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158B1 - 렌즈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렌즈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158B1
KR0173158B1 KR1019950008461A KR19950008461A KR0173158B1 KR 0173158 B1 KR0173158 B1 KR 0173158B1 KR 1019950008461 A KR1019950008461 A KR 1019950008461A KR 19950008461 A KR19950008461 A KR 19950008461A KR 0173158 B1 KR0173158 B1 KR 01731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range
magnification conversion
focus
conversion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08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토 오오카와라
마사히데 히라사와
타에코 타나카
Original Assignee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9802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810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98024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81069A/ja
Priority claimed from JP980279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81068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830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610093B2/ja
Application filed by 미타라이 하지메, 캐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타라이 하지메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1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1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0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 G02B15/1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changing, adding, or subtracting a part of the objective, e.g. convertible objective by adding a part, e.g. close-up attach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4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 G02B7/1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 G02B7/1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with mechanism for focusing or varying magnification by relative axial movement of several lenses, e.g. of varifocal objective lens controlled by a microcompute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ens Barrel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군과,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배율변환동작에 의해서 변화하는 초점맞춤위치를 조정하는 초점조절렌즈군과,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초점맞춤 가능한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변경하는 변환렌즈군과,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시에 있어서의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구동정보를 산출하는 연산회로와, 상기 변환렌즈군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을 상기 제1범위로부터 상기 제2범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이 상기 제2범위내를 이동할때의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하도록 상기 연산회로의 연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회를 구비한 렌즈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렌즈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선행하는 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줌렌즈와, 장착되어 있는 줌렌즈의 초점거리 및 그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변환렌즈를 표시한 구성도.
제2도(a)(b)는 제1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focus-compensation leas)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
제6도는 제5도의 카메라의 제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7도는 제5도의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8도(a),(b)는 제5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9도(a),(b)는 제5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대표치가 기술되어 있는 각각의 테이블을 표시한 도면.
제10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줌스위치유닛(전위차게)의 출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AF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의한 AF마이크로 컴퓨터의 동작의 변형예를 표시한 순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AF마이트로 컴퓨터의 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줌스위치유닛(전위차게)의 출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줌스위치유닛(전위차게)의 다른 출력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의 제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
제19도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20도(a),(b)는 제6실시예에 있어서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장착시, 비장착시 각각의 EVF내의 표시를 표시한 도면.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AF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제22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AF제어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줌렌즈 101 : 제1렌즈군
102 : 제2렌즈군(배율변환렌즈)
103 : 조리개 104 : 제3렌즈군
105 : 제4렌즈군(초점보정렌즈)
106 : CCD 107,109 : 증폭기
108 : 카메라신호처리회로
110 : LCD표시회로 111 : LCD
112 : 조리개제어회로 113 : IG드라이버
113a : IG미터 114 : AF평가치처리회로
115 : AF마이크로컴퓨터 116 : 프레임생성회로
117 :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 118 : 배율변환렌즈모터
119 : 초점보정렌즈드라이버 120 : 초점보정렌즈모터
121 : 광각어태치먼트렌즈
122 : 광각어태치먼트렌즈슬라이드기구
123 :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
124 : 시스템제어기 125 : 줌스위치유닛
126 : 케릭터발생기 127, 129 : 위치검출스위치
128,130 : 포토센서
본 발명은, 줌렌즈와, 줌렌즈에 착탈가능하고 또한 장착시에 줌렌즈의 초점거리 및 그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한 렌즈를 구비한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카메라로서는 줌렌즈와, 줌렌즈에 착탈가능하고 또한 장착시에 줌렌즈의 초점거리 및 그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한 변환렌즈를 구비한 것이 있다.
다음에, 이 줌렌즈와 줌렌즈에 착탈가능하고 또한 착탈시에 줌렌즈의 초점거리 및 그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한 변환렌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카메라에 탑재되어 있는 줌렌즈와, 장착되어 있는 줌렌즈의 초점거리 및 그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한 변환렌즈를 표시한 구성도이다.
줌렌즈(100)는 제1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제1렌즈군(101)을 가진다. 제1렌즈군(101)의 뒤쪽에는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제2렌즈군(이하, 배율변환렌즈라고 함)(102)이 배치되고, 배율변환렌즈(102)는 제1렌즈군(101)의 광축과 일치하는 광축을 가진다. 배율변환렌즈(102)는 구동수단(도시생략)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102)의 광축과 평행하게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서 배율 변환이 행해진다.
배율변환렌즈(102)의 뒤쪽에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계(103)가 배치되어 있다. 조리개(103)의 뒤쪽에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제3렌즈군(104)이 배치되어 있다. 제3렌즈군(104)은, 배율변환렌즈(102)의 광축에 일치하는 광축을 가진다.
제3렌즈군(104)의 뒤쪽에는, 제4렌즈군(이하, 초점보정렌즈라고 함)(105)가 배치되고, 초점보정렌즈(105)는, 초점조절기능과, 배율변환에 의한 초점면의 이동을 보정하는 소위보정(compensation)기능을 가진다. 초점보정렌즈(105)의 광측은, 제3렌즈군(104)의 광축에 일치한다. 초점보정렌즈(105)는 구동수단에 의해서 초점보정렌즈(105)의 광축에 평행하게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서 초점조절기능 및 보정기능이 실행된다.
줌렌즈(100)의 뒤쪽, 즉 초점보정렌즈(105)의 뒤쪽에는 CCD 등의 촬상소자(106)가 배치되어 있다. CCD(106)의 초점보정렌즈(105)에 대향하는 면에는, 피사체의 광학화상이 결상되는 촬상면이 형성되어 있다.
줌렌즈(100)에는, 그 초점거리 및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이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줌렌즈(100)에 장착될 때,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는, 그 광축이 제1렌즈군(101)의 광축에 일치하도록 제1렌즈군(101)의 앞쪽에 배치된다.
다음에, 줌렌즈(100)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 (102)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 위치와의 관계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2도(a), 제2도(b)는 제1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도면, 제3도는 제1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 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보정렌즈위치와 배율변환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먼저, 줌렌즈(100)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와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줌렌즈(100)의 초점거리가 소정의 초점거리로 설정되어 있을 때, CCD(106)의 촬상면에 광학화상을 결상시키는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즉 초점보정렌즈(105)의 초점맞춤위치는 제2도(a)에 표시한 바와같이,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변화한다.
또, 피사체거리가 일정할 때, 초점보정렌즈(105)의 초점맞춤위치는 초점거리 즉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에 따라서 변화한다. 따라서 초점보정렌즈(105)를 설정된 초점거리와 피사체거리로부터 결정되는 곡선을 따라서 이동함으로써 초점맞춤된 광학화상이 얻어진다.
다음에 상기한 곡선의 추적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3도를 참조하건대, 줌렌즈(100)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제1곡선 f1은,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 Z0, Z1, Z2, ...., Z6과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a0, a1, a2, ...., a6에 의해서 규정되고, Z0, Z1, Z2, ...., Z6과 a0, a1, a2, ...., a6은 각각 도시생략한 렌즈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에 격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제2곡선 f2는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 Z0, Z1, Z2, ...., Z6과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b0, b1, b2, ...., b6에 의해서 규정되고, z0, z1, z2, ...., z6과 b0, b1, b2, ...., b6은 각각 이 렌즈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에 격납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제3곡선 f3은, 제1곡선 f1과 제2곡선 f2로부터 연산에 의해서 구해진 곡선이고,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 z0, z1, z2, ...., z6과 연산에 의해서 구해진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0, p1 p2, .... , p6에 의해서 규정된다. z0, z1, z2, ...., z6과 p0, p1, p2, ...., p6은 각각 이 렌즈제어용 마이크로컴퓨터에 격납되어 있다.
p0, p1, p2, ...., p6은 다음식으로부터 산출된다.
이 식 ①에 의하면 초점보정렌즈(105)가 p0의 위치에 있을 때, p0가 선분 b0-a0를 내분하는 비가 구해지고, 이 비에 따라서 선분 b1-a1을 내분하나 점 p1이 된다. 이 p1-p0의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0~z1 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 속도를 알 수 있다.
다음에, 배율변환렌즈(102)의 1방향의 내삽방법에 대해서 제4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한, 제4도중의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는 임의로 설정되고, 도시하지 않은 렌즈제어마이크로컴퓨터에 기억되어 있는 대표궤적위치(배율변환렌즈의 위치에 대한 초점보정렌즈의 위치)는,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 z0, z1, z2, ..., zn과 피사체처리마다의 a0, a1, a2 ...., an, b0, b1, b2 .... bn으로 표시한다.
배율변환렌즈(102) 위치가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내에 있어서의 각 이동위치 z0, z1, .... 의 경계상이 아닌 zx에 있고 (즉, zk -1과 zk와의 사이), 초점보정렌즈(105)가 px에 있을 때, ax, bx는 다음의 식으로부터 구해진다.
상기한 각 식으로부터 현재의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그것을 사이에 둔 2개의 줌경계위치(예를들면, 제4도에 표시한 zk, zk-1)로부터 얻어지는 내분비에 따라서, 기억되어 있는 4개의 대표궤적데이터(제4도에 표시한 ak, ak-1, bk, bk-1)중의 동일피사체거리의 것을 사기 내분비로 내분함으로써 ax, bx가 구해진다.
또, ax, px, bx로부터 얻어지는 내분비에 따라서, 기억되어 있는 4개의 대표 데이터(제4도에 표시한 ak, ak-1, bk, bk-1)중의 동일초점거리의 것을 식 ①과 같이 상기 내분비로 내분함으로써 pk, pk-1이 구해진다.
또, 광각쪽으로부터 망원쪽으로의 줌할 때, 추종처 초점위치와 현초점위치와의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 (102)의 zx 로부터 zk 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속도를 알 수 있다.
따라서 줌렌즈(100)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와의 관계릎 표시한 곡선을 추종할 수 있다.
다음에, 줌렌즈(100)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와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줌렌즈(100)의 초점거리가 소정의 초점거리로 설정되어 있을 때, 초점보정렌즈(105)의 초점맞춤위치는 제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변화하고, 피사체거리가 일정할 때, 초점보정렌즈(105)의 초점맞춤위치는 초점거리 즉 배율변환배율(102)의 위치에 따라서(어떤 궤적상을)변화한다. 그러나, 제2도(b)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피사체거리마다 규정되는 초점거리와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곡선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피사체거리마다 규정되는 초점거리와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곡선과 달리, 초점거리가 한계치(301)를 넘으면, 피사체거리마다 규정되는 초점거리와 초점보정렌즈(105)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곡선은 초점맞춤 가능영역밖으로 발산하고 있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한계치(301)내에 있을 때, 즉 초점거리가 광각쪽의 값으로 설정되고 있을 때, 초점보정렌즈(105)에 의한 초점조절은 가능하나, 초점거리가 한계치(301)보다 커질 때, 즉 초점거리가 망원쪽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초점보정렌즈(105)에 의한 초점조절은 불가능하게 된다. 그래서, 초점거리가 광각쪽이 되는 위치에 배율변환렌즈(102)를 이동하고, 이 위치에서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즉, 배율변환렌즈(102)는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 장착시에 있어서의 줌동작이 금지된다.
그런,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에 의해서 줌동작이 금지되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된 줌렌즈(100)의 배율이 고정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 장착시에 배율을 약간 변경함에 따른 미묘한 화각의 변경을 할 수 없고, 촬영자가 의도하는 구도를 만들어낼 수 없다.
