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667B1 - 농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작업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72667B1 KR0172667B1 KR1019960046479A KR19960046479A KR0172667B1 KR 0172667 B1 KR0172667 B1 KR 0172667B1 KR 1019960046479 A KR1019960046479 A KR 1019960046479A KR 19960046479 A KR19960046479 A KR 19960046479A KR 0172667 B1 KR0172667 B1 KR 017266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transmission
- shaft
- case
- steering
- transmission ca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8—Tools; Details, e.g. adaptations of transmissions or gearings
- A01B33/082—Transmissions; Gearings; Power distribution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03—Transplanting machines for aquatic plants; for planting underwater, e.g. rice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lanting Machines (AREA)
- Guiding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종래의 농작업기는, 중량이 무거운 작업기를 주행차체에 후부에 장착하고 있기 때문에 좌우방향의 중량밸런스가 후측에 편중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경유하여 트랜스미션에 전달하는 농작업기에 있어서는 트랜스미션의 설치위치에 따라서 농작업기의 전후장이 길어지거나 전체높이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좌우한쌍의 전륜과 좌우한쌍의 후륜을 구비한 주행차체의 후부에 작업기를 장착하고, 상기 주행차체의 대략 좌우중앙부에 엔진을 장착하여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경유하여 트랜스미션에 전달하며, 상기 주행차체의 전측에 상기 전륜을 조향조작하는 스티어링핸들을 설치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2)의 전부에 미션케이스를 배설하여, 상기 미션케이스의 측방에 출력축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하여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의 출력축을 상기 트랜스미션을 수용하는 미션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내로 삽입시켰다.
Description
제1도는 승용형전식기(이양기)의 측면도.
제2도는 주행차체의 평단면도.
제3도는 유압회로도.
제4도는 묘이식장치의 일부평면도.
제5도는 HST레버의 조작연계구성을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미션케이스의 단면 전개도.
제7도는 제6도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승용형전식기(이양기) 2 : 주행차체
3 : 묘이식장치 7 : 스티어링 핸들
11 : 미션케이스 22 : 미션케이스 입력축
84,105,108,111 : 미션케이스내의 입력축
130 : 스티어링축
본 발명은 묘식부작업기(여기서 묘(苗)란 옮겨심기 위하여 가꾸어 기른 벼의 싹 또는 온갖 씨앗의 싹을 나타낸 것으로 흔히 모 또는 모종이라고 하며, 식부(植付)란 모내기를 뜻한다)를 후부(後部)에 장착한 승용형 이식기(또는 전식기라고 하며 이앙기를 뜻함)나, 로타리 경운작업기나 약제살포기등을 후부에 장착한 농용 트랙터등의 농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경유하여 트랜스미션(transmission:변속장치)에 전달하는 농작업기에 있어서의 전동(傳動)기구의 배치에 관한 것이다.
포장(圃場):밭, 농포(農圃)내 작업시의 조종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유압식 무단변속장치(HST)를 장비한 전식기(田植機)가 실용되고 있으나, 종래의 전식기는 기체(機體)의 전후 중앙부에 엔진, 그 전측에 트랜스미션, 엔진과 미션케이스의 사이 또는 트랜스미션의 상방에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각각 배치하여, 엔진의 출력축에서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의 입력축으로 벨트식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하고, 다시 별도로 설치한 엔진의 출력축 또는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의 출력축에서 유압펌프로 벨트식 전동장치에 의해 전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또 다른 예로써, 특개평 6-32112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같이, 좌우한쌍의 전륜과 좌우한쌍의 후륜을 구비한 주행차체의 후부에 작업기를 장착하고, 상기 주행차체의 전측에 상기 전륜을 조향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을 설치한 농작업기가 있는데, 이 농작업기는 상기 주행차체의 전부(前部)에 미션케이스를 배설하여, 상기 미션케이스내에 축심이 좌우방향으로 향한 동력전달용의 전동축을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스티어링 축을, 상기 미션케이스의 상부로부터 상기 케이스내로 삽입하여 케이스내 저부를 향해 연장하고, 한편으로는 상기 스티어링축을 미션케이스내의 전벽근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배설한 구성으로 된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 첫째예의 경우, 엔진과 트랜스미션의 사이에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배치하면 기체의 전후장이 길게되고, 트랜스미션의 상방에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배치하면 플로어면(바닥면)의 높이가 높아짐과 동시에 그것에 수반하여 기체의 중심이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전동구성에 있어서 적어도 3개의 벨트식 전동장치가 필요하므로, 회전축, 풀리, 벨트등의 부품개수가 많아지고, 구성이 복잡하다고 하는 문제를 갖고 있었다.
