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461B1 -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461B1
KR0176461B1 KR1019930009609A KR930009609A KR0176461B1 KR 0176461 B1 KR0176461 B1 KR 0176461B1 KR 1019930009609 A KR1019930009609 A KR 1019930009609A KR 930009609 A KR930009609 A KR 930009609A KR 0176461 B1 KR0176461 B1 KR 01764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blank
level
side blank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096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27553A (ko
Inventor
김정훈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30009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461B1/ko
Publication of KR9400275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275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4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4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2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reformatting operations of video signals for household redistribution, storage or real-time displa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lor Television Systems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16:9 화면에 4:3 화면을 디스플레이 할 때 수평으로 퍼지는 이화감을 없애기 위해 시간압축을 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화면에는 사이드 블랭크라는 여백부가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화면 변환장치의 구성인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와 신호 압축부의 출력단에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부를 연결하여 칼라와 휘도의 레벨을 선택하고 화면의 어느부분에 여백을 둘것인지 결정하여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를 거쳐 출력함으로써, 여백부에 사용자가 원하는 레벨의 색과 휘도를 삽입할 수 있다. 따라서, 16:9 화면내 4:3 압축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든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된다.

Description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블럭도로서,
(a)는 휘도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의 블럭도.
(b)는 칼라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의 블럭도.
제2도(a)는 제1도에 따른 휘도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
(b)는 제1도에 따른 칼라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
제3도는 인버팅된 3-8 디코더의 출력 결과를 나타내는 도표.
제4도는 제2도의 멀티플렉서의 블랭크 컨트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좌우측 블랭크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b)는 우측 블랭크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c)는 좌측 블랭크 모드를 나타내는 도면.
제5도는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32 : 멀티플렉서 10 :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20 : 데이타 압축부 30 : 사이드 블랭크 레벨발생부
34 : 인버터 36 : 3-8 디코더
40 :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45 : 디멀티플렉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
50 : 출력 선택부 60 : 마이크로 컴퓨터
이 발명은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16:9의 화면비를 갖는 와이드 텔레비젼에 엔티에스시(NTSC) 방송을 4:3으로 시간 압축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여백부에 임의의 레벨값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한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행 NTSC 텔레비젼의 화면비는 4:3이지만 사람이 입장감을 최고로 느낄 수 있는 화면비는 16:9로써 HD 텔레비젼 방송 이전이라도 16:9의 텔레비젼 수상기에 NTSC 방송 또는 비데오 테이프 소스등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방법들이 최근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노말 NTSC 소스를 16:9의 스크린에 디스플레이할 경우, 좌우로 퍼지는 이화감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시간 압축처리를 할 경우는 4:3 화상을 16:9에 그대로 재현하여 디스플레이하고 있으나, 수평 대역의 우측으로 공백이 발생하는 단점이 발생한다.
이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 발명의 목적은 16:9 화면내 4:3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있어 좌우의 여백부에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칼라와 휘도의 레벨 값을 가변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공백부가 눈에 거슬리는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점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4:3 화면을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의 특징은, NTSC 영상정보를 16:9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4:3신호를 시간 압축하여 화면에 디스플레이하는 화면 변환장치의 데이타 압축부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16:9 화면의 좌우에 생기는 여백부에 임의의 레벨을 삽입할 수 있는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가 포함된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는, 레벨을 결정하는 수단과 블랭크 모드를 선택하는 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에 있다.
이하,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의 블럭도이다.
제1도(a)는 휘도신호 처리부로서, 휘도신호 입력단으로 입력된 휘도신호는 무압축 경로와 압축 경로로 나뉘어 처리된다. 무압축 경로는 휘도신호(Yi)가 그대로 출력선택부(50)의 한 단자(H)로 입력되며, 압축 경로는 다음과 같다.
휘도신호 입력단에는 입력된 신호를 디지탈화 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에는 4:3의 신호를 시간 압축하는 데이타 압축부(2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타 압축부(20)에는 16:9 화면의 여백부에 임의의 휘도 레벨을 삽입하는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30)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30)에는 레벨이 삽입된 휘도신호를 아날로그로 변환하는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0)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0)에는 압축되지 않은 신호와 압축된 신호중 한 신호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출력 선택부(50)가 연결되어 있다.