예를들면, 줌렌즈(100)의 배율이 1에서부터 12배로 설정되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의 줌렌즈(100)의 배율이 0.7에서부터 1배로 설정된다고 하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의 줌동작의 금지에 의해서 배율은 0.7배로 설정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줌렌즈(10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1배에서부터 12까지의 배율은 얻어지나 0.7배보다 큰 배율로부터 1배까지의 범위내에서 임의의 배율을 얻을 수 없다.
또, 광학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에 있어서의 줌 동작의 금지를 해제하면, 일정한 초점거리범위내에서의 초점조절은 가능하나, 초점거리범위내에서 배율변환렌즈(102)를 이동하면, 초점조절이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에 추종할 수 없고, 초점맞춤을 유지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의 장착시에 초점맞춤을 유지하면서 줌동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촬영자가 의도하는 화각을 설정가능하게한 렌즈제어장치 및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착탈동작에 의해서 흐림을 발생하지 않도록 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장착상태에서도 배율변환동작이 가능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율변환동작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군과,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배율변환동작에 의해서 변화하는 초점맞춤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절렌즈군과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초점맞춤가능한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변경하는 변환렌즈군과,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위치데이터 및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위치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시에 있어서의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구동정보를 산출하는 연산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변환렌즈군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를 상기 제1범위로부터 상기 제2범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배율변환렌즈가 상기 제2범위내를 이동할때의 상기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하도록 상기 연산수단의 연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렌즈제어장치를 개시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에 대한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첨맞춤위치데이터는, 상기 제1범위에 대한 제1초점맞춤위치데이터와, 상기 제2범위에 대한 제2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진 렌즈제어장치를 개시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에 대한 상기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는 상기 제1범위에 대한 제1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제1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범위에 대한 제2초점맞춤데이터를 구하는 렌즈제어장치를 개시한다.
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연산수단은 상기 변환렌즈군의 착탈의 유무에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초점맞춤위치데이터중에서 어느한쪽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초점맞춤데이터를 사용해서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시에 대한 상기 초점거리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하는 렌즈제어장치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서, 연산수단에 의해서, 변환렌즈군의 장착시에 제2범위에서 배율변환렌즈군이 이동될 때,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시에 대한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4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의 착탈동작에 따라서 변화하는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에 따라서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를 최적화해서 원활한 배율변환동작을 실현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5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의 착탈에 따라서 변화하는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 즉 초점거리의 가변범위를 표시해서 촬영자에게 인식시킴으로써, 원활하고 또한 조작성이 양호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제6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의 착탈에 의해서 렌즈의 광학특성이 변화함에 따른 흐림을 방지하기 위하여, 변환렌즈의 착탈동작에 따라서 AF를 재기동하도록 한 카메라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은 이하에 표시하는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5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표시한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율변환렌즈를 제1초점거리범위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초점거리가 조절되고 또한 배율이 1배에서부터 12배까지로 변경되는 줌렌즈(100)를 구비한다. 줌렌즈(100)는, 제5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제1렌즈군(101)을 가진다. 제1렌즈군(101)의 뒤쪽에는,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제2렌즈군(이하, 배율변환렌즈라고 함)(102)이 배치되고, 배율변환렌즈(102)는 제1렌즈군(101)의 광축과 일치하는 광축을 가진다. 배율변환렌즈(102)에는, 그 위치가 기준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스위치(127)와 포토센서(128)가 짜넣어져 있다. 위치검출스위치(127)는,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가능범위의 중간부근을 경계로 해서 이동되고, 이 위치검출스위치(127)의 이동에 따라서 포토센서(128)의 출력과의 투과, 차단이 행해진다. 포토센서(128)의 출력광이 투과상태로부터 차단상태로 변화하면, 이 출력광을 검출하는 신호레벨은 1로부터 0으로 변환하므로, 이 신호레벨의 변화하는 위치가 상기 기준위치로 되고, 배율변환렌즈(102)가 이 기준위치에 위치하는지 아닌지의 검출이 행해진다.
배율변환렌즈(102)는 배율변환렌즈모터(118)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102)의 광축과 평행하게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서 배율변환이 행해진다. 배율변환렌즈모터(118)는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진다.
배율변환렌즈(102)의 뒤쪽에는, 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조리개(103)가 배치되어 있다. 조리개(103)의 뒤쪽에는,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제3렌즈군(104)이 배치되어 있다. 제3렌즈군(104)은 배율변환렌즈(102)의 광축에 일치하는 광축을 가진다.
제3렌즈군(104)의 뒤쪽에는, 제4렌즈군(이하, 초점보정렌즈라고함)(105)이 배치되고, 초점보정렌즈(105)는, 초점조절기능과, 배율변환에 의한 초점면의 이동을 보정하는 소위보정(compensation) 기능을 가진다. 초점보정렌즈(105)의 광축은 제3렌즈군(104)의 광축에 일치한다. 초점보정렌즈(105)에는, 그 위치가 기준위치에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하기 위한 위치검출스위치(129)와 포토센서(130)가 짜넣어져 있다. 위치검출스위치(129)는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가능범위의 중간부근을 경계로 해서 이동되고, 이 위치검출스위치(129)의 이동에 따라서 포토센서(130)의 출력광의 투과, 차단이 행해진다. 포토센서(130)의 출력광이 투과상태로부터 차단상태로 변화하면, 이 출력광을 검출하는 신호레벨은 1로부터 0으로 변환하므로, 이 신호레벨의 변화하는 위치가 상기 기준위치로 되고, 초점보정렌즈(105)가 이 기준위치에 위치하는지 아닌지의 검출이 행해진다.
초점보정렌즈(105)는 초점보정렌즈모터(120)에 의해서 초점보정렌즈(105)의 광축에 평행하게 이동되고, 이 이동에 의해서 초점조절기능 및 보정기능이 실행된다.
초점보정렌즈모터(120)는 스테핑모터로 이루어진다.
줌렌즈(100)의 뒤쪽, 즉 초점보정렌즈(105)의 뒤쪽에는 CCD 등의 촬상소자(106)가 배치되어 있다. CCD(106)의 초점보정렌즈(105)에 대향하는 면에는, 피사체의 광학화상이 결상되는 촬상면이 형성되어 있다.
CCD(106)는, 그 촬상면에 결상된 광학화상을 광전변환에 의해서 영상신호로 변환하고, 이 영상신호는 증폭기(107)에 의해서 증폭된 후에 카메라신호처리회로(108), AF평가치처리회로(114) 및 조리개제어회로(112)에 부여되다.
카메라신호처리회로(108)는, 입력된 영상신호에 대하여 규격화된 텔레비젼신호로 변환하기 위한 소정의 처리를 실시한 후에 출력한다. 카메라신호처리회로(108)로 부터의 영상신호는, 증폭기(109)에 의해서 소정의 레벨까지 증폭된 후에, LCD표시회로(110)에 부여된다. LCD표시회로(110)는, 영상신호에 대하여 소정의 처리를 한후에 LCD(111)에 출력해서 그 영상을 표시한다. LCD(111)는 액정표시장치로 이루어지고, 이 액정표시장치는, 영상신호가 표시하는 영상과 함께 케릭터 발생기(126)로부터의 촬영정보를 표시하는 케릭터를 표시한다.
조리개제어회로(112)는 입력된 영상신호의 레벨에 따라서 조리개(103)의 개방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생성한다. 조리개제어회로(112)로부터의 제어신호는 IG드라이버(113)에 부여되고, IG드라이버(113)는 제어신호에 의거해서 IG미터(113a)를 구동한다. IG미터(113a)의 구동에 의해서 조리계(103)의 개방도를 조정하고, 영상신호레벨이 일정하게 되도록 광량조절이 행해진다.
AF평가치처리회로(114)는, 거리측정프레임을 설정하는 프레임생성회로(116)로부터의 게이트신호에 의거해서 거리측정프레임내의 영상신호중의 초점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고주파성분을 추출하고, 이 추출된 고주파성분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의 정도를 표시하는 AF평가신호를 생성한다.
AF평가치처리회로(114)에서 생성된 AF평가신호는, AF제어용마이크로컴퓨터(이하 AF마이크로컴퓨터라고 칭함)(115)에 부여된다.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렌즈의 구동전반에 걸친 제어를 행하고 후술하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장착을 검출하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검출스위치(123)로부터의 검출신호를 도입하고, 이 검출신호 및 AF평가신호에 의거해서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 및 거리측정프레임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신호 등을 생성한다.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는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117)에 부여되고,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에 대한 제어신호는 초점보정렌즈드라이버(119)에 부여되고, 거리측정프레임의 변경을 지시하는 지시신호는 프레임생성회로(116)에 부여된다.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117)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해서 배율변환렌즈모터(118)를 구동하고, 배율변환렌즈모터(118)의 구동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102)는 그 광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서 배율변환동작이 행해지고, 또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가 장착되었을 때의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이 행해진다.
초점보정렌즈드라이버(119)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로부터의 제어신호에 의거해서 초점보정렌즈모터(120)를 구동하고, 초점보정렌즈모터(120)의 구동에 의해서 초점보정렌즈(105)는 그 광축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의해 초점보정렌즈(105)는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중, 초점면의 변화를 보정하도록 동작되고, 줌동작중에도 초점맞춤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상호로 통신가능하게 시스템제어기(124)에 접속되어 있다. 시스템제어기(124)는, 비디오카메라장치 전체를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것으로서, 줌스위치유닛(125)으로부터 현재 설정되어 있는 줌렌즈(100)의 초점거리정보, 즉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정보 AF마이크로컴퓨터(115)가 생성되는 줌동작시의 줌방향, 초점거리 등의 배율변환동작정보 등을 도입하는 동시에, 케릭터발생기(126)를 제어함으로써, 줌정보 등의 촬영정보를 생성한다. 이 촬영정보는 영상신호와 함께 LCD(111)에 표시된다.
줌스위치유닛(125)은, 줌렌즈(100)의 줌조작을 하는 조작부재(도시생략)의 회전각도에 따른 전압을 시스템제어기(124)에 송신하고, 시스템제어기(124)는 그조작량에 의거해서 연산한 배율변환렌즈의 구동방향 및 구동량 즉 상기 초점거리정보로서 출력한다.
시스템제어기(124)와 AF마이크로컴퓨터(115)와의 사이에서는, 상기 초점거리정보, AF마이크로컴퓨터(115)가 생성하는 줌시의 줌방향, 초점거리 등의 배율변환동작정보등이 상호로 통신된다.
줌렌즈(100)의 고정된 제1렌즈군의 앞에는 초점거리 및 배율을 변경하기 위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이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줌렌즈(100)에 장착될 때,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는, 그 광축이 제1렌즈군(101)의 광측에 일치하도록 제1렌즈군(101)의 앞쪽에 배치된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에 의해서 줌렌즈(100)의 초점맞춤가능한 초점거리범위 즉 초점맞춤가능한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는 상기 제1초점거리범위로부터 제2초점거리범위로 제한되고, 줌렌즈(100)의 초점거리가 광각쪽으로 시프트되고, 그 배율도 1~12배로부터 0.7배로부터 1배까지의 범위로 변경된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줌렌즈(100)에의 착탈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슬라이드기구(122)에 의해서 행해진다. 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의 유무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에 의해서 검출되고, 이 검출의 결과를 표시하는 검출신호가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출력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제어동작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6도는 제5도의 카메라의 제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이고, AF마이크로컴퓨터(115)내에서 실행되는 처리를 표시한다
먼저, 제6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처리를개시하면 초기설정이 행해진다(스텝S101), 이 초기 설정에서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내의 RAM, 각종포트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통신처리루틴이 행해진다(스템 S102), 이 통신처리루틴에서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와 시스템제어기(124)의 사이에서 줌스위치유닛(125)으로부터의 줌조작정보 및 배율변환렌즈의 위치 즉 초점거리 정보, AF마이크로컴퓨터(115)가 생성하는 줌동작시의 배율변환렌즈구동방향 즉 줌방향,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의 유무에 따라서 변경되는 줌동작가능범위를 표시하는 정보등이 상호로 통신된다. 시스템제어기(124)는, 각 정보에 의거해서 캐릭터발생기(26)를 제어하고, 각 정보를 표시하는 캐릭터는 LCD(111)에 표시되고, 필요한 정보의 표시가 행해진다.