또한, 상기 두 번째예의 경우와 같이, 중량이 무거운 작업기를 기체의 후부에 장착한 농작업기는 전후 방향의 중량 밸런스가 후측에 편중되는 문제가 있었고, 이 문제는, 기체를 경량화할 정도로 현저한 경향이 있었다.
그런 까닭으로, 상기의 농작업기는 미션케이스에 스티어링축을 삽입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미션케이스의 전단위치가 스티어링 축의 위치보다 전측이 되도록 미션케이스를 위치시켜, 기체의 전후방향의 중량 밸런스의 개선을 도모하게 되어 있었다. 그러나, 상기의 농작업기는 미션케이스 내의 전벽 근방의 공간을 이용하여 스티어링축을 미션케이스 내에 삽입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스티어링축에 대하여 미션케이스를 더욱더 전측에 편중배치하도록 하면, 미션케이스내에 설치한 축심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구동전달용의 전동축과의 간섭이 문제로 될 수 있어서, 미션케이스를 용이하게 전측에 편중 배치하는 것은 할 수가 없고, 전후 중량 밸런스의 개선을 다시금 도모하는 것은 용이하게 행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좌우한쌍의 전륜과 좌우한쌍의 후륜을 구비한 주행차체의 후부에 작업기를 장착하고, 상기 주행차체의 대략 좌우 중앙부에 엔진을 장착하여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경유하여 트랜스미션에 전달하며, 상기 주행차체의 전측에 상기 전륜을 조향조작하는 스티어링 핸들을 설치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2)의 전부에 미션케이스를 배설하여, 상기 미션케이스의 측방에 출력축이 좌우방향을 향하게하여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를 배치하고,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의 출력축을 상기 트랜스미션을 수용하는 미션케이스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내로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농작업기의 일실시예의 측면도로서, 본 발명의 전식기(1)는 주행차체(2)와, 상기 주행차체(2)의 후부에 설치한 승강 링크기구(18)에 농작업장치의 일종인 4조식(4條植:4줄 심기)의 묘이식장치(3)를 구비한 구성이다.
또한, 본 발명의 농작업기는 미션케이스에 스티어링축을 삽입한 구성으로서, 미션케이스의 전단위치가 스티어링축의 위치보다 전측이 되도록 미션케이스를 위치시키고, 다시 미션케이스내에 설치한 축심이 좌우방향으로 향한 동력전달용의 전동축들중 최전축의 위치하는 전동축보다 후측에 형성한 미션케이스내의 공간에 스티어링축을 위치시켜서 설치했기 때문에 종래 농작업기에 비해 미션케이스를 스티어링축의 위치에 대하여 전측에 편중하여 배치할 수 있고 따라서, 주행차체의 중량을 증대시키지 않고 차체의 전후방의 중량 밸런스를 더욱더 향상할 수 있다.
주행차체(2)는 4륜 구동차량이며, 구동륜인 좌우한쌍의 전륜(4,4) 및 후륜(5,5)을 장착하여, 이들 전후륜(4,4,5,5)을 구동해서 주행한다. 주행차체(2)의 좌우방향의 중앙부에 조종석(6)을 구비하고, 상기 조종석(6)의 전측에 스티어링핸들(7)이 설치되어 있다.
