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4108B1 -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바닥 피복재 - Google Patents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바닥 피복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4108B1
KR0174108B1 KR1019950012684A KR19950012684A KR0174108B1 KR 0174108 B1 KR0174108 B1 KR 0174108B1 KR 1019950012684 A KR1019950012684 A KR 1019950012684A KR 19950012684 A KR19950012684 A KR 19950012684A KR 0174108 B1 KR0174108 B1 KR 01741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polymer
ethylene
weight
parts
floor cov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2423A (ko
Inventor
삐에로 쟝-미셀
Original Assignee
앙리 니일
엘프 아토켐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앙리 니일, 엘프 아토켐 에스.에이. filed Critical 앙리 니일
Publication of KR950032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2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4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41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1/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cyloxy radical of a saturated carboxylic acid, of carbonic acid or of a haloformic aci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1/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L31/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69Acids or derivatives thereof
    • C08L23/0884Epoxide containing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2Polyprope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성분을 함유하는 바닥 장식재용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a) 하나 이상의 에폭시드 반응기를 가지는 공중합체.
b) a)의 에폭시드 반응기와 반응할 수 있는 반응기를 가진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와 에틸렌의 공중합체.
c) 충진제 및 선택적으로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수득된 바닥 장식재는 DIN 53516 에 따라 300 ㎜ 미만의 마멸, 150 g 보다 큰 긁힘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고, 30 보다 큰 산소 지수를 갖는다.

Description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바닥 피복재
본 발명은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바닥 피복재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닥 또는 벽을 피복하는 제품은 보통 PVC (폴리비닐클로라이드)를 기재로 한다. 그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PVC, 가소제 및 탄산칼슘과 같은 층진제로 구성된다.
그 조성물은 제조가 용이하고, 약 120 또는 130 ℃에서 압연되어 패널(panel)로 성형된다. 또한 안료를 배합하여 채색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조성물은 내마모성 또는 내마찰성이 좋지 않고, 긁힘 내성도 나쁘다.
벨기에 특허 출원 BE 9100428 에는 EVA (에틸렌-비닐 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또는 금속염으로 처리된 에틸렌-아크릴산 (이온단량체) 공중합체, 충진제 및 임의로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 바닥 피복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바닥 피복재는 PVC 에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하여 제조된다. 혼합은 125 ℃에서 수행되고, 100 내지 130 ℃에서 압연한다.
국제특허출원 WO 9219562 에는 또한 EVA, 에틸렌-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또는 이온단량체 공중합체, 에틸렌-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및 충진제로 구성된 바닥 피복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유럽 출원 EP 321,760 에는 EVA, 폴리프로필렌, 충진제 및 임의로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구성된 바닥 피복재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혼합은 120℃ 내지 130 ℃에서 수행된다.
선행 기술에 따라 제조된 바닥 피복재는 내마모성 및 긁힘 내성이 불충분하다. 이러한 바닥 피복재의 내구성을 좋게 하기 위하여, 충지제를 감소시키면서 공중합체의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는 내화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중합체의 점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필요하지만, 이는 혼합 및 압연 온도가 극히 높아진다.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하는 새로운 바닥 피복재 제조용 조성물은 PVC를 기재로 하는 피복재에 사용되는 기술을 사용하면서, 새롭게 발견된 것이다. 이렇게 제조된 피복재는 선행 기술의 피복재보다 높은 내마모성 및 긁힘 내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하기 성분을 함유한다. :
a) 하나이상의 에폭시드 작용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b) 공중합체 a) 의 에폭시드 작용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가지는 하나이상의 불포화 단량체 및 에틸렌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c) 충진제, 및
d) 임의로, 에틸렌 및 비닐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및 하나이상의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바닥 피복재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조성물로부터 제조되는 물질은, 특히 바닥 피복재에 있어서, DIN 규격 53516에 따라 측정된 내마모성이 300㎣ 미만, 바람직하게는 250㎣ 미만이다. 그것은 또한 150g 이상, 바람직하게는 200 내지 250g 의 긁힘 내성을 갖는다. 이것은 다이아몬드 바늘에 하중을 가하여 측정된 값이다.
공중합체 a)는 하기 일반식의 폴리에폭시드 화합물일 수 있다 :
[상기 식중, A 는 원자가 n ≥ 2 인 다관능기이고, R 은 탄화수소 라디칼 또는 수소원자이다.]