통신처리루틴의 실행후, AF처리루틴이 행해진다(스텝 S103), 이 AF처리루틴에서는, 고주파성분 등의 AF평가신호에 대해서, 적분, 피이크검출, 차분 등의 각종 데이터를 얻기 위한 가공 및 AF평가신호의 변화에 의거해서 초점보정렌즈(105)를 구동해서 자동초점조절을 행한다.
이어서, 줌처리루틴이 행해진다(스텝S104), 이줌처리 루틴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하나, 이 줌처리루틴에서는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은 캠궤적곡선을 트레이스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방향 및 구동속도를 산출한다.
줌처리루틴의 실행후,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방향, 구동속도선택루틴이 실행된다(스텝S105). 이 루틴에서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의 강제이동시, AF모드(자동초점조절모드), 배율변환동작시 등의 각 모드에 따라서, 스텝S103 및 스텝S104에서 산출된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방향, 구동속도,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방향, 구동속도에 대해서, 그 구동방향 및 구동속도를 선택한다.
초점보정렌즈의 구동방향, 속도선택루틴의 실행후, 초점, 줌, 각모터구동제어루틴이 실행된다(스템S106). 이 루틴에서는, 상기한 선택된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방향, 구동속도 및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방향, 구동속도에 따라서,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117)에 대한 제어신호, 초점보정렌즈드라이버(119)에 대한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각 배율변환렌즈(102),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 및 정지를 제어한다.
스텝S106의 초점, 줌, 모터구동제어루틴의 종료후, 다시 스텝S102로부터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한 일련의 처리는 수직동기기간에 동기시키면서 실행되나 스텝S102의 처리개시는 다음의 수직동기신호가 올때까지 대기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7도는 제5도의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8도(a),(b)는 제5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 제9도(a), 제9도(b)는 제5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대표치가 기술되어 있는 각각의 테이블을 표시한 도면이다.
줌처리루틴(제6도에 표시한 스텝S104)실행시, 제7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시스템제어기(124)로터 얻어지는 줌SW유닛(125)의 줌조작정보로부터 줌구동방향, 줌구동속도가 산출된다(스템S201), 구체적으로는 줌SW유닛(125)의 정보는, A/D 변환된 후에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부여되고, 이 정보가 표시한 값의 기준치로 부터의 대소, 그 차분량(절대치)에 따라서, 줌구동방향, 줌구동속도가 산출된다.
이어서, 줌구동방향이 광각쪽에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202), 줌구동방향이 광각쪽에 설정되어있을 때,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1, tele = 0으로 해서 설정되고, 광각방향구동이 설정된다(스텝S203).
이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207).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으면, 현재위치 PX'와, 제8도(b)에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과, 제9도(b)에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테이블로부터, 그 전후의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가 산출된다(스텝S208). 이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는, 상기한 식 ②, ③에 Z2, Z3, a2', a3', b2', b3를 다입함으로써 산출되는 ax', px', bx'의 내분비로부터 구해진다. 또한, a1'(제8도(b)에 표시한다) = BK1(제9도(b)에 표시한다), a2' = BK2, b1' = Bk + 11, b2' = Bk + 12가 된다. 상기한 곡선을 규정하는 대표치 및 상기한 테이블은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기억되어 있다.
P2', PX', P3'의 산출후, 줌구동방향이 광각방향인 것을 표시하는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209),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위치 px'와 추종처의 위치 p2'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210),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부터 z2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광각쪽으로 설정된다(스텝S216).
이에 대하여,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며, 현재위치 px'와 추종처인 위치 p3'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211),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 로부터 z3 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된다(스텝S218).
줌구동방향이 광각쪽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때(스텝S202). 줌구동방향이 망원쪽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204). 줌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0, 줌구동방향이 망원쪽인 것을 표시하는 tele = 1로서 설정되고, 망원방향구동이 설정된다(스텝S205). 춤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0, tele = 0으로서 설정되고, 줌동작이 금지된다(스텝S206).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때(스텝S207), 현재위치 px와, 제8도(a)에 광각어태치먼트렌즈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과, 제9도(a)에 광각어태치먼트렌즈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테이블로부터, 그 전후의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가 산출된다(스텝S212), 이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는 상기한 식 ②, ③에 z2, z3, a2, a3, b2, b3를 대입함으로써 산출되는 ax, px, bx 의 내분비로부터 구해진다. 또한, a1(제8도(a)에 표시 다) = Ak1(제9도(a)에 표시한다), a2= Ak2, b1= Ak + 11, b2= Ak + 12가 된다. 상기한 곡선을 규정하는 대표치 및 상기한 테이블은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기억되어 있다.
P2, PX, P3의 산출후,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213),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위치 px와 추종처의 위치 P2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214),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부터 Z2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속속도가 서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에 광각쪽으로 설정된다(스텝S216).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위치 px와 추종처인 위치 p3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215),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부터 z3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된다(스텝S216).
다음에, 줌구동비트 (wide, tele) 및 줌구동속도에 의거해서 행해지는 줌렌즈(100)의 구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줌구동속도에 따른 모터의 회전주파수신호, 및 줌구동비트에 따른 모터의 회전방향신호를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117)에 출력한다.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117)는, 회전방향신호에 의거해서 스테핑모터의 4상의모터 여자상의 위상을 순회전 및 역회전의 위상에 설정하고, 또한 주파수 회전신호에 의거해서 4상의 모터여자상의 인가전압(또는 전류)을 변화시키면서 출력함으로써, 배율변환렌즈모터(118)의 회전방향과 회전주파수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모터(118)는 회전하고, 배율변환렌즈(102)가 구동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초점보정렌즈(105)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동된다.
이상에 의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장착시에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에 따라서 변화하는 초점맞춤위치에 추종가능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미리 기억되어 있는 데이터에 의거해서 산출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장착시에 있어서의 줌동작중에 초점맞춤을 유지할 수 있고, 미묘한 화각설정을 할 수 있다. 또,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줌렌즈(10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1배로부터 12배까지의 배율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0.7배로부터 12배까지의 연속적인 배율범위내에서 초점맞춤을 유지하면서 임의의 배율을 얻을 수 있고, 촬영자가 의도하는 화각을 설정할 수 있다.
또, 최지근피사체거리를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에 기준으로해서 각 곡선의 대표치를 테이블화함으로써, 초점맞춤가능한 최지근거리를 광각어태치먼트렌즈비장착시와 장착시에서 마찬가지로 유지할 수 있다.
[제2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제2실시예는 제1실시예의 AF마이크로컴퓨터(115)의 처리알고리듬을 변경한 것이다.
제1실시예에서는, 통상시의 추종곡선의 대표치를 표시하는 테이블과,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장착시의 추종곡선의 대표치를 표시하는 테이블을 독립적으로 기억하고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기억용량을 삭감하기 위한 방법이 사용되고, 본 실시예의 회로구성은 제1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다.
다음에,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카메라의 제2실시예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를 표시한 순서도, 제11도는 제10도의 줌렌즈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 및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의 위치)와 초점보정렌즈의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도면이다.
줌처리루틴(제6도에 표시한 스텝S104)실행시, 제10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시스템제어기(124)로부터 얻어지는 줌 SW유닛(125)의 줌조작정보로부터 줌구동방향, 줌구동속도가 산출된다(스텝S301), 구체적으로는, 줌 SW유닛(125)의 정보는, A/D변환된 후에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부여되고, 이 정보가 표시한 값의 기준치로부터의 대소, 그 차분량(절대치)에 따라서, 줌구동방향, 줌구동속도가 산출된다.
이어서, 줌구동방향이 광각쪽에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302). 줌구동방향이 광각쪽에 설정되어있을 때,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1, tele = 0으로해서 설정되고, 광각방향구동이 설정된다(스텝S303).
이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307).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으면, 현재위치 px 와, 제11도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으로부터, 그 전후의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가 산출된다(스텝S308). 이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는 상기한 식 ②, ③에 z2, z3, a2 + s, a3 + s b2 + t, b3 + T를 대입함으로써 ax + s, bx + T를 산출하고, ax + s, px, bx + T의 내분비로부터 구해진다. 상기한 곡선을 규정하는 대표치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기억되어 있다. 또한, 상기한 S, T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곡선에 대한 오프셋치이고, 이 오프셋치를 더함으로써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장착시의 곡선을 얻을 수 있다.
p2, px, p3의 산출후, 줌 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309),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 위치 px와 추종처의 위치 p2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310),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부터 z2까지의 이도엥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광각쪽으로 설정된다(스텝S316).
이에 대하여,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위치 px 와 추종처인 위치 p3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311),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부터 z3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된다(스텝S316)
줌구동방향이 광각쪽으로 설정되어 있지 않을 때(스텝S302), 줌구동방향이 망원쪽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304). 줌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0, tele = 1로서 설정되고, 망원방향구동이 설정된다(스텝S305). 줌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되어있지 않을 때,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0, tele = 0으로서 설정되고, 줌동작이 금지된다(스텝S306).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있지 않을 때(스텝S307). 현재위치 px와, 제11도의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 및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으로부터, 현재위치 px의 전후의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가 산출된다(스텝S312). 이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 p2, p3는 상기한 식 ②, ③에 z2, z3, a2, a3, b2, b3를 대입함으로써 ax, bx를 산출하고, ax, px, bx의 내분비로부터 구해진다.
p2, p3의 산출후,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313).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으면, 현재위치 px와 추종처인 위치 p2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314).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부터 z2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광각쪽으로 설정된다(스텝S316)
줌구동방향비트 wide가「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현재위치 px와 추종처인 위치 p3와의 위치차가 산출되고(스텝S315), 이 위치차와, 배율변환렌즈(102)의 zx로 부터 z3까지의 이동에 요하는 시간으로부터,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속도가 설정되는 동시에 구동방향이 망원쪽으로 설정된다(스텝S316).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초점보정렌즈(105)도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동된다.