주행차체(2)의 대략 중앙에 구동원인 엔진(8)이 설치되고, 이 엔진(8)의 출력풀리(8a)로부터 전동 벨트(9)를 개재하여 중계풀리(10a)를 구동하고, 이 중계풀리(10a)의 구동에 의해 미션케이스(11)에 고착시킨 유압펌프(10)를 구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중계풀리(10a)로부터 전동 벨트(12)를 개재하여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HST:Hydraulic Stepless Transmission)(13)의 입력풀리(13a)를 구동하여서 미션케이스(11)의 좌측에 취부되어 있는 상기 HST(13)를 구동하고, 상기 HST(13)로부터 미션케이스(11)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미션케이스(11)의 좌우측면부의 전륜차측케이스(14,14)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여 전륜(4,4)을 구동한다. 또한, 미션케이스(11)로부터 좌우의 후륜전동축(15,15)을 개재하여 좌우의 후륜 전동 케이스(16,16)에 각각 동력을 전달하여 후륜(5,5)을 구동한다. 또한, 미션케이스(11)로부터 묘이식장치(3)의 입력전달축(17)을 개재하여 묘이식장치(3)로 동력을 전달하고, 주행차체(2)의 후측에 설치한 묘이식장치(3)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묘이식장치(3)는 주행차체(2)의 후부에 설치한 승강 링크기구(18)를 개재하여 장착되고, 상기 유압펌프(10)로부터의 유압에 의해 작동하는 유압 승강 실린더(19)의 승강에 의해 상하로 승강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유압 승강 실린더(19)로의 유로의 전환은, 주행차체의 후부에 설치된 유압전환밸브(20)에 의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미션케이스(11) 전부의 좌측은 움푹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어, 그 움푹패인 부분에 HST(13)를 고착하여 차륜의 좌우 트레드폭내로 조타되는 전륜(4,4)이 간섭하지 않도록 엔진(8)에서의 동력 전달부의 배치를 도모하고 있다.
따라서, 미션케이스(11)와 상기 미션케이스(11)에 고착한 HST(13)와로 구성되는 동력전달부를 좌우로 치우치지 않게 배치하여, 좌우밸런스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또한, 엔진(8)에서 유압펌프(10)로 동력을 전달하는 밸트(9)의 상측에 인장풀리(Tension Pully)(9a)가 설치되어 이 인장풀리(9a)에 의해 상기 벨트(9)의 전상부를 주행차체(2)의 스텝면에 대하여 거의 평행으로 하는 것에 의해, 스텝(21)의 저위치화를 도모하고 더 나아가서는 조종석(6)의 저위치화를 도모하여, 기체를 저중심으로 할 수 있다. 또한, HST(13)의 입력축(13b)과 출력축(13b)(미션케이스 입력축(22))을 거의 동 높이로 배치하여 HST(13)를 상방으로 돌출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여 스텝(21)의 저위치화를 도모하고 있다.
또한, 주행차체(2)의 대략 중앙부에는 평면에서 볼 때 삼각형상인 메인프레임(2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메인프레임(23)은 상측에 상기 엔진(8)을 탑재한 전측에 상기 미션케이스(11)를 고착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메인프레임(23)의 후부에는 상기 승강 링크기구(18)가 취부됨과 동시에 좌우의 후륜 전동케이스(16,16)를 고착한 후륜(5,5)의 롤링프레임(24)이 추착(樞着:피벗)되어 주행차체(2)에 대하여 후륜(5,5)이 요동자재로 설치되어 있다.
이 메인프레임(23)의 좌우의 프레임 파이프(23a,23a)의 중도부(파이프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정한 위치의 곳)에 상기 유압 승강 실린더(19)의 기점부(基点部식)(19a)를 추착(피벗)시켜 엔진(8)의 하측에 상기 실린더(19)를 배치하고, 한편으로는 기체(機體)측면에서볼 때 상기 유압 승강 실린더(19)의 일부를 상기 프레임 파이프(23a)와 중복시킨 구성으로 되어 있고, 유압 승강 실린더(19) 더 나아가서는 엔진(8)을 저위치에 배치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 것에 의해서 기체의 저중심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유압 승강 실린더(19)의 기점부(19a)의 기점부(19a)의 추착점(피벗점)(19b)은 상기 실린더의 실린더로드의 축심부보다 상측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실린더(19)의 저위치화를 도모하고 있다.
그런데,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유압펌프(10)의 유압회로는, 유압 승강 실린더(19)로의 유압공급회로와 HST(13)의 충전회로와를 구비하고 있다.
즉, 2연(2蓮)펌프인 상기 유압펌프(10)에 유압 승강 실린더(19)로의 유압공급용의 토출구(10b)와 HST(13)의 충전 회로용의 토출구(10c)가 설치되어 있다.
전자의 토출구(10b)에서 배관(25)에 의해 유압전환밸브(20)의 유압을 공급하고, 상기 밸브(20)와 유압 승강 실린더(19)(하강 잠금밸즈(26))와를 배관(27)에 의해 연결시키고 있다. 또, 유압전환밸브(20)로부터 유압탱크(28)로 되돌아가는 유압유의 유로가 되는 배관(29)을 설치하고 있다.
