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41194U -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41194U
KR19980041194U KR2019960054286U KR19960054286U KR19980041194U KR 19980041194 U KR19980041194 U KR 19980041194U KR 2019960054286 U KR2019960054286 U KR 2019960054286U KR 19960054286 U KR19960054286 U KR 19960054286U KR 19980041194 U KR19980041194 U KR 1998004119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voltage
switching unit
microprocessor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5428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주한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60054286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80041194U/ko
Publication of KR1998004119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1194U/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02J7/003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disconnection of loads if battery is not under charge, e.g. in vehicle if engine is not run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 배터리의 전압이 일정 전압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배터리로부터 부하로의 전원공급을 차단하여 과방전을 방지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자동차 배터리전압의 감소에 따른 별도의 장치가 구비되지 않아 배터리가 과방전되면 시동이 걸리지 않게 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은 배터리(10)와 전장품(16) 사이에 스위칭부(14)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14)에는 배터리출력전압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8)를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다른 입력단에는 엔진시동감지부(22)가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배터리출력전압이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보다 낮고 엔진시동중이 아니라고 판단될때 상기 스위칭부(14)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고안임.

Description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본 고안은 자동차의 배터리가 과방전될 때 배터리의 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터리의 전압이 엔진시동을 위한 전압이하로 내려가려 할 때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차단시키도록 하는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시동을 끈 상태에서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최소한의 전장품, 예컨대 헤드램프나 실내등과 같은 일부 전장품에는 전원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자동차에 관련된 법규에 있어 헤드램프와 각종 조명 램프들은 안전상 자동차 배터리에 직접 연결되어 시동을 끄고도 반드시 램프류는 운전자가 직접 램프류의 작동 스위치를 오프시켜 소등해 주어야 한다.
즉 자동차 배터리에는 엔진제어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거나 기타 전장품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여러 접점을 구비하고 있는 점화스위치가 연결되는 한편 이와는 별도로 스몰램프나 헤드램프와 같은 조명기구들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는 컴비네이션스위치가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엔진시동관련 전원은 점화스위치의 접점을 통해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고 스몰램프나 헤드램프는 컴비네이션스위치를 통해 직접 자동차 배터리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엔진시동의 온오프와 관계없이 컴비네이션스위치의 조작에 의해서만 점소등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차에서는 운전자가 그러한 컴비네이션스위치를 동작시켜 헤드램프나 스몰램프에 자동차 배터리의 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이를 잊어버리고 시동을 끈채 장시간 자동차에서 떨어져 있는 경우 또는 트렁크리드나 도어가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자동차의 배터리에서는 불필요한 전원공급이 계속 스몰램프나 헤드램프 또는 실내등이나 트렁크등으로 계속 이루어져 방전작용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그러한 상태로 장시간 방치해 두게 되면 배터리의 전원이 완전히 소진되어 더이상의 전원공급작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결국에는 시동도 걸리지 않게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부주의는 새벽이나 날이 흐릴때 안전주행을 위해 스몰램프나 헤드램프를 점등시킨 채 주행하다가 날이 밝거나 비가 그친 후 이런 사실을 잊어버리고 시동을 끄고 방치해 두는 경우가 왕왕 발생되어 나중에 재차 시동을 걸려할 때 시동이 걸리지 않아 곤경에 처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항상 배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헤드램프, 미등, 차폭등, 실내등과 같은 램프류가 시동을 끈후에도 계속 점등되어 있다거나 기타 다른 이유로 인하여 배터리의 전원이 계속 방전되어 어느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차단시켜 배터리의 과방전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를 제공하고자 함에 고안의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배터리와 부하사이의 전원공급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는 스위칭수단, 배터리의 전압을 상시 감지할 수 있는 배터리전압감지수단, 상기 배터리전압감지수단의 아날로그 출력전압을 디지탈데이타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수단, 배터리출력전압을 기준전압과 비교하여 상기 스위칭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자동차 배터리,12 - 퓨우즈,
14 - 스위칭부,16 - 전장품,
18 -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0 - 마이크로프로세서,
22 - 엔진시동감지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효과에 대하여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배터리(10)와 전장품(16) 사이에 스위칭부(14)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14)에는 배터리출력전압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8)를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다른 입력단에는 엔진시동감지부(22)가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배터리출력전압이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보다 낮고 엔진시동중이 아니라고 판단될때 상기 스위칭부(14)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제 1 도는 본 고안의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배터리(10)의 출력전원은 퓨우즈(12)를 통해 전장품(16)으로 공급되도록 이루어져 있는데, 여기서 전장품(16)이란 엔진의 시동여부에 관계없이 항상 자동차배터리(10)로 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스몰등이나 트렁크등, 실내등과 같은 전장품을 나타내는 것이며, 본 고안에서는 자동차배터리(10)와 상기 전장품(16)사이에 스위칭부(14)를 설치한 것이며, 스위칭부(14)는 후술되는 바와 같이 자동차배터리(10)에서 전장품(16)으로 공급되는 전원을 스위칭온 또는 스위칭오프시킬 수 있도록 이루어진 스위칭수단이다.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8)는 배터리(10)에서 출력되는 아날로그 전압신호를 디지탈신호로 변환시켜 마이크로프로세서(20)로 입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한 입력단에는 엔진시동감지부(22)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는 시동키가 키실린더에 삽입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그에 따른 감지신호를 마이크프로세서(20)로 입력시키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이와 같이 이루어져 있는 본 고안의 작용에 대해 예시도면 도 2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8)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의 출력레벨을 감지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0)에는 배터리(10)가 과방전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기준전압이 미리 설정되어 있어서 상기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8)를 통해 입력되는 배터리전압의 출력레벨과 기준전압을 비교하게 된다.
엔진시동이 걸려있거나 오프되어 있거나에 관계없이 마이크로프로세서(20)는 자동차배터리(10)의 전압을 감지하여 기준전압과 비교하다가 기준전압이하로 떨어짐이 감지되면 스위칭부(14)로 제어신호를 송출하여 자동차배터리(10)에서 전장품(16)으로 가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스위칭부(14)를 제어한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도 운전자가 시동을 걸기 위하여 이그니션스위치의 키실린더에 시동키를 삽입함이 감지되면 스위칭부(14)를 제어하여 배터리(10)의 출력전원이 전장품(16)에 공급될 수 있도록 스위칭온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배터리의 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는 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과 함께 배터리의 출력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는 스위칭수단을 구비하여 배터리출력전압이 일정 레벨 이하로 떨어지면 상기 스위칭수단의 제어를 통해 배터리의 전원출력을 차단함으로써 배터리의 완전방전에 따른 시동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기 있다.