이상에 의해,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정보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을 대표하는 값으로 오프셋치T를 더함으로써,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에 있어서의 초점거리(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이 얻어지므로, 기억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또한, 이 방법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비장착시의 지근거리에 있어서의 곡선과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시의 곡선이 근사하고 있을 때에 유효하다. 또, 광각어태치먼트렌즈비장착시에 있어서의 곡선중에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의 무한단부에 있어서의 곡선에 가장 근사하고 있는 곡선을 선택하고, 이 곡선의 대표치에 오프셋치를 설정함으로써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의 무한단부에 있어서의 곡선을 얻을 수 있다. 또, 오프셋치를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시를 기준으로해서 동등한 곡선이 되도록 오프셋치를 설정함으로써, 초점맞춤가능한 최지근피사체거리를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장착의 유무에 관계없이 마찬가지로 유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변환렌즈군의 줌렌즈에의 장착시에 제2초점거리 범위에서 배율변환렌즈군이 이동될 때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시에 대한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군 장착시에 초점맞춤을 유지하면서 줌동작을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촬영자가 의도하는 화각을 설정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배율변환렌즈군에 대한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가, 제1초점거리범위에 대한 제1초점맞춤위치데이터와, 제2초점거리범위에 대한 제2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지므로, 변환렌즈군의 장착의 유무에 따라서 적절한 초점맞춤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배율변환렌즈군에 대한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는, 제1초점거리범위에 대한 제1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제1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부터 제2초점거리범위에 대한 제2초점맞춤위치데이터를 구하므로, 미리 파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배율변환렌즈군에 대한 초점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를 기억하는 용량을 적게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변환렌즈군의 줌렌즈에의 착탈의 유무에 따라서 제1 및 제2초점맞춤위치데이터중에서 어느한쪽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초점맞춤데이터를 사용해서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시에 대한 초점거리조절렌즈군의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하므로, 변환렌즈군의 장착의 유무에 따라서 적절한 초점맞춤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를 장착한 경우에 있어서의 줌속도 즉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를 최적화하는데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도와 같이 구성된 렌즈시스템에서는, 초점보정렌즈(105)가 보정기능과 초점조절기능을 겸비하고 있기 때문에 초점거리가 동등해도, CCD(106)상에 초점맞춤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는,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달라진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비장착시에 각 초점거리에 있어서 피사체거리를 변화시킨 경우, CCD(106)상에 초점맞춤하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를 연속해서 플롯하면, 제2도(a)와 같이 된다. 배율변환중에는,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제2도(a)에 표시된 궤적을 선택하고, 이 궤적대로 초점보정렌즈(105)를 이동시키면, 흐림이 없는 줌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에는 제2도(a)에 표시된 궤적은 제2도(b)와 같이 변화한다. 즉,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에는 비장착시에 비해서 전체 피사체거리의 궤적이 지근쪽으로 시프트하고, 궤적의 모양도 변화하므로, 배율변환동작시에 흐림이 없는 줌을 행하기 위해서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와는 다른 궤적추종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고, 또 제2도(b)에 표시한 초점거리(301)보다 망원쪽에서는 궤적이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초점보정렌즈의 기계적인 지근단부를 넘어서 이동가능영역밖으로 발산해가기 때문에 핀트맞춤에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사실로부터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에는, 배율변환렌즈를 광각단부위치에 고정하고, 줌동작을 금지하는 것이 종래에는 행해지고 있었다.
그리고, 광각단부로부터 제2도(b)의 (301)까지의 배율변환동작에 의해 대략 2배의 확대율변화가 얻어지는 것에 착목하고, 상기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었을 때에도 광각단부로부터(301)까지는 배율변환동작을 실행하는 구성을 앞의 실시예에서 제안했다.
또, 제1도와 같은 소위 이너포커스렌즈구성의 경우,배율변환렌즈가 경통내부에 수납되어 있는 점과, 배율변환중의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에 따라서, 피사체거리마다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제어방법을 변경하지 않으면 안되는 점으로부터, 배율변환렌즈만을 외부로부터 수동조작에 의해서 이동시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한다.
따라서 전기적인 스위치를 외부에 설치하고, 이 스위치에 의해서 배율변환방향과 배율변환속도를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있다. 배율변환속도에 대해서는 신속한 화각변화요구에도 대응하기 위하여,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경우, 망원단부~광각단부간을 2초 내외의 고속으로 이동하는 제품이 주류를 차지하도록 되어오고 있다.
그러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고 광각단부~제2도(b)의 (301)의 범위내에 배율변환렌즈이동영역이 끼워져 있을 때,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최고속을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와 동등하게 설정해두면, 최고속사용시의 끝에서부터 끝까지의 배율변환소요시간이 1초내외로 극단적으로 짧아지고, 배율변환렌즈위치의 조절이 행하기 어렵게 된다. 도, 촬영중에 최고속으로 배율변환동작을 행한 경우, 일순간 화각이 변화하므로, 위화감이 큰 거동을 표시하는 결과가 된다.
또, 전기적인 스위치를 사용하고, 배율변환속도를 조작자가 완전히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는 장치가 아닐 경우에는, 조작자는 줌개시→화각확인→속도조절→줌계속→화각확인→줌정지와 같은 조작의 과정을 밟지 않을 수 없다.
따라서, 이 경우 끝에서부터 끝까지의 배율변환소요시간은 짧으면 짧을수록 좋다는 것이 아니라, 조작의 과정을 답습하는 동안에 조작자가 충분히 조작, 응답할 수 있고, 또한 틀리다는 인상을 주지 않을 정도의 배율변환속도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이와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배율변환렌즈에 의해 결정된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초점거리 변경용렌즈가 삽입되었을 때의 배율변환 동작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배율변환동작을 행하는 제1렌즈와, 초점조절을 행하는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에 의해 결정된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착탈가능한 제3렌즈와, 상기 제1, 제2렌즈를 각각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3렌즈의 장착시에는 상기 제1렌즈의 이동하는 속도를 당해 제3렌즈의 비장착시보다도 느리게 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배설하고 있다.
또, 상기 제3렌즈의 장착시에는 비장착시보다도 좋은 범위에서 상기 제1렌즈를 이동시키도록 구성했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3렌즈의 장착시에는, 상기 제1렌즈의 이동하는 속도를 소정의 속도이상의 경우에만 느리게 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배율변환동작을 행하는 제1렌즈와, 초점조절을 행하는 제2렌즈와, 상기 제1렌즈에 의해 결정된 초점거리을 변경하는 착탈가능한 제3렌즈와, 상기 제1렌즈의 이동속도를 지정하는 입력수단과, 상기 제1, 제2렌즈를 각각 이동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제3렌즈의 장착시에는 비장착시보다도 좁은 범위에서 상기 제1렌즈를 이동시키는 동시에, 상기 제3렌즈의 비장착시에는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지정된 이동속도에서 상기 제1렌즈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제3렌즈의 장착시에는, 상기 제1렌즈의 이동속도를 당해 지정된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배설하고 있다.
또,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제3렌즈의 장착시에는,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지정된 이동속도가 소정이상의 경우에만 상기 제1렌즈의 이동속도를 당해 지정된 이동속도보다 느리게 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제3렌즈가 장착되고 제1렌즈의 이동영역(배율변환영역)이 좁혀진 경우에는, 제1렌즈의 이동하는 속도를 제3렌즈의 비장착시보다도 느리게 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제1렌즈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배율변환동작시의 위화감이 완화되고, 제3렌즈가 장착되었을 때의 배율변환동작을 적절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 제3렌즈가 장착되고 제1렌즈의 이동영역(배율변환영역)이 좁혀진 경우에는, 제1렌즈의 이동하는 속도를 소정의 속도이상의 경우에만 느리게 하도록 구동수단을 제어함으로써, 저속쪽에서의 배율변환속도가 지나치게 느리게 되는 것을 회피하면서 제1렌즈의 위치조절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배율변환동작시의 위화감을 완화할 수 있고, 제3렌즈가 장착되었을 때의 배율변환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였다.
제3실시예에 의한 카메라의 기본적인 회로구성자체는 제5도의 블록도와 마찬가지이기 때문에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의 특징은 줌스위치(125)의 형태 및 AF마이크로컴퓨터(115)의 배율변환렌즈 제어동작의 알고리듬에 있다.
줌스위치유닛(125)은 회전식의 전위차계등으로 구성되고, 조작자가 회전시킬 수 있는 조작부재를 가지고 있고, 이 조작부재의 회전각도에 따라서 변화하는 전압이 출력된다. 시스템제어기(124)에서 판독된 줌스위치유닛(125)의 출력전압은, 통신로를 개재해서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보내지고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서는, 이 출력전압에 따라서 가변속줌을 실행한다.
또,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배율변환동작에 의해 변화한 배율변환렌즈위치나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방향 등의 줌정보를 시스템제어기(124)에 전송하고 있다.
그리고, 시스템제어기(124)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로 부터의 줌정보를 토대로 캐릭터발생기(124)를 제어하고, 줌정보 등의 촬영정보를 LCD(111)내에 중첩표시시키고 있다.
(117)(119)는, 각각 AF마이크로컴퓨터(115)로부터 출력되는 배율변환렌즈(102), 초점보정렌즈(105)에 대한 구동명령에 따라서, 구동에너지를 렌즈구동용모터에 출력하기 위한 드라이버, (118)(120)은 각각 배율변환렌즈(102), 초점보정렌즈(105)를 구동하기 위한 모터이다. (121)은 광각어테치먼트렌즈이고, 광각어테치먼트렌즈 슬라이드기구(122)에 의해, 도면중 파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상태, 비장착상태의 어느것인지에 대해서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에 의해 검출되고,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보내진다.
제12도는, 줌스위치유닛(125)의 출력특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줌스위치유닛(125)은, 예를들면, 회전식의 전위차계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전위차계에 부수하고 있는 조작부재에 손을 대지 않는 경우에는, 전위차계의 접동브러시는 중립점(정지위치)에 자동적으로 복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위차계의 회전각도는 중립점을 중심으로 해서 예를들면 ±30°로 설정되어 있고, 이 경우 30°이상은 회전하지 않도록 스톱퍼가 설치되어 있다. 중립점으로 부터 시계방향으로 30°회전시켜서 스톱퍼에 당접했을 때에 망원방향으로 최고속에서 배율변환동작을 행하는 것으로 하면 반시계방향으로 30°회전시켜서 스톱퍼에 당접했을 때에는 광각쪽으로 최고속에서 배율변환동작을 행하도록 AF마이크로컴퓨터(115)내에서 처리루틴을 구성한다.
제12도에서 VLINE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전위차계의 출력전압V는 전위차계의 회전가능범위(중립점 ±30°)에서 회전각에 비례한 직선적인 변화를 나타내는 것으로 하고, 또, 전위차계가 중립점에 있을 때의 출력전압을 C라고 하고, 망원쪽, 광각쪽의 당접위치에 있어서의 동출력전압을, 각각 T, W라고 한다. 이 설정한 것으로써 전위차계의 회전각에 비례한 배율변환속도 SPEED를 얻기 위해서는,
와 같은 비례계산식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배율변환방향에 대해서는, V-C의 계산결과로부터 그 부호를 판별하고, 정이면 망원방향, 부이면 광각방향으로 한다.
제13도는, 상기와 같은 줌스위치(125)를 사용한 경우의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제어를 행하는 순서도이다. 또한, 제13도의 처리를 실행하는데 있어서의, AF마이크로컴퓨터(115)내에 미리 식④의 C, T, W 및 배율변환최고속이 기억되어 있는 것으로 한다.
제13도에 있어서,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처리의 실행에 개시되면(스텝S401), 시스템제어기(124)로부터 전송된 줌스위치(125)의 출력전압V를 도입한다(스텝S402).
또한, 시스템제어기(124)는, 줌스위치(125)의 출력전압V를 연속해서 A/D변환하고 있고, 이 변환된 데이터를 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통신호를 통해서 출력한다.
다음에, 줌스위치(125)의 출력전압V를 사용해서 식 ④의 계산을 실행함으로써, 배율변환속도 SPEED를 결정한다(스텝S403). 그리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의 출력신호를 사용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스텝S404). 그리고, 이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SPEED를 1/2의 값으로 해서 재정의해서(스텝S405), 스텝S406으로 진행한다.
한편,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비장착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S405를 스킵해서 스텝 S406으로 진행한다. 이 스텝S406은, 배율변환방향을 결정하는 루틴이고, V-C가 0이면 정지를 설정하고(스텝S407), V-C가 정이면 망원방향구동을 설정하고(스텝S408), V-C가 부이면 광각방향을 설정한다(스텝S409). 그리고, 설정방향으로 산출속도 SPEED에서 배율변환동작을 개시하고(스텝S410), 일련의 처리를 완료한다(스텝S411).