예를 들면, 폴리히드록시화 화합물의 폴리글리시딜 에테르가 언급될 수 있다. 후자에서, 방향족의 폴리에폭시드 화합물 (예컨대, 비스페놀 A 유도체) 및 지방족의 폴리에폭시드 화합물, 특히 폴리알콜의 폴리글리시딜에테르, 예를들어 α, ω- 디올의 디글리시딜 에테르(예컨대 부텐디올, 헥산디올, para- 시클로헥실디메탄올 또는 네오펜틸 글리콜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올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예를들어 트리메틸롤프로판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 또는 글리세롤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테트롤의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예들들어 펜타에리트리톨의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중에서 선택할 수 있다. 올레핀 계 화합물의 에폭시화로부터 기원하는 화합물 중에서 에폭시화 대두유를 선택하는 것이 유리하다.
공중합체 a) 는 또한, 에폭시화된 폴리부타디엔 또는 에틸렌 및 불포화 에폭시드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a)의 불포화 에폭시드에 대하여, 특히, 지방족 글리시딜 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를 들어 글리시딜(메트)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말레이트, 글리시딜 이타코네이트, 비닐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알킬글리시딜 에테르를 언급할 수 있다.
또한, 지환족 글리시딜에스테르 및 에테르, 예를들어 2- 시클로헥센- 1- 일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시클로헥센- 4, 5- 디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시클로헥센-4- 카르복실레이트, 글리시딜 5- 노르보르넨- 2- 메틸- 2- 카르복실레이트 및 디글리시딜 엔도-시스- 비시클로[2.2.1]헵트- 5- 엔- 2, 3- 디카르복실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불포화 에폭시드 중에서,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및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더욱 특히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b)에서, 공중합체 a) 의 에폭시 작용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불포화 단량체는 예를 들면 하기와 같다 :
- 시트라콘산 무수물, 이타콘산 무수물,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무수물, 2- 메틸말레산 무수물, 2, 3- 디메틸말레산 무수물 및 말레산 무수물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 무수물,
- (메트) 아크릴산, 크로톤산 또는 신남산과 같은 불포화 산 또는 이산,
-1차 아민 또는 2 차 아민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 알콜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
말레산 무수물이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d) 의 일부를 형성하는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알킬기는 10 개 이하의 탄소원자를 가지며 직쇄상, 측쇄상 또는 고리상일 수 있다. 특히,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예로서, n- 부틸 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아크릴레이트, 2-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또는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가 언급될 수 있다. 이러한 (메트) 아크릴레이트중에서, 에틸 아크릴레이트, n- 부틸 아크릴레이트 및 메틸 메트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공중합체 a) 및 b) 는 또한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하나 이상의 알킬 (메트)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할 수 있다.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는 공중합체 d) 와 동일한 군에서 선택될 수 있고, 바람직한 화합물도 동일하다.
공중합체 a) 는 2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6 내지 8 중량% 의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및 50 중량 % 이상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및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인 것이 유리하다.
공중합체 b) 는 2 내지 3 중량 % 의 말레산 무수물 및 50 중량 % 의 에틸렌을 함유하는 에틸렌,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 및 말레산 무수물의 공중합체가 유리하다.
공중합체 d) 는 5 내지 40 중량 % 의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알킬 (메트)아크릴 레이트를 함유하는 것이 유리하다.
충진제 c) 는 카올린, 탄산칼슘, 침강 탄산염 및/또는 특히 수산화 알루미늄 또는 수산화 마그네슘과 같은 방화 충지제일 수 있다.
바닥 피복재로의 용도에 있어서는, 우수한 내화성이 요구된다. 이러한 충진제 c) 그 자체는 공지되어 있으나, 본 출원인은 본 발명의 조성물이 그의 기계적 성질을 손상시키거나 그의 제조에 어려움없이 다량의 충진제를 함유할 수 있음을 알아내었다.
이러한 충진제는 산소 지수가 30 이상,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 가 될 때까지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이형제 (스테아레이트, 지방 아민 등), 열 및 자외선에 대한 보호제, 안료 또는 염료와 같은 종래의 첨가제를 배합하는 것도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다.
