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3007B1 -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3007B1
KR100223007B1 KR1019970000987A KR19970000987A KR100223007B1 KR 100223007 B1 KR100223007 B1 KR 100223007B1 KR 1019970000987 A KR1019970000987 A KR 1019970000987A KR 19970000987 A KR19970000987 A KR 19970000987A KR 100223007 B1 KR100223007 B1 KR 1002230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image
microprocessor
shuffling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0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5821A (ko
Inventor
채민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0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3007B1/ko
Publication of KR199800658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58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3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30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비디오 뮤트시 기존의 푸른색 배경화면 대신에 사용자가 촬영한 특수영상을 배경화면으로 표시하여 주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사용자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과; 카메라 메모리 및 비디오 메모리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셔플링하는 셔플링수단과; 뮤트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이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 및 셔플링수단의 이미지를 배경화면 데이터로 처리하는 데이터 변환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따라 상기 셔플링수단의 이미지 데이터와 데이터 변환수단의 배경화면을 선택하는 스위칭 절환수단과; 이 스위칭 절환수단의 데이터를 화면영상신호로 하여 표시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제작한 특수화면을 배경화면으로 볼 수 있으므로 성취감과 지루함이 덜어지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비디오 뮤트(Mute)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비디오 카메라 또는 유사장치와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에서의 비디오 뮤트시 배경화면 표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디오 뮤트신호 입력시 기존의 푸른색 배경화면(Blue Back) 대신에 사용자가 촬영한 특수영상을 배경화면으로 표시하여 주어 자신이 구성한 화면을 모니터링도 할 수 있도록 하는 비디오 뮤트(Mute)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자기기록 재생장치 및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에서, 사용자가 일시적으로 재생을 중지하거나 또는 비디오 카세트의 레코더(VCR)의 튜너를 통해 방송국을 선국하고 있을 때 또는 일시적인 전파방해에 의해 방송신호가 잡히지 않을 때는 그 기간동안 화면에는 무신호에 의한 잡음이 표시된다. 그리고 다시 동조가 이루어지거나 재생이 이루어지면 다시 화면에는 정상적인 영상신호가 표시된다.
그런데, 상기에서 영상신호가 무신호로 잡힐 경우에 발생되는 화면잡음은 시청자에게 상당한 거부감을 주고 또한 아울러 눈의 피로도를 가중시키는 주원인으로 제공된다.
최근에 와서는 영상기록재생장치가 발달함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기능이 날로 발전되어 오고있는 실정이며, 그중 상기와 같이 무신호에 인한 화면잡음을 뮤트시키고 그 대신 무신호 기간동안 R, G, B의 비디오신호를 자체적으로 합성하여 푸른색의 배경화면을 깔아 줌으로써, 어느 정도의 시각적인 효과가 창출되는 배경화면 표시장치가 안출되어 오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배경화면 표시장치는 비디오 뮤트신호 입력시 푸른색 배경화면을 화면에 출력하여, 전술한 무신호에 의한 잡음신호를 차단하였으나, 이는 계속해서 선택의 여지도 없이 똑같은 배경화면만 접할 수밖에 없으므로 사용자가 지루함을 느끼게 되는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배경화면 표시장치가 가지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한 견지로서, 비디오 뮤트신호 입력시 기존의 푸른색 배경화면 대신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수화면을 배경화면으로 하여 표시하는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로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Image)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배경화면으로 표시하여 주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견지로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를 배경화면으로 표시하여 자신이 구성한 화면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를 보인 실시예 블록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카메라 메모리 101 : 셔플링부
102 : 비디오 메모리 103 : 마이크로 프로세서
104 : 메모리블록 105 : 부호화부
106 : 이미지선택적 발생부 106a : 호스트 컴퓨터
107 : 스위칭 절환부 108 :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는,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과; 화면상의 영상신호 유무에 따라 뮤트신호의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결정된 뮤트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배경화면 데이터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수단; 및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배경화면 데이터를 아날로그화 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은,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선택하여 발생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의 데이터를 상호 인터페이스 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로 분리 저장하여 출력하는 메모리블록; 및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얻어진 색차 데이터를 컬러 데이터로 부호화 하여 출력하는 부호화수단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은,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지는 사용자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는,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과; 카메라 메모리 및 비디오 메모리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셔플링하는 셔플링수단과; 화면상의 영상신호 유무에 따라 뮤트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 및 셔플링수단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배경화면 데이터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 결정여부에 따라 상기 셔플링수단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와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얻어진 배경화면 데이터를 선택하는 스위칭 절환수단과; 상기 스위칭 절환수단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아날로그화 하여 화면영상신호로 표시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으로 이루어짐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이미지 데이터와 셔플링수단의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배경화면 데이터로 출력하는 메모리블록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셔플링수단 및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 중에서 색차 데이터를 컬러 데이터로 변환하는 부호화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결과, 비디오 뮤트신호가 입력될 시에는 사용자가 제작한 특수화면을 배경화면으로 표시하여 주고 비디오 뮤트신호가 없을 시에는 셔플링수단에서 얻어진 카메라 메모리의 촬상영상신호 또는 비디오 메모리의 영상신호를 화면에 표시하여 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중 하나를 선택하여 배경화면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으로서, 자신이 구성한 화면을 모니터링도 할 수 있어 성취감과 지루함이 덜어지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로는 다수개가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를 보인 실시예 블록도 이다.
