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150B1 -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150B1
KR0172150B1 KR1019950013533A KR19950013533A KR0172150B1 KR 0172150 B1 KR0172150 B1 KR 0172150B1 KR 1019950013533 A KR1019950013533 A KR 1019950013533A KR 19950013533 A KR19950013533 A KR 19950013533A KR 0172150 B1 KR0172150 B1 KR 0172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utch
document
shaft
gear
feed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3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3742A (ko
Inventor
박준오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50013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150B1/ko
Publication of KR960043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3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1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57Conveying sheets before or after scanning
    • H04N1/00599Using specific components
    • H04N1/00602Feed roll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567Handling of original or reproduction media, e.g. cutting, separating, stacking
    • H04N1/00628Separating, e.g. preventing feeding of two sheets at a ti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고의 낱장이송을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팩시밀리 장기간 사용시에도 클러치수단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팩시밀리 신뢰도를 높힐 수 있게 하며, 원고의 낱장이송수단의 구성을 간소화 하여 부품수가 감소되도록 하고, 이송 대기시간의 조정이 편리하도록한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를 제공하도록 한 것에 목적을 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가진 본 발명은 모터로 구동되는 급지롤러를 통하여 적층된 원고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롤러가 설치된 축의 일측단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끼워진 클러치휠과; 상기 축의 일측단에 공회전하게 끼워져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기어와; 그리고 상기 기어가 일정 각도 만큼 공회전은 다음 상기 클러치휠과 직접 맞물려 회전되는 낱장이송수단이 구비된다.

Description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제1도는 종래 원고 이송장치의 분리 사시도.
제2도는 종래 원고 이송장치의 요부를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 원고 이송장치의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원고 이송장치의 낱장이송클러치 수단을 분리한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원고 이송장치의 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원고이송장치의 낱장이송클러치 수단을 발췌한 단면도.
제7도(a)(b)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모터 13 : 클러치기어
14 : 클러치휠 15 : 축
16 : 급지롤러 20 : 낱장이송수단
21 : 돌기 22 : 걸림홈
α : 원호각
본 발명은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고가 낱장 이송되도록 하는 원고낱장 이송수단의 구성을 간소화하고 원고 사이의 간격조정이 자유롭도록한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팩시밀리에는 원고를 송신하기 위해 원고를 이송시키는 원고이송수단과 이송된 원고를 읽어 들이는 원고리더(Reader)수단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원고가 여러장일 경우에 원고이송수단에는 원고가 낱장으로 이송되도록하는 원고낱장이송수단이 구비된다.
이러한 원고낱장이송수단은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다. 즉 모터와 치합된 상태로 회전되는 기어(1)와, 일측단이 기어(1)에 공회전되게 끼워지고 외주면에 급지롤러(5)가 결합된 축(4)과, 상기 축(4)에 억지 끼워져 일체로 회전되는 보스(3)와, 그리고 기어(1)의 회전으로 보스(3)에 감겨 축(4)을 회전시키는 클러치스프링(2)을 갖는 클러치 수단이 구비된다.
이처럼 구성된 종래의 낱장이송수단은 원고(8)가 급지되면 모터(미도시)의 회전으로 기어(1)가 일방향으로 회전된다. 이때 클러치수단의 스프링(2)이 꼬이면서 보스(3)의 외주면에 감긴다. 이처럼 감기면 기어(1)의 회전력이 클러치스프링(2)을 통하여 보스(3)에 전달된다. 이때 보스(3)는 축(4)과 억지끼움된 상태이므로 결과적으로 축(4)이 회전되면서 급지롤러(5)에 의해 원고(8)가 원고리더수단 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원고(8)는 이송되는 과정에서 송신수단에 설치된 송신롤러(6)에 의해 이미지센서(7)을 통과하면서 화상정보가 원고리더 수단에 의해 송신되게 하거나 또는 복사되게 된다. 이때 송신롤러(6)의 회전수가 급지롤러(5)를 회전시키는 기어(1) 보다 빠른 상태이다. 따라서 송신롤러(6)의 회전력에 의해 원고(8)가 당겨지면서 이송되게 된다. 즉 원고(8)가 급지롤러(5)와 송신롤러(6) 사이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급지롤러(5)는 송신롤러(6)와 늦은 회전수로 회전된다. 즉 원고(8)가 송신롤러(6)와 급지롤러(5) 사이에 걸친 상태에서 급지롤러(5)가 원고(8)의 이송에 따른 당겨지는 힘에 의해 구동된다.