바닥 피복재는 공지의 기술에 따라 압연으로 제조될 수 있다. PVC를 기재로 하는 경우와 동일한 기술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용융 상태로 혼합하는 임의의 공지 기술, 예를 들면 압출 또는 밀폐식 믹서에 의해 수득될 수 있다.
a) 에 의해 부여되는 에폭시드 작용기 및 b)에 의해 부여되는 반응성 작용기의 필요한 양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하여 제조되는 재료, 특히 바닥 피복재의 내마모성 및 긁힘 내성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작용기의 수가 많을수록 재료의 내마모성 및 긁힘 내성이 높아진다.
b) 에 의해 부여되는 반응성 작용기의 수에 대한 a) 에 의해 부여되는 에폭시드 작용기의 수의 비는 0.5 내지 2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화학양론비, 즉 1 이다.
예를 들면, b) 의 공단량체가 말레산 무수물이라면, 화학양론비는 말레산 무수물 1 에 대해 에폭시드 작용기 2 이다.
공중합체 a)의 에폭시드와 공중합체 b) 의 반응성 작용기와의 반응은 실온 및 180 내지 190℃에서 느리며, 이러한 반응은 실온에서 대략 두 주일 동안 지속된다. 분자량이 증가하면, 충진제를 함유하는 PVC 에 대한 통상의 온도, 즉, 약 120℃를 사용하여 선행 기술보다 더욱 양호한 내마모성 및 긁힘 내성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중합체 a) 및 b)를 함유하지 않으면서 양호한 내마모성 및 내마찰성을 갖는 피복재를 수득하기 위해서는, 높은 혼합 및 압연 온도, 예컨대 160 내지 180℃를 필요로 하는 고 점도 조성물이 요구되지만, 이는 PVC를 기재로 하는 바닥 피복재용 재료에는 적용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내마모성은 수득될 수 있으나, 긁힘 내성은 우수하지 않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양호한 내마모성 및 긁힘 내성과 같은 예상외의 장점을 가진다.
이러한 반응을 가속하기 위하여, 촉매를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a) 의 에폭시드와 b) 의 반응성 작용기와의 반응을 가속할 수 있는 화합물 중에서, 특히 다음과 같은 것을 언급할 수 있다. :
- 디메틸라우릴아민, 디메틸스테아릴아민, N- 부틸모르폴린, N, 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벤질디메틸아민, 피리딘, 4- (디메틸아미노)- 피리딘, 1- 메틸이미다졸, 테트라메틸구아니딘, 트리에틸렌디아민, 테트라메틸히드라진, N, N- 디메틸피페라진, N, N, N', N'-테트라메틸- 1, 6- 헥산디아민 또는 16 내지 18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디메틸탈로우 아민 이라는 이름으로 공지된 3 차 아민의 혼합물과 같은 3 차 아민, - 트리페닐포스핀과 같은 3 차 포스핀,
- 아연 알킬디티오카르바메이트.
축매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양에 따라 160℃에서, 2 시간이면 반응을 완료할 수 있다.
촉매를 함유하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압연 후에 열을 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열 터널 또는 임의의 유사한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공중합체 및 충진제의 양은 원하는 성질에 따라 당 분야의 숙련자에 의하여 선택될 수 있다. 숙련자는 그 양을 조절하고, 또한 공단량체의 다양한 비율을 갖는 공중합체를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하기의 성분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
1 내지 20 중량부의 a)
5 내지 20 중량부의 b)
30 내지 70 중량부의 c)
0 내지 30 중량부의 d).
하기 실시예에서, 긁힘 내성은 출원인 회사의 독자의 방법을 사용하여 측정한다. 선단이 다이아몬드인 바늘에 10 g 의 하중을 가하고 10 g 씩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샘플의 평판을 움직였을때 긁힌 자국이 관찰되는 시점의 하중의 g 수를 기록한다.
산소 지수는 ASTM D 2873-77 에 따른 산소 지수 시험기를 사용하여, 상단에서 연소된 수직 샘플을 사용하여 지속적인 연소가 일어나는 시점의 산소 농도를 결정하여 측정된다 [참조 :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 STRY, VOL.A 11, p 126-128]
실시예에서, 백분율 및 부는 다른 지시가 없으면, 중량으로 표시한다.
[실시예 1]
하기성분을 혼합하였다 :
- 에틸렌 / 20 %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 8 % 글리시딜 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4 중량부.
- 에틸렌 / 25 %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 2 % 말레산 무수물 공중합체 12 중량부.
