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65972B1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Google Patents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165972B1 KR101165972B1 KR1020120003814A KR20120003814A KR101165972B1 KR 101165972 B1 KR101165972 B1 KR 101165972B1 KR 1020120003814 A KR1020120003814 A KR 1020120003814A KR 20120003814 A KR20120003814 A KR 20120003814A KR 101165972 B1 KR101165972 B1 KR 1011659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le
- rod
- upright
- plate
- hol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032 molecular docking Method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000000180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3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0203 mixture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7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9000004567 concre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4570 mortar (masonr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11178 precast concre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6011 modification reaction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570 ai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415 formwork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904 short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728 strengthe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2 transportation engine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13 weak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2—Piers; Abutments ; Protecting same against drifting ic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Concrete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04—Synthetics
- E02D2300/0018—Cement used as binder
- E02D2300/0021—Mortar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성파일과 상부구조물을 간편하게 연결하는 공법에 관한 것으로서, 강관이나 PHC파일을 시공한 이후에 그 상단에 구조물을 연결 또는 결합시키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미리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부재로 제작된 상부구조물(예를 들어 코핑, 콘크리트 box 구조, 강구조물 등)을 현장으로 이송하여 파일의 상단에 안착시켜 결합시키는 방식에 의해 간단하게 파일과 상부구조물을 연결, 결합시킬 수 있는 공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상부구조물를 현장에서 크레인에 의해 파일의 상단에 거치시키는 경우 시공 오차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오차를 자연스럽게 보정하여 시공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프리캐스트로 제작된 상부구조물을 현장에서 파일상단에 거치시키는 경우 시공 오차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회전 오차를 자연스럽게 보정하여 시공상의 편의성을 증대시킨 직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한편, 파일의 시공 후에 그 상단에 콘크리트 구조물을 거치시키는 경우 시공상의 잘못 등으로 인하여 파일의 수직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파일의 수직오차가 생기게 되면 그 상단에 안착되는 상부구조물의 수평경사와 계획높이를 정확히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자칫하면 수직하중에 의한 편심작용으로 구조물의 하중 저항능력이 감소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파일의 이러한 수직상의 오차를 현장에서 간단히 보정하면서 시공이 가능한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교량 등의 코핑부는 교량의 상판 및 거더 등을 지지하기 위하여 교량 기둥부의 상단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코핑부를 현장에서 타설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경우 여러 환경 분제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거푸집의 제작 및 콘크리트의 양생이라는 시간이 필요함에 따라 공사기간이 장기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반교량의 경우는 이와 같이 교각과 코핑부를 현장에서 거푸집 등을 적용하여 타설한 후 양생하는 방식을 많이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현장에서 모든작업이 이뤄지므로 공기가 느려지는 단점이 있다. 이에 공기단축을 위해 각 구성요소들을 공장에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도들이 다양하게 이뤄지고 있으나 큰 하중에 의해 부재크기가 커져 운반이 어려운 문제점과 현장조립에 의한 오차 발생 등을 극복하는데 어려움이 많아 크게 일반화되지는 못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하중이 작은 보도교 또는 자전거 도로 등은 부재 크기가 작아 운반이 용이하여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 또는 강재 구조물 등을 현장에 운반하여 현장타설 기둥이 아닌 기성파일 등에 연결하여 급속시공하는 기술이 가능하며 그 필요성이 날로 증가되고 있다.
이에 파일에 다양한 구조물을 간편한 방법에 의해 결합하는 방식은 공기단축, 공사비 절감, 공사난이도 완화, 환경문제 개선 등 다양한 효과를 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파일과 연결되는 구조물을 형성하는 방식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첫째, 파일의 상단에 상부구조물과의 결합을 위한 결합부재를 설치하고, 그 위에 상부구조물을 단순히 거치시킴으로써 파일과 상부구조물간의 일체성이 약하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일체성의 약화를 해소하기 위하여, 종래 기술의 경우 결합부재의 외측면에 전단부재를 추가적으로 배치하는 방법 등이 소개된 적이 있다.
