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034B1 -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034B1
KR0172034B1 KR1019950023123A KR19950023123A KR0172034B1 KR 0172034 B1 KR0172034 B1 KR 0172034B1 KR 1019950023123 A KR1019950023123 A KR 1019950023123A KR 19950023123 A KR19950023123 A KR 19950023123A KR 0172034 B1 KR0172034 B1 KR 01720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frame
anchor bolt
frame
horizontal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3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6705A (ko
Inventor
김종권
Original Assignee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훈, 삼성물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훈
Priority to KR1019950023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34B1/ko
Publication of KR9700067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67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0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0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8Connections for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l
    • E04B1/41Connec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embedding in concrete or masonry
    • E04B1/4157Longitudinally-externally threaded elements extending from the concrete or masonry, e.g. anchoring bolt with embedded h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und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개를 한조로 하는 앵커볼트 상호간을 설정된 위치에 맞추어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앵커볼트 설치작업의 여건을 개선하여 주도록한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은; 일정 폭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한쌍의 가로판들과 세로판들로서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도록 틀체부를 형성하되, 그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가로판의 일정위치에 수개의 통공을 각기 형성하고, 상기 가로판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연장 결착되는 받침앵글들로서 틀체부 전체가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틀체부의 통공을 통하여 끼워지는 각각의 앵커볼트 상호간을 맞추어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a) 기준틀 수평위치 설정단게와, b) 기준틀 설치단계와, c) 기준틀 셋팅단계와, d) 앵커볼트 고정단계와, e) 기준틀 해체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틀을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이다.

Description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제1도는 본 발명 기준틀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기준틀의 평면도.
제3도는 제2도의 일측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 기준틀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제5도의 (a)(b)(c)(d)(e)는 본 발명의 앵커볼트 설치방법에 따른 단계별 공정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설치된 앵커볼트의 실시 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기준틀 10 : 틀체부
10a : 개구부 20 : 가로판
21 : 통공 22 : 가이드편
30 : 세로판 40 : 받침앵글
본 발명은 각종의 구조물 시공에 수반되는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수개를 한조로 하는 앵커볼트 상호간을 설정된 위치에 맞추어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여 주면서도, 앵커볼트 설치작업의 여건을 개선하여 주도록 한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설공사에 따른 콘크리트 구조물에 철골재나 교좌장치 등과 같은 설치부재를 고정하여 안치되도록 하기 위하여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매립 설치하여서 된 앵커볼트를 사용하게 되는 것이 일반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앵커볼트를 콘크리트 구조물에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한 설치부재와의 조립을 위한 위치설정은 물론이고, 수개를 한조로 설치하게 되는 앵커볼트 상호간이 높이, 간격, 수직도 등을 감안한 정밀한 설치가 요구되고 있다.