Claims (1)

  1. 배터리(10)와 전장품(16) 사이에 스위칭부(14)가 연결되고, 상기 스위칭부(14)에는 배터리출력전압을 디지탈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18)를 매개로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연결되는 한편,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20)의 다른 입력단에는 엔진시동감지부(22)가 연결되어 마이크로프로세서(20)가 배터리출력전압이 자체에 설정되어 있는 기준전압보다 낮고 엔진시동중이 아니라고 판단될때 상기 스위칭부(14)를 오프시키는 제어신호를 송출하도록 이루어진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2019960054286U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KR1998004119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286U KR19980041194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54286U KR19980041194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1194U true KR19980041194U (ko) 1998-09-15

Family

ID=539941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54286U KR19980041194U (ko) 1996-12-23 1996-12-23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80041194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859A (ko) * 2009-06-10 2012-04-18 케이2 에너지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지 과방전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36859A (ko) * 2009-06-10 2012-04-18 케이2 에너지 솔루션스, 인코포레이티드 전지 과방전을 예방하기 위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11888A (en) Automatic vehicle power and headlight controlling device with detecting function of a generator and delayed effect
KR19980041194U (ko)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방지장치
JPS6353050B2 (ko)
KR100285450B1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200152939Y1 (ko) 자동차 전조등(미등)소등 망각에 따른 밧데리 방전방지장치
KR0148540B1 (ko) 자동차용 배터리의 무단방전 방지장치
KR0140019Y1 (ko) 자동차 배터리 방전 방지회로
KR200193992Y1 (ko) 배터리 방전 방지장치
KR0182471B1 (ko) 자동차의 배터리방전 차단장치
KR100192912B1 (ko) 자동차 밧데리의 방전방지장치
KR19980035510A (ko) 차량의 배터리 방전방지용 절전장치
KR200355122Y1 (ko) 차량의 밧데리 방전 방지장치
KR0121417Y1 (ko) 자동차의 램프점등시 배터리 방전 차단장치
KR100208828B1 (ko) 헤드라이트 자동 소등장치
KR100208618B1 (ko) 자동차 실내등 제어장치
KR0176058B1 (ko) 차량용 배터리의 과방전 방지 장치
KR100240408B1 (ko) 자동차의 램프 자동 소등 방법
KR19980073190A (ko) 자동차용 자동 충전장치 및 자동 충전방법
KR19990010567U (ko) 자동차 전조등의 점소등 제어장치
JPH0714682A (ja) 放電灯装置
KR19980035518U (ko) 자동차의 배터리 과방전 경고장치
KR970006404B1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예방 장치
KR19990026990A (ko) 자동차의 배터리 방전 자동 차단 장치
KR200221786Y1 (ko) 자동차 자동 소등 장치
KR19990049489A (ko) 차량의 배터리방전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