둘째, 파일과 상부구조물과의 일체성을 위하여 파일의 상단에 연결철근이나 연결강봉을 돌출시키고 이를 상부구조물에 미리 마련된 구멍에 삽입시키는 방법 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하지만 이 경우 시공상의 또는 설계상의 오차로 인하여 상부구조물에 마련된 구멍의 위치가 파일의 상단부에 미리 설치된 연결철근 등의 위치와 일치하지 아니하여 낭패를 보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는 것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하부구조물인 파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로 제작된 상부구조물 사이의 결합력 또는 상부에 위치한 강재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여 상기 두 부재간의 일체성을 확고히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파일과 상부구조물을 연결하는 부재가 상부구조물과 결합되는 과정에서 시공상의 잘못 등으로 발생한 수평상의 오차를 현장에서 즉시 보정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파일의 상단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상부구조물을 거치시 수평경사와 시공계획높이 보정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기술적 해결 수단을 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코핑부의 내부에 매립커넥터(10)를 설치하여 파일(20)과 코핑부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파일(20)의 상단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내려진 위치에 설치되는 차단판(21)과,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서 일정 높이로 상방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평판(22)과, 볼트 가공된 몸통이 상기 수평판(2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판(22)에 결합되고, 그 끝단이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 지지되면서 안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유닛(23)과, 수평판(22)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 끝단이 상기 차단판(21)의 상면에 맞닿는 연결봉(24)을 포함하고,
판형의 상면부(12)와, 상면부(12)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하방으로 형성되고, 연결봉(24)이 삽입되는 삽입공(14a)이 구비된 가이드 유닛(13)과, 가이드 유닛(13)의 저면부에 부착 고정되는 하면부(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커넥터(10)를 포함하고,
매립커넥터(10)에 구비된 가이드유닛(13)과 연결봉(24)이 결합되면서, 매립커넥터(10)를 그 중심부에 매설하고 있는 코핑부가 상기 파일(20)의 상단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연결봉(24)은 매립커넥터(10)의 상면부(12)를 지나쳐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연결봉(24)은 상면부(12)와 볼트 결합 또는 용접 결합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상면부(12)의 상면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파일(20)의 상단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내려진 위치에 설치되는 차단판(21)과,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서 일정 높이로 상방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평판(22)과, 볼트 가공된 몸통이 상기 수평판(2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판(22)에 결합되고, 그 끝단이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 지지되면서 안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유닛(23)과, 수평판(22)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 끝단이 상기 차단판(21)의 상면에 맞닿는 연결봉(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4)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4b)이 설치되어 있는 결합판(31a, 31b)과 상기 결합판(31a, 31b)에 관의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강구조물(32a, 32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수평판(22)을 지나 소정의 길이로 위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판(31a, 31b)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파일과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또는 강재로 제작된 상부구조물 사이의 결합력을 견고히 하여 상기 두 부재 간의 일체성을 확고히 함으로써 구조물의 강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파일을 상부구조물에 결합시키는 과정에서 시공상의 잘못 등으로 발생한 수평상의 오차를 현장에서 즉시 보정하여 시공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은 파일의 상단부에 별도의 장치를 설치하여 상부구조물을 파일의 상단에 거치함에 있어서, 파일의 수평경사와 시공높이의 보정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수직하중에 의한 편심작용을 감소시켜 하중에 대한 저항능력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파일의 상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매립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파일의 상단에 거치되면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강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강구조물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파일의 상단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차단판(21)은 파일(20)의 상단에서 그 내부로 일정 깊이 내려진 곳에 위치한다. 파일(20)의 내부가 콘크리트로 충전된 경우 차단판(21)은 콘크리트가 충전된 면에 안착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평판(22)은 파일(20)의 상단 단부에서 일정 높이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수평판(22)은 복수 개의 조절 유닛에 의해서 파일(20)의 상단 단부에 지지되어 안착된다.
