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736B1 -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736B1
KR0174736B1 KR1019960006089A KR19960006089A KR0174736B1 KR 0174736 B1 KR0174736 B1 KR 0174736B1 KR 1019960006089 A KR1019960006089 A KR 1019960006089A KR 19960006089 A KR19960006089 A KR 19960006089A KR 0174736 B1 KR0174736 B1 KR 0174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cator
body housing
main body
inclination angle
resp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60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5358A (ko
Inventor
미츠노리 고노
유키오 츠치야
구니오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구보 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705161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49540A/ja
Priority claimed from JP7051615A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49541A/ja
Application filed by 구보 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 테크 filed Critical 구보 미츠오
Publication of KR960035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5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7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12Cash registers electronically operat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기의 외형 치수나 중량을 크게 했을 경우에도 표시기의 경사각도의 조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소정의 경사각도의 유지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고, 더구나 외형 치수나 중량을 크게한 표시기를 표시부가 본체 하우징이 외표면에 따르도록 쓰러뜨린 때에도 본체 하우징이 외표면으로 부터의 표시기나 경사각도 조정 유치기구의 돌출을 없앨 수가 있고 외관을 손상시키는 일이 없을뿐더러 이동이나 반송도 편리한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장치를 제공하는 일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장치는 ; 제어기기(30)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22)과; 본체 하우징(22)에서 독립하여 외표면에 표시부(24a)가 설치된 표시기(24)와; 표시기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자재로 연결하고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기를 경사시키면서 동시에 본체 하우징에 대한 표시기의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44, 52, 58, 60)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설치되어 거의 원호형상의 종단면을 지닌 기립가이드홈(44)과, 표시기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와는 반대측인 영역에 설치되고, 본체 하우징의 기립 가이드홈에 따라서 접동하는 가이드 돌기(52)와; 가이드 돌기에 설치되고 기립 가이드홈과 마찰 계합하여, 기립 가이드홈 사이에 발생시키는 마찰력을 조정 가능한 마찰력 조정기구(50, 60)를 포함하고 있다.

Description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외장 하우징의 일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
제3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적인 투시도.
제4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외장 하우징과, 외장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한 표시기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5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표시기의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외장 하우징과 표시기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의 구조를 도시하는 제 2 도의 VI-VI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의 항력 발생 기구가 표시기를 제 1 의 소정의 경사각도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8도는 제1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의 항력 발생 기구가 표시기를 제 2 의 소정의 경사각도 위치에 유지하고 있는 상황을 도시하는 측면도.
제9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표시기의 변형예의 분해 사시도.
제10도는 제 1 도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외장 하우징의 외표면에 있어서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있는 수적(물방울)수집을 확대하여 도시하는 확대도.
제11도는 종래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내부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경사 각도 조정 유지 기구 12a, 12b : 회동 중심핀
12c : 각도 유지 부재 12d : 계합판
12e : 계합돌기 16, 24 : 표시기
20 : 전자 캐시 레지스터 22 : 본체 하우징
24 : 표시기 24b : 장출부
28 : 배출구 30 : 제어 기기
30a : 기억 유닛 30b : 제어기 판
32 : 인자 장치 44a : 기립 가이드홈
46 : 접동 계합홈 50 : 전기 케이블 도입홈
51 : 물방울 수집 오목부 52 : 케이블 가이드 돌기
60 : 탄성 부재 62 : 외력지지 부재
62a, 62b : 계합부 62c : 회동 중심축
68a : 회동 중심공
본 발명은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에 특히, 제어기기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으로부터 독립하여 외표면에 표시부가 설치된 표시기와, 그리고, 표시기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자재로 연결하여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기를 기울어지게 하면서 동시에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종류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전자 캐시 레지스터로서 알려져 있다. 상기 종류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는, 본체 하우징에서 설치된 키보드 또는 표시기의 표시부에 표시된 터치식 패널 또는 본체 하우징의 제어기기에 접속된 본체 하우징으로부터의 바코드 스캐너를 사용하여 상품 코드가 제어기기에 입력되면, 제어 기기가 제어 기기의 상품 파일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상품 데이터(상품명이나 단가 등) 중에서 입력된 상품 코드에 대응한 상품 데이터를 검색하고 데이터를 제어 기기의 파일에 등록한다. 상기와 같이 등록된 상품 데이터는 표시기의 표시부에 표시된다. 고객의 사들인 모든 상품의 상품 코드가 제어 기기에 입력된 후에 키보드 또는 터치식 패널을 개재하여 합계 조작 지시가 입력되면, 제어 기기는 상기 모든 상품의 금액의 합계(소합계)나 상기 합계 금액에 부가되는 소비 세액이나 소합계 금액과 소비 세액과의 대합계를 산출하고, 상기 소합계 금액, 소비 세액, 그리고 대합계를 표시기의 표시부에 표시한다.
다음에 상기 전자 캐시 레지스터의 오퍼레이터가 고객으로부터 건네 받은 금액을 키보드 사용하여 제어 기기에 입력하면, 제어 기기는 대합계와 상기 건네 받은 금액과의 차이(즉, 거스름 돈의 금액)를 계산하고, 상기 건네 받은 금액 및 거스름 돈을 표시기의 표시부에 추가로 표시한다. 제어 기기는 또한 동시에 본체 하우징에 격납되어 있는 리시트 발행 기계에 상술한 계산 결과를 포함한 필요한 정보를 인쇄시킨다. 최후에 오퍼레이터가 발행된 리스트와, 만약 거스름 돈이 있으면 거스름 돈을 고객에게 건네주면, 고객과의 일회의 상품 거래 회계 처리가 종료된다.
