하여 오류가 있을 경우, 그 내용을 모니터(18)에 표시하고 장치를 정지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전자부품 실장 시스템은 레이저 센서를 사용하여 노즐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를 스캐닝하여 노즐의 종류를 구별하고 있으나, 이 방법은 X, Y축 아암이 바코드의 상부를 조금씩 이동하면서 스캐닝하므로 많은 시간을 소요하게 되고, 특히 노즐이 노즐 스토커에 정확하게 안착되지 않았을 경우에 혹은 노즐이 없을 경우에는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빠른 시간 내에 노즐의 타입을 구별할 수 있고, 노즐 설정 오류에 의한 흡착 에러 방지 및 노즐 타입 설정 오류에 의한 사용 노즐과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헤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은, 노즐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지지하며 헤드부를 X, Y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아암 및 Y축 아암과,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며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장치와, 상기 화상 인식 장치에 의해 인식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에 의해 기억된 데이타와 초기의 노즐의 데이타를 비교하는 비교장치와, 실장기 시스템을 기동시키거나 상기 비교장치에 의해 비교된 결과치를 처리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처리된 결과치 및 에러를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 장치를 이용한 노즐 타입 인식방법에 있어서,
1) 상기 화상 인식 장치를 노즐 스토커의 첫번째 노즐의 윗면에 부착된 바코드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2) 상기 바코드 상부에서 하나의 화면을 촬상하는 단계,
3) 상기 촬상된 데이타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단계,
4)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에서 노즐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5) 상기 결정된 데이타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를 비교장치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단계,
6) 상기 비교장치에 의해 비교된 처리값으로 노즐 타입의 오류 및 노즐의 유, 무를 검사하는 단계,
7) 두 번째 노즐부터 마지막 노즐까지 상기 단계 1)에서 단계 6)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8) 전체 노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계 5)에서 비교한 각각의 노즐 데이타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작업자에 의해 노즐 타입을 재설정하거나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점에 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기판의 마크를 감지함에 있어서, 종래와는 달리 화상 인식 장치를 사용하므로 빠른 시간 내에 노즐의 타입을 구별할 수 있고,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의 타입을 전원 투입 시나, 기종 변경시에 검사함으로써 노즐 설정 오류에 의한 흡착 에러 방지와 노즐 타입 설정 오류에 의한 사용 노즐과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헤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에 채용되는 노즐 타입 인식장치의 개략적인 장치구성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에 채용되는 노즐 타입 인식 장치(20)는 도시된 것과 같이 헤드부(23)가 2차원 평면에서 X축 및 Y축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X축 아암(21)과 Y축 아암(22)이 상호 직각으로 설치된다. X축 아암(21)에는 노즐(미도시)을 장착할 수 있는 소정의 구조(본 도면에는 상세히 도시되지 않았지만)를 가지는 헤드부(23)가 설치되고, 헤드부(23)의 일측면에는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장치(24)가 설치된다. 여기서, 이 화상 인식 장치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카메라가 사용된다. 부호 25는 물체를 조명하기 위한 조명장치이다.
또한, 상기 화상 인식 장치(24)에 의해 인식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26)와, 기억장치(26)에 의해 기억된 데이타와 초기의 노즐의 데이타를 비교하는 비교장치(27)와, 실장기 시스템을 기동시키거나 비교된 결과치를 처리하는 제어장치(28)와, 제어장치(28)에 의해 처리된 결과치를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장치(29)가 상호 접속되어 하나의 부분 시스템을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장치로는 컴퓨터 모니터가 사용된다. 한편, 상기 화상 인식 장치(24)와 비교장치(27)는 전기적으로 접속되며, 이에 따라 전체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면,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 장치를 이용하여 노즐 타입을 인식하는 과정에 대해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서 간략히 설명해 보기로 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의 실행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면, 전원을 온(ON)하거나 기종을 변경할 경우(단계 51), 먼저 제어장치(28)에 의해 X축 아암(21)을 이동시켜 헤드부(23)에 설치된 화상 인식 장치(24)의 중심을 복수의 노즐이 보관되어 있는 노즐 스토커(미도시)의 첫번째 노즐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는 바코드(미도시)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단계 52,43). 그런 후, 화상 인식 장치(24)로 사용된 CCD 카메라로 바코드 상부에서 한 화면을 촬상하며(단계 54), 이때, 바코드로부터 소정의 노즐 타입 데이타를 읽어 들이게 된다(단계 55). 그리고, 촬상된 화면은 기억장치(26)에 기억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장치(28)에서는 상기 기억장치(26)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노즐의 형태를 결정하며, 그 결정된 데이타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를 비교장치(27)에서 비교하게 된다(단계 56). 즉, 기 설정된 데이타(S-DATA)와 화상으로 읽어 들인 데이타(C-DATA)의 동일성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57). 