이상의 처리중, 스텝S406~S409가지의 처리를, 제14도와 같이 치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3도의 스텝S406의 판별처리의 전에, 제14도의 스텝S406A의 처리를 삽입하고, |V-C|가 소정치이하일 경우, 중립점으로부터의 전위차계회전편이가 작으므로, 배율변환방향설정을 행하지 않고, 스텝S407의 처리에 이행해서, 배율변환렌즈(102)를 이동시키지 않는다고 하는 방법이다.
이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중립점의 전후에 약간의 「여유」를 형성할 수 있고, 조작자가 전위차계의 조작부재에 손가락을 댄것만으로도 배율변환이 행해져버리는 것과 같은 불편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제13도에서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된 경우의 배율변환속도를, 비장착시의 1/2로 하므로써 설명을 행하였으나, 이 감속률은 그 광학계 등의 구성에 의해서 적당히 변경해도 된다.
이상의 처리를 실시함으로써,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 등에 대표되는 보조렌즈의 장착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범위가 제한된 경우, 배율변환속도를 비장착시보다 느리게 하고, 조작상의 위화감이나 과민함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4실시예]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의한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제어를 표시한 순서도이다.
제15도와 제13도의 동작에서 다른 부분은 이하와 같다. 즉, 제13도의 경우에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된 경우,모든 배율변환속도를 1/2로(또는 적당한 감속률에 의해서 일률적으로 감속)하는 것이었다. 이에 대해서 본 실시예에서는, 저속쪽의 배율변환속도는 변경하지 않고, 고속쪽의 배율변환속도에만 제한을 가하고자 하는 것이다.
즉, 제15도에 있어서,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처리의 실행이 개시되면(스텝S501), 시스템제어기(124)로부터 전송된 줌스위치(125)의 출력전압V를 판독해 넣는다(스텝S502).
다음에, 줌스위치(125)의 출력전압V를 사용해서 식 ④의 계산을 실행함으로써, 배율변환속도 SPEED를 결정한다(스텝S503). 그리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의 출력신호를 사용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검출한다(스텝S504).
그리고, 이 렌즈가 장착되어 있을 경우, 스텝S503에서의 SPEED 산출 결과가, 제한속도 LIMIT SPEED를 상회하고 있는지 어떤지를 판단한다(스텝S505). 제한속도를 상회하고 있는 경우, SPEED의 값을 LIMIT SPEED의 값으로 제정의해서 (스텝S506) 스텝S507로 진행한다. 제한속도를 상회하고 있지 않은 경우에는, LIMIT SPEED의 재정의도를 행하지 않고, 스텝S507로 진행한다.
스텝S504에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비장착이라고 판단되었을 때에는, 스텝S505, S506을 스킵해서, 스텝S507로 진행한다. 이 스텝S507은, 배율변환방향을 결정하는 루틴이고, V - C가 0이면 정지를 설정하고(스텝S508), V - C가 정이면 망원방향구동을 설정하고(스텝S509), V - C가 부이면 광각방향을 설정한다(스텝S510).
그리고, 설정방향으로 산출속도 SPEED에서 배율변환동작을 개시하고(스텝S511), 일련의 처리를 완료한다(스텝S512).
이와같은 처리를 행함으로써, 저속쪽의 배율변환속도는 비장착시에 동등하게 되므로, 저속쪽에서의 배율변환속도가 지나치게 느리다는 감소를 제거하면서, 최고속과 그것에 가까운 배율변환속도에만 제한을 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제14도와 동등한 치환을 행함으로써, |V - C|가 소정치이하이고, 중립점으로부터의 전위차계 회전편이가 작은 경우에는, 배율변환방향설정을 행하지 않도록 해서, 중립점의 전후에 약간의 「여유」를 형성하고 조작자가 전위차계의 조작부재에 손가락을 댄것만으로도 배율변환이 행해져버리는 것과 같은 불편을 피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제5실시예]
제13도, 제14도 및 제15도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 등에 대표되는 변환렌즈의 장착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가 제한된 경우, 배율변환속도를 비장착시보다 느리게하고, 조작상의 위화감이나 과민함을 완화하는 처리에 필요한 정보는
① 광각어태치먼트렌즈장착/비장착확인수단
② C(중립점의 출력전압), T(망원단부의 출력전압), W(광각단부의 출력전압)
③ 줌스위치유닛출력V
이다.
따라서, 상기 3요소가 갖추어져 있으면, 줌스위치유닛의 출력특성이 어떠한 것이어도, 제13도, 제14도 및 제15도의 처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제16도는, 줌속도가 3속 선택할 수 있는 시스템에 있어서의 줌스위치유닛의 출력특성도이다. 또, 제17도는 줌스위치유닛의 전압출력이, 조작부재의 회전각에 대해서 비선형을 이루고 있는 경우의 출력특성도이다. 어느 경우든 상기 3요소를 가지고 있고, 제13도, 제14도 및 제15도의 처리를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제3~5실시예에 의하면, 배율변환렌즈에 의해 결정된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변환렌즈의 장착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가 제한된 경우, 배율변환속도를 비장착시보다 느리개 해서 배율변환동작을 적절하게 실행함으로써, 조작상의 위화감이나 과민함을 완화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제6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장착하면, 피사체거리마다 규정되는 초점거리 즉 배율변환렌즈위치와 초점보정렌즈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곡선은, 제2도(a)로부터 제2도(b)와 같이 변화한다. 그리고, 배율변환렌즈(102)가, 초점거리가 한계치(301)을 넘으면, 피사체거리마다 규정되는 초점거리와 초점보정렌즈(105) 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곡선은 초점맞춤가능영역밖으로 발산하고 있다. 따라서, 초점거리가 한계치(301)내에 있을 때, 즉 초점거리가 광각쪽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초점보정렌즈(105)에 의한 초점조절은 가능하나, 초점거리가 한계치(301)보다 크게될 때, 즉 초점거리가 망원쪽의 값으로 설정되어 있을 때, 초점보정렌즈(105)에 의한 초점조절은 불가능하게 되고, 초점거리가 광각쪽이 되는 위치에 배율변환렌즈(102)를 고정하는 방법이 채용되고 있는 즉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장착시에 있어서의 줌동작이 금지된다.
그러나,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4)의 장착에 의해서 줌동작이 금지되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차고딘 줌렌즈(100)의 배율이 고정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 장착시에 배율을 약간 변경함에 따른 미묘한 화각의 변경을 할 수 없고, 촬영자가 의도하는 구도를 만들어낼 수 없다.
예를들면, 줌렌즈(100)의 배율이 1에서부터 12배로 설정되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장착시의 줌렌즈(100)의 배율이 0.7에서부터 1배로 설정된다고 하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의 줌동작의 금지에 의해서 배율은 0.7배로 설정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줌렌즈(10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1배로부터 12까지의 배율은 얻어지나, 0.7배보다 큰 배율로부터 1배까지의 범위내에서 임의의 배율을 얻을 수 없다.
그래서, 본 실시예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군 장착시에 있어서의 줌동작을 허가하고, 촬영자가 의도하는 화각을 설정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줌범위를 EVF내에 표시해서 조작자에게 인식시키도록 한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배율변환동작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군과,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배율변환동작에 의해서 규정되는 초점맞춤위치를 조절하는 초점조절을 행하기 위한 초점조절렌즈군과,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초점맞춤가능한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제한하는 변환렌즈군과, 상기 변환렌즈군의 장착동작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범위를 상기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상태의 표시를 상기 제1범위에 대응한 표시로부터, 상기 제2범위에 대응하는 표시로 변경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 카메라를 개시한다.
이에 의해서, 광각어태치먼트랜즈를 장착해도 광각쪽의 초점맞춤가능한 범위에서 주밍이 가능하게 되고, 또, 그 배율변환동작범위의 변화도 조작자에게 타이밍좋게 표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기본적인 회로구성은, 제5도와 마찬가지 이고, 다른 것은 AF마이크로컴퓨터(115)의 처리, 특히 표시관계의 처리에 있다.
제18도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의 제어동작을 표시한 순서도이다.
먼저, 제18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초기설정이 행해진다(스텝S901). 이 초기 설정에서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내의 RAM, 각종포트에 대한 처리를 행한다.
이어서, 통신처리루틴이 행해진다(스텝S902). 이 통신처리루틴에서는, AF마이크로컴퓨터(115)와 시스템제어기(124)의 사이에서 줌스위치유닛(125)으로부터의 초점거리정보, AF마이크로컴퓨터(115)가 생성하는 줌동작시의 줌방향, 초점거리 등의 배율변환동작정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의 유무를 표시하는 정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의 유무를 따라서 변경되는 줌동작가능범위를 표시하는 정보등이 상호로 통신된다. 시스템제어기(124)는, 각 정보에 의거해서 캐릭터발생기(126)를 제어하고, 각 정보를 표시하는 캐릭터는 LCD(111)에 표시된다.
제20도(a), 제20도(b)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상태(제20도(a))와, 장착상태(제20도(b))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렌즈 이동범위의 EVF (LCD(111)) 내의 표시를 나타낸 것이다.
제20도(a)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비장착상태에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비장착인 것을 표시하는 WA ; OFF를 표시하는 동시에, W(광각)로부터 T(망원)의 사이의 스케일이 표시되고, 현재의 배율변환렌즈위치(초점거리)가, 마크 LM으로 표시된다.
한편,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면 제20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의 표시를 좁히고, 현재의 배율변환렌즈위치를 마크LM으로 표시하고, 동시에 WA; ON의 표시가 이루어지고, 또,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의 변화한 부분(도면중 점선의 부분)의 영역이 지휘도표시 혹은 소거된다. 이에 의해서 조작자는 현재의 상태를 정확히 알 수 있다.
통신처리루틴의 실행후 AF처리루틴이 행해진다(스텝S903). 이 AF처리루틴에서는 AF평가신호에 대한 가공 및 AF평가신호의 변화에 의거해서 자동초점조절을 행한다.
이어서, 줌처리루틴이 행해진다(스텝S904), 이 줌처리루틴에 대해서는 뒤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줌처리루틴의 실행후, 배율변환렌즈(102)에 의한 배율변환동작에 있어서 초점맞춤을 유지하기 위한 보정동작을 행하는 보정동작처리루틴이 실행된다(스텝S905).
이 보정동작처리루틴에서는 제2도(a)에 표시한 곡선을 따라서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방향 및 구동속도를 산출한다.
이어서, 각 모드선택루틴이 실행된다(스텝S906), 이 각 모드선택처리루틴에서는, AF모드(자동초점조절모드), 배율변환동작 등의 각 모드에 따라서, 스텝S904 및 스텝S905에서 산출된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방향, 구동속도,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방향, 구동속도중에서 사용구동방향 및 구동속도를 선택한다.
각 모드선택루틴의 실행후, 모터구동루틴이 실행된다(스텝S907). 이 모터구동루틴에서는, 상기한 선택된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방향, 구동속도 및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방향, 구동속도에 따라서, 배율변환렌즈드라이버(117)에 대한 제어신호 초점보정렌즈드라이버(119)에 대한 제어신호를 각각 생성하고, 각 배율변환렌즈(102), 초점보정렌즈(105)의 구동정지를 제어한다.
각 모드선택루틴의 종료후, 다시 스텝S902로부터의 처리가 실행된다. 또한, 상기한 일련의 처리는 수직동기기간에 동기시키면서 실행된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9도는 본 실시예의 카메라에 있어서의 배율변환동작제어를 표시한 순서도이다.
줌처리루틴(제18도에 표시한 스텝S904)실행후, 제1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먼저, 시스템제어기(124)로부터 얻어지는 줌SW유닛(126)의 정보로부터 줌구동방향, 구동속도 ZSP가 산출된다(스텝S601).
이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02).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지 않을 때, 광각단부 이동완료 플래그가 '0'으로 설정되고(스텝S603), 줌동작중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08).