예를 들면, 슈퍼마켓과 같은 단시간에 다수의 고객과의 상품 거래를 하지 않으면 안될 경우에는 표시기의 표시부는 보기 쉽지 않으면 안된다. 그 때문에 표시기는 전자 캐시 레지스터가 설치된 장소의 조명 환경이나 전자 캐시 레지스터의 오퍼레이터의 신장 등의 조건에 따라서 오퍼레이터가 가장 보기 쉬운 경사 각도를 설정하여 유지할 수 있도록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를 개재하여 본체 하우징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는 독취가능 각도가 좁은 액정 표시 장치(LCD)를 표시기의 표시부에 사용하고 있는 경우는 필요도가 높다.
제11도는 종래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의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를 도시하고 있다. 경사 각도 조정 유지 기구(12)는 도시되지 않은 제어 기기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에 부착되어 있고, 본체 하우징(14)에서 독립하고 외표면에 표시부가 설치된 표시기(16)의 하단부와 회동 중심핀(12a)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표시기(16)는 회동 중심핀(12a)을 중심으로 회동 자재이며,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할 수가 있다.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12)는 또한 표시기(16)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와는 반대측의 영역(이면)에 회동 중심핀(12b)을 개재하여 회동 자재로 연결되어 있는 일단부를 지닌 각도 유지 부재(12c)를 가지고 있다.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12)는 추가로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으로 향하고 표시기(16)가 이면을 향하여 쓸어졌을 때에 표시기(16)의 이면과 대향하는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의 영역에 부착된 계합판(12d)을 가지고 있다. 계합판(12d)의 상면에는 다수의 계합 돌기(12e)가 형성되어 있고, 다수의 계합 돌기(12e) 중 어느 것인가에 각도 유지 부재(12c)의 타단(자유단)을 제11도에 도시함과 같이 계합시킴으로써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에 대하여 표시기(16)를 소정의 경사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는, 표시부의 면적이 작아서 사용 빈도가 적고, 따라서 외형 치수가 작아서 중량이 적은 종래의 표시기(16)에 대하여는 유효했었다. 그러나, 근년에는 표시기(16)의 표시부의 면적이 큰 쪽이 좋다면 요망이 시장에서 커지고 있다. 상기 요망에 답하여 큰 면적의 표시부를 지닌, 즉 제1도의 종래의 표시기(16)에 비하여 외형 치수가 크고 중량이 큰 표시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에서는 종래에 비하여 크게 무거워진 표시기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위하여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의 상술한 여러 가지의 구성 부재의 치수를 크게 하지 않으면 안되고, 또한 종래에 비하여 크게 무거워진 표시기의 경사 각도를 변경하는 작업에 요하는 힘도 커져서 경사각도 변경 작업이 어려워진다. 또한 치수가 커진 각도 유지 부재(12c)에 대하여 물체가 걸릴 가능성이 증대하고, 나아가서는 걸린 물체에 의하여 계합판(12d)의 계합 돌기(12e)에 대한 각도 유지 부재(12c)의 계합이 해제되어 표시기(16)가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에 쓰러져서 표시기(16)나 본체 하우징(14)이 손상될 가능성도 증대한다. 또한 여러 가지의 구성 부재의 치수가 커진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는, 동일하게 외형 치수가 커서 중량이 커진 표시기와 함께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에서의 돌출 용적이 커지고, 전자 캐시 레지스터의 외관을 손상시킬 뿐만 아니라, 전자 캐시 레지스터의 이동이나 반송을 할 때에도 불편하게 된다.
또 습도가 높은 장소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 전자 캐시 레지스터를 사용한 경우,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식당 등에서 전자 캐시 레지스터를 조리장에 인접한 카운터에 두고 사용했을 경우, 조리장 등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부터의 물이 표시기의 표시부에 부착한 후에 물방울이 되어 경사한 표시부를 따라 흘러내리는 수가 있다. 흘러내린 물방울은 표시기의 외장 하우징과 표시부 사이의 틈새에서 표시기의 내부로 유입하여 표시기의 내부의 전기 부품을 손상시키거나, 본체 하우징(14)의 상면의 틈새, 예를 들면 키보드의 틈새에서 본체 하우징(14)의 내부로 유입하여 본체 하우징(14) 내부의 제어 기기에 고장을 발생시킬 수도 있다. 그리고 표시기의 표시부에 부착하는 물방울의 양은 표시부의 면적이 커질수록 많아진다.