이와같이 사용되는 앵커볼트를 설치하기 위한 이전의 방법은, 조립된 거푸집 형틀내의 기 배근된 철근에 각각의 앵카볼트 설치위치를 일일히 측정하여서 용접 고정하여서 설치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이전의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에 있어서는 한조로서 설치되는 앵커볼트를 일일이 측정하게 되는 번거로움으로 인하여 작업의 능률이 저하되었으며, 또한 정확한 설치위치를 설정하였더라도 각각의 앵커볼트를 철근에 고정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이나 움직임으로 오차가 발생되어, 철골재나 교좌장치 등의 설치부재에 형성되는 구멍과 일치되지 않아 이후의 작업 수행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최근에는 거푸집 형틀내에 주름관으로 형성되어 하단부가 막아진 슬리브를 기 배근된 철근에 사이에 위치시켜 결박 고정하고, 고정된 슬리브내에 무수축 몰탈이 채워지도록 하고, 채워진 무수축 몰탈이 경화되기 이전의 슬리브내내 앵커볼트를 삽입하여서 고정 설치하였다. 따라서, 이는 무수축 몰탈이 채워진 슬리브 내에 앵커볼트를 삽입시켜서 고정하게 되므로써, 비교적 정밀하게 앵커볼트를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같은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에 있어서는 첫째, 촘촘히 배근된 철근 사이에 앵커볼트 보다 직경이 큰 슬리브를 위치시켜 고정하는 작업이 까다로워 작업 능률이 저하되었으며; 둘째, 무수축 몰탈을 사용하게 되며 그를 슬리브 내에 채워지도록 하는 채움작업에 따른 불필요한 재료비와 작업량 증가로 전체 공사비의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셋째, 고정된 앵커볼트가 견고하지 못하여 작은 충격에 의하여 쉽게 유동되어 이로 인한 앵커볼트 설치상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등의 결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특히, 촘촘한 간격으로 배근되는 철근 사이에 직경이 큰 슬리브를 위치시키고자 할때에 철근 사이의 배근 간격을 넓혀야하였으며, 심한 경우에는 슬리브 위치시키기 위하여 철근을 절단하는 사례까지 있어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실시공의 요인이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평한 틀체부상에 앵커볼트를 셋팅한 상태로서 고정 설치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수개를 한조로 하는 앵커볼트 상호간을 설정된 위치에 맞추어 정밀한 설치를 가능하게 하여 주며; 둘째, 앵커볼트의 위치설정 및 고정작업을 용이하게 하여 작업 능률을 향상시켜 주며; 셋째, 불필요한 재료비와 노동력을 감소시겨 전체 공사비의 절감시켜 주는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100)은 제1도 및 제3도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일정 폭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한쌍의 가로판(20)들과 세로판(30)들로서 중앙에 개구부(10a)를 가지도록 틀체부(10)를 형성하되, 그 개구부(10a)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가로(20)의 일정위치에 수개의 통공(21)을 각기 형성하고, 상기 가로판(20)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연장 결착되는 받침앵글(40)들로서 틀체부(10) 전체가 좌우로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틀체부(10)의 통공(21)을 통하여 끼워지는 각각의 앵커볼트(1) 상호간을 맞추어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기준틀(100)은 제4도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착설되는 앵커볼트(1)들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틀체부(10)를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수개를 한조로하여 설치하게 되는 앵커볼트(1) 상호간을 맞추어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앵커볼트(1) 설치작업이 간편 용이하도록 하여서 전체적인 작업능률을 향상시켜 주는 잇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틀체부(10)는 가로판(20)들과 세로판(30)들로서 전체적으로 직사각형상으로 만들어진 것만을 나타내고 있으나, 이러한 틀체부(10)는 필요에 따라서 달리 변형된 형태로 만들어질 수도 있다. 특히, 상기 가로판(20) 상에 형성되는 통공(21)들은 콘크리트 구조물에 안치되어지는 철골재나 교좌장치 등과 같은 설치부재와의 연계성을 고려한 숫자와 배열로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여기에서, 상기 틀체부(10) 중앙에 개구부(10a)를 형성함이 중요한데 그 이유는, 기준틀(100)에 착설된 앵커볼트(1)의 위치설정 작업이나 철근(3)에 고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데에 도움이 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틀체부(10)의 가로판(20) 하부에 횡방향으로 연장 결착되는 받침앵글(40)은 그 틀체부(10)가 자중에 의하여 늘어짐이 없도록 수형하게 받쳐주면서도, 상기 틀체부(10)가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 준다. 이때의 상기 받침앵글(40)은 틀체부(10) 각각의 가로판(20) 하부 일정위치에, 복수개를 한조로하여 횡배열 고정되는 가이드편(22)들과 각기 횡방향으로 결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틀체부(10)가 받침앵글(40)을 타고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기준틀(100)을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a) 기 설치된 거푸집 형틀(2) 폭 방향의 내부 양측에 수평졸대(4)를 설치하는 기준틀 수평위치 설정단계와, b) 거푸집 형틀(2)내의 수평졸대(4) 상에 수평하게 기준틀(100)을 안치하는 기준틀 설치단계와, c) 기준틀(100)의 통공(21)에 앵커볼트(1)를 끼워 맞추어서 조립하는 기준틀 셋팅단계와, d) 기준틀(100) 상의 앵커볼트(1) 하단을 배근된 철근(3)에 각각 일체로 고정하는 앵커볼트 고정단계와, e) 철근(3)에 고정된 앵커볼트(1)로 부터 기준틀(100)을 분리하여 거푸집 형틀(2)외부로 제거하는 기준틀 해체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완료 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5는 콘크리트 구조물이고, 부호 6은 교좌장치이다.