파일(20)은 수직으로 설치되지만 미세하나마 어느 정도의 수직 오차가 있을 수 있는데, 복수 개의 조절 유닛은 이러한 파일(20)의 수직 오차를 조절하여 수평판(22)이 완전하게 중력에 대하여 수평이 되도록 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이로써, 파일(20)의 상단에 거치되는 코핑부가 중력 방향에 대하여 수직으로 시공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즉, 조절유닛(23)은 수평판(22)이 중력 방향에 대하여 수평 구배가 되도록 하는 구성에 해당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핵심적 기술 사항 중 하나라고 할 것이다.
조절유닛(23)은 그 높이의 조절이 가능한 것이라면 그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겠으나, 볼트 가공을 하여 그 회전에 의해 수평판(22)의 구멍을 통해 왕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조절유닛(23)의 개수는 파일(20)의 직경 등 현장 여건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을 것이며, 3개 내지 5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평판(22)의 중앙부에는 천공을 할 수도 있는데, 이로써 수평판(22)을 파일(20)의 상단에 거치시킨 후에 그 천공부(25)를 통해 파일(20)의 상단에 콘크리트를 간편하게 주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연결봉(24)은 수평판(22)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차단판(21)의 상면에 그 하부 끝단이 맞닿는 구성에 해당한다. 연결봉(24)을 차단판(21)에 부착할지 여부는 현장 여건에 따라 달리할 수 있을 것이다. 연결봉(24)은 그 하단이 차단판(21)에 맞닿으며, 수평판(22)을 관통하여 후술되는 매립커넥터(10)의 가이드유닛(13)을 통과한 후 코핑부의 상면으로 돌출된다. 연결봉(24)의 개수는 구조물의 크기 등에 따라 얼마든지 변형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변형은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매립커넥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매립커넥터(10)는 후술되는 프리캐스트 부재의 내부에 매립되어 설치되는 것으로서, 파일(20)의 상단에서 시작된 연결봉(24)이 관통 체결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매립커넥터(10)는 상면부(12), 하면부(11), 상면부(12)와 하면부(11)를 연결하는 가이드유닛(13)으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유닛(13)은 연결봉(24)이 통과되도록 그 내부에 삽입공(14a)이 형성되어 있다. 프리캐스트 부재는 그 내부에 매립커넥터(10)가 설치된 상태에서 파일(20)의 상단에 거치된다. 파일(20)의 상단에는 프리캐스트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연결봉(24)이 돌출 시공되어 있는 상태인데, 시공상의 잘못 등으로 연결봉(24)의 위치가 프리캐스트 부재에 마련된 소정의 결합 위치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삽입공(14a)의 단면 크기를 연결봉(24)의 직경과 일치하에 한 것이 아니라 유격을 갖도록 형성한 것에 기술적 특징이 있는 것이다. 즉, 연결봉(24)의 위치가 수평 방향으로 오차가 있는 경우 프리캐스트 부재를 거치하면서 즉시 오차의 보정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삽입공(14a)의 단면 형상을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C'형으로 굽은 형상의 슬롯형으로 만든 것이다.
따라서 프리캐스트 부재를 파일(20)의 상단에 거치하면서 프리캐스트 부재에 마련된 삽입공(14a)의 위치가 파일(20)의 상단에서 돌출된 연결봉(24)의 위치와 일치되지 아니하는 경우, 프리캐스트 부재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삽입공(14a)의 위치를 연결봉(24)의 위치에 맞추어 거치시키면서 시공사의 오차를 즉시 보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 유닛(13)에 구비된 삽입공(14a)의 단면형상은 원형, 슬롯형, 직사각형 등 여러 가지 형상으로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며, 이러한 기술적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항에 대한 단순한 설계변경으로서 모두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부재가 파일의 상단에 거치되면서 조립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프리캐스트 부재에 매립되어 있는 매립커넥터(10)의 가이드유닛(13)에 연결봉(24)이 관통되며 결합되고, 이로써 프리캐스트 부재는 파일(20)과 결합된다. 파일(20)의 상단으로 돌출된 연결봉(24)은 가이드유닛(13)을 관통하여 프리캐스트 부재의 상단으로 여유있게 돌출된다. 다시 말해서, 연결봉(24)은 매립커넥터(10)의 상면부(12)를 지나쳐 프리캐스트 부재의 상단으로 돌출되는 것이다. 연결봉(24)의 상부 끝단은 볼트 가공이 되어 있어 너트를 그 상단에 조립하는 방식으로 매립커넥터(10)의 상면부(12)에 견고하게 밀착된다. 물론, 볼트 결합 대신에 용접에 의해 연결봉(24)의 상단을 상면부(12)에 부착시킬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면부(12)와 연결봉(24)의 밀착 과정이 끝나면 상면부(12)의 상부에 콘크리트 또는 몰탈을 충전하여 마감을 한다. 이로써, 프리캐스트 부재와 파일(20)간의 결합이 마무리된다.