본 발명은 상기 상황하에서 이루어지고,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기의 외형 치수나 중량을 크게한 경우에도 표시기의 경사 각도의 조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소정의 경사 각도의 유지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고, 더구나 외형 치수나 중량을 크게한 표시기를 표시부가 본체 하우징의 외면에 따르도록 쓰러뜨렸을 때에도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의 표시기나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의 돌출을 없앨 수가 있고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을뿐더러 이동이나 반송도 편리한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상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어 기기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서 독립하고 외표면에 표시부가 설치된 표시기와; 그리고 표시기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연결하여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기를 경사 시키면서 동시에 본체 하우징에 대한 표시기의 소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거의 원호 형상인 종단면을 지닌 기립 가이드홈과 표시기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와는 반대측인 영역에 설치되고 본체하우징의 기립 가이드홈에 따라 접동하는 가이드 돌기와, 가이드 돌기에 설치되고 기립 가이드홈과 마찰 계합하여 기립 가이드홈과의 사이에 생기게 하는 마찰력을 조정 가능한 마찰력 조정 기구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는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서 돌출하지 않고, 표시기를 표시부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따르도록 쓰러뜨린 때에도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의 표시기나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의 돌촐을 없앨 수가 있어서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는다. 또 마찰력 조정 기구에 의하여 본체 하우징의 기립 가이드홈과 가이드 돌기 사이에 생기는 마찰력을 표시기의 중량에 따라서 표시기의 경사 각도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하면서 동시에 소정의 경사 각도의 유지를 안전하게 행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두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에 있어서 마찰력 조정 기구는 본체 하우징의 내표면의 측에서 기립 가이드홈의 주연에 당접된 탄성 부재와, 턴성 부재를 가이드 돌기에 연결시켜 상기 주연에 대한 탄성 부재의 당접 압력을 조정 가능한 당접 압력 조정 부재를 포함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마찰력 조정 기구는 구성이 간단하고, 또한 마찰력의 조정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추가로 표시기의 외표면과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기가 소정의 경사 각도로 유지되었을 때에 표시기에 부하된 상기 각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인 외력에 대항하여 상기 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항력 발생 기구를 지니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항력 발생 기구는 표시기의 경사 각도의 유지를 보다 확실하게 한다.
항력 발생 기구는 표시기의 외표면에 회동 자재로 설치되고 복수의 계합부를 가지고 있는 외력지지 부재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표시기의 외표면에 대한 외력지지 부재의 회동 각도에 따라 외력지지 부재의 복수의 계합부의 어느 것인가가 계합되는 피계합부를 포함하고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항력 발생 기구의 구성은 간단하고, 또한 기능의 확실하다.
항력 발생 기구는 외력지지 부재를 복수의 계합부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의 피계합부에 향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를 추가로 설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부세 부재로 표시기의 경사 각도를 크게 하고자 할 때에는 소정의 각도로 외력지지 부재의 복수의 계합부의 어느 것인가를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의 피계합부에 자동적으로 계합시킬 수 있으므로, 표시기로의 소정의 경사각도 설정 작업이 매우 재빠르고 용이하게 되고, 소정의 경사 각도로 표시기를 보다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가 항력 발생 기구를 사용한 경우에는, 표시기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와의 반대쪽인 영역에 항력 발생 기구의 외력지지 부재를 자재에 설치한다. 또한, 표시기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와는 반대쪽인 영역과 그 반대측인 영역에 대응하는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의 영역 사이에 외력지지 부재가 표시기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와는 반대측 영역에 따라서 배치된 상태에서 표시기가 표시부를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따르도록 배치되었을 때에 외력지지 부재를 수용하는 공간을 설치하는 것일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항력 발생 기구는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본 발명의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이동이나 반송의 편리도를 손상시키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을 데이터 처리 장치는 또한,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기의 회동 중심선에 따라 경사 각도 조정 유지 기구의 가이드 홈에 인접하여 기립 가이드홈으로부터 독립된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에는 표시기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는 사이에 표시기의 외표면에 부착하고 외표면의 경사에 따라 흘러내린 물방울이 수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이라면, 습도가 높은 장소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사용한 경우,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식장 등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조리장에 인접한 카운터에 두고 사용한 경우과, 조리기 등에서 발생한 수증기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부터의 물이 표시기의 표시부에 부착한 후에 물방울이 되어 경사한 표시부에 따라 흘러내린 경우라도 간단한 구성인데도 불구하고 표시기의 내부나 본체 하우징 내부로의 물방울 유입을 효과적으로 저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와 같은 물방울의 유입을 원인으로 하는 표시기의 내부의 전기 부품의 손상이나 본체 하우징 내부의 제어 기기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목부는 오목부에 수납된 물방울을 본체 하우징의 외부에 배출하는 물방울 배출 기구를 지니고 있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물방울 배출 기구의 존재는 습도가 보다 높은 장소나 조리장에서 발생하는 수증기의 양이 많은 비교적 작은 식당에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사용할 경우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일이 많을 경우에 특히 유효하다.
또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제어 기기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과; 본체 하우징에서 독립하고 외표면에 표시부가 설치된 표시기와; 그리고 표시기를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연결하여 본체 하우징에 대하여 표시기를 경사기키면서 동시에 본체 하우징에 대한 표시기의 소정의 경사 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가 수납되는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에는 표시기가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는 동안에 표시기의 외표면에 부착하여 외표면의 경사에 따라 흘러내린 물방울이 수집되는 물방울 수집 오목부가 설치되어 있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이라면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종래에 비하여 표시기의 외형 치수를 크게 했을 경우에도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는 본체 하우징의 외표면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외관이 손상되지 않으면서 동시에 이동 및 반송이 용이하게 된다. 더구나 간단한 구성인데도 불구하고 표시기의 내부나 본체 하우징의 내부로의 물방울 침입을 효과적으로 저지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이와 같은 물방울의 침입을 원인으로 한 표시기 내부의 전기 부품의 손상이나 본체 하우징의 내부의 제어 기기의 고장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에 있어서도 습도가 높은, 혹은 수증기의 발생 양이 보다 많은 장소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를 사용할 경우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일이 많은 경우에 대비하여 상기 물방울 수집 오목부는 물방울 수집 오목부에 수집된 물방울을 본체 하우징의 외부로 배출하는 물방울 배출 기구를 갖을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및 변형 예로 첨부한 도면 중 제1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는 전자 캐시 레지스터이며,제1도에는 전자 캐시 레지스터의 외관이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 있어서 전자 캐시 레지스터는 참조 부호(20)에 의하여 지적되어 있고, 전자 캐시 레지스터(20)의 본체 하우징(22)은 상하로 분할 가능한 윗케이스(22a)와 아래 케이스(22b)로 구성되어 있다. 아래 케이스(22b)의 하면에는 드로워(22c)가 부착되어 있다.