이와같은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기준틀 수평위치 설정단계는 제5도의(a)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성형을 위하여 설치된 거푸집 형틀(2) 내부의 폭 방향 양측에, 레벨측정을 통하여 설정된 위치에 수평졸대(4)를 고정못등으로 평행하게 고정하여서 설치하여서 된다.
상기 기준틀 설치단계는 제5도의 (b)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거푸집 형틀(2)내의 양측에 수평하게 고정된 수평졸대(4) 상부에, 받침앵글(40) 양측의 끝단이 걸쳐지도록 하여서 기준틀(100)을 안치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기준틀(100)은 그 하부에 횡방향으로 결착된 받침앵글(40)로서 받쳐지기 때문에, 그 기준틀(100)의 자중에 의하여 늘어짐이 없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준틀 셋팅단계는 제5도의 (c)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수평이 유지된 상태의 기준틀(100)의 통공(21)을 통하여 앵커볼트(1)를 끼워 맞추고, 상기 앵커볼트(1)의 설정위치를 감안하여 수평졸대(4)를 따라 전후방향, 또는 수평졸대(4)에 거취된 받침앵글(40)을 따라 좌우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위치되도록 한다. 이때의 앵커볼트(1)는 기준틀(100)에 의하여 수평 및 수직도를 유지한 상태이기 때문에, 앵커볼트(1) 상호간의 간격과 높이만을 조절하는 것으로 정밀한 위치설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싱기 기준틀(100) 상에 착설된 앵커볼트(1)를 하나하나 레벨측정을 할 필요없이 기준틀(100)로 부터 돌출되는 길이를 감안하여 눈금자등으로 앵커볼트(1) 상호간의 높이나 간격을 맞출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에 실을 이용하여 앵커볼트(1)의 높이나 간격을 정확하게 맞출수도 있다.
상기 앵커볼트 고정단계는 제5도의 (d)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기준틀(100)상에 위치설정되어 기 배근된 철근(3)사이에 대접된 앵커볼트(1)의 하단을 철근(3)과 일체가 되도록 용접으로서 고정하여 설치하게 된다. 이때의 기준틀(100)은 앵커볼트(1)를 용접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움직임이나 흔들림등이 없도록 지지하여 주는 역활을 수행하기 때문에, 앵커볼트(1)의 설치상의 오차 발생을 방지하여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 기준틀 해체단계는 제5도의 (e)에 도시되는 바와같이, 각각의 앵커볼트(1)들의 철근(3)에 고정 설치된 이후에 그 앵커볼트(1)로 부터 기준틀(100)을 분리시켜 거푸집 형틀(2) 외부로 제거하여서 앵커볼트(1)의 설치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따라서, 기준틀(100)이 해체된 후에 타설 경화된 콘크리트 구조물에 정밀하게 설치된 앵커볼트(1)를 얻을 수 있어, 이후에 콘크리트 구조물상에 안치되어야 하는 철골재나 교좌장치등의 안치작업을 계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제6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고가도로나 다리를 받쳐주는 콘크리트 구조물(5)인 교각에 교좌장치(6)를 안치하기 위한 앵커볼트(1)를 정밀하게 설치하는 데에 매우 적합한 것이나, 콘크리트 구조물(5)에 철골을 안치하기 위한 앵커볼트(1)를 설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그외의 기타 설치부재를 안치하는 데에도 폭 넓게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종합하여 보면, 착설되는 앵커볼트(1)들의 수평을 유지할 수 있는 틀체부(10)를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앵커볼트가 착설된 앵커볼트의 상호간이 높이, 간격, 수직도 등을 감안하여 자유로이 좌우방향으로 움직여서 위치설정 및 고정작업을 수행하게 되어 번거로운 측량작업을 최소화로 앵커볼트의 위치설정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위치설정된 앵커볼트를 틀체부에 지지된 상태에서, 그 앵커볼트를 움직임이나 흔들림에 의한 오차가 발생됨이 없이 철근에 용접 고정하게 되어 정밀하게 앵커볼트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불필요한 재료의 사용을 배제한 단순한 구조로서 계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여 주어 재료비와 인건비를 감소시켜 주는등의 작용 및 효과를 가지게 되는 것이다.