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이미지선택적 발생부(106)와; 비디오 카메라로 촬상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였다가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카메라 메모리(100)와; 브이씨알의 재생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비디오 데이터를 스캔하여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였다가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로 분리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메모리(102)와; 버스트 오류를 정정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메모리(100) 및 비디오 메모리(102)에서 각각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를 프레임 단위로 셔플링(Shuffing) 처리하여 휘도 데이터(YS), 컬러 데이터(CS) 및 색차 데이터(RYBY)를 발생하는 셔플링부(101)와; 상기 카메라 메모리(100) 및 비디오 메모리(102)로부터의 비디오신호의 존재 유무 및 조작부(도면에 미도시)로부터의 뮤트키이 선택 여부에 따라 뮤트신호(MS)를 발생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의 뮤트신호(MS)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부(106) 및 셔플링부(101)에서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고 그 저장된 데이터중 색차 데이터를 컬러 데이터(CS)로 처리하는 데이터 변환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에서 발생된 뮤트신호(MS)에 따라 상기 셔플링부(101)에서 입력되는 컬러/휘도 데이터(CS/YS)와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입력되는 1프레임의 컬러/휘도 데이터(CS/YS)를 선택하여 출력하는 스위칭 절환부(107)와; 상기 스위칭 절환부(107)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셔플링부(101)의 컬러/휘도 데이터(CS/YS) 또는 데이터 변환수단의 컬러/휘도 데이터(CS/YS)를 화면영상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109)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8)로 구성한다.
상기에서,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부(106)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이미지 데이터를 선택하여 발생하는 호스트컴퓨터(106a)와; 상기 호스트컴퓨터(106a)에서 발생된 사용자 이미지 데이터를 데이터 변환수단에 전송하고 그로부터의 데이터를 입력받아 호스트컴퓨터(106a)에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부(106b)로 구성한다.
그리고 또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의 뮤트신호(MS)에 따라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부(106) 및 셔플링부(101)에서 입력되는 휘도/색차 데이터(YS/RYBY)를 프레임 단위로 분리 저장하여 출력하는 메모리블록(104)과; 상기 메모리블록(10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중 색차 데이터(RYBY)를 컬러 데이터(CS)로 부호화 하여 출력하는 부호화부(105)로 구성한다.
이하, 첨부된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이하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카메라로 촬상하여 프레임 단위로 저장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브이씨알을 통해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로부터 스캔하여 저장한 비디오 데이터를 화면상에 표시하기 위해서 먼저 카메라 메모리(100) 또는 비디오 메모리(102)는 선택적으로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 피사체의 이미지 데이터 또는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의 비디오 데이터를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로 분리하여 각각 셔플링부(101)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셔플링부(101)는 자기 테이프의 디지털 재생에서의 버스트 오류를 정정하기 쉽게 하기 위해 상기 카메라 메모리(100) 또는 비디오 메모리(102)로부터 선택되어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 및 색차 데이터(RYBY)를 시간축 ㅇ향으로 셔플링하여 휘도 데이터(YS), 컬러 데이터(CS) 및 색차 데이터(RYBY)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 셔플링부(101)에서 발생된 휘도 데이터(YS), 컬러 데이터(CS)는 이후에 설명될 스위칭 절환부(107)에 제공되고, 상기 색차 데이터(RYBY)와 휘도 데이터(YS)는 데이터 변환수단에 제공된다.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이후에 설명될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의 뮤트신호(MS)의 레벨에 따라 상기 셔플링부(101)에서 입력되는 휘도/색차 데이터(YS/RYBY)를 프레임 단위로 분리 저장하는 메모리블록(104)과; 이 메모리블록(104)에서 출력되는 데이터중 색차 데이터(RYBY)를 컬러 데이터(CS)로 부호화 하여 출력하는 부호화부(105)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의 메모리블록(104)은 상기 셔플링부(101)에서 프레임 단위로 계속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게 된다.