윗케이스(22a)의 상면은 드로워(22c)의 개방 방향인 앞 가장자리에서 드로워(22c)의 폐쇄 방향인 뒤 가장자리로 향하여 서서히 높아지도록 경사되어 있고, 상기 상면의 중앙부에는 예를 들면 표시부(24a)를 상면에 구비한 표시기(24)가 배치되어 있다. 윗케이스(22a)의 상면에 있어서 표시기(24)보다도 전방에는 키보드(26)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상면에 있어서 표기(24)보다도 후방은 리시트 배출 개구(28)가 개구되어 있다.
윗케이스(22a)의 상면에서 표시기(24) 보다도 후방의 영역은 리시트 배출개구(28)가 형성되어 착탈 자재인 리시트 커버(22d)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리시트 커버(22d)를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윗케이스(22a)의 잔여 부분에서 벗겨내면, 도시하지 않은 리시트의 장전이나 본체 하우징(22)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는 여러 가지 제어 기기의 점검을 상방에서 행할 수 있다.
윗케이스(22a)의 상면에서 표시기(24)의 이면(표시부(24a)와는 반대측인 면)의 후반부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리시트 커버(22d)에 인접해 있는 영역과 또한, 제 2 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착탈 자재인 윗점검 레버(22e)에로 구성되어 있다. 윗점검 커버(22e)를 제2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윗케이스(22a)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벗겨 내면, 본체 하우징(22)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는 여러 가지 제어 기기의 점검을 리시트 커버(22d)보다도 전방인 상방에서 행할 수 있다.
아래 케이스(22b)의 후반부도 또 착탈 자재인 뒷점검 커버(22f)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뒷점검 커버(22f)를 아래 케이스(22b)의 잔여 부분으로부터 벗겨내면, 본체 하우징(22)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제어 기기의 점검을 아래 케이스(22b)의 후방에서 행할 수 있다.
표시기(24)는 윗케이스(22a)의 상면 중앙부와 후술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를 개재하여 소정의 범위 내에서 회동 자재로 연결되어 있고, 표시기(24)는 후술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로 소정의 범위 내에서 윗케이스(22a)의 상면에 대하여 경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정의경사 각도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부(24a)는 액정 표시 장치(LCD)로 구성되어 있다.
제3도에는 본체 하우징(22)의 내부에 격납되어 있는 여러 가지의 제어 기기(30)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여러 가지의 제어 기기(30)에는 예를 들면 하드 디스크와 같은 기억 유닛(30a)이나 여러 가지의 전자 부품을 사용하여 구성된 제어기판(30b)이 포함된다. 본체 하우징(22)의 내부에는 추가로 리시트 인자 장치(32)나 여러 가지의 제어 기기(30) 및 리시트 인자 장치(32)를 위한 전원 유닛을 포함한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34)도 또한 격납되어 있다. 또한 이들 여러 가지 제어 기기(30)와 리시트 인자 장치(32)와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34)의 구성이나 기능은 종래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에서 사용되고 있는 이들의 구성이나 기능과 동일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이들의 여러 가지 제어 기기(30)와 리시트 인자 장치(32)와 여러 가지의 전기 기기(34)의 구성이나 기능에 대하여는 여기에 설명하지 않으며, 또 본원의 발명의 요지와도 무관하다.
다음에는 제4도,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서 본원의 발명에 의하여 특징적으로 구성된 경사각도 조정 유지 기구에 대하여 설명한다.
윗케이스(22a)의 상면에서 표시기(24)의 이면(표시부(24a)와는 반대측면)의 거의 전반부에 대응하면서 동시에 윗점검 커버(22e)에 인접해 있는 영역에는 횡단면이 거의 반원 형상인 오목부(40)가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0)의 저면에는 오목부(40)의 장수 방향으로 상호 이간된 2개의 위치에 오목부(40)의 둘레 방향으로 연출한 한 쌍의 원호상이 솟아오른부(42)가 형성되어 있고, 한 쌍의 원호상이 솟아오른부(42)의 상면에는 솟아 오른부(42)의 둘레 방향으로 연출하고 원호상의 종단면을 지닌 한 쌍의 기립 가이드홈(44)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0)의 저면에 있어서 한 쌍의 원호상의 솟아오른부(42)의 각각의 외측에는 한 쌍의 원호상의 솟아오른부(42)의 둘레 방향으로 연출하여 원호상의 종단면을 갖는 접동 계합 홈(46)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0)의 저면에 있어서 한 쌍의 원호상의 솟아오른부(42) 사이에도 오목부(40)의 둘레 방향으로 연출한 하나의 원호상 솟아오른부(48)가 형성되어 있고, 하나의 원호상 솟아오른부(48)의 상면에는 솟아오른부(48)의 둘레 방향으로 연출하고 원호상의 종단면을 가진 전기 케이블 도입홈(50)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오목부(40)의 저면에 있어서 가장 낮은 위치에는, 한 쌍의 원호상인 솟아오른부(42), 한 쌍의 접동계합홈(46), 그리고 하나의 원호상인 솟아오른부(48)에서 독립하여 오목부(40)의 저면보다도 더 낮은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의 오목부(51)가 오목부(40)이 장수방향으로 연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표시기(24)의 이면(표시부(24a)와는 반대측인 면)의 거의 전반부인 윗케이스(22a)의 상면 중앙부의 오목부(40)에 삽입되어 오목부(40)를 오목부(40)의 둘레 방향으로 접동자재인 거의 반원형상이 횡단면을 지닌 장출부(24b)를 구성하고 있다. 장출부(24b)의 외표면에는, 윗케이스(22a)의 상면의 오목부(40)의 한 쌍의 기립가이드 홈(44) 및 한 쌍의 접동게합홈(46)에 삽입되는 한 쌍의 가이드돌기(52) 및 한 쌍의 계합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윗케이스(22a)의 상면의 오목부(40)에서 표시기(24)가 이면 장출부(24b)가 상술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접동했을 때, 표시기(24)의 한 쌍의 가이드 돌기(52) 및 한 쌍의 계합돌기(54)는 오목부(40)의 한 쌍의 기립 가이드홈(44) 및 한 쌍의 접동계합홈(46)에서 이들의 홈의 연출 방향으로 이동한다.