제1도(b)는 칼라신호 처리부로서, 두개의 칼라 신호(R-Y, B-Y)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5)가 칼라신호 입력단에 연결되어 있고, 멀티플렉서(5)의 출력단에는 휘도신호 처리부와 동일하게 데이타 압축부(20),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30)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30)에는 디멀티플렉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35)가 연결되어 있다.
제2도(a)는 휘도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로서, 멀티플렉서와 3-8 디코더와 인버터로 구성되어 있다. 3-8 디코더(36)의 입력단인 선택단자(A, B, C)에는 마이크로 컴퓨터(60)가 연결되어 있고, 출력단자(Y0-Y7)에는 인버터(34)가 연결되어 있다. 인버터(34)의 출력단은 멀티플렉서(32)의 입력단자(I1)에 연결되어 있고, 데이타 압축부(20)의 출력단자는 멀티플렉서(32)의 입력단자(I1)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멀티플렉서(32)의 선택 단자(SEL)로는 블랭크 컨트롤 신호가 입력된다.
제2도(b)는 칼라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로서, 상술한 휘도 신호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의 상세 회로도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이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입력된 휘도신호는 무압축 경로와 압축 경로로 나뉘어 처리된다. 무압축 경로는 입력된 휘도신호가 최종 출력 선택부(50)의 한단자(H)로 입력되며, 압축 경로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10)와 데이타 압축부(20)를 거쳐 시간 압축된 8비트의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다. 이때 데이타 압축부(20)는 라인 메모리의 읽기 클럭을 쓰기 클럭의 4/3배로 구성함으로써 가능해진다. 이와같이 처리된 신호는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30)를 통해 여백이 임의의 레벨로 채워진 16:9 소스로 바뀌며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0)를 통해 아날로그 신호가 된다. 상기 결과 압축된 휘도신호(Y1')와 무압축된 휘도신호(YI)는 출력 선택부(50)로 입력되고 출력선택부(50)의 모드선택단(S)의 신호에 의해 하이레벨시에는 무압축된 휘도신호가 출력되고, 로우레벨시에는 시간 압축되고 여백부가 임의의 레벨로 바뀌어진 휘도신호가 출력된다.
칼라신호 처리부는 상기 휘도 신호 처리부와 모두 같으나, 소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칼라신호(R-T, B-Y)를 멀티플렉싱하는 멀티플렉서(5)와 디멀티플렉서하고 아날로그신호로 변환하는 디멀티플렉서 디지탈/아날로그 변환기(44)가 추가된다.
데이타 압축부(20)로부터의 결과에 사이드 블랭크 레벨을 삽입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제2도와 같이 구성된 사이드 블랭크 레벨 발생부(30)는, 우선 3-8 디코더(36)의 선택단자(A, B, C)에 따른 제3도의 결과를 얻는다. 제3도는 디코더 출력을 인버터에 의해 반전시킨 결과이며 8비트의 각 데이타가 하이, 로우레벨이 됨에 따라 1,2,4,8,16,32,64,128의 8가지 레벨을 가변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는 멀티플렉서(32)의 입력단자(I1)에 입력되고 원 휘도신호가 압축된 신호는 멀티플렉서(32)의 입력단자(I0)에 입력된다. 멀티플렉서(32)의 선택단자(SEL)는 블랭크 컨트롤 신호에 의해 입력단자(I0,I1)를 선택하도록 되어 있다.
제4도는 블랭크 컨트롤 신호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a)는 좌우대칭 블랭크가 발생하는 좌우측 블랭크 모드이고, (b)는 우측 블랭크 모드이고, (c)는 좌측 블랭크 모드이다. 이 세가지 모드의 경우 블랭크 영역동안은 로우레벨로 그 이외에는 하이레벨로 데이타를 입력하도록 되어 있으며, 하이로우에 따라 멀티플렉서(32)는 입력단자(I0,I1)의 입력신호를 선택한다. 즉, 블랭크 컨트롤 신호가 하이신호이면 멀티플렉서(32)의 출력은 데이타 압축부(20)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I1)의 신호가 출력되고, 로우신호이면 3-8 디코더(36)로부터 신호를 입력하는 입력단자(I0)의 신호가 출력된다.
제5도에서는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구체적인 예이다. 여기에서, 마이크로 컴퓨터(60)로부터 선택단자(C,B,A)에 출력된 값은(1,1,1)이고, 멀티플렉서(32)의 선택단자(SEL)로 입력되는 블랭크 컨트롤 신호는 좌우측 블랭크 모드이다.