이때, 그 두 개의 데이타가 동일하지 않으면, 디스플레이장치(29)인 모니터에 에러 메세지를 출력하며(단계 58), 데이타의 재설정 요구(단계 59)와 함께 데이타 재설정의 완결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단계 60). 이 단계 60에서, 데이타가 재설정되었으면, 단계 61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데이타가 재설정되지 않았으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단계 57에서 S-데이타와 C-데이타가 동일하면, 노즐 번호를 1증가하여(단계 61), 그 증가된 노즐 번호가 노즐 끝 번호보다 작거나 같은지를 판별한다(단계 62). 이 단계 62에서 증가된 노즐 번호가 노즐 끝 번호보다 작거나 같으면 상기 단계 53으로 프로그램을 귀환시키고, 증가된 노즐 번호가 노즐 끝 번호보다 작거나 같지 않으면, 즉 크면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이상과 같은 일련의 과정을 통해 노즐 타입의 오류 및 노즐의 유, 무를 검사하게 되며, 전체 노즐 각각에 대하여 비교장치(27)에서 비교한 각각의 노즐 데이타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작업자는 노즐의 타입을 재설정하거나 시스템을 정지시키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장치는 기판의 마크를 감지함에 있어서, 종래와는 달리 화상 인식 장치를 사용하므로 빠른 시간 내에 노즐의 타입을 구별할 수 있고, 또한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의 타입을 전원 투입 시나, 기종 변경 시에 검사하게 되므로 노즐 설정 오류에 의한 흡착 에러 방지 및 노즐 타입 설정 오류에 의한 사용 노즐과 노즐 스토커에 보관되어 있는 노즐과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으며, 아울러 헤드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노즐을 장착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를 저지하며 헤드부를 X, Y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X축 아암 및 Y축 아암과, 상기 헤드부에 설치되며 물체를 인식하기 위한 화상 인식 장치와, 상기 화상 인식 장치에 의해 인식된 데이타를 저장하기 위한 기억장치와, 상기 기억장치에 의해 기억된 데이타와 초기의 노즐의 데이타를 비교하는 비교장치와, 실장기 시스템을 기동시키거나 상기 비교장치에 의해 비교된 결과치를 처리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처리된 결과치 및 에러를 나타내 보이는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하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 장치를 이용한 노즐 타입 인식방법에 있어서, 1) 상기 화상 인식 장치를 노즐 스토커의 첫번째 노즐의 윗면에 부착된 바코드의 상부로 이동시키는 단계, 2) 상기 바코드 상부에서 하나의 화면을 촬상하는 단계, 3) 상기 촬상된 데이타를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시키는 단계, 4) 상기 기억장치에 기억되어 있는 촬상된 데이타를 이용하여 상기 제어장치에서 노즐의 형태를 결정하는 단계, 5) 상기 결정된 데이타와 이미 설정되어 있는 데이타를 비교장치를 이용하여 비교하는 단계, 6) 상기 비교장치에 의해 비교된 처리값으로 노즐 타입의 오류 및 노즐의 유, 무를 검사하는 단계, 7) 두 번째 노즐부터 마지막 노즐까지 상기 단계 1)에서 단계 6)까지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8) 전체 노즐 각각에 대하여 상기 단계 5)에서 비교한 각각의 노즐 데이타에서 오류가 발생하였을 경우, 작업자에 의해 노즐 타입을 재설정하거나 시스템을 정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KR1019940038325A 1994-12-28 1994-12-28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KR01764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325A KR0176497B1 (ko) 1994-12-28 1994-12-28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8325A KR0176497B1 (ko) 1994-12-28 1994-12-28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61A KR960028761A (ko) 1996-07-22
KR0176497B1 true KR0176497B1 (ko) 1999-05-15

Family

ID=19404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8325A KR0176497B1 (ko) 1994-12-28 1994-12-28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4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14241B1 (en) * 1998-12-25 2005-03-16 Yamazaki Mazak Kabushiki Kaisha Parts classification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8761A (ko) 1996-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63829B1 (en) Device for inspecting printed cream solder
KR100738693B1 (ko) 프로브 마크 판독 장치 및 프로브 마크 판독 방법
US5583948A (en) Connecting element inspecting method and connecting element inspecting device
JPH07111998B2 (ja) ワイヤボンディング検査装置
KR0176497B1 (ko) 전자부품 실장기의 노즐 타입 인식방법
WO2001020310A1 (en) Inspecting component placement relative to component pads
KR0180269B1 (ko) 테이프캐리어패키지의 외관검사장치 및 검사벙법
KR101126759B1 (ko) 칩 마운터의 부품 정보 티칭방법
JPH0221372A (ja) はんだ付検査装置
JP4744234B2 (ja) 部品の位置決め方法及び装置
JP2847351B2 (ja) 実装済印刷配線板自動検査装置
JPH0399250A (ja) 実装状態認識装置
JPH056422A (ja) 画像検査装置
JPH06207908A (ja) 狭小部品実装ユニット検査システム
JP3452201B2 (ja) 部品実装装置
JPH04342198A (ja) 電子部品の極性識別装置
JPH07286819A (ja) 部品の位置認識方法および位置認識装置
JPH04161841A (ja) 光学式プリント基板検査装置
JPH04238206A (ja) 多角形部品の多視野認識方法
JP2871036B2 (ja) 画像処理装置
JPS63269001A (ja) 物体の認識方法
JP2694819B2 (ja) リード位置検出装置
JP2009103661A (ja) 基板検査装置
JPH0118270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位置検出装置
JPH04307677A (ja) パッド中心点検出方式及びチップ基準点検出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8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