한 쌍의 계합돌기(54)의 선단은 한 쌍의 접동계합홈(46)의 내단 안쪽에 제 6 도에 특히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계합하고, 윗케이스(22a)의 상면 오목부(40)에서의 표시기(24)의 이면의 장출부(24b)의 이탈 즉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서의 표시기(24)의 분리를 방지하면서 동시에 윗케이스(22a)의 상면의 오목부(40)에 대하여 오목부(40)의 장수방향에 따른 장출부(24b)가 이동하는 것을, 즉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대하여 표시기(24)가 본체 하우징(22)의 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한 쌍의 가이드돌기(52)의 돌출단에는 한 쌍의 기립 가이드홈(44)의 내단보다도 내방으로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60)가 나사(58)에 의하여 부착되어 있고, 탄성부재(60)의 양단부는 한 쌍의 기립가이드홈(44)이 내단에서 기립 가이드홈(44)의 장수방향으로 연출한 양쪽 가장자리에 당접되어 있다. 따라서 나사(58)를 한 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한 쌍의 기립 가이드홈(44)에 대한 탄성부재(60)의 당접 압력을 조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실시예에서는, 나사(58)가 당접 압력 조정 부재로서 기능하고 있으며, 나사(58)와 탄성부재(60)과의 조합이 한 쌍의 기립 가이드홈(44)과 한 쌍의 탄성부재(60)와의 사이에서 발생케하는 마찰력을 조정가능한 마찰력 조정기구로서 기능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탄성부재(60)는 판용수철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찰력의 조정은 윗케이스(22a)의 상면에 대하여 표시기(24)를 가장 입상한 상태로 배치하고 있는 사이에 윗케이스(22a)의 상면의 오목부(40)에 인접한 윗점검커버(22e)를 제거하면, 윗점검커버(22e)를 제거한 후에 생긴 윗점검개구를 개재하여 나사(58)를 드라이버로 회전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에서는 한 쌍의 기립 가이드홈(44)과 한 쌍의 가이드돌기(52)와 상기 마찰력 조정기구(상기 실시예에서는 나사(58)와 탄성부재(60)와의 조합)가 표시기(24)를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회동 자재로 연결하고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표시기(24)를 경사시키면서 동시에 본체 하우징(22)에 대한 표시기(24)의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 구조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오목부(40)의 전기 케이블 도입홈(50)에는 제6도에 특히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기(24)를 위한 전기 케이블(62)을 본체 하우징(22)중의 여러 가지의 제어기기(30)나 여러 가지의 전기기기(34)에 접속시키기 위하여 삽통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전자 캐시레지스터(20)에서는 추가로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표시기(24)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유지되어 있는 사이에 표시기(24)에 부하된 상기 소정의 경사각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의 외력에 대항하여 상기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항력 발생기구가 표시기(24)의 외표면과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항력 발생기구, 제5도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기(24)의 외표면(상기 실시예에서는 이면)에 자동 자재로 설치되고 복수의 계합부(62a), (62b)를 갖는 외력지지부재(62)와 제5도에 특히 잘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상기 실시예에서는 상편의 중앙부 윗점검 커버(22e))에 설치되고, 표시기(24)의 외표면에 대한 외력 지지부재(62)의 회동각도에 따라 외력지지부재(62)의 복수의 계합부(62a), (62b)의 어느 것인가가 계합되는 피계합부(64)와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실시예의 윗점검커버(22e)는 본체 하우징(22)의 상면 오목부(40)에 인접한 영역이 그 영역의 후방영역보다도 낮은 단을 구성하고 있어 상기 후방 영역의 앞가장자리가 피계합부(64)를 구성하고 있다.
항력 발생기구는 제5도에 특히 잘 도시한 바와 같이, 외력 지지부재(62)를 복수의 계합부 (62a), (62b)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향하도록 부세하는 부세 부재(6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항력 발생기구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표시기(2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외력지지부재(62)의 양단부에 있어서 복수의 계합부(62a), (62b)에서 떨어진 위치에 한 쌍의 회동중심축(62c)이 돌출되어 있고, 외력 지지부재(62)의 한 쌍의 회동중심축(62c)은 표시기(24)의 이면에서 장출부(24b)의 중앙부 후방에 인접한 오목부(68)의 내표면에 있어서 표시기(24)의 폭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한 쌍의 회동중심공(68a)에 회동 자재로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회동중심공(68a)이 한쪽에 권장되고 양단이 외력지지부재(62)와 오목부(68)의 저면에 계합된 코일용수철이 부세부재(66)를 구성하고 있다.
