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6058B1 -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6058B1
KR0176058B1 KR1019960011608A KR19960011608A KR0176058B1 KR 0176058 B1 KR0176058 B1 KR 0176058B1 KR 1019960011608 A KR1019960011608 A KR 1019960011608A KR 19960011608 A KR19960011608 A KR 19960011608A KR 0176058 B1 KR0176058 B1 KR 0176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battery
over
discharge
prevention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9621A (ko
Inventor
정창운
이인동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11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6058B1/ko
Publication of KR9700696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96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6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60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02J7/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disconnection of loads if battery is not under charge, e.g. in vehicle if engine is not ru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econd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기 위한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와, 이 전압 검출부의 검출전압과 설정된 배터리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와, 이 비교부로부터 검출전압이 설정된 배터리의 전압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과전압을 검지하여 전압 누설 차단신호를 출혁하는 제어부와, 이 제어부의 전압 누설 차단신호에 따라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전압 누설 차단부로 구성되며,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배터리의 과방전을 검출하여, 이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의 방전을 막고, 자동차의 재 시동시 용이하게 시동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의 블록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전압 검출부 20 : 비교부
30 : 제어부 40 : 전압 누설 차단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동이 꺼져있을 때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발생되는 배터리의 과방전 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용 배터리는 가솔린 차, 디젤 차를 불문하고 차량에 탑재되어 엔진의 시동, 점화, 조명 및 기타 전장품의 전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한편, 운전자들이 잠시 볼일을 보기 위해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 자동차의 시동을 꺼 놓은 상태에서 일을 보게 되는 경우가 있다.
이 때, 자동차의 시동은 꺼진 상태이지만, 자동차의 실내 조명등, 테이프 재생 및 라디오 방송장치에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전압에 의해 동작가능하게 전원이 공급되어 있다.
그러나, 위와 같은 상태에서 운전자가 볼일을 보기 위해 자동차의 시동을 끄고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경우 운전자 및 승객들이 실수로 자동차의 도어를 열어 놓거나, 실내 조명들을 켜놓는 다든지, 또는 테이프 및 라디오 장치를 켜놓는 경우가 종종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자동차의 도어 개방, 조명등의 점등, 라디오 동작 등의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계속해서 소모되게 되고, 또한 상기 배터리의 방전상태를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배터리의 충전전압의 과방전으로 자동차 엔진의 재시동시 제대로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한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전압검출부 및 비교부에 의해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임을 검출하여, 제어부에 의해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의 블록구성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10)와, 상기 전압 검출부(10)로부터 출력되는 검출전압과 설정되어 있는 배터리의 기준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20)와, 상기 비교부(20)로부터 상기 검출전압이 설정된 배터리의 전압이하인 경우 배터리로 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도록 하는 전압 누설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전압 누설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 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전압 누설 차단부(40)로 구성된다.
다음으로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압 검출부(10)에 의해 배터리의 양단 전압을 검출하고, 이어서 상기 전압 검출부(10)로 부터 검출된 전압이 설정된 배터리의 기준전압 이하인지 비교판단한다.
상기 비교부(20)의 출력이 있어, 상기 전압 검출부(10)의 검출전압, 즉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하여 누설되는 배터리의 전압이 설정된 배터리의 기준전압 이하로 방전량이 많아지게 되는 경우에는 상기 배터리가 과방전 상태라고 판단하여 상기 제어부(30)가 배터리로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도록 상기 전압 누설 차단부(40)에게 전압 누설 차단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전압 누설 차단부(40)는 배터리로부터 전압이 더 이상 방전 되지 않도록 배터리의 전압을 차단시킨다.
따라서,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배터리의 방전 전압을 차단함으로써 엔진의 재 시동시에도 배터리의 전압에 의해 충분히 시동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발생되는 배터리의 과방전을 검출하여, 이를 차단함으로써 불필요한 배터리의 방전을 막고, 자동차의 재 시동시 용이하게 시동시킬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배터리의 전압을 검출하는 전압 검출부(10)와, 상기 전압 검출부(10)의 검출전압과 설정된 배터리의 전압을 비교하는 비교부(20)와, 상기 비교부(20)로부터 상기 검출전압이 설정된 배터리의 전압이하인 경우 배터리의 과방전 상태임을 검지하여 전압 누설 차단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의 전압 누설 차단신호에 따라 상기 배터리로 부터 방전되는 전압을 차단하는 전압 누설 차단부(4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1019960011608A 1996-04-17 1996-04-17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KR0176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608A KR0176058B1 (ko) 1996-04-17 1996-04-17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608A KR0176058B1 (ko) 1996-04-17 1996-04-17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21A KR970069621A (ko) 1997-11-07
KR0176058B1 true KR0176058B1 (ko) 1999-04-01

Family

ID=1945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608A KR0176058B1 (ko) 1996-04-17 1996-04-17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6058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9621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8381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battery power in emergency vehicles
US7248152B2 (en) Automatic on/off switch for vehicle power outlets
KR20180008976A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충전 방지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0176058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KR101009477B1 (ko) 차량용 배터리 세이버 시스템
JPH11334496A (ja) バッテリー上がり防止装置及び方法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200147895Y1 (ko) 자동차용 축전지의 과다 방전 방지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JP2001135495A (ja) 放電灯点灯装置
KR0182472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시 자동시동 제어장치
JP3069580U (ja) 自動車の電源装置
KR100223464B1 (ko)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19980073190A (ko) 자동차용 자동 충전장치 및 자동 충전방법
KR0168104B1 (ko) 전기자동차용 배터리 충전상태 감지장치
KR0138916Y1 (ko) 자동차의 밧데리 자동 충전장치
JP3580835B2 (ja) 車両の外部表示灯点灯システム
KR19980041194U (ko)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19980029930U (ko) 자동차의 방전예방 자동 시동 회로
KR20050018419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경보장치 및 그 방법
KR19990055530A (ko) 차량용 밧데리전원 차단방법
KR960043414A (ko) 자동차용 배터리 과방전 보상 제어장치
CN115224780A (zh) 一种汽车应急启动电源装置和应急启动方法
KR980009767U (ko) 배터리 방전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