이때,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는 상기 카메라 메모리(100) 또는 비디오 메모리(10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거나 또는 조작부(도면에 미 도시)로부터 뮤트키이(Mute Key)가 선택되지 않으면 뮤트신호(MS)를 저전위(논리적으로 "0")로 하여 스위칭 절환부(107)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스위칭 절환부(107)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로부터 입력되는 저전위인 뮤트신호(MS)에 의해 절환되어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의 메모리블록(104) 및 상기 부호화부(105)에서 각각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 및 컬러 데이터(CS), 즉 다시 말해서, 배경화면 데이터는 차단하고 셔플링부(101)에서 입력되는 한 프레임 단위의 휘도 데이터(YS)와 컬러 데이터(CS)를 선택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8)에 제공하게 된다. 반대로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로부터 뮤트신호(MS)가 고전위로 입력되면 메모리블록(104) 및 부호화부(105)에서 각각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 및 컬러 데이터(CS)를 선택하여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8)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8)는 스위칭 절환부(107)에서 선택되어 입력되는 한 프레임 단위의 휘도 데이터(YS)와 컬러 데이터(CS)를 화면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109)를 통해 화면에 표시하여 주게 된다.
한편, 이미지선택적 발생부(106)에서 제작되어진 이미지 데이터는, 즉 다시 말해서 호스트 컴퓨터(106a)에서 사용자에 의해 제작되어진 이미지 데이터는 인터페이스부(106b)를 통해 상기한 데이터 변환수단의 메모리블록(104)에 프레임 단위로 저장된다.
이와 같이, 데이터 변환수단의 메모리블록(104)에 사용자가 선택한 이미지 데이터, 예컨대 자신이 촬영한 가족사진 혹은 다른 이미지를 저장한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메모리(100) 또는 비디오 메모리(102)로부터 이미지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조작부로부터의 뮤트키이(Mute Key)가 선택되어 입력되면 상기한 마이크로 프로세서(103)는 뮤트신호(MS)를 고전위(논리적으로 "1")로 하여 스위칭 절환부(107) 및 데이터 변환수단의 메모리블록(104)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블록(104)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의 뮤트신호(MS)에 의해 인에이블되어 사용자 이미지 데이터, 즉 사용자 이미지의 휘도 데이터(YS)와 색차 데이터(RYBY)를 각각 분리하여 출력하게 된다.
상기 메모리블록(104)에서 출력되는 휘도 데이터(YS)는 스위칭 절환부(107)에 제공되고 색차 데이터(RYBY)는 부호화부(105)에 제공된다.
상기 부호화부(105)는 입력된 사용자 이미지에 대한 색차 데이터(RYBY)를 컬러 데이터(CS)로 부호화 하여 스위칭 절환부(107)에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 절환부(107)는 마이크로 프로세서(103)에서 제공되는 고전위인 뮤트신호(MS)에 의해 스위칭 절환되어 상기 셔플링부(101)의 휘도 데이터와 컬러 데이터를 차단하고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의 메모리블록(104) 및 부호화부(105)에서 각각 입력되는 휘도 데이터(YS) 및 컬러 데이터(CS)를, 즉 다시 말해서 사용자 배경화면 데이터를 선택하여 전술한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8)에 제공하게 된다.