외력지지부재(62)는, 표시기(24a)가 표시부(24a)를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에 따르게 하여 배치될 때에 부세부재(66)의 부세력에 대하여 표시기(24)의 이면에 따르도록 접혀지고, 한 낮은 단이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에 창출해 있는 공간에 수용된다. 상기를 위하여 외력지지부재(62)는,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에서 돌출하지 않고 일실시예의 전자 캐시레지스터(20)의 외관을 손상시키지 않고, 일실시예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20)의 이동이나 반송의 편리도 손상하지 않는다.
제7도 및 제8도는 표시기(24)를 소정의 제 1 및 제 2 의 경사각도를 설정했을 때에 항력 발생기구가 작동하는 모양이 도시되고 있다. 또한 제7도 및 제8도에 있어서, 각도 θ1 은 표시기(24)가 표시부(24a)를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에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었을 때의 수평면으로부터의 초기 경사각도이며, 각도 θ2 은 표시기(24)가 항력발생 기구에 의하여 외력에 대향하여 최초의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제 1 의 경사각도이며, 각도 θ3 은 표시기(24)가 항력 발생기구에 의하여 외력에 대항하여 2번째의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제 2 의 경사각도이며, 각도 θ4 은 표시기(24)가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에서 가장 입상되었을때의 최대 경사각도이다.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표시기(24)를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상의 초기 경사각도 θ1에서 화살표 U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향하여 입상시키면 표시기(24)가 제 1의 경사각도 θ2에 도달했을 때에 부세부재(66)에 의하여 화살표 R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외방으로 향하여 부세되어 있는 외력 지지부재(62)의 제 1 의 계합 수단(62a)이 본체 하우징(22)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자동적으로 계합한다. 이후에 표시기(24)를 초기경사 각도 θ1 에 향하여 화살표 P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하여도,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제 1 의 계합수단(62a)을 계합시킨 계합 외력 지지부재(62)가 상기 압압에 대항하여 표시기(24)를 제 1 의 경사각도 θ2 로 유지한다.
제7도의 제 1 의 경사각도 θ2에서 표시기(24)를 화살표 U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추가로 상방으로 향하여 입상하면 표시기(24)가 제 2 의 경사각도 θ3 도달했을때에 제 8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부세부재(66)에 의하여 외방으로 향하여 부세되어 있는 외력 지지부재(62)의 제 2 의 계합수단(62b)이 본체 하우징(22)이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자동적으로 계합한다. 이후에 표시기(24)를 초기 경사각도 θ1에 향하여 화살표 D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압압하여도,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제 2 의 계합수단(62b)을 계합시킨 외력 지지부재(62)가 상기 압압에 대항하여 표시기(24)를 제 2 의 경사각도 θ3에 유지한다.
제8도에 도시하는 제 2 의 경사각도 θ3에서 표시기(24)를 초기 경사각도 θ1으로 향해 회동시키려면 외력 지지부재(62)를 부세부재(66)의 부세력에 대항하여 화살표 F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표시기(24)의 이면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대한 제 2 의 계합수단(62b)의 계합을 해제한 후에 표시기(24)를 화살표 D에서 표시하는 것처럼 압압하면 된다.
제7도에 도시하는 제 1 의 경사각도 θ2에서 표시기(24)를 초기 경사각도 θ1으로 향하여 회동시키는 경우에도 동일하며, 우선 최초에 외력 지지부재(62)를 부세부재(66)의 부세력에 대향하여 표시기(24)의 이면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압압하여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대한 제 1 의 계합수단(62a)이 계합을 해제하고, 그 후에 표시기(24)를 화살표 P에서 표시하는 것같이 압압하면 된다.
또한 제8도에는 표시기(24)가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상의 초기 경사각도 θ1에 배치되어 있는 사이에 본체 하우징(22)의 피계합부(64)를 구성하고 있는 윗점검커버를 창출하고 있는 공간에 외력지지부재(62)가 수용되어서 본체 하우징(22)의 상면에서 돌출하지 않은 모양도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항력 발생기구에서는, 부세부재(66)로 표시기(24)의 경사각도를 초기 경사각도로부터 크게 하려고 할 때에는 제 1 및 제 2 의 소정의 경사각도 θ2, θ3 에서 외력 지지부재(62)의 복수의 계합부(62a), (62b) 중 어느 것인가를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의 피계합부(64)에 자동적으로 계합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의 소정의 경사각도 θ2,θ3으로의 표시기(65)의 설정작업이 매우 신속 용이해지고, 제 1 및 제 2 의 소정의 경사각도 θ2, θ3에 표시기(24)를 보다 안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20)를 습도가 높은 장소에서 시용하거나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 전자 캐시 레지스터(20)를 사용한 경우, 예를 들면 비교적 작은 식당등에서 전자 캐시 레지스터를 조리장에 인접한 카운터에 놓고 사용했을 경우에서 조리장등에서 발생한 수증기가 물로 젖은 손가락으로부터의 물이 표시기(24)의 표시부(24a)에 부착된 후에 물방울이 되어 경사한 표시부(24)에 따라서 흘러내리는 일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흘러내린 물방울은 본체 하우징(22)의 상면 오목부(40)의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에 집합된다.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에 집합된 물방울은, 본체 하우징(22)의 내부의 여러 가지 기기가 발생하는 열에 의하여 증발된다. 따라서 상기 흘러내린 물방울이 표시기(24)의 내부가 본체 하우징(22)의 내부로 유입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저지되고, 나아가서는 상기와 같은 물방울의 유입을 원인으로 하는 표시기(24)의 내부에 전기부품의 손상이나 본체하우징(22)의 내부의 여러 가지 기기의 고장이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또한, 상술한 일실시예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20)에서는, 본체 하우징(22)의 상면 오목부(40)에 복수의 물방울 수집오목부(51)가 설치되어있었으나, 복수의 물방울 수집 오목부(51)를 한 쌍의 원호상의 솟아오른 한 쌍의 접동 계합홈(46), 그리고 하나의 원호상인 솟아오른부(48)을 우회한 연통 오목부로부터 연결하여 하나의 물방울 수집 오목부로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물방울 수집오목부(51)는 일실시예인 전자 캐시 레지스터(20)가 습도가 높은 장소나 조리장에서 발생하는 증기의 양이 비교적 작은 식당에서 사용될 경우와 물에 젖은 손가락으로 조작되는 일이 많은 경우에는 제 10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물방울 수집오목부(51)에 수집된 물방울을 본체 하우징(22)의 외부에 배출하는 물방울 배출기구(51a)를 가지고 있을 수가 있다. 제 10 도의 물방울 배출기구(51a)는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의 저면과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서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의 저면보다도 낮은 위치로 연통된 배수 파이프에 의하여 구성되어 있다. 혹은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에 물방울 수집 오목부(51)의 물방울을 증발시키기 위한 전용 가열기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일실시예의 전자 캐시 레지스터(20)에서는 표시기(24)의 외표면과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과의 사이에 항력 발생기구가 개재되어 있었으나, 항력 발생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은 아니다. 제 9 도에 도시한 것과 같이 이면에 항력 발생기구의 외력 지지부재(62)나 부세부재(66)가 설치 되어 있지 않은 표시기(24)의 변형예를 사용할 수도 있다.