Claims (3)

  1. 일정 폭으로 수평하게 배열되는 한쌍의 가로판들과 세로판들로서 중앙에 개구부를 가지도록 틀체부를 형성하되, 그 개구부를 기준으로 상호 대향되는 가로판의 일정위치에 수개의 통공을 각기 형성하고, 상기 가로판의 하단에 횡방향으로 연장 결착되는 받침앵글들로서 틀체부 전체가 좌우 이동가능하도록 구성하여서, 상기 틀체부의 통공을 통하여 끼워지는 각각의 앵커볼트 상호간을 맞추어서 정밀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앵글은 틀체부 각각의 가로판 하부 일정위치에, 복수개를 한조로하여 횡배열 고정되는 가이드편들과 각기 횡방향으로 결착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틀체부가 받침앵글을 타고 좌우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3. a) 기 설치된 거푸집 형틀 폭 방향의 내부 양측에 수평졸대를 설치하는 기준틀 수평위치 설정단계와, b) 거푸집 형틀 내의 수평졸대 상에 수평하게 기준틀을 안치하는 기준틀 설치단계와, c) 기준틀의 통공에 앵커볼트를 끼워 맞추어서 조립하는 기준틀 셋팅단계와, d) 기준틀 상의 앵커볼트 하단을 배근된 철근에 각각 일체로 고정하는 앵커볼트 고정단계와, e) 철근에 고정된 앵커볼트로 부터 기준틀을 분리하여 거푸집 형틀 외부로 제거하는 기준틀 해체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기준틀을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KR1019950023123A 1995-07-29 1995-07-29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KR01720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123A KR0172034B1 (ko) 1995-07-29 1995-07-29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3123A KR0172034B1 (ko) 1995-07-29 1995-07-29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705A KR970006705A (ko) 1997-02-21
KR0172034B1 true KR0172034B1 (ko) 1999-02-18

Family

ID=19422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3123A KR0172034B1 (ko) 1995-07-29 1995-07-29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03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49B1 (ko) * 2008-03-10 201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부재 위치결정기구 및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08269B1 (ko) * 2009-01-29 2012-01-31 (주)탑인프라솔라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0249B1 (ko) * 2008-03-10 2010-03-31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화천연가스 저장탱크의 고정부재 위치결정기구 및시공장치와,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108269B1 (ko) * 2009-01-29 2012-01-31 (주)탑인프라솔라 앙카볼트 고정용 지그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 발전모듈 지지용 지주의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6705A (ko) 1997-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44789B1 (en) Insulated concrete form holder
KR102117660B1 (ko) 교량 캔틸레버 브래킷 시공을 위한 거더의 기초볼트 설치용 자력식 지그 및 그 지그를 이용한 거더 제작방법
CN208533372U (zh) 一种通用钢筋笼绑扎胎架
KR200407092Y1 (ko) 캔틸레버부의 피씨 패널 지지구조
KR0172034B1 (ko) 구조물의 앵커볼트 설치용 기준틀 및 그를 이용한 앵커볼트의 설치방법
JP3763575B2 (ja) 地中梁施工枠及びこれを用いた地中梁施工法
JP3673108B2 (ja) 中空スラブのボイド部材設置方法
KR100878465B1 (ko) 커플러를 이용한 교량용 거더, 이를 포함하는 교량, 및 그 시공 방법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165972B1 (ko)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KR20190106435A (ko) 철근 구조물 고정장치
KR100747665B1 (ko)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시공 방법
JP4703226B2 (ja) 型枠の施工方法
KR20030094195A (ko) 개량된 프리스트레스트 철골 철근 콘크리트 빔 및 이를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JP3841493B2 (ja) PCaコンクリート部材を用いた高架橋の施工法
KR100778139B1 (ko) 거푸집 수평 받침대 길이조절 프레임
KR101898158B1 (ko) 측구 제작용 강재 거푸집
JP2004339867A (ja) ハーフ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スラブ及びスラブの構築方法
JP2014091943A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CN113802868B (zh) 一种狭小空间的隔震支座预埋板的安装装置及安装方法
KR102409723B1 (ko)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JP2516358B2 (ja) ア−チコンクリ−ト施工用の型枠支保工
JP2001049865A (ja) 生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設置器具
JP2001227166A (ja) 二段筋スラブ用鉄筋取付方法
KR20020077586A (ko) 콘크리트 타설시 앵커볼트의 위치결정 방법 및 그 지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