이때 급지롤러(5)가 기어(1) 보다 빠르게 회전 되므로 클러치수단의 스프링(2)의 꼬인 상태가 풀어진다. 따라서 급지롤러(5)는 기어(1)의 회전력과는 관계없이 구동된다. 한편 원고(8)가 급지롤러(5)를 벗어나는 순간 급지롤러(5)는 순간적으로 정지된다. 즉 클러치수단의 스프링(2)이 풀어진 상태이므로 기어(1)의 회전력이 축(4)에 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겹쳐진 다른 원고는 이송 대기상태에 놓인다. 이러한 대기시간은 기어(1)의 회전으로 클러치스프링(2)이 보스(3)에 감겨지는 순간 까지이다.
한편 적층된 원고가 이송 대기상태 일때 이송중인 원고(8)는 송신롤러(6)를 통과하면서 화상정보가 이미지센서(7)의 원고리더수단에 의해 송신되거나 또는 복사가 완료된다. 이처럼 완료됨가 동시에 클러치수단의 스프링(2)이 감겨져 보스(3)와 기어(1)가 일체로 회전된다. 따라서 대기중인 다른 원고는 급지롤러(5)를 따라 송신수단 쪽으로 이송되면서 위의 과정이 반복된다.
그러나 원고가 낱장으로 이송되도록 원고를 이송대기상태로 만들기 위해 클러치수단인 스프링(2)과 보스(3) 등의 부품이 구비되어야만 하고, 이 클러치수단의 부품수가 증가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이송 대기시간을 길게 하기 위해서는 클러치 수단의 스프링(2)의 길이를 길게 감겨지게 하고, 풀어지는 시간을 조절해야 되므로 팩시밀리 본체의 폭이 커지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클러치 수단의 스프링(2)의 길이를 조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급지롤러(5)와 송신롤러(6)의 축간 거리를 길게 하여 각 원고의 이송되는 시간차를 조절해야 되는데 이때는 본체의 길이가 커져 팩시밀리 본체를 작게 제작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더욱이, 클러치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프링(2)의 탄성력이 작을 경우에는 원고(8)가 급지롤러(5)를 벗어나는 순간 급지롤러(5)를 정지시키기가 곤란하고, 스프링(2)의 탄성력이 높을 경우에는 원고(5)를 송신롤러(6)에 원활하게 이송시키지 못하여 원고(8)가 소손되는 문제가 따르기 때문에 클러치수단의 스프링(2) 탄성력을 일정하게 유지되게 제작하여야만 하는데, 이 스프링(2)의 탄성력을 일정하게 제작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 스프링(2)의 탄성력을 팩시밀리 제작시에는 일정하게 유지시켰을 경우에도 장기간 팩시밀리 사용으로 인하여 스프링(2)의 탄성력이 변화하기 때문에 클러치수단의 제반 역할을 감당하지 못하고 원고이송장치가 오동작을 하게 되어 팩시밀리의 신뢰도를 떨어뜨리게 되는 결점을 가지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고의 낱장이송을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고 장기간 팩시밀리 사용시에도 클러치수단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팩시밀리의 신뢰도를 높힐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고낱장이송장치의 클러치수단에 따른 구성을 간소화하여 부품수를 대폭 감소시켜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하고, 원고이송 대기시간의 조정이 용이하도록 한 팩시밀리의 원고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모터로 구동되는 급지롤러를 통하여 적층된 원고를 낱장으로 이송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급지롤러가 설치된 축의 일측단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끼워진 클러치휠과; 상기 축의 일측단에 공회전하게 끼워져 상기 모터의 회전력으로 구동되는 클러치기어와; 그리고 상기 기어가 일정 각도 만큼 공회전은 다음 상기 클러치휠과 직접 맞물려 회전되는 낱장이송 클러치수단이 구비된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 원고 이송장치의 사시도 이다. 즉 팩시밀리 본체(10)의 일측으로 브래킷(10a)이 입설되고 브래킷(10a)의 외측으로 모터(11)가 구비된다. 상기 모터(11)는 감속을 위하여 다수개의 아이들기어(12)가 구비된다. 한편 외주면에 급지롤러(16)가 형성된 축(15)은 본체(10)의 양측으로 설치된 축받이(17) 에 높인다. 그리고 상기 축(15)과 아이들기어(12)를 간헐적으로 연결하는 낱장이송 클러치수단(20)이 구비된다.