후자의 토출구(10c)로부터 필터(30)를 개재하여 HST(13)로 유압유를 공급하는 배관(31)과, HST(13)으로부터 되돌아가는 유압유를 유압탱크(28)로 되돌리는 배관(32)이 설치되어 있다. 또, 유압탱크(28)에서 유압펌프(10)로의 유로가 되는 배관(33)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배관(25,27,29,32,33)은 기체의 우측이 되도록 배설해 있어, 기체의 좌측에 설치되어 있는 전동벨트(9,12)등과의 간섭을 방지하고 있다.
묘이식장치(3)는 묘재치대(苗載置坮)(40)와 식부(植付)전동케이스(41) 및 각조(各條)의 묘식부장치(42)와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묘이식장치(3)의 하부에는 센터플로트(43) 및 양측부에 사이드 플로트(44,44)를 설치하고 있으며, 상기 플로트(43,44,44)가 포장면(농포면)을 활주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로트(43,44,44)는 좌우방향의 추지축(樞支軸:피벗축)(45)주위에 회동자재로 설치되어 있고, 이 추지축(45)은 식부깊이 조절축(46a)을 회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묘식부장치(42)에 대하여 상하로 움직이며, 상기 식부깊이 조절축(46a)의 회동각을 식부깊이 조절레버(46)에 의해 조절하여 포장(농포)에 대한 식부깊이를 조절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묘이식장치(3)를 농포면에 대하여 소정의 높이로 제어하기 위해서 상기 센터플로트(43)의 전후방향의 경사각 즉 영입각을 검출하는 포장면 감지기구(47)가 구성되고, 상기 포장면 감지기구(47)의 작동에 따라 와이어(48)를 개재하여 상기 유압전환밸브(20)가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이 포장면 감지기구(47)는, 상기 센터 플로트 전부(前部)의 상하운동에 따라서 상하로 움직이는 플로트링크(47a)와, 이 플로트링크(47a)와 추지축(47b)으로 추착하는 감지링크(47c)와, 상기 감지링크(47c)의 추지축(47d)을 상하로 움직이는 평행링크(47e)와를 구비하여 구성되며, 상기 플로트링크(47a)가 상하운동하면 상기 감지링크(47c)가 추지축(47d) 주위로 회동하여 상기 감지링크(47c)의 타단에 취부된 상기 와이어(48)를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평행링크(47e)는 상기 식부깊이 조절레버(46)의 조작에 따라 작동하는 로드(46b)에 의해 위치를 결정한다. 즉, 식부깊이에 대응하여 식부전동케이스(41)에 대한 상기 감지링크(47c)의 높이가 설정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묘재치대(40)는, 상기 식부 전동케이스(41)의 양측에서 돌출한 횡 이동축(49)에 묘재치대 취부부재(50,50)에 의해 취부되고, 상기 묘식부장치(42)의 작동에 따라서 좌우로 왕복이동하며, 묘식부장치(42)가 묘재치대상의 매트묘(일정규격 모판을 채우고 있는 묘)를 1주씩 헤쳐서 잡아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묘재치대(40)는 상기 식부 전동케이스(41)에서 돌출한 묘이송 구동축(51)(51)에 취부된 묘이송 구동용 캠(51a,51a)의 회전구동에 의해, 묘재치대(40)의 좌우이동의 종단(終端)에 있어서 묘재치대측에 설치한 묘이송 구동암(52a,52a)을 구동하고, 상기 묘이송구동암의 구동에 의해 각 조(條:줄)의 묘이송 벨트(52)를 작동시켜, 매트묘를 식부장치측에 순차로 이송하는 공지의 구성이다. 또, 이 묘재치대(40)는 하부에 묘식부장치(42)의 묘소취구(苗搔取口:묘를 1주씩 솎아 떼어내는 구멍)를 구비한 묘재치대 슬라이드판(53), 상부에 유전롤러(52)가 안내되는 가이드레일(55)에 의해 지지되어서, 좌우 이동가능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묘재치대 슬라이드판(53)은 묘취량(모를 잡아서 떼어내는 양) 조절레버(56)에 의해 플레이트(57)에 따라서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어, 이 슬라이드판(53)의 상하이동과 동시에 묘재치대(40)를 이동하여, 묘식부장치(42)의 묘소취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식부깊이 