상기 디지털/아날로그 변환부(108)는 입력된 사용자 배경화면 데이터를 화면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단자(109)를 통해 화면에 사용자가 선택한 배경을 깔아주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비디오 뮤트 때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수화면을 배경화면으로 사용하여 자신이 구성한 화면을 모니터링도 할 수 있으므로 성취감과 지루함이 덜어짐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이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가능성이 있는 것은 자명한 일이다.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안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은 기존의 비디오 뮤트 시에 푸른색 배경화면 대신에 사용자가 입력한 어떠한 이미지를 출력 가능하게 하여, 사용자에게 자신의 비디오에 자신의 가족사진이나 혹은 어떤 다른 이미지를 보게 함으로서 성취감과 아울러 지루함을 덜어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1)

  1.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과; 화면상의 영상신호 유무에 따라 뮤트신호의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 결정된 뮤트신호에 따라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배경화면 데이터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수단; 및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배경화면 데이터를 아날로그화 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은,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선택하여 발생하는 호스트와; 상기 호스트와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을 상호 인터페이스 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로 분리하여 저장 출력하는 메모리블록; 및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얻어진 색차 데이터를 컬러 데이터로 부호화 하여 출력하는 부호화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은,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제작되어 얻어지는 이미지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5.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전송하는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과; 카메라 메모리 및 비디오 메모리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셔플링하는 셔플링수단과; 화면상의 영상신호 유무에 따라 뮤트신호 발생여부를 결정하는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 및 셔플링수단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배경화면 데이터로 처리하여 출력하는 데이터 변환수단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 결정여부에 따라 상기 셔플링수단에서 얻어진 이미지 데이터와 데이터 변환수단에서 얻어진 배경화면 데이터 중 어느하나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스위칭 절환수단과; 상기 스위칭 절환수단에서 선택된 데이터를 화면영상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하는 디지털/아날로그 변환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셔플링수단은, 카메라 메모리 및 비디오 메모리에서 선택적으로 입력되는 프레임 단위의 이미지 데이터를 휘도 데이터, 컬러 데이터 및 색차 데이터로 셔플링하여 분리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은, 제작되어진 사용자 이미지를 선택하여 발생하는 호스트; 및 상기 호스트와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을 상호 인터페이스 하는 인터페이스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에서 얻어진 사용자 이미지 데이터와 셔플링수단의 이미지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저장하여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배경화면 데이터로 출력하는 메모리블록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 절환수단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의 뮤트신호 발생시 데이터 변환수단의 배경화면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블록은, 상기 셔플링수단 및 이미지선택적 발생수단의 이미지중에서 휘도 데이터와 색차 데이터를 프레임 단위로 입력받아 저장하고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뮤트신호에 의해 상기 스위칭 절환수단과 연동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11. 제 5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변환수단은, 상기 메모리블록에서 얻어진 데이터중 색차 데이터를 컬러 데이터로 부호화 하여 스위칭 절환수단에 제공하는 부호화수단을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KR1019970000987A 1997-01-15 1997-01-15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KR100223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987A KR100223007B1 (ko) 1997-01-15 1997-01-15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0987A KR100223007B1 (ko) 1997-01-15 1997-01-15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821A KR19980065821A (ko) 1998-10-15
KR100223007B1 true KR100223007B1 (ko) 1999-10-01

Family

ID=19494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0987A KR100223007B1 (ko) 1997-01-15 1997-01-15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3007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5821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755161B1 (en) Encoding and decoding data, and data searching
US6424792B1 (en) Subtitle encoding/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EP1158810B1 (en) Recording medium
JPS62157484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RE40688E1 (en) System for producing personalized video recordings
KR910004274B1 (ko) 픽처-인-픽처에 있어서 복수화면 회전 이동 간격 제어회로 및 제어방법
KR0160713B1 (ko) 정지 화상 저장 및 이를 표시하는 텔레비젼
KR940001439B1 (ko) 자막정보 중첩회로
JPH04249988A (ja) ビデオ信号処理装置
KR100223007B1 (ko) 비디오 뮤트시 특수화면 표시장치
KR100282369B1 (ko) 영상신호 변환장치
KR100251483B1 (ko) 기록/재생기능을 갖는 티브이 및 그의 기록/재생방법
KR100196715B1 (ko) 복사 방지 기능을 갖는 가입자 댁내 장치
GB2343810A (en) Composite image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KR100188143B1 (ko) 파노라마 영상의 저장 및 재생시스템
KR200157637Y1 (ko) 폐쇄회로 tv 감시장치
KR950006447B1 (ko) 캠코더의 온스크린 표시화면 녹화 제어방법
KR960005929B1 (ko) 광화면텔레비전수상기의 온스크린표시장치 및 방법
KR0176461B1 (ko) 16:9화면내 4:3화면 디스플레이용 사이드 블랭크 레벨 삽입장치
KR940006015B1 (ko) 화면편집장치
JPS63153973A (ja) 映像出力装置
JPH04351084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変換装置
KR19990021594U (ko) 저장 기능을 갖는 텔레비젼을 이용한 컴퓨터 화면 감시 장치
KR20040101692A (ko) 영상합성이 가능한 디지털 캠코더 및 그 영상합성 방법
KR19990001236A (ko) 팩스기능 텔레비전의 팩스정보 다화면재생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