제4도는 본 발명 원고 이송장치의 낱장이송 클러치수단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원고이송장치 낱장이송클러치 수단을 발췌한 단면도이다. 즉 낱장이송 클러치수단(20)은 축(15)의 일측단에 끼워져 일체로 회전되는 클러치휠(14)과, 상기 축(15)의 일측단에 끼워진 상태에서 아이들기어(12)와 치합된 클러치기어(13)와, 상기 클러치기어(13) 쪽으로 돌출되도록 클러치휠(14)의 일측에 형성된 돌기(21)와, 상기 돌기(21)가 끼워지도록 클러치기어(13)에 형성된 걸림홈(22)이 구비된다. 여기서 걸림홈(22)은 원호형으로 형성되고 클러치휠(14)이 회전될때 돌기(21)가 걸림홈(22)을 따라 이동 가능토록 원호각(α)을 갖는다.
한편 클러치휠(14)은 중앙에 구멍(23)이 형성되어 축(15)의 일측단에 끼워진다. 이때 구멍(23)의 일측 내주연에 걸림면(25)이 형성되고 축(15)에는 걸림면(25)과 대응되는 걸림돌부(24)가 형성된다. 따라서 이들 걸림면(24)(25)이 서로 겹쳐지도록 하면 구멍(23)이 축(15)에 연결되어 축(15)과 클러치휠(14)이 일체로 회전된다. 또한 클러치기어(13)의 중앙에 축(15)의 일측단 직경 보다 큰 구멍(26)이 형성되어 축(15)에 끼워진다. 즉 구멍(26)이 축(15)의 일측단에 끼워지면 기어(13)가 공회전하게 된다.
제5도는 본 발명 원고 이송장치의 측면도이다. 상기 클러치기어(13)에 형성된 걸림홈(22)은 돌기(21)가 주행할 수 있는 원호각(α)을 갖는다. 이 원호각(α)은 원고(8)가 낱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것으로서 원호각(α)의 대소에 따라 원고의 대기시간이 결정된다. 즉 송신롤러(6)의 회전수가 클러치기어(13)의 회전수 보다 크거나 같은 상태로 조정된다. 이 같은 상태에서 클러치기어(13)가 회전되면 걸림홈(22)의 뒷쪽에 돌기(21)가 걸린 상태에서 기어(13)의 회전력이 클러치휠(14)에 전달된다. 따라서 클러치휠(14)과 일체로 회전되는 축(15)의 회전으로 급지롤러(16)가 회전되면서 원고(8)가 송신롤러(6)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원고(8)가 급지롤러(16)와 송신롤러(6) 사이에 맞물린 상태에서는 송신롤러(6)의 회전력이 크므로 원고(8)가 당겨지면서 이송된다. 이때 클러치휠(14)의 돌기(21)가 원호각(α)을 따라 걸림홈(22)의 앞쪽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클러치기어(13)의 회전력이 클러치휠(14)에 전달되지 않는다.
한편 원고(8)가 급지롤러(16)을 벗어나는 순간 축(15)은 원호각(α) 만큼 회전이 정지된다. 즉 클러치기어(13)는 계속 회전되는 상태 이므로 걸림홈(22)의 뒷쪽이 돌기(21)에 걸리는 순간 까지 축(15)은 정지된다. 그리고 걸림홈(22)의 뒷쪽이 돌기(21)에 걸리면 클러치기어(13)와 클러치휠(14)이 일체로 회전되면서 축(15)이 회전된다. 이때 급지롤러(16)가 회전 되면서 대기중인 다른 원고가 송신롤러(6) 쪽으로 이송된다.
제7도의 (a)(b)는 본 발명의 동작상태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 팩시밀리의 원고이송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기로 한다.
