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9723B1 -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9723B1
KR102409723B1 KR1020200097302A KR20200097302A KR102409723B1 KR 102409723 B1 KR102409723 B1 KR 102409723B1 KR 1020200097302 A KR1020200097302 A KR 1020200097302A KR 20200097302 A KR20200097302 A KR 20200097302A KR 102409723 B1 KR102409723 B1 KR 1024097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flange
steel
steel column
square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7156A (ko
Inventor
이지훈
Original Assignee
이지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지훈 filed Critical 이지훈
Priority to KR1020200097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9723B1/ko
Publication of KR202200171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71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97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3/00Structural elongated elements designed for load-supporting
    • E04C3/30Columns; Pillars; Struts
    • E04C3/32Columns; Pillars; Struts of metal

Abstract

본 발명은 버림 콘크리트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기초 타설 후 자동화 랙을 위한 철골 기둥과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관 기둥; 및 상기 각관 기둥을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는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STEEL POST STRUCTURE FOR AUTOMATED RACK AND CON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버림콘크리트에 철골 기둥이 위치할 부분에 맞추어 베이스 프레임을 설치하는 시공 방법 및 시공 방법을 위한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철골구조는 철구공장에서 정밀제작 하므로 정밀도가 높은 편이다. 그러나 구조물의 베이스를 이루는 기초 시공은 철근 및 콘크리트를 타설하는 모든 작업을 상대적으로 저임금의 노동자가 노천현장에서 시행하는 작업이어서 시공정밀도를 높이는데 어려움이 있다.
통상적으로 철골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앵커의 위치를 정해주는 수평 찬넬을 통해 시공 정밀도를 보완하고 있으나, 수평 찬넬의 시공은 철구조물에 속하므로 철골구조 분야에서 설계 시공하지만, 이를 철근콘크리트 기초에 설치하는 작업은 철근콘크리트공사 과정에서 이루어지므로 콘크리트 타설작업 과정에서 기초상단면의 레벨과 평활도를 도면대로 시공하기가 어렵다.
즉, 기초의 철근 배근과 간섭이 발생할 수 있으며, 찬넬 배치를 위해서는 크레인 등을 사용해야하므로 현장에서 시공 일정을 조절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다. 이는 공기 지연 및 시공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므로, 보다 효과적으로 철골 기둥을 고정하기 위한 구조 및 시공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993234호 공고일자 2019년06월26일
본 발명은 버림콘크리트에 철골 기둥이 위치할 부분에 맞추어 베이스 프레임을 설치하는 시공 방법 및 시공 방법을 위한 구조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른 철골 기둥 구조는, 버림 콘크리트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기초 타설 후 자동화 랙을 위한 철골 기둥과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관 기둥; 및 상기 각관 기둥을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각관 기둥은,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하도록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고정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타공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앙카 볼트; 및 상기 앙카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랜지를 상기 버림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시키는 제1 너트; 상기 제1 플랜지를 앙카 볼트에 고정시키는 제2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관 기둥은,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관 기둥은, 상기 철골 기둥과 연결되도록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확징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철골 기둥은, 하단에 상기 제2 플렌지와 접하는 하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철골 기둥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는 판형 플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각관 기둥은, 상기 철골 기둥과 연결되도록 상단에 상기 각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철골 기둥의 하단과 상기 각관 기둥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각관 기둥의 상단 및 상기 철골 기둥의 하단에 삽입되는 소켓형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에 의하면, 수평 찬넬의 시공을 배제하므로 공기 및 시공 비용의 감소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 1인 또는 2인으로 철골 기둥 구조의 설치가 가능하므로 중장비 사용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수평 찬넬에 비해 철골 기둥 구조가 소형이므로 미리 배근된 철근과의 간섭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고정 부재에 의해 각관 기둥이 버림 콘크리상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 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4는 고정 부재에 의해 각관 기둥이 버림 콘크리상에 고정되는 것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1000)는 각관 기둥(100) 및 고정 부재(200)를 포함한다.