조절레버(46) 및 상기 묘취량 조절레버(56)는, 식부 전동케이스(41)의 양측부에 고착시킨 좌우의 프레임(57,57)의 중도부에 양 프레임(57,57)을 연결하도록 설치된 횡파이프(58)에 취부된 레버가이드(46a,56a)의 가이드 홈에 계합하도록 설치되고, 묘이식장치(3)의 좌우방향 중앙부에 있는 상기 식부 전동케이스(41)의 중공부(41a)를 관통하여 조종석(6)으로 향해서 설치되어 있고, 후륜(5,5)의 좌우 트래드 폭내에 배치시켜서 조종자가 조종석(6)에서 조작하기 쉬운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 묘이식장치(3)는 상기 승강 링크기구(18)의 후부에 있는 종링크(18a)에 대하여 좌우 롤링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주행차체(2)의 좌우 경사에 관계없이 좌우 수평제어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기구본체의 구성은 상기 종링크(18a)에 설치된 롤링 축수부에 묘이식장치(3)의 좌우 롤링축(3a)을 감합하여, 상기 종링크(18a)에 설치된 롤링암(59)에 묘이식장치(3)의 좌우 프레임(57,57)으로부터 롤링 스프링(60,60)이 괘지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롤링암(59)이 전기모터등에 의해 작동되는 것에 의해 롤링스프링(60)이 쏠리며, 묘이식장치(3)가 주행차체(2)에 대하여 좌우로 기울도록 되어 있다.
포장(농포)에서의 휴제선회(畦際旋回:밭 이랑 사이를 선회함)등, 묘이식장치(3)를 상승시킬때는 승강 링크기구(18)의 좌우의 하링크(下 Link)(18b,18b)를 연결한 보강축(18c)과 상기 횡 파이프(58)와로 괘지된 좌우의 롤링잠금 스프링(61,61)이 작용하여, 묘이식장치(3)의 좌우롤링을 규제한다.
또한, 조종석(6)의 전방의 보닛(70)에는 좌측에 HST레버(71)가 설치되어 HST(13)를 변속조작하도록 되어 있고, 우측에 식부.승강레버(72)가 설치되어 상기 유압전환밸브(20)를 작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묘식부장치(3)의 승강조작이나 묘이식장치(3)의 구동의 입절(入切:입력과 단절)을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보닛(70)의 후측에 유단 변속조작인 차속 전환레버(73)가 있고, 이 차속 전환레버(73)는 포장내에서의 묘의 이식작업시에 주로 사용하는 식부속도 위치, 노상주행시등에서 고속 주행할 수 있는 이동속도 위치, 주행차체의 전후륜으로의 동력의 전달을 끊는 중립 위치가 있으며, 이 차속 전환레버(73)의 조작에 의해 미션케이스내의 전후륜의 구동전달계의 전달비를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HST레버(71), 식부.승강레버(72), 차속 전환레버(73)는 조종석(6)의 전측에 있는 보닛부에 집중하여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조종자가 조작하기 쉽게 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HST(13)의 조작 연계구성은 상기 HST레버(71)에 고착한 회동축(71a)과 일체의 암(71b)에서 제1로드(71c)를 개재하여 회동지점(71d) 주위에 회동가능한 L자 부재(71e)로 연결하고, 상기 L자 부재(71e)의 타단으로부터 제2로드(17f)를 개재하여 HST(13)의 트러니언 암(13d)에 연결해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조작되는 상기 트러니언 암(13d)을 기체의 좌우방향으로 조작하는 HST레버(71)에 의해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묘이식장치(3)의 구동의 입절의 조작연계구성은, 상기 식부.승강레버(72)의 조작에 의해, 상기 레버(72)에 고착한 캠(72a)에 의해서 후술하는 식부 클러치핀(104)을 미션케이스(11)에서 인출하기도 하고 미션케이스내로 압입하기도 하는 것에 의해서, 묘이식장치(3)로의 동력전달의 입절을 하는 구성이다. 또, 보닛(70)의 좌측의 하방에 주행차체의 전후륜(4,4,5,5) 및 묘이식장치(3)로의 동력의 전달을 끊는 주클러치 페달(74), 상기 클러치 페달(74)과 대략 좌우대칭인 위치에 좌우의 후륜(5,5)을 각각 제동하기 위해서 브레이크페달(75,75)을 설치하고 있다. 