줌동작중일 때,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09).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으면,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시에 있어서의 이동가능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10). 이 이동가능범위는 상기 제2범위이다.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시에 있어서의 이동가능범위내에 있으면, 줌방향이 광각방향인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12).
줌방향이 광각방향이면,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1, tele = 0으로서 설정되고, 구동방향이 광각방향으로 설정된다(스텝S613).
줌방향이 광각방향이 아니라는 판정이 행해지면(스텝S612), 줌구동방향비트가 wide = 0, tele = 1로서 설정되고, 구동방향이 망원방향으로 설정된다(스텝S614).
줌동작중이 아니라는 판정이 행해지면(스텝S608). 또는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시에 있어서의 이동가능 범위내에 없다는 판정이 행해지면(스텝S610), 줌구동방향 비트가 wide = 0, tele =0으로서 설정되고, 줌구동이 금지된다(스텝S615).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는 판정이 행해지면(스텝S609)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통상시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비장착시)에 있어서의 이동가능 범위내에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11). 이 이동가능범위는 통상의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인 상기 제1범위이다.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통상시에 있어서의 이동가능 범위내에 있으면, 스텝S612의 처리로부터 실행된다.
이에 대하여,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통상시에 있어서의 이동가능 범위내에 없으면, 줌구동방향 비트가 wide = 0, tele = 0으로서 설정되고, 줌구동이 금지된다(스텝S615)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어 있다는 판정이 행해지면(스텝S602), 광각단부이동완료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04). 광각단부이동완료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스텝S608로부터의 처리가 실행된다.
이에 대하여, 광각단부이동완료플래그가 '1'로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광각단부에 있는지 아닌지의 판정이 행해진다(스텝S605).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광각단부에 있으면, 광각단부이동완료플래그가 '1'로 설정되고(스텝S607), 스텝S615가 실행된다. 배율변환렌즈(102)의 위치가 광각단부에 없으면, 줌구동속도 ZSP가 최대속도로 설정된(스텝S606)후에, (스텝S613)이 실행된다.
다음에, 줌구동비트(wide, tele) 줌구동속도 ZSP에 의거해서 행해지는 줌렌즈(100)의 구동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줌구동속도 ZSP에 따른 모터의 회전주파수신호 및 줌구동비트에 따른 모터의 회전방향신호를 배율변환렌즈 드라이버(117)에 출력한다. 배율변환렌즈 드라이버(117)는, 회전방향신호에 의거해서 4상의 모터여자상의 위상을 순회전 및 역회전의 위상에 설정하고, 또한 주파수회전신호에 의거해서 4상의 모터여자상의 인가전압(또는 전류)을 변환시키면서 출력함으로써, 배율변환렌즈모터(118)의 회전방향과 회전주파수를 제어한다. 이 제어에 의해서, 배율변환렌즈모터(118)는 회전하고, 배율변환렌즈(102)가 구동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배율변환렌즈(102)의 구동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으나 초점보정렌즈(105)로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구동된다.
이상에 의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장착시에 배율변환렌즈(102)의 이동이 상기 제2범위에서 허가되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 장착시에 있어서의 배율을 0.7배로부터 1배까지로 변경할 수 있고, 미묘한 화각설정을 할 수 있다. 또,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줌렌즈(100)로부터 이탈시킴으로써 1배로부터 12배까지의 배율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0.7배로부터 12배까지의 연속적인 배율범위내에서 임의의 배율을 얻을 수 있고, 촬영자가 의도하는 화각을 설정할 수 있다.
또,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의 유무에 따라서 변경되는 줌동작가능범위를 표시한 정보가 LCD(111)에 표시되므로, 이 표시에 의해서 촬영자는 현재의 줌동작가능 범위를 알 수 있고, 줌동작에 있어서의 촬영자의 촬영상황에 대한 오인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배율변환동작을 위한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이 제1범위와 제2범위에서 선택적으로 행해지므로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군을 장착한 상태에서도 줌동작을 허가하고, 또한 그 배율변환렌즈 이동범위의 변화를 표시하도록 했으므로, 촬영자가 의도하는 화각을 설정할 수 있다.
변환렌즈군의 착탈에 따라서 배율변환동작을 위한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범위를 제1범위 및 제2범위중에서 어느한쪽을 선택하고, 이선택된 범위내에서 상기 배율변환동작을 위한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을 허가하므로, 초점맞춤불가능한 배율변환 동작이 행해지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 등의 변환렌즈군의 착탈에 따라서 배율변환동작을 위한 배율변환렌즈군의 이동범위를 제1범위 및 제2범위중에서 어느한쪽을 선택하고, 이 선택된 범위를 표시하는 정보를 촬영자에게 통지하므로, 배율변환동작에 있어서의 촬영자의 촬영상황에 대한 오인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 제1범위와 제2범위가 서로 맞포개지는 범위부분을 가지므로, 연속적으로 배율을 변경할 수 있고, 소망하는 화각을 더욱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제7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회로구성은 제1도의 구성에 포함되고 있고, 다른 것은 AF마이크로컴퓨터(115)의 처리알고리듬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착탈동작에 따라서 AF를 재기동시키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의 착탈동작에 의한 흐림을 신속하게 방지하는 것이다.
이하, 배경으로부터 순서에 따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장착한 상태에서 배율변환 동작시에 흐림이 없는 주밍을 행하기 위해서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비장착시와는 다른 주밍제어를 행할 필요가 있다. 제2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초점거리(302)보다 망원쪽에서는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궤적이 초점맞춤가능영역밖으로 발산해 가기 때문에, 핀트맞춤이 불가능하게 된다. 이와같은 점으로부터,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시에는 배율변환렌즈군(102)을 광각단부위치에 고정하고, 줌동작을 금지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되어 있었다.
또, 자동초점맞춤(AF)제어방식으로는, 일반적으로 CCD 등의 촬상소자(106)로부터 얻어지는 영상신호의 고주파성분을 추출하고, 그 고주파성분을 AF평가치로 하고, 그 AF평가치신호가 최대가 되도록 초점보정렌즈(105)를 구동해서 초점조절을 행하는, 소위동산방식(Hill-Climbingmethod)이 채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어떤 거리의 피사체에 초점맞춤하고 있어도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를 장착, 혹은 장착(즉 장착상태를 변경)하는데에 따라서, 동일거리의 피사체에 초점맞추기 위한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가 변화해버리고, 흐림이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그 흐림상태에 있어서의 AF평가치신호를 도입하고, 그 AF평가치신호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는지 아닌지, 즉 초점보정렌즈(105)를 재차 이동제어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해서, 핀트의 보정을 행하고 있었기 때문에, 초점맞춤에 이를 때까지 장시간을 요하고 있었다.
또,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에 의해 매우 흐림이 되어 버린 경우등, AF동작시에 초점맞춤방향의 판단을 행하여도, AF평가치신호의 변화를 충분히 얻을 수 없고, 흐림상태 그대로 머물거나, 초점맞춤방향을 오판단해버려 흐림을 증가시켜 버리고, 초점맞춤할때까지의 시간이 늦어지는 문제도 있었다.
본 실시예는, 이와같은 배경하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초점거리와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한 렌즈)의 장착상태가 변경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흐림을 신속하게 해소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에 의하면, 초점조절을 행하기 위한 제1렌즈군(초점보정렌즈(105)에 상당)과, 이 제1렌즈군과 동일한 광측상에 장착/비장착의 장착상태를 자재하게 변경가능하고 장착상태의 변경에 의해 초점거리와 확대율을 변경하기 위한 제2렌즈군(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에 상당)을 적어도 가지고, 이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의 변경에 의해 특정한 피사체거리에 초점맞춤하는 상기 제1렌즈군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된 렌즈시스템과, 이 렌즈시스템을 개재해서 형성되는 광학적인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한 영상신호로부터 초점맞춤정도에 따른 선예도신호를 추출하고, 이 선예도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제어함으로써 초점맞춤제어를 행하는 초점맞춤제어수단(AF평가치처리회로(114), AF마이크로컴퓨터(115), 드라이버(120), 모터(121)에 상당)을 구비한 촬상장치로서,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시켜서 상기 초점맞춤제어수단에 의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는 재기동수단(AF마이크로컴퓨터(115)에 상당)을 구비하고 있다.
또, 상기 재기동수단은,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의 변경을 검출하는 검출수단을 가지고, 이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의 변경이 검출되었을때에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시켜서 상기 초점맞춤제어수단에 의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재기동수단은,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그 변경상태에 따른 소정방향에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시켜서 상기 초점맞춤제어수단에 의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상기 재기동수단은, 상기 제2렌즈군이 장착상태로부터 비장착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지근방향으로, 비장착상태로부터 장착상태로 변경된 경우에는 무한방향으로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시켜서 상기 초점맞춤제어수단에 의한 초점맞춤 제어를 재기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서,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시켜서 상기 초점맞춤제어수단에 의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함으로써,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가 변경되었을 때에 발생하는 흐림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다음에, 제21도의 순서도에 따라서, 제7실시예에 있어서의 AF마이크로컴퓨터(115)내에서 실행되는 초점맞춤동작의 알고리듬에 대해서 설명한다.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먼저, 워블링동작에 의해 초점보정렌즈(105)를 전후로 미소진동시키면서 AF평가치처리회로9114)로부터 AF평가치신호를 도입하고(스텝S701), 현재 초점맞춤되어 있는지, 흐려있는지(흐려있을 때에는 앞핀인지 뒤핀인지)를 판정한다(스텝S702). 그 결과 초점맞춤되어 있지 않고 흐려있을 때에는, 워블링 동작에 의한 판정결과의 방향으로의 동산동작을 실행한다(스텝S703), 그리고, 초점맞춤점 즉 AF평가치신호의 정점을 넣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고(스텝S704), 넘지 않았으면, 스텝S703으로 복귀해서 동산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AF평가치신호의 정점을 넘고 있으면, 그 정점에 초점보정렌즈(105)를 복귀시키는 동작을 행하고(스텝S705),AF평가치신호의 정점에 달했는지 아닌지의 판정를 행한다(스텝S706). 그 결과, 정점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705에 복귀해서 정점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속행한다. 한편, 정점에 달했을 때에는, AF평가치신호의 정점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페닝(panning) 등에 의해 피사체가 변화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히 정점, 즉 초점맞춤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도록, 스텝S701로 복귀해서 워블링동작을 행한다.
스텝S702에서 워블링동작의 결과, 초점맞춤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초점보정렌즈(105)를 정지해서, 스텝S707이후의 재기동감시루틴에 이행한다. 즉, 먼저 스텝S707에서, 초점맞춤시의 AF평가치신호레벨을 기억한다. 그리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검출스위치(12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0의 장착상태가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708). 여기서, 장착상태의 변화란,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비장착상태로부터 장착상태로 되었는지, 혹은 장착상태로부터 비장착상태로 되었는지 아닌지를 의미한다.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는, 상기한 바와 같이 소정의 거리에 있는 피사체에 초점맞춤하는 초점보정렌즈(105)의 초점맞춤가능한 위치가,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변화하므로, 초점보정렌즈(105)를 재기동시키고 새로운 초점맞춤점을 찾아낼 필요가 있다. 그래서 스텝S708에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스텝S701로 복귀되고 워블링동작을 행하고, 재차 초점맞춤제어를 행한다.
한편,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709 이행의 통상의 재기동감시처리를 행한다. 즉, 현재의 AF평가치신호레벨이 스텝S707에서 기억한 초점맞춤시의 AF평가치신호레벨과 비교해서 변동했는지 아닌지를 조사함으로써(스텝S709), 재기동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710).