철골 기둥 구조(1000)는 버림 콘크리트(B)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기초 타설 후 배치되는 자동화 랙을 위한 철골 기둥(C)과 연결되는 구조이다. 철골 기둥(C)은 각관 형태 또는 H 형강으로 형성될수 있다.
각관 기둥(100)은 철골 기둥(C)이 배치될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사각형 형태를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단, 각관 기둥의 형태가 도시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자에 따라 H 형강으로 실시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에서 철골 기둥(C)은 건축물의 상부 구조물을 지탱하는 기둥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 내부에 설치되는 구조물-예를 들어 자동화 랙-의 기둥이므로 고중량의 하중을 지탱할 필요가 없으므로, 경량인 각관 형태의 것으로 철골 기둥(C)을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관 기둥(100)은 고정 부재(200)와 결합하도록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제1 플랜지(110)를 포함한다. 제1 플랜지(110)는 고정 부재(200)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을 플랜지 면에 구비한다.
고정 부재(200)는 각관 기둥(100)을 버림 콘크리트(C)에 고정한다. 여기서 각관 기둥(100)의 고정은 버림 콘크리트(C)가 양생된 이후에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고정 부재(200)는 앙카 볼트(210), 제1 너트(220) 및 제2 너트(230)를 포함한다. 앙카 볼트(210)는 버림 콘크리트(B)에 타공 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제1 너트(220)는 앙카 볼트(210)에 결합되어 제1 플랜지(110)를 버림 콘크리트(C)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시킨다. 제2 너트(230)는 제1 플렌지(110)를 앙카 볼트(210)에 고정시킨다.
버림 콘크리트(C)가 양생되면, 각관 기둥(100)이 배치될 위치에 맞추어 타공을 하여 앙카 볼트(210)을 삽입한다. 앙카 볼트(210)는 제1 플랜지(110)에 구비되는 관통공에 대응되는 숫자로 배치된다. 예를 들어 제1 플랜지(110)에 4개의 관통공이 구비되면, 버림 콘크리트(C)에 4개의 관통공의 위치에 맞추어 타공을 수행한 후 앙카 볼트(210)를 삽입한다.
이후, 제1 너트(220)를 앙카 볼트(210)에 삽입하여 각관 기둥(100)의 배치 높이(즉, 버림 콘크리트(C)로 부터의 이격 거리)를 조절한다. 조절이 완료되면 제2 너트(230)을 통해 제1 플랜지(110)를 고정시킨다.
설명한 바와 같이 각관 기둥(100)의 고정은 각관 기둥(100)을 1개 단위로 수행하므로 작업자 1인 또는 2인 1조 작업에 의한 진행이 가능하다. 따라서 중장비 사용을 배제할 수 있으며, 버림 콘크리트(C)의 수평이 부정확한 경우에도 제1 너트(220) 및 제2 너트(230)를 통해 세밀한 수평 조절이 가능하므로 작업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모든 각관 기둥(100)의 고정이후, 매트 기초(M)를 타설하고 양생이 진행된 이후 철골 기둥(C)의 설치가 수행된다.
각관 기둥(100)과 매트 기초(M)와의 결합성을 높이기 위해 각관 기둥(100)은 각관면의 수평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터드 볼트(130)는 다수가 구비될 수 있으며, 도시된 바와 같이 각관 기둥(100)의 하측에는 고정 부재(200) 작업의 용이함을 위해 스터드 볼트(130)를 배제할 수 있다.
도시된 스터드 볼트(1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하나의 예일 뿐이며, 형태 및 돌출 길이는 실시자에 따라 변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로서, 각관 기둥(100)은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제2 플랜지(120)를 포함한다. 제2 플랜지(120)는 제1 플랜지(110)와 동일할 수 있다. 즉, 제2 플랜지(120)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는 철골 기둥(C)이 각관 기둥(100)과 유사한 형태일 경우 실시 가능한 것으로서, 철골 기둥(C)의 하단에는 제2 플랜지(120)와 접하는 하측 플랜지(C-1)를 포함한다. 이때, 제2 플랜지(120)와 하측 플랜지(C-1)은 볼트 너트 결합으로 고정될 수 있다.
각관 기둥(100)의 배치시 높이 차이가 발생한 경우, 특히 각관 기둥(100)이 요구되는 높이(즉, 매트 기초(M)으로부터의 돌출 높이)보다 낮은 경우에는 제2 플랜지(120)와 하측 플랜지(C-1) 사이에 배치되어 철골 기둥(C)의 배치 위치(즉, 높이)를 조절하는 판형 플레이트(미도시)를 포함하도록 실시될 수 있다. 판형 플레이트(미도시)를 적절한 개수로 제2 플랜지(120)와 하측 플랜지(C-1) 사이에 끼워 넣는 방식으로 높이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는 도 3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연결 플레이트(400a, 400b)를 통해 각관 기둥(100)과 철골 기둥(C)을 연결한다.
연결 플레이트(400a, 400b)는 철골 기둥(C)과 각관 기둥(100)을 연결하도록 각관 기둥(100)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장방형 형태의 플레이트이다.
연결 플레이트(400a, 400b)는 철골 기둥(C) 및 각관 기둥(100)에 볼트 결합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도 4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철골 기둥(C) 및 각관 기둥(100)이 맞닿는 부분 내부에 삽입되는 소켓형 연결 부재(300)를 통해 연결을 보강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는 제2 실시 형태에서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있을 것이다.
1000 :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B : 버림 콘크리트
M : 매트 기초
C : 철골 기둥
100 : 각관 기둥
200 : 고정 부재