브래킷(10a)이 본체(10)에 고정된 상태에서 모터(11)와 아이들기어(12)가 설치된다. 또한 축(15)의 외주면에 급지롤러(16)가 결합된 상태에서 본체(10)의 일측에 형성된 축받이(17)에 놓인다. 그리고 클러치휠(14)의 구멍(23)이 축(15)의 일측단에 끼워진다. 이때 각 걸림면(24)(25)이 일치된 상태로 끼워지면 축(15)과 클러치휠(14)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또한 축(15)의 일측으로 클러치기어(13)가 끼워진다. 이때 구멍(26)이 축(15)에 기워지면 클러치기어(13)와 축(15)은 공회전을 하게 된다.
한편 클러치기어(13)가 축(15)에 끼워진 상태에서 걸림홈(22)이 클러치휠(14)의 돌기(21)에 끼워지면 클러치기어(13)는 걸림홈(22)의 원호각(α) 범위내에서 공회전을 하게 된다. 즉, 원호각(α)을 벗어나면 걸림홈(22)의 양측 단부가 돌기(21)에 걸리게 되므로 클러치기어(13)의 회전력이 돌기(21)를 통하여 클러치휠(14)에 전달된 다음 축(15)이 회전된다. 한편 클러치기어(13)는 축(15)에 조립된 상태에서 아이들기어(12)와 치합되므로 모터(11)의 회전력이 기어(13)로 전달된다.
이처럼 조립되는 본 발명은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모터(11)의 구동으로 아이들기어(12)가 회전되면 이와 치합된 클러치기어(13)가 회전된다. 이때 제7도(b)에 도시된 것처럼 클러치기어(13)에 형성된 걸림홈(22)의 뒷쪽이 돌기(21)에 걸린 상태로 클러치휠(14)이 함께 회전된다. 이때 적층된 원고 중에서 바닥의 원고(8)가 급지롤러(16)를 따라 송신롤러(6) 쪽으로 이송된다. 한편 원고(8)가 송신롤러(6)에 물리는 순간 송신롤러(6)의 회전으로 원고(8)가 당겨지면서 이송된다. 즉 송신롤러(6)는 별도의 모터(미도시)에 의해 구동되는 상태이다. 이때 송신롤러(6)의 회전수가 급지롤러(14)를 회전시키는 클러치기어(13)의 회전수 보다 약간 큰 상태이므로 원고(8)는 자연스럽게 당겨지면서 이송된다.
그리고 원고(8)가 당겨지는 순간 제7도(a)에 도시된 것처럼 클러치휠(14)의 돌기(21)가 원호각(α)을 따라 걸림홈(22)의 앞쪽으로 이동된다. 즉 클러치휠(14)은 축(15)과 일체로 회전되는 상태이므로 원고(8)의 당겨지는 힘에 의해 기어(13)보다 빠르게 회전된다. 이때 클러치기어(13)는 축(15)과 헐겁게 결합된 상태이므로 돌기(21)의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송신롤러(6)에 의해 당겨지면서 이송되는 원고(8)는 이미지센서(7)를 통과하게 되고 이때 화상정보가 송신 또는 복사된다. 그리고 원고(8)가 급지롤러(16)를 벗어나는 순간 급지롤러(16)는 순간적으로 정지된다. 즉 원고(8)의 당겨지는 힘으로 회전되던 급지롤러(16)는 원고(8)의 이탈로 인하여 정지된다.
이때 클러치기어(13)는 모터(11)에 의해 계속 회전되고 있는 상태이므로 걸림홈(22)이 회전에 의하여 제7도(b)와 같은 상태로 이동된다. 즉 원호각(α) 만큼 회전된 다음 걸림홈(22)의 뒷쪽이 돌기(21)에 걸리면서 클러치기어(13)의 회전력이 돌기(21)를 통하여 클러치휠(14)에 전달되고 이때 축(15)이 회전된다.
따라서 일시 정지상태에 있던 급지롤러(16)가 다시 회전하게 되고 이와 동시에 적층된 다른 원고가 송신롤러(6) 쪽으로 이송된다. 즉 이송중인 원고(8)가 급지롤러(16)를 벗어나는 순간 급지롤러(16)가 원호각(α) 만큼 일시 정지되고 이 정지된 시간 동안 적층된 다른 원고는 급지 대기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원호각(α)의 조정에 따라 급지 대기시간의 조정 즉 급지간격의 조정이 가능하게 되고 원고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원호각(α)에 따라 급지간격이 조정되므로 급지롤러(16)와 송신롤러(6)와의 축간 거리를 조정하지 않더라도 급지간격이 조정된다. 따라서 축간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으므로 본체(10)를 소형화할 수 있다.