예를들면, 현재의 AF평가치신호레벨이 기억한 초점맞춤시의 AF평가치신호레벨에 대해서 소정%이상 변동했을 때에는, 패닝 등에 의한 피사체변화가 있었던 것으로서 「재기동한다」라고 판정하고, 소정%미만의 변동이면 피사체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서 「재기동하지 않는다」라고 판정한다. 이에 의해서 노이즈나 피사체의 약간의 변화에 의해서 잘못재기동하는 일이 없다.
스텝S710에서 「재기동하지 않는다」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초점보정렌즈(105)를 그대로 정지시키고(스텝S711), 스텝S708로 복귀되고, 다시 재기동감시를 행한다.
한편, 「재기동한다」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스텝S701로 복귀되고, 재차워블링 동작을 행하고 초점맞춤제어를 행한다. 이와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서, 끊임없이 초점맞춤을 유지할 수 있도록 초점보정렌즈(105)는 이동제어된다.
이와같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AF평가치신호에 의거한 재기동 감시에 의하지 않고, 강제적으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함으로써, AF처리에 있어서, 초점맞춤제어의 재기동을 행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하는 시간을 절약하고, 응답성을 향상할 수 있다. 즉, AF평가치신호에 의거해서 초점맞춤제어의 재기동을 판정하는 경우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한후, 그 변화한 상태에서의 고주파수성분을 도입해서 판정하므로, 재기동이 실행될때까지 소정시간을 요하나, 상기한 바와 같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강제적으로 재기동을 실행하면, 장착상태가 변화한 순간에, 환언하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한 후의 영상신호에 의거한 AF평가치신호를 생성하고 있는 동안에 재기동이 샐행되게 되고,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발생하는 흐림을 신속하게 해소할 수 있다.
[제8실시예]
다음에, 제22도의 순서도에 따라서, 제8실시예에 있어서의 초점맞춤동작의 알고리듬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7실시예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강제적으로 재기동함으로써, 장착상태의 변화에 따른 흐림을 신속하게 해소하는 예였으나, 제8실시에는, 장착상태의 변화에 따라서, 초점맞춤방향에 강제적으로 동산시킴으로써,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발생하는 흐림을 보다 신속하고 또한 확실하게 해소할 수있도록 한 예이다.
AF마이크로컴퓨터(115)는, 먼저, 렌즈장착검출스위치(12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801). 그 결과,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는, 그 변화가 비장착(OFF)으로부터 장착(ON)으로의 변화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802).
그 결과, 비장착(OFF)으로부터 장착(ON)으로의 변화이면,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방향을 지근방향으로 설정해서(스텝S803), 후술하는 스텝S808로 진행한다.
한편, 장착(ON)으로부터 비장착(OFF)으로의 변화이면,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방향을 무한방향으로 설정해서(스텝S804), 스텝S808로 진행한다. 또한, 이와같은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2)의 장착상태의 변화에 따른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방향의 설정은 상기한 제2도(b)에 표시한 바와 같이,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가 장착되면, 동일피사체거리에 초점맞춤하는 초점보정렌즈(105)의 위치가 지근방향으로 시프트하는 것을 고려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
스텝S801에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하고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워블링동작에 의해 초점보정렌즈(105)를 미소진동시키면서 AF평가치처리회로(114)로부터 AF평가치신호를 도입하고(스텝S805), 현재 초점맞춤되어 있는지, 흐려있는지(흐려있을 때에는 앞핀인지 뒤핀인지)를 판정한다(스텝S806).
그 결과 초점맞춤되어 있지 않고 흐려있을 때에는, 워블링동작에 의한 판정결과의 방향을 초점보정렌즈(105)의 이동방향(동산동작방향)으로서 설정하고(스텝S807), 스텝S808에 진행한다.
스텝S808에서는, 스텝S803,804 도는 808에서 설정된 방향으로의 동산동작을 실행한다. 그리고, 초점맞춤점 즉 AF평가치신호의 정점을 넘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하고(스텝S809), 넘지 않았으면, 스텝S808로 복귀해서 동산동작을 계속한다.
한편, AF평가치신호의 정점을 넘고 있으면, 그 정점에 초점보정렌즈(105)를 복귀시키는 동작을 행하고(스텝S709), AF평가치신호의 정점에 달했는지 아닌지의 판정을 행한다(스텝S811). 그 결과, 정점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텝S810에 복귀해서 정점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속행한다. 한편, 정점에 달했을 때에는 AF평가치신호의 정점에 복귀시키는 동작을 하고 있는 동안에 패닝등에 의해 피사체가 변화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정확히 정검, 즉 초점맞춤점인지 아닌지를 판정하기 위하여,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도록 스텝S801로 복귀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의 감시워블링동작 등을 행한다.
스텝S806에서 워블링동작의 결과 초점맞춤하고 있다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초점보정렌즈(105)를 정지해서, 스텝S812이후의 재기동감시루틴에 이행한다. 즉, 먼저, 스텝S812에서, 초점맞춤시의 AF평가치신호레벨을 기억한다. 그리고, 광각어태치먼트렌즈 장착검출스위치(123)로부터의 검출신호에 의거해서 광각어태치먼트렌즈(121)의 장착상태가 변화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813).
그 결고,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는, 그 장착변화에 따른 방향에 초점보정렌즈(105)를 동산시키기 위하여, 스텝S802로 진행한다. 한편, 장착상태가 변화하고 있지않으면, 스텝S814 이행의 통상의 재기동감시 처리를 행한다. 즉, 현재의 AF평가치신호 레벨이 스텝S812에서 기억한 초점맞춤시의 AF평가치신호레벨과 비교해서 변동했는지 아닌지를 조사함으로써(스텝S814), 재기동해야 하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스텝S815), 예를들면, 현재의 AF평가치신호레벨이 기억한 초점맞춤시의 AF평가치신호레벨에 대해서 소정%이상 변동했을 때에는, 패닝 등에 의한 피사체변화가 있었던 것으로 「재기동한다」라고 판정하고, 소정%미만의 변동이면 피사체의 변화는 없는 것으로서 재기동하지 않는다로 판정한다.
스텝S815에서 「재기동하지 않는다」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초점보정렌즈(105)를 그대로 정지시키고(스텝S816), 스텝S813으로 복귀되고, 다시 재기동감시를 행한다.
한편, 「재기동한다」라고 판정되었을 때에는, 스텝S801로 복귀됨으로써, 재기동을 실행한다. 이와같은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끊임없이 초점맞춤을 유지할 수 있도록 초점보정렌즈(105)는 이동제어된다.
이와 같이 제8실시예에서는, 장착상태의 변화의 방식에 따라서 초점맞춤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등산시킴으로써 장착상태가 변화했을 때에 발생하는 흐림을 보다 신속하게 행할수 있게 된다. 특히 장착상태의 변화에 의해서 매우 흐림이 된 경우에, 워빌링동작을 행하여도 AF평가치가 노이즈레벨에 머무르고, 초점맞춤방향을 바르게 인식할 수 없어 오동작해서 흐림상태를 그대로 머물거나 초점맞춤에 이르는 시간이 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 의하면, 초점조절을 행하기 위한 제1렌즈군과, 이 제1렌즈군과 동일한 광축상에 장착/비장착의 장착상태를 자재하게 변경가능하고 장착상태의 변경에 의해 초점거리를 변경하기 위한 제2렌즈군을 적어도 가지고, 이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의 변경에 의해 특정한 피사체거리에 초점맞춤하는 상기 제1렌즈군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구성된 렌즈시스템과, 이 렌즈시스템을 개재해서 형성되는 광학적인 피사체상을 광전변환한 영상신호로부터 초점맞춤정도에 따른 선예도신호를 추출하고 이 선예도신호에 의거해서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제어함으로써 초점맞춤제어를 행하는 초점맞춤제어수단을 구비한 촬상장치로서,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가 변경되었을 때, 상기 제1렌즈군을 이동시켜서 상기 초점맞춤제어수단에 의한 초점맞춤제어를 재기동하는 재기동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제2렌즈군의 장착상태의 변경에 따라서 동일 거리의 피사체에 대한 상기 제1렌즈군의 위치가 변화함으로써 발생하는 흐림을, 신속하게 해소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Claims (35)

  1.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에 따른 초점면위치의 변화를 보정하는 초점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초점맞춤가능한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변경하는 변환렌즈와,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데이터와, 상기 초점렌즈의 위치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중에 있어서의 상기 초점렌즈의 구동정보를 연산하는 연산수단과,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상기 제1범위로부터 상기 제2범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배율변환렌즈가 상기 제2범위내를 이동할 때의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를 연산하도록 상기 연산수단의 연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제1범위 및 제2범위에 있어서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점맞춤위치데이터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중, 초점맞춤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상기 초점렌즈의 이동궤적에 관한 정보이고, 상기 초점맞춤위치데이터를 상기 제1 및 제2이동범위에 대해서 각각 기억한 제1 및 제2 데이터테이블을 격납한 메모리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율변환렌즈를 상기 제1범위로부터 상기 제2범위로 이동했을 때, 상기 제1데이터테이블을 상기 제2데이터테이블로 절환해서 상기 제2데이터테이블내의 이동궤적을 사용해서 상기 초점렌즈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제1범위에 있어서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율변환렌즈가 상기 제2범위를 이동중에는, 상기 제1범위에 있어서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제2범위에 있어서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를 연산하도록 상기 연산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 광각쪽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렌즈는 상기 초점렌즈에 의해서 초점맞춤가능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광각쪽으로 시프트하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각어태치먼트렌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 및 초점렌즈의 광측상에 착탈자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8.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에 따른 초점면위치의 변화를 보정하는 초점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에 의해서 결정된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변환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 및 상기 초점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시와 비장착시에서 상기 배율변환 렌즈의 구동속도를 다르게 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 제어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도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가 상기 변환렌즈의 비장착시보다도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시의 쪽이 느리게 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변환렌즈의 장착시에,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가 소정의 속도이상이었을 때에만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 광각쪽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렌즈제어장치.
  14. 제11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렌즈는 상기 초점렌즈에 의해서 초점맞춤가능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광각쪽으로 시프트하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제어장치.