또, 이들의 페달부분으로 되는 보닛(70)의 후측부는 움푹패인 형상으로 되어 있고, 조종석(6)에 앉은 오퍼레이터가 페달 조작을 하기 위하여 발을 밟아넣기 쉽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미션케이스(11)내의 전동구성을 제6도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미션케이스의 입력축(22)은 HST의 출력축(13c)과 스플라인에 의해 치합하여 미션케이스(11)에 입력시킨다. 상기 입력축(22)에서 습식의 클러치(80)의 동력전달에 의해, 중도부가 사각형상으로 되어 있는 축(81)과 일체회전하는 기어(82)를 구동하고, 상기 기어(82)와 치합하는 중게기어(83)의 구동에 의해 스플라인부를 개재하여 일체회전하는 축(84)을 구동한다. 또, 상기 습식의 클러치(80)는 상기 클러치 페달(74)에 의해 조작시키는 것이다. 묘이식장치(3)로의 전동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축(84)의 구동에 의해 상기 축(84)의 별도의 스플라인부를 개재하여 일체회전하는 주(主)식부주간(植付株間:2~3가닥의 묘를 한 단위로하여 묘심기한 간격)전환기어(85)를 구동한다. 또, 상기 주식부주간 전환기어(85)는 상기 축(84)에 대하여 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 상기 주식부주간 전환기어(85)와 치합하는 기어(86)에 의해 원웨이 클러치(One-way Clutch)(87)를 개재하여 축(88)을 구동하고, 상기 축(88)과 일체회전하는 부(副)식부주간 전환기어(89)는 상기 축(88)에 대하여 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부식부주간 전환기어(89)와 치합하는 기어(90)와 일체인 베벨기어(91)를 구동한다. 또 상기 기어(90) 및 베벨기어(91)는 축(84)에 대하여 유전자재인 구성이다. 상기 베벨기어(91)는 식부전달축(92)과 유전자재로 설치된 베벨기어(93)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베벨기어(93)의 보스부의 조(爪 : 손톱모양의 부분)(94)와 안전클러치 스프링(95)에 의해 상기 베벨기어(93) 방향으로 부세(付勢)시킨 안전 클러치체(96)의 조(爪)(97)와가 치합한 상태로 되어 있고, 상기 안전클러치(96)가 식부전달축(92)과 스플라인부를 개재하여 일체회전한다. 이 식부전달축(92)과 일체 회전하는 식부 클러치 구동체(98)의 조(爪)부(99)와 식부 클러치 수동체(100)의 클러치 조(爪)(10)와가 치합하여, 상기 식부 클러치 수동체(100)가 키(key)(102)를 개재하여 식부출력축(103)과 일체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상기 식부 출력축(103)을 구동한다. 따라서, 이 식부 출력축(103)으로부터 미션케이스 밖의 입력전달축(17)을 개재하여 묘이식장치(3)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식부.승강레버(72)와 연동하는 상기 식부 클러치핀(104)의 식부 클러치 수동체(100)와의 계합 및 계합해제에 의해, 식부 클러치 수동체(100)의 클러치조(爪)(101)가 식부 클러치 구동체(98)의 클러치조(爪)(99)와 치합하는 상태와 치합을 해제하는 상태(식부 클러치 수동체(100)가 후방으로 접동된 상태)와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묘이식장치(3)의 구동의 입절(입력과 단절)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묘이식장치(3)가 뜻밖으로 메카록(Mechanical Lock)을 일으킨때 묘이식장치(3) 및 묘이식장치(3)로의 동력전달계통이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베벨기어(93)의 보스부의 조(爪)(94)와 안전 클러치체(96)의 조(爪)(97)의 치합하는 면에, 식부 전달축(92)의 축방향에 대하여 경사를 가지고 있고, 묘이식장치(3)의 구동에 소정이상의 부하가 생기면 안전 클러치체(96)의 조(爪)(97)가 상기 베벨기어(93)의 보스부의 조(爪)(94)와 치합을 해제하는 상태(안전 클러치(96)가 전방으로 접동된 상태)로 되고 안전 클러치 스프링(95)이 압축되어서 묘이식장치(3)로의 동력전달이 끊어진다.
다음에, 주행차체(2)의 전후륜(4,4,5,5)으로의 전동구성에 관하여 설명한다.