- 에틸렌 / 24 %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20 중량부,
- 카올린 15 중량부,
- 초오크 (chalk) 15 중량부,
- 알루미늄 3 수화물 33.3 중량부,
- 칼슘 스테아레이트 0.7 중량부,
그 혼합물을 120 ℃에서 압연하고, 며칠 후에 하기와 같이 측정하였다.
DIN 규격 53516 에 따라 측정된 내마모성 210 - 250 ㎣
긁힘 내성 300 - 250 g
산소지수 30 - 32
[실시예 2] (비교)
1) 에폭시드를 갖는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고, 에폭시드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갖는 공중합체를 함유하지 않는 조성물을 제조 하였다. 실시예 1 과 동일한 양의 충진제를 첨가할 수 없었기 때문에 충진제의 양은 실시예 1 과 동일하지 않다. 하기 성분을 혼합 하였다 :
- 30 % 의 비닐아세테이트를 함유하는 EVA 및 30 % 의 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는 에틸렌-메틸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를 함유하는 혼합물 28 중량부.
- 폴리프로필렌 12 중량부,
- 카올린 28 중량부,
- 초오크 31.4 중량부,
- 불카녹스 R 0.1 중량부,
- 에틸렌비스스테아아미드 (이형제) 0.5 중량%
그 혼합물을 160 ℃에서 압연하였다.
하기 측정을 수행 하였다.
DIN 규격 53516 에 따라 측정된 내마모성 280 - 350 ㎣
긁힘내성 80 - 90 g
산소 지수 24 - 27
2) 충진제로 하기 성분을 사용하여 1) 의 방법을 재수행하였다 :
- 카올린 15 중량부,
- 초오크 15 중량부.
- 알루미늄 3 수화물 29.4 중량부,
산소 지수가 28 - 30 인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결과를 수득 하였다.

Claims (4)

  1. 하기 성분 ;
    (a) 하나 이상의 에폭시드 작용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1 ∼ 20 중량부,
    (b) 공중합체 a) 의 에폭시드 작용기와 반응하는 작용기를 가지는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단량체와 에틸렌과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5 ∼ 20 중량부,
    (c) 방화용 충진제 30 ∼ 70 중량부, 및
    (d) 에틸렌 및 비닐 아세테이트의 공중합체, 및 에틸렌 및 하나 이상의 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의 공중합체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 0 ∼ 30 중량부를 함유하는 조성물로부터 이루어지고, DIN 규격 53516 으로 측정된 내마모성이 210 ∼ 300 ㎣ 이고 또한 산소 지수가 30 ∼35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2. 제1항에 있어서, a) 는 에틸렌, 글리시딜 (메트) 아크릴레이트, 및 임의로 비닐아세테이트 또는 하나 이상의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이고,
    b) 는 에틸렌, 말레산 무수물, 및 임의로 비닐 아세테이트 또는 하나 이상의 알킬 (메트) 아크릴레이트의 하나 이상의 공중합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3. 제1항에 있어서, 선단이 다이아몬드인 바늘에 10 g 의 하중을 가하고 10 g 씩 하중을 증가시키면서 샘플의 평판을 움직였을 때 긁힌 자국이 관찰되는 시점의 g 수로 표시되는 긁힘 내성이 150 ∼300 g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4. 제2항에 있어서, DIN 규격 53516 으로 측정된 내마모성이 210 ∼ 250 ㎣ 이고, 긁힘 내성이 200 ∼250 g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피복재.
KR1019950012684A 1994-05-20 1995-05-20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바닥 피복재 KR01741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9406177A FR2720072B1 (fr) 1994-05-20 1994-05-20 Composition à base de copolymères de l'éthylène pour fabriquer des revêtements de sols.