  15.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에 따른 초점면위치의 변화를 보정하는 초점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에 의해서 결정된 초점거리를 변경하는 변환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레즈의 이동속도를 지정하는 지정수단과, 상기 배율변환렌즈 및 상기 초점렌즈를 구동하는 구동수단과, 상기 변환렌즈의 비장착시에는,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서 지정된 속도에서 상기 배율변환렌즈를 구동하고,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시에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를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서 지정된 속도보다도 느리게 하도록 상기 구동수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도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가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시에 상기 지정수단에 의해서 지정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가 소정의 속도이상이었을 때에만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구동속도롤 감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렌즈는 상기 초점렌즈에 의해서 초점맞춤가능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광각쪽으로 시프트하는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20.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와, 초점상태를 조절하는 초점렌즈와, 상기 초점렌즈에 의해서 초점조절이 가능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변경하는 변환렌즈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표시하는 표시수단과,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상기 제1범위로부터 제2범위로 절환하는 동시에, 상기 표시수단을 제어해서 상기 배율변환렌즈 이동범위의 표시를 상기 제1범위에 대응하는 표시로부터 상기 제2범위에 대응하는 표시로 변경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와,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데이터와, 상기 초점렌즈의 위치데이터에 의거해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중에 있어서의 상기 초점렌즈의 구동정보를 연산하고,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동작에 따라서 변화하는 초점면의 이동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의 장착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를 상기 제1범위로부터 상기 제2범위로 이동하는 동시에, 상기 배율변환렌즈가 상기 제2범위내를 이동할 때의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를 연사하도록 상기 연산수단의 연산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피사체거리에 따라서 설정되어 있는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위치에 대한 상기 초점렌즈의 초점맞춤위치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제1범위 및 제2범위에 있어서의 초점맞춤위치데이터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범위는 상기 제1범위보다 광각쪽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렌즈는 상기 초점렌즈에 의해서 초점맞춤가능한 상기 배율변환 렌즈의 이동범위를 광각쪽으로 시프트하는 착탈자재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6. 초점상태를 조절하는 초점렌즈와, 상기 초점렌즈의 광축상에 착탈자재하고, 그 착탈동작에 의해서 특정피사체거리에 초점맞춤하는 상기 초점렌즈의 위치를 변화시키는 변환렌즈와, 초점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소정의 초점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초점렌즈를 초점맞춤점으로 구동하는 자동초점제어수단과, 상기 변환렌즈의 착탈동작에 따라서 상기 자동초점제어수단을 재기동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또 상기 각렌즈를 개재해서 입사된 광학상 광전변환해서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초점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신호중의 고주파성분에 의거해서 초점상태를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8.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가 장착되었는지 이탈되었는지에 따라서 상기 초점렌즈의 구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초점렌즈를 무한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변환렌즈가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초점렌즈를 지근방향으로 구동해서, 자동초점제어수단을 재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렌즈는, 초점거리를 광각쪽으로 시프트하는 착탈자재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1. 배율변환을 행하기 위한 배율변환렌즈와, 초점상태를 조절한 초점렌즈와, 상기 초점렌즈에 의해서 초점맞춤가능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변경하는 변환렌즈와, 초점상태에 따라서 변화하는 소정의 초점신호를 검출해서 상기 초점렌즈를 초점맞춤점으로 구동하는 자동초점제어수단과, 상기 변환렌즈의 착탈동작에 따라서 상기 자동초점제어수단을 재기동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또 상기 각 렌즈를 개재해서 입사된 광학상을 광전변환해서 촬상신호를 출력하는 촬상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자동초점제어수단은, 상기 촬상신호중의 고주파성분에 의거해서 초점상태로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3.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가 장착되었는지 이탈되었는지에 따라서, 상기 배율변환렌즈의 이동범위를 절환하는 동시에, 재기동시의 상기 초점렌즈의 구동방향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변환렌즈가 장착된 경우에는, 상기 초점렌즈를 무한방향으로 구동하고, 상기 변환렌즈가 이탈된 경우에는, 상기 초점렌즈를 지근방향으로 구동해서, 자동초점제어수단으로 재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렌즈는, 초점거리를 광각쪽으로 시프트하는 착탈자재한 광각어태치먼트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KR1019950008461A 1994-04-12 1995-04-12 렌즈제어장치 KR01731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98024 1994-04-12
JP9802694A JPH07281070A (ja) 1994-04-12 1994-04-12 カメラ
JP9802494A JPH07281069A (ja) 1994-04-12 1994-04-12 カメラ
JP94-98027 1994-04-12
JP9802794A JPH07281068A (ja) 1994-04-12 1994-04-12 カメラ
JP94-98026 1994-04-12
JP20283094A JP3610093B2 (ja) 1994-08-04 1994-08-04 撮像装置
JP94-202830 1994-08-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73158B1 true KR0173158B1 (ko) 1999-05-01

Family

ID=274685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08461A KR0173158B1 (ko) 1994-04-12 1995-04-12 렌즈제어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5786853A (ko)
EP (1) EP0677761B1 (ko)
KR (1) KR0173158B1 (ko)
CN (1) CN1114117C (ko)
DE (1) DE69524660T2 (ko)
SG (1) SG4693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8601B2 (en) 2009-12-24 2013-11-19 Canon Kabushiki Kaisha Drive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which perform micro step drive of stepping mot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77760B1 (en) * 1994-04-12 2000-10-11 Canon Kabushiki Kaisha Lens control device
ATE268496T1 (de) * 1997-04-28 2004-06-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Wiedergabe eines informationssignals eines aufzeichnungsträgers
US6989865B1 (en) * 1997-12-19 2006-01-24 Canon Kabushiki Kaisha Optical equipment and it control method,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3673636B2 (ja) * 1998-02-10 2005-07-20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レンズ制御方法、記憶媒体
JP4164202B2 (ja) * 1998-10-08 2008-10-1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電子機器の駆動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2001194574A (ja) * 2000-01-11 2001-07-19 Fuji Photo Film Co Ltd 移動機構、レンズ鏡胴、及び撮像装置
US6909464B2 (en) * 2000-01-31 2005-06-21 Pentax Corporation Zoom lens and a movable lens hood mounting mechanism of the zoom lens
JP3950685B2 (ja) * 2000-12-28 2007-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および撮影システム
JP4986346B2 (ja) * 2001-08-09 2012-07-2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撮像装置のレンズ駆動方法及び撮像装置並びにカメラシステム
AU2003218298A1 (en) * 2002-03-20 2003-10-08 Concord Camera Corp. Opto-digital zoom for an image capture device
JP3848230B2 (ja) * 2002-09-12 2006-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装置、撮像装置、オートフォーカス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憶媒体
JP4478419B2 (ja) * 2003-09-02 2010-06-09 キヤ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装置、光学機器およびレンズ制御方法
EP1669787A4 (en) * 2003-09-10 2009-12-30 Sharp Kk PICTURE LENS POSITION CONTROL DEVICE
JP5464771B2 (ja) * 2003-10-15 2014-04-09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フォーカス制御方法
WO2005060242A1 (en) * 2003-12-19 2005-06-30 Hysonic Co., Ltd. Image photographing apparatus
JP4029296B2 (ja) * 2004-03-02 2008-01-09 ソニー株式会社 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JP4491836B2 (ja) * 2004-03-31 2010-06-30 フジノン株式会社 レンズ制御システム、レンズ制御装置及び操作装置
US7557852B2 (en) * 2005-09-02 2009-07-07 Konica Minolta Photo Imaging, Inc. Image-taking apparatus, magnification variation control method, and lens unit
JP2007079056A (ja) * 2005-09-13 2007-03-29 Canon Inc 自動合焦装置及び合焦方法
US7783184B2 (en) * 2006-02-15 2010-08-24 Lg Electronics Inc. Optical zoom tracking apparatus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optical zoom tracking method
KR100781273B1 (ko) * 2006-02-20 2007-11-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 모듈의 오차 보정 장치 및 그 방법
US8233075B2 (en) * 2007-05-24 2012-07-31 Gyrus Acmi, Inc. User-aided auto-focus
JP4989730B2 (ja) * 2007-10-15 2012-08-0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カメラ本体および撮像装置
CN101482640B (zh) * 2008-01-09 2012-06-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镜头模组
US8154810B2 (en) * 2009-07-16 2012-04-10 Microscan Systems, Inc. Optical assemblies for adjusting working distance and field of view in an imaging system
JP5721404B2 (ja) * 2009-12-22 2015-05-20 キヤノン株式会社 焦点検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5590903B2 (ja) * 2010-02-05 2014-09-1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レンズ、撮像装置、及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JP5537186B2 (ja) * 2010-02-24 2014-07-02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アタッチメントレンズ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撮像装置
JP5325966B2 (ja) * 2011-11-25 2013-10-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9191565B2 (en) * 2012-01-13 2015-11-17 Canon Kabushiki Kaisha Lens unit, image pickup apparatus, and methods of controlling lens unit and image pickup apparatus
CN102967375B (zh) * 2012-12-11 2014-10-15 山东神戎电子股份有限公司 基于步进电机实现预置位功能的红外热像仪及方法
JP6017381B2 (ja) * 2013-07-22 2016-11-02 オリンパス株式会社 像ブレ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KR20160103827A (ko) * 2015-02-25 2016-09-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US10095008B1 (en) * 2015-11-24 2018-10-09 Lockhead Martin Corporation Lens assembly with switched ultra-narrow field-of-view configuration
CN106909018A (zh) * 2017-01-12 2017-06-30 浙江水晶光电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适合雾天使用的透雾切换模组
CN110501797B (zh) * 2019-09-20 2022-09-06 合肥英睿系统技术有限公司 一种可自动检测识别视场的红外镜头装置
CN112351209B (zh) * 2020-11-05 2023-08-22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用于移动终端的外置镜头、控制镜头的方法、移动终端及存储介质
CN115442530B (zh) * 2022-09-02 2023-09-19 北京高普乐光电科技股份公司 一种摄像机视场角与转台转速联动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4366B2 (ja) * 1985-05-20 1994-07-20 ウエスト電気株式会社 ズ−ミング方法およびズ−ミング装置
US4994842A (en) * 1987-02-06 1991-02-19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a converter-attachable zoom lens
JP2776482B2 (ja) * 1988-08-23 1998-07-16 株式会社リコー レンズ制御装置
US5463442A (en) * 1988-08-31 1995-10-31 Canon Kabushiki Kaisha Interchangeable lens unit for use in camera system
US5144491A (en) * 1989-04-24 1992-09-01 Canon Kabushiki Kaisha Apparatus with lens control device
US5204710A (en) * 1989-06-13 1993-04-20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amera having zoom lens system
DE69028368T2 (de) * 1989-09-27 1997-03-27 Canon Kk Kamerasystem zur Wechselobjektsteuerung
JPH05145819A (ja) * 1991-11-21 1993-06-11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JPH05145817A (ja) * 1991-11-21 1993-06-11 Canon Inc ビデオカメラ
DE69326106T2 (de) * 1992-06-29 2000-01-05 Canon Kk Objektivkontrollgerät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8601B2 (en) 2009-12-24 2013-11-19 Canon Kabushiki Kaisha Drive control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and drive control method which perform micro step drive of stepping motor
KR101413097B1 (ko) * 2009-12-24 2014-07-0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구동제어장치, 촬상장치 및 구동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524660T2 (de) 2002-06-13
DE69524660D1 (de) 2002-01-31
US5786853A (en) 1998-07-28
US20010048479A1 (en) 2001-12-06
US6356307B2 (en) 2002-03-12
SG46936A1 (en) 1998-03-20
CN1115041A (zh) 1996-01-17
CN1114117C (zh) 2003-07-09
EP0677761A1 (en) 1995-10-18
EP0677761B1 (en) 2001-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3158B1 (ko) 렌즈제어장치
JP4669170B2 (ja) ズームレンズ制御装置、ズームレン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5060001A (en) Optical apparatus
EP0742472B1 (en) Camera apparatus
EP1921845A2 (en) Lens controlling apparatus and image-taking apparatus
US8520129B2 (en) Lens control apparatus, optical apparatus, and lens control method
JP2009145645A (ja) 光学機器
JP3610167B2 (ja) レンズ制御方法及び装置
JPH0348212A (ja) ズームレンズ装置
KR960006508A (ko) 시선검출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조정장치
US7589768B2 (en) Image-taking apparatus and focus control method of image-taking apparatus with first and second control method in first zoom state and only second control method in second zoom state
US5742435A (en) Video-camera imaging-system zoom lens barrel
US5173807A (en) Optical instrument
JPH0545577A (ja) 撮影装置
JP2003337277A (ja) 光学機器
JP3335268B2 (ja) バックフォーカス制御式オートフォーカスカメラ
US5249010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zooming optical device
JP4579572B2 (ja) 光学機器の駆動制御装置
JP3412910B2 (ja) カメラ
JPH05191701A (ja) 撮影装置あるいはレンズ位置制御装置
JP2988793B2 (ja) 光学機器
JP4189537B2 (ja) レンズ制御システム
JP7208181B2 (ja) 制御装置、レンズ装置、撮像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6532343B1 (en) Camera finder device
JP3466700B2 (ja) 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924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6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