상기 중계기어(83)의 구동에 의해 축(105)과 일체회전하는 기어(106)를 구동한다. 그리고, 상기 축(105)과 스플라인부를 개재하여 일체회전하는 차속 전환기어(107)를 구동한다. 이 차속 전환기어(107)는 상기 축(105)에 대하여 접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차속 전환레버(73)의 전환조작에 의한 차속 전환쉬프터(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접동하여 사이드 클러치축(108)에 용접시킨 상기 축(108)과 일체의 차속 전환 종동기어(109)와의 치합을 전환하는 것에 의해서 차속을 변속한다. 그리고, 전륜(4,4)의 전동구성은, 상기 차속 전환 종동기어(109)로부터 좌측의 후륜 카운터축(111)과 유전자재의 카운터기어(112)를 개재하여 전륜디프(diff,:differential의 약어)(113)의 디프케이스(113a)와 일체의 기어(114)에 치합하고, 상기 디프(113)에서 좌우의 전륜 전동축(115,116)에 각각 동력을 전달한다. 이 좌우의 전륜 전동축(115,116)이 좌우 각각의 전륜차축 케이스(14,14)로 동력을 전달하여 전륜축(4a,4a)을 구동하는 구성이다. 또, 좌측의 전륜 전동축(115)과 사각축부에서 일체회전함과 동시에 축방향으로 접동가능한 디프록체(Differenfial Lock 體)(117)가 설치되고, 이 디프록체(117)에 설치된 조(爪)(118)가 디프케이스(113a)에 설치된 조(爪)(119)에 치합하는 상태와 치합이 해제된 상태와로 전환되는 것에 의해, 좌우의 전륜(4,4)의 차동가능상태와 차동불가능상태와로 전환된다. 또한, 후륜(5,5)의 전동구성은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108)에서 스플라인부를 개재하여 좌우의 클러치 앤드 브레이크 기구)(ClutchBrake 機構)(120,120)로 동력을 전달한다. 클러치 앤드 브레이크 기구(120,120)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75,75)의 조작에 의해 후륜(5,5)으로의 동력전달을 끊음과 동시에 후륜(5,5)을 제동하는 것이며, 복수의 클러치 디스크 및 브레이크 디스크를 구비한 것이다.
이 클러치 앤드 브레이크 기구(120,120)의 종동축과 일체회전하는 기어(121,121)가, 좌우 각각의 후륜 카운터축(111,122)과 일체회전하는 기어(123,123)와 치합하여 좌우의 후륜 카운터축(111,122)을 구동한다. 그리고, 후륜 카운터축(111,122)과 일체회전하는 베벨기어(124,124)가 후륜출력축(125,125)과 일체회전하는 베벨기어(126,126)과 치합하여 후륜 출력축(125,125)을 구동하고, 미션케이스 밖의 후륜 전동축(15,15)을 개재하여 후륜 전동케이스(16,16)로 동력을 전달하여 후륜축(5a,5a)을 구동하는 구성이다.
또한, 제1도 및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스티어링 핸들(7)에서 전륜(4,4)의 조향을 전달하는 스티어링축(130)은, 미션케이스(11)내를 관통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미션케이스(11)의 입력축(22)보다 후측에서 미션케이스내의 상기 축(84)보다 전측으로 배치되고, 축(22) 및 축(84)의 좌우폭내에 들어가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구성으로 하는 것에 의해, 차륜의 좌우 트래드 폭내에 있는 작은 주행차체(2)의 미션케이스(11)의 배치를 좌우 방향에서 기체(機體)의 대략 중앙으로함과 동시에, 미션케이스(11)를 상기 스티어링 축(130)에 규제되지 않게 기체의 전부에 치우치게 한다. 또, 전륜(4,4)의 조향의 전달 구성은 상기 스티어링축(130)의 하부에서 일체 회전하는 기어(131)로부터, 스티어링 카운터기어(132)를 개재하여 구동하는 기어(133)와 일체회전하는 피트만 암(pittman arm)(134)을 회동시키고, 좌우의 타이로드(Tie load)(135,135)에 의해 상기 피트만 암(134)과 전륜차축 케이스(14,14)의 조향부를 연결한 구성이다.