FR9406177 1994-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2423A KR950032423A (ko) 1995-12-20
KR0174108B1 true KR0174108B1 (ko) 1999-04-01

Family

ID=946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684A KR0174108B1 (ko) 1994-05-20 1995-05-20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바닥 피복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760140A (ko)
EP (1) EP0683205B1 (ko)
JP (1) JP2650152B2 (ko)
KR (1) KR0174108B1 (ko)
CN (1) CN1113248A (ko)
CA (1) CA2149831A1 (ko)
DE (1) DE69520014T2 (ko)
FI (1) FI952456A (ko)
FR (1) FR272007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3631C2 (sv) * 1995-09-15 1996-07-22 Tarkett Ab Halogenfritt golvmaterial
JP3741200B2 (ja) * 1998-10-16 2006-02-01 日東紡績株式会社 樹脂系内装材
FR2795319B1 (fr) * 1999-06-25 2001-09-07 Jean Noel Thorel Procede de photostabilisation du 4-(ter.butyl) 4'-methoxy dibenzoylmethane et compositions filtrantes anti-solaires
CN102712791B (zh) * 2009-11-27 2014-10-15 塔克特Gdl股份有限公司 地板或墙壁覆盖物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842A (en) * 1963-04-25 1968-01-02 Dow Chemical Co Liquid copolymers of ethylene, another alpha olefin and carboxylic acids and compositions thereof with polyepoxides
US3978026A (en) * 1972-02-18 1976-08-31 Aerojet-General Corporation Catalysts of the oxirane-anhydride reaction
JPS5723642A (en) * 1980-07-17 1982-02-06 Mitsubishi Petrochem Co Ltd Olefinic polymer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filler
JPS60240747A (ja) * 1984-05-15 1985-11-29 Showa Denko Kk 架橋性組成物及びエステル架橋型重合体
WO1989005835A1 (en) * 1987-12-19 1989-06-29 Hüls Troisdorf Ag Homogeneous, in particular multicoloured plastic web or plate, and process for producing it
US5242981A (en) * 1989-01-26 1993-09-07 Kawasaki Steel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DE3927719C2 (de) * 1989-08-23 1995-01-05 Alkor Gmbh Kunststofformmasse und Verwendung derselben
JP3102039B2 (ja) * 1990-03-14 2000-10-23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成形品の表面処理方法および塗装方法
BE1004795A3 (fr) * 1991-05-07 1993-02-02 Eurofloor Sa Procede de production de revetements de sols ou de murs a base de polyolefines et produits obtenus.
US5424380A (en) * 1991-10-31 1995-06-13 Tosoh Corporation Resin composition
JPH0733974A (ja) * 1993-07-16 1995-02-03 Mitsubishi Chem Corp 熱可塑性樹脂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0014D1 (de) 2001-03-08
DE69520014T2 (de) 2001-05-23
CA2149831A1 (fr) 1995-11-21
CN1113248A (zh) 1995-12-13
JPH07316353A (ja) 1995-12-05
FI952456A0 (fi) 1995-05-19
EP0683205A1 (fr) 1995-11-22
FR2720072B1 (fr) 1996-09-13
FI952456A (fi) 1995-11-21
KR950032423A (ko) 1995-12-20
EP0683205B1 (fr) 2001-01-31
US5760140A (en) 1998-06-02
JP2650152B2 (ja) 1997-09-03
FR2720072A1 (fr) 1995-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37713B1 (en) Flame-retardant olefinic resin compositions
EP0089643B1 (en) Improved polyester type block copolymer composition
WO2000069961A1 (fr) Composition de resine ignifuge
JPH03504513A (ja) 飽和ポリエステルをベースとする熱可塑性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む成形品
JP2002514262A (ja) エチレン−酢酸ビニルコポリマーとエチレン−酢酸ビニル−一酸化炭素ターポリマーとの配合物
KR0174108B1 (ko) 에틸렌 공중합체를 기재로 한 조성물로 이루어진 바닥 피복재
NO178971B (no) Tverrbundet olefin-polymerblanding og anvendelse av polymerblandingen for fremstilling av stöpte gjenstander
JPS62177046A (ja) 耐酸性難燃樹脂組成物
KR101710383B1 (ko) 친환경 에폭시 접착제 조성물
EP0272014B1 (en) Self-extinguishing polymer composition
JP3962248B2 (ja) セメントモルタル用高分子エマルジョン及びセメントモルタル組成物
JPS61266458A (ja) エピクロルヒドリン系ゴム組成物
CZ284571B6 (cs) Nátěrové hmoty, způsob jejich výroby a jejich použití
JPH05125240A (ja) 耐熱性塩素含有ビニル系樹脂組成物
JP3459035B2 (ja) 架橋性難燃樹脂組成物
JP4749524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7196863A (ja) 高難燃性樹脂組成物
JPS63291948A (ja) 樹脂混合物
CN116515256A (zh) 一种高耐温无卤阻燃乙烯基树脂、一种高耐温无卤阻燃乙烯基玻璃鳞片胶泥
AU663159B2 (en) Polymer blends
JP2001214008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H0116849B2 (ko)
JP2003055507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S6365233B2 (ko)
JPS6399253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イン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0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