Claims (11)

  1. 제어기기(30)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22)과; 본체 하우징(22)에서 독립하여 외표면에 표시부(24a)가 설치된 표시기(24)와; 표시기(24)를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회동자재로 연결하고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표시기(24)를 경사시키면서 동시에 본체 하우징(22)에 대한 표시기(24)의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44, 52, 58, 60)를 구비하고 있다.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44, 52, 58, 60)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거의 원호형상의 종단면을 가진 기립가이드홈(44)과, 표시기(44)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24a)와는 반대측인 영역에 설치되고, 본체 하우징(22)의 기립 가이드홈(44)에 따라서 접동하는 가이드 돌기(52)와 가이드 돌기(52)에 설치되어 기립 가이드홈(44)과 마찰 계합하여, 기립 가이드홈(44)과의 사이에 발생케하는 마찰력을 조정 가능한 마찰력 조정기구(58, 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찰력 조정기구(58, 60)가 본체 하우징(22)이 내표면측에서 기립 가이드홈(44)의 주연에 당접된 탄성부재(60), 탄성부재(60)를 가이드돌기(52)에 연결시켜 상기 주연에 대한 탄성부재(60)의 당접압력을 조정가능한 당접 압력 조정부재(5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표시기(24)의 외주면과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가의 사이에 개재되어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표시기(24)가 소정의 경사각도로 유지되었을 때에 표시기(24)에 부하된 상기 경사각도를 감소시키는 방향의 외력에 대향하여 상기 경사각도를 유지한 항력 발생기구(62, 64)를 추가로 가지는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항력발생기구(62, 64)가, 표시기(24)의 외표면에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복수의 계합부(62a, 62b)를 가지고 있는 외력지지부재(62)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설치되고, 표시기(24)의 외표면에 대한 외력 지지부재(62)의 회동각도에 따라서 외력 지지부재(62)의 복수의 계합부(62a, 62b) 중 어느 것인가 계합되는 피계합부(64)를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항력 발생기구(62, 64)가 외력 지지부재(62)를 복수의 계합부(62a, 62b)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인 피계합부(64)에 향하도록 부세하는 부세부재(6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외력 지지부재(62)가 표시기(24)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24a)와는 반대측인 영역에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표시기(24)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24a)와는 반대측의 영역과 상기 반대측 영역에 대응하는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 영역 사이에는 외력 지지부재(62)가 표시기(24)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부(24a)와는 반대측인 영역에 따라서 배치된 상태에서 표시기(24)가 표시부(24a)를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다르게 하여 배치되었을 때에 외력 지지부재(62)를 수용하는 공간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항력 발생기구(62, 64)가 외력 지지부재(62)를 복수의 계합부(62a, 62b)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인 피계합부(64)에 향하도록 부세하는 부세부재(66)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있어서 표시기(24)의 회동중심선에 따라서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44, 52, 58, 60)의 기립가이드홈(44)에 인접하여 기립가이드홈(44)에서 독립한 오목부(51)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51)에는 표시기(24)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는 동안에 표시기(24)의 외표면에 부착하고 외표면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린 물방울이 수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오목부(51)가 오목부(51)에 수집된 물방울을 본체 하우징(22)의 외부에 배출하는 물방울 배출기구(51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10. 제어기기(30)를 격납한 본체 하우징(22)과; 본체 하우징(22)에서 독립하여 외표면에 표시부(24)와; 표시기(24)를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회전자재로 연결하고 본체 하우징(22)에 대하여 표시기(24)를 경사시키면서 동시에 본체 하우징(22)에 대한 표시기(24)의 소정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44, 52, 58, 60)를 구비하고 있고,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는 경사각도 조정 유지기구(44, 52, 58, 60)가 오목부(40)가 설치되어 있고, 오목부(40)에는 표시기(24)가 본체 하우징(22)의 외표면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는 동안에 표시기(24)의 외표면에 부착하여 외표면의 경사를 따라 흘러내린 물방울이 수집되는 몰고임 오목부(51)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물고임 오목부(51)가 물고임 오목부(51)에 수집된 물방울을 본체 하우징(22)의 외부에 배출하는 물방울 배출기구(51a)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KR1019960006089A 1995-03-10 1996-03-08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KR01747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051615 1995-03-10
JP7051614A JPH08249540A (ja) 1995-03-10 1995-03-10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JP95-051614 1995-03-10
JP7051615A JPH08249541A (ja) 1995-03-10 1995-03-10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58A KR960035358A (ko) 1996-10-24
KR0174736B1 true KR0174736B1 (ko) 1999-04-01

Family

ID=26392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6089A KR0174736B1 (ko) 1995-03-10 1996-03-08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10415A (ko)
EP (1) EP0731430B1 (ko)
KR (1) KR0174736B1 (ko)
CN (1) CN1065056C (ko)
DE (1) DE6960936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34902B2 (ja) * 2001-09-28 2007-06-20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
ITTO20030042U1 (it) * 2003-03-12 2004-09-13 Tecnost Sistemi S P A Terminale elettronico provvisto di coperchio superiore con uno schermo di visualizzazione.