도 3에서는 프리캐스트 부재로서 코핑인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에 지나지 아니한 것이고, 다른 여러 형상의 프리캐스트 부재에 대해서도 그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고, 따라서 다른 형상의 프리캐스트 부재에 대한 적용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있어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부강구조물을 도시한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봉(24)은 수평판(22)을 지나 결합판(31a)에 마련된 삽입공(14b)을 통과하여 상부로 돌출된다. 결합판(31a)의 상부로 돌출된 연결봉(24)의 상단은 볼트 등에 의해서 결합판(31a)에 견고하게 결합된다. 결합판(31a)의 상방으로 상부강구조물(32a)이 부착되어 있는데, 상부강구조물(32a)은 여러 가지 용도로 활용이 가능한 것이겠지만, 바람직하게는 방음벽 또는 대형 광고판의 지지대 등으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도 4에서는 상부강구조물(32a)이 사각의 기둥인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삼각 내지 육각 등 여러 다각형의 기둥에도 본 발명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라 할 것이다.
조절유닛(23)은 수평판(22)에 마련된 구멍(내측이 나사전조되어 있다.)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평판(22)의 높이를 조절하게 된다. 조절유닛(23)에 의한 수평판(22)의 높이 및 경사의 조절이 가능하다는 점과 삽입공(14b)의 형상이 유격을 가지고 있어 연결봉(24)의 수평 오차를 현장에서 보정 시공이 가능하다는 점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강구조물의 각각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강구조물(32b)이 원형의 기둥 형상인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강구조물(32c)이 강봉 형상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서는 상부강구조물(32c)이 강봉인 것만을 도시하였으나, 기둥부재로서의 H파일 등이 부착되어도 무방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부강구조물(32a, 32b, 32c)은 그 상단에 어떠한 구조물이 결합되는지 또는 그 상단에 결합되는 구조물이 어떠한 용도인지에 따라 얼마든지 그 형상 및 재료의 변형이 가능한 것이고, 이러한 모든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기준으로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다시 말해, 본 발명은 파일(20)의 수직 오차를 조절유닛(23)을 통하여 현장에서 보정이 가능하고, 또한, 파일(20)과 프리캐스트 부재의 결합시 연결봉(24)의 위치상의 오차를 현장에서 바로 수평상의 회전을 통하여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그 기술적 요지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가지 다양한 형상으로 변형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그러한 변형들이 여기서 설명되어 있지 아니하더라도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구성하는 사항이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매립커넥터 : 10
하면부 : 11 상면부 : 12
가이드유닛 : 13 삽입공 : 14a, 14b
파일 : 20
차단판 : 21 수평판 : 22
조절유닛 : 23 연결봉 : 24
천공부 : 25
결합판 : 31a, 31b, 31c 상부강구조물 : 32a, 32b, 32c
Claims (13)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구조물에 있어서,
파일(20)의 상단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내려진 위치에 설치되는 차단판(21);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서 일정 높이로 상방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평판(22);
볼트 가공된 몸통이 상기 수평판(2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판(22)에 결합되고, 그 끝단이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 지지되면서 안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유닛(23); 및
상기 수평판(22)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 끝단이 상기 차단판(21)의 상면에 맞닿는 연결봉(24)을 포함하고,
판형의 상면부(12);
상기 상면부(12)의 저면에 부착 고정되어 하방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봉(24)이 삽입되는 삽입공(14a)이 구비된 가이드 유닛(13); 및
상기 가이드 유닛(13)의 저면부에 부착 고정되는 하면부(11)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립커넥터(10)를 포함하고,