3-8 디코더(36)의 선택단자(C,B,A)의 값이 (1,1,1)이므로 출력단자(Y0,Y1,…,Y7)의 인버팅된 출력값은 제3도에도 나타나 있듯이(0,0,0,0,0,0,0,1)이다. 그러므로 레벨값은 128이다.
제5도(a~d)는 16:9 화면에 압축 처리없이 원 신호를 디스플레이할 경우로서 (b),(c),(d)의 칼라신호(R-Yi), 칼라신호(B-Yi), 휘도신호(Yi)가 각각 압축없이 그대로 (a)의 16:9에 디스플레이 되는 경우이다.
제5도 (e~h)는 칼라바 데이타를 좌우 블랭크 모드로서 압축시켜 디스플레이한 예이다. (f),(g),(h)는 입력 파형이 각각 압축되고 블랭크가 추가된 결과로서, 칼라신호의 사이드 블랭크 레벨값과 휘도신호의 사이드 블랭크 값이 128이므로 제5도 (f),(g)는 레벨이 변화없이 회색이고, 제5도(h)는 중간 밝기의 회색이 디스플레이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에 따른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에 의하면, 4:3으로 시간 압축하여 디스플레이함에 있어 여백부에 임의의 레벨값을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하도록 함으로써 여백부가 눈에 거슬리는 현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4:3 영상정보를 16:9의 디스플레이장치에, 소정의 데이터압축부에 의해 압축된 영상정보를 디스플레이할 때 발생되는 화면상의 여백부분인 블랭크 부분을 처리하기 위한 블랭크 처리방치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부분에 삽입할 임의의 휘도 및 색도 레벨을 결정하는 블랭크 레벨결정수단과, 상기 블랭크부분을 화면의 어느 부분에 위치시킬 것인지를 결정하는 블랭크 부분 표시위치결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레벨결정수단은 사용자의 취향에 의해, 선택된 입력에 따라 그 출력레벨을 결정하는 N*M 디코더임을 특징으로 하는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랭크 표시위치결정수단은 블랭크 부분을 화면의 어느부분에 위치시킬 것인가를 결정하는 블랭크 컨트롤신호에 의해, 상기 블랭크 부분을 화면의 좌우측부분, 좌측부분, 또는 우측부분 중에서 어느 한부분에 나타낼 것인가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부분에 따라 상기 압축된 데이터와 상기 결정된 블랭크부분의 휘도/색도레벨을 선택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16:9 화면내 4:3 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KR1019930009609A 1993-05-31 1993-05-31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KR01764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609A KR0176461B1 (ko) 1993-05-31 1993-05-31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09609A KR0176461B1 (ko) 1993-05-31 1993-05-31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553A KR940027553A (ko) 1994-12-10
KR0176461B1 true KR0176461B1 (ko) 1999-05-01

Family

ID=193564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09609A KR0176461B1 (ko) 1993-05-31 1993-05-31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46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27553A (ko) 199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9675B1 (en)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displaying video information
US4568981A (en) Font recall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KR950022874A (ko) 2화면 영상 처리 회로
JPH07203396A (ja) 字幕データ復号化装置
KR100206114B1 (ko) 외부 입출력 접속 적응형 비디오라인 접속장치
KR100218474B1 (ko) 에치티엠엘 데이터 송신 및 수신 장치
KR100370248B1 (ko) 디지털 텔레비젼
US5872592A (en) Test signals and test signal generators
JP3289892B2 (ja) 信号切換出力装置
KR0176461B1 (ko)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GB2274226A (en) Television receiver with movable image
JPH05336503A (ja) 映像付加情報判別装置
JP3486274B2 (ja) エンコーダ
JP3182299B2 (ja) ビデオ信号処理回路
JPH06225326A (ja) 多画面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100268380B1 (ko) 가상채널의 동시 동화상 디스플레이가 가능한 atv시스템 및그 채널선택방법
KR100223007B1 (ko)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JPH07231435A (ja) 字幕データ符号化装置、その復号化装置、並びに記録媒体
JP3137994B2 (ja) 映像切換装置
US5953455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an image
KR100237635B1 (ko) 브이씨알의 녹화시 문자 삽입회로
KR100294233B1 (ko) 화면비변환기능을 구비한 디지털tv수상기
JP2502694B2 (ja) 映像信号合成装置
KR100207180B1 (ko) 텔레비전용 인터네트 접속장치
KR950006444B1 (ko) 채널별 영상데이타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30

Year of fee payment: 15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