WO2004086130A1 (ja) * 2003-03-27 2004-10-07 Sanyo Electric Co., Ltd. 表示装置
JP2005071015A (ja) * 2003-08-22 2005-03-17 Toshiba Tec Corp 商品販売データ処理装置
TWI271139B (en) * 2004-12-13 2007-01-11 Benq Corp Supporting mechanism and electronic device utilizing the same
CN100392481C (zh) * 2004-12-31 2008-06-04 明基电通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及其支持机构
US7562872B2 (en) 2005-01-19 2009-07-21 Aruze Corp. Gaming machine
EP1696303B1 (en) * 2005-02-28 2007-09-26 Seiko Epson Corporation Data processing device
JP2008079194A (ja) * 2006-09-25 2008-04-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端末装置
JP4617341B2 (ja) * 2007-05-03 2011-01-26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ナビゲーション装置
KR101437966B1 (ko) * 2007-07-12 2014-09-05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CN106327176A (zh) * 2016-09-23 2017-01-11 广东风信子网络科技有限公司 一种具备自动计税功能的跨境商城收银装置
US11256291B2 (en) * 2018-08-03 2022-02-22 Adam Lee Casey Screened device stan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80034A (en) * 1978-02-28 1981-07-21 Sharp Kabushiki Kaisha Visual angle adjustable portable cash register
US4645153A (en) * 1985-05-23 1987-02-24 Ncr Corporation Tilt and swivel support
US4790504A (en) * 1987-12-21 1988-12-13 Ncr Corporation Display support mechanism
US4803346A (en) * 1988-05-06 1989-02-07 Ncr Corporation Theft proof cash drawer assembly
JP2698428B2 (ja) * 1989-05-24 1998-01-19 株式会社テック 商品データ入力装置
US5109573A (en) * 1990-09-27 1992-05-05 Smith Corona Corporation Brake mechanism for a pivotable character display
CA2059860C (en) * 1992-01-22 1996-09-10 Beverley W. Gumb Telephone base
US5609086A (en) * 1995-04-03 1997-03-1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in roll ope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5358A (ko) 1996-10-24
DE69609366T2 (de) 2000-12-07
EP0731430B1 (en) 2000-07-19
EP0731430A2 (en) 1996-09-11
CN1139784A (zh) 1997-01-08
EP0731430A3 (en) 1997-05-28
CN1065056C (zh) 2001-04-25
DE69609366D1 (de) 2000-08-24
US5710415A (en) 1998-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4736B1 (ko) 상품 판매 등록 데이터 처리 장치
US5134915A (en) Rolled-paper feed unit for an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80182639A1 (en) Lottery terminal
US5941618A (en) Integrated point-of-sale cabinet system with removable covers
US7720710B2 (en) Self-service system and method including shared components
US4357101A (en) Mechanism for supporting an original document cover lid of an electrostatic copying apparatus
JPH11511275A (ja) 金銭登録機
US4180182A (en) Dispensing magazine
JP2013065191A (ja) 商品収納装置
US3137411A (en) Vending machine with hingedly and longitudinally mounted shelves
KR100332665B1 (ko) 금전 등록기용 현금 서랍의 지폐 지지장치
US5408303A (en) Positioning mechanism for a cleaning device provided in an image forming apparatus
JPH08249540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JPH08249541A (ja) 商品販売登録データ処理装置
EP1678688B1 (en) Money tray
JP2021073608A (ja) 販売データ処理装置
TWI402825B (zh) 光碟機擋板固定裝置
JP2001312212A (ja) 液晶ディスプレイの角度調整機構
EP1128347A1 (en) A hand-held payment card terminal
JP5810786B2 (ja) 商品収納装置
JPH09245252A (ja) キャッシュレジスタ用前面表示器の摺動装置
JPS6222927Y2 (ko)
JP5842221B2 (ja) 商品収納装置
JP2010238077A (ja) 自動販売機
JP4525545B2 (ja)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