상기 매립커넥터(10)에 구비된 상기 가이드유닛(13)과 상기 연결봉(24)이 결합되면서, 상기 매립커넥터(10)를 그 중심부에 매설하고 있는 상부 구조물이 상기 파일(20)의 상단에 안착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봉(24)은 상기 매립커넥터(10)의 상기 상면부(12)를 지나쳐 일정 길이만큼 돌출되고, 상기 연결봉(24)은 상기 상면부(12)와 볼트 결합에 의해 견고히 고정되며, 상기 상면부(12)의 상면에는 콘크리트 또는 몰탈이 타설되어 상면부(12)의 상부면과 가이드유닛(13)의 내부가 밀실하게 채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봉(24)의 개수는 2 개 이상의 복수이고, 상기 연결봉(24)의 상기 개수에 따라 상기 가이드 유닛의 개수도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2)은 상기 조절유닛(23)에 의해서 그 높이와 경사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2)의 중앙 부위는 천공이 되어 있어서, 이를 통하여 파일(20)의 상단 내부에 콘크리트를 주입하는 것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4a)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C'형으로 굽은 슬롯형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a)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연결봉(24)의 단면 크기보다 커서 시공된 상기 연결봉(24)의 수평 오차가 있어도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삽입공(14a)에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4a)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C'형으로 굽은 슬롯형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a)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연결봉(24)의 단면 크기보다 커서 시공된 상기 연결봉(24)의 수평 오차가 있어도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삽입공(14a)에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구조물에 있어서,
파일(20)의 상단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내려진 위치에 설치되는 차단판(21);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서 일정 높이로 상방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평판(22);
볼트 가공된 몸통이 상기 수평판(2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판(22)에 결합되고, 그 끝단이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 지지되면서 안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유닛(23); 및
상기 수평판(22)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 끝단이 상기 차단판(21)의 상면에 맞닿는 연결봉(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4)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4b)이 설치되어 있는 결합판(31a, 31b); 및
상기 결합판(31a, 31b)에 관의 형상으로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강구조물(32a, 32b)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수평판(14)을 지나 소정의 길이로 위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판(31a, 31b)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2)은 상기 조절유닛(23)에 의해서 그 높이와 경사가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강구조물(32a, 32b)은 그 단면의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거나 각형기둥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4b)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C'형으로 굽은 슬롯형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b)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연결봉(24)의 단면 크기보다 커서 시공된 상기 연결봉(24)의 수평 오차가 있어도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삽입공(14b)에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구조물에 있어서,
파일(20)의 상단에서 내부로 일정 깊이 내려진 위치에 설치되는 차단판(21);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서 일정 높이로 상방향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평판(22);
볼트 가공된 몸통이 상기 수평판(22)에 형성된 구멍을 관통하면서 상기 수평판(22)에 결합되고, 그 끝단이 상기 파일(20)의 상단 단부에 지지되면서 안착되는 복수개의 조절유닛(23); 및
상기 수평판(22)을 관통하여 수직으로 설치되고, 그 하부 끝단이 상기 차단판(21)의 상면에 맞닿는 연결봉(24)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봉(24)이 삽입되기 위한 삽입공(14b)이 설치되어 있는 결합판(31c); 및
상기 결합판(31c)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상부강구조물(32c)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강구조물(32c)은 강봉 또는 H파일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수평판(22)을 지나 소정의 길이로 위로 돌출되어 상기 결합판(31c)에 볼트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판(22)은 상기 조절유닛(23)에 의해서 그 높이와 경사의 조절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공(14b)은 그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C'형으로 굽은 슬롯형 중 선택되어 지는 어느 하나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공(14b)의 단면의 크기는 상기 연결봉(24)의 단면 크기보다 커서 시공된 상기 연결봉(24)의 수평 오차가 있어도 상기 연결봉(24)이 상기 삽입공(14b)에 삽입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814A KR101165972B1 (ko) | 2012-01-12 | 2012-01-12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03814A KR101165972B1 (ko) | 2012-01-12 | 2012-01-12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165972B1 true KR101165972B1 (ko) | 2012-07-18 |