따라서, 미션케이스(11)는 좌우폭이 필요하게 된 후륜(5,5)으로의 전동부에 대해, 상기 전동부의 전방부분 즉 후륜(5,5)으로의 전통이 좌우로 분기되는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108)보다 전방부분의 좌측을 움푹패인 형상으로 하고, 그 움푹패인 부분에 HST(13)를 고착하여 상기 HST(13)를 기체의 좌우방향의 중앙에 치우치도록 배치하고 있다. 또, 미션케이스내에 있어서, 좌우폭이 필요하게 되는 전륜 디프(113)를 상기 사이드 클러치축(108)보다 후방에 배치하여, 미션케이스(11)의 전부의 좌측을 움푹패인 형상으로 할 수 있다.
Claims (2)
- 좌우한쌍의 전륜(4,4)과 좌우한쌍의 후륜(5,5)을 구비한 주행차체(2)의 후부에 작업기를 장착하고, 상기 주행차체(2)의 대략 좌우중앙부에 엔진(8)을 장착하여 상기 엔진의 회전동력을 유압식 무단변속장치(13)를 경유하여 트랜스미션에 전달하며, 상기 주행차체의 전측에 상기 전륜을 조향조작하는 스티어링핸들(7)을 설치한 농작업기에 있어서, 상기 주행차체(2)의 전부에 미션케이스(11)를 배설하여 그 측방에, 출력축(13c)이 좌우방향을 향하게 하여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13)를 배치하고, 상기 유압식 무단 변속장치(13)의 출력축(1c)을, 상기 트랜스미션을 수용하는 미션케이스(1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케이스내로 삽입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케이스(11)내에 축심이 좌우방향으로 향하는 동력전달용의 전동축을 복수개 설치하고, 상기 스티어링 핸들(7)의 회동조작에 의해 회동하는 스티어링 축(130)을, 상기 미션케이스(11)의 상부로부터 상기 케이스내로 삽입하여 케이스저부를 향해 연장하며, 한편으로는 상기 스티어링축(130)을, 미션케이스(11)내의 상기 전동축들 중 회전측에 위치하는 전동축(22)보다 후측에 형성한 미션케이스내의 공간에 위치시켜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95-296087 | 1995-10-18 | ||
JP7296087A JPH09109707A (ja) | 1995-10-18 | 1995-10-18 | 農作業機 |
JP96-60822 | 1996-03-18 | ||
JP06082296A JP3577825B2 (ja) | 1996-03-18 | 1996-03-18 | 農作業機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9822A KR970019822A (ko) | 1997-05-28 |
KR0172667B1 true KR0172667B1 (ko) | 1999-02-18 |
Family
ID=26401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6479A KR0172667B1 (ko) | 1995-10-18 | 1996-10-17 | 농작업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0172667B1 (ko) |
-
1996
- 1996-10-17 KR KR1019960046479A patent/KR017266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19822A (ko) | 1997-05-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01945B1 (ko) | 작업 차량 및 그 예로서의 콤바인 | |
JP3756843B2 (ja) | 乗用型多条植移植機 | |
KR0172667B1 (ko) | 농작업기 | |
CN101803505A (zh) | 水田作业车 | |
JP3577825B2 (ja) | 農作業機 | |
KR100433335B1 (ko) | 시비 이앙기 | |
CN102870532B (zh) | 插秧机 | |
JP3632378B2 (ja) | 乗用型苗植機 | |
JP2011244767A (ja) | 苗移植機 | |
JP4051498B2 (ja) | 農作業機 | |
JP2007053939A5 (ko) | ||
JP2007053939A (ja) | 苗移植機 | |
JP2000270620A (ja) | 水田作業機 | |
JP2009118830A (ja) | 歩行型の苗移植機 | |
JP3632418B2 (ja) | 苗移植機 | |
JP6830520B2 (ja) | 作業車 | |
JP3248714B2 (ja) | 乗用農作業機 | |
JP2005176854A (ja) | 乗用苗植機 | |
JP3452962B2 (ja) | 乗用田植機の植付部 | |
JP3815173B2 (ja) | 苗移植機 | |
CN207766863U (zh) | 作业车辆 | |
JP4362994B2 (ja) | 走行車体 | |
JPH1128016A (ja) | コンバインの操作装置 | |
JP3274863B2 (ja) | 乗用走行車体 | |
JP4258970B2 (ja) | 乗用型苗植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808 Year of fee payment: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911 Year of fee payment: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