한편 급지롤러(16)의 직경에 관계없이 급지간격의 조정이 가능하므로 급지롤러(6)의 직경을 크게할 수 있다. 이처럼 급지롤러(16)의 직경이 커지면 적층된 원고와의 접촉면적이 증가되므로 급지되는 순간 원고를 끌고 들어가기가 편리하여 급지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적고 원고낱장이송이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클러치휠(14)의 돌기(21)와 클러치기어(13)의 걸림홈(22)의 결합에 의해 급지간격이 조정되므로 구조가 간소화되어 팩시밀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게 됨과 동시에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축에 결합된 클러치기어에 걸림홈이 형성되고 또한 축에 일체로 회전되도록 결합된 클러치휠에 돌기가 형성되어 걸림홈의 원호각 만큼 돌기가 유동되므로 원고의 급지간격 조정이 편리하다. 그리고 돌기와 걸림홈으로 급지간격이 조정되므로 구조가 간소화되어 생산원가를 절감할 수 있게 되고 송신롤러와 급지롤러의 축간 거리를 단축할 수 있으므로 팩시밀리 본체를 소형으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원고낱장이송을 정확하게 이루어지게 하고 장기간 사용시에도 클러치수단의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팩시밀리 신뢰도를 높힐 수 있게 된 것이다.

Claims (2)

  1. 모터(11)로 구동되는 급지롤러(16)와, 상기 급지롤러(16)의 축(15)의 일측단에 설치되어 원고가 낱장으로 이송되도록 제어하는 낱장이송 클러치수단(20)이 구비된 팩시밀리의 원고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낱장이송 클러치수단(20)은 급지롤러(16)의 축(15)의 일측단에 일체로 회정되도록 끼워지며, 바깥쪽면의 정해진 위치에는 한쌍의 돌기(21)가 서로 대향되게 돌설된 클러치휠(14)과; 모터(11)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되고, 상기 클러치휠(14)의 바깥쪽에 해당되는 축(15)의 일측단에 공회전되게 끼워져 결합되며, 면상의 마주하는 위치에는 상기 클러치휠(14)상의 각 돌기(21)가 끼워지는 원호형 걸림홈(22)이 형성된 클러치기어(1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원고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기어(13)상의 각 걸림홈(22)은 클러치휠(14)상의 각 돌기(21)의 폭보다 큰 클러치원호각(α)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팩시밀리의 원고이송장치.
KR1019950013533A 1995-05-27 1995-05-27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KR0172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533A KR0172150B1 (ko) 1995-05-27 1995-05-27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3533A KR0172150B1 (ko) 1995-05-27 1995-05-27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742A KR960043742A (ko) 1996-12-23
KR0172150B1 true KR0172150B1 (ko) 1999-03-20

Family

ID=19415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3533A KR0172150B1 (ko) 1995-05-27 1995-05-27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15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3742A (ko) 1996-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198764B2 (ja) 原稿分離装置
US5314053A (en) Torque transmission device
US4715597A (e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940001964B1 (ko) 자동 급지 장치
KR0172150B1 (ko) 팩시밀리의 원고 이송장치
KR0124607B1 (ko) 팩시밀리의 다매급지장치
US5678815A (en) Sheet feeder
KR20050059194A (ko) 분리 급지 장치
KR0135429Y1 (ko)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JPH0238493B2 (ko)
US6024357A (en) Document sheet feeding mechanism
JP3274925B2 (ja) ロール紙エンド検知装置
US5390906A (en) Paper supplying device
KR100256779B1 (ko) 일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클러치장치
JP2846366B2 (ja) 用紙スキュー補正装置
KR940005696Y1 (ko) 복사기기의 용지 공급장치
JP2937443B2 (ja) 用紙反転装置
JP2838317B2 (ja) 分離給紙装置
JP2738576B2 (ja) 給紙装置
JP3611922B2 (ja) 用紙搬送装置
JP3295830B2 (ja) 印刷装置の自動用紙搬送機構
JP3114471B2 (ja) 原稿給送装置
KR970001875Y1 (ko) 자동급지장치
JP3715717B2 (ja) 駆動伝達装置及びシート材給送装置
JPH0212849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