Family
ID=467168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03814A KR101165972B1 (ko) | 2012-01-12 | 2012-01-12 | 파일과 상부 구조물의 결합에 따른 직립 구조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165972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3023A1 (ko) * | 2013-05-30 | 2014-12-04 | Kim Tae Hee | 수중 교각 기초 시공을 위한 하우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교각 기초 시공 방법 |
WO2019113651A1 (en) * | 2017-12-16 | 2019-06-20 | Nxt Ip Pty Ltd | A building system |
KR102119436B1 (ko) * | 2019-11-14 | 2020-06-05 | 김성 | 보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746Y1 (ko) | 2001-02-16 | 2001-07-19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강관말뚝의 수평지지력 보강용 배근 조립체 |
-
2012
- 2012-01-12 KR KR1020120003814A patent/KR1011659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0746Y1 (ko) | 2001-02-16 | 2001-07-19 | 주식회사 동성엔지니어링 | 강관말뚝의 수평지지력 보강용 배근 조립체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4193023A1 (ko) * | 2013-05-30 | 2014-12-04 | Kim Tae Hee | 수중 교각 기초 시공을 위한 하우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수중 교각 기초 시공 방법 |
WO2019113651A1 (en) * | 2017-12-16 | 2019-06-20 | Nxt Ip Pty Ltd | A building system |
KR102119436B1 (ko) * | 2019-11-14 | 2020-06-05 | 김성 | 보도교 및 이의 시공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646232B2 (en) | Foundation construction for superstructures | |
KR100888941B1 (ko) | 철골 콘크리트 복합보 및 이를 이용한 건축 시공 방법 | |
JP4558785B2 (ja) | タワーの立設方法 | |
KR100797194B1 (ko) | 콘크리트 복합 기둥 및 이를 이용한 건축물 시공방법 | |
JP4823790B2 (ja) | 柱ユニットおよび柱ユニットを用いた建物の施工方法 | |
KR101556545B1 (ko) | 더블 월 피씨를 이용하는 구조물 시공방법 | |
JP2004092078A (ja) | 橋梁の構造と構築方法 | |
US20050252123A1 (en) | Construction connector anchor cage system | |
JP2006104747A (ja) | 脚柱の接合部構造および接合方法 | |
KR101030419B1 (ko) |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 |
KR101015611B1 (ko) | 천정부의 강결구조를 가지는 2분절 프리캐스트 아치터널 및 무지보에 의한 2분절 프리캐스트 아치터널 시공방법 | |
KR100999660B1 (ko) | 시공성 향상 기능을 갖는 다경간 프리캐스트 부재 | |
KR100662811B1 (ko) | 양단이 결합된 철근콘크리트속채움 비합성복합강관기둥의시공방법. | |
US20130008108A1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KR101200927B1 (ko) | 프리캐스트 구조물과 파일의 결합 구조 및 그 시공방법 | |
JP2004176482A (ja) | 非埋込み型柱脚の施工方法及びその非埋込み型柱脚構造 | |
KR100873266B1 (ko) | 조립식 기둥 구조물 | |
JP5713747B2 (ja) | 立体高架橋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 |
CN104024530B (zh) | 一种钢管插座以及利用其连接钢管桩和钢管柱的连接方法 | |
KR101249285B1 (ko) | 상판 일체형 프리캐스트 브라켓으로 캔틸레버부가 형성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 거더를 갖는 교량 및 그 시공방법 | |
US9695558B2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US8925282B2 (en) |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 |
JP5406563B2 (ja) | 合成梁、建築物、及び合成梁の施工方法 | |
TWI592546B (zh) | Architecture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
KR20110058359A (ko) | 매입형 베이스 플레이트와 철골기둥의 이음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0711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711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