Claims (7)

  1. 버림 콘크리트 상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기초 타설 후 자동화 랙을 위한 철골 기둥과 연결되는 구조로서,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관 기둥; 및
    상기 각관 기둥을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고정하는 고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각관 기둥은,
    상기 고정 부재와 결합하도록 하단에 수평 방향으로 확장된 제1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플랜지는,
    상기 고정 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부재는,
    상기 버림 콘크리트에 타공 방식에 의해 고정되는 앙카 볼트; 및
    상기 앙카 볼트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플랜지를 상기 버림 콘크리트 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 시키는 제1 너트;
    상기 제1 플랜지를 앙카 볼트에 고정시키는 제2 너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관 기둥은,
    측면 방향으로 돌출하는 스터드 볼트를 포함하고,
    상기 각관 기둥은,
    상기 철골 기둥과 연결되도록 상단에 수평 방향으로 확징된 제2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는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관통공을 구비하고,
    상기 철골 기둥은,
    하단에 상기 제2 플렌지와 접하는 하측 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는 볼트/너트 결합에 의해 고정되고,
    상기 제2 플랜지와 상기 하측 플랜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철골 기둥의 배치 위치를 조절하는 판형 플레트를 포함하고,
    상기 철골 기둥과 연결되도록 상단에 상기 각관 기둥의 길이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연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 플레이트는,
    상기 철골 기둥의 하단과 상기 각관 기둥의 하단을 연결하도록 장방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각관 기둥의 상단 및 상기 철골 기둥의 하단에 삽입되는 소켓형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KR1020200097302A 2020-08-04 2020-08-04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4097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02A KR102409723B1 (ko) 2020-08-04 2020-08-04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302A KR102409723B1 (ko) 2020-08-04 2020-08-04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56A KR20220017156A (ko) 2022-02-11
KR102409723B1 true KR102409723B1 (ko) 2022-06-15

Family

ID=80266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302A KR102409723B1 (ko) 2020-08-04 2020-08-04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972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995A (ja) * 2005-01-14 2006-07-27 Nippon Steel Corp 杭および柱の接合構造
JP2018017041A (ja) * 2016-07-28 2018-02-01 藤和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基礎構造及びその基礎工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3351A (ja) * 1991-07-31 1993-02-09 Sumitomo Ringyo Kk 鉄骨構造物の鉄骨柱脚及びその施工方法
JP2870513B2 (ja) * 1996-12-09 1999-03-17 株式会社こあ 基礎コンクリートに鉄骨柱の通り芯を合わせる工法
KR20170128002A (ko) * 2016-05-13 2017-11-22 (주)피에스테크 강관기둥 및 보 연결소켓, 및 이를 이용한 골조 연결구조
KR101993234B1 (ko) 2018-01-26 2019-06-26 주식회사 이노텍 조립형 철골기둥 구조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93995A (ja) * 2005-01-14 2006-07-27 Nippon Steel Corp 杭および柱の接合構造
JP2018017041A (ja) * 2016-07-28 2018-02-01 藤和コーポレーション株式会社 基礎構造及びその基礎工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7156A (ko) 2022-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906955B (zh) 一种剪力墙整体预制钢筋网结构及其施工方法
CN109707173B (zh) 装配式叠合梁板安装辅助装置的施工方法
KR20180045140A (ko) 고정작업이 필요없는 무해체 보 거푸집과 데크 플레이트의 결합구조
KR102029301B1 (ko) 기초보강부 일체형 선조립 기둥 조립체
JP5183606B2 (ja) 機器の基礎施工に用いるアンカーボルトのユニット構造物とそれを用いた機器の基礎施工方法
KR102409723B1 (ko) 자동화랙을 위한 철골 기둥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1739126B1 (ko) 탑다운 방식 지하 구조물 형성 방법
KR100814442B1 (ko) 무량 슬래브용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무량 슬래브 시공방법
JP3673108B2 (ja) 中空スラブのボイド部材設置方法
CN209907886U (zh) 一种可调节的装配式楼梯施工平台
JP4842093B2 (ja) フラットプレート構築方法
KR102244658B1 (ko) 기둥 상단부에 드롭판넬이 형성된 무량판 구조의 시공방법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KR100626326B1 (ko) 콘크리트 구조물
JP7413233B2 (ja) 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構造物の構築方法
CN111677106A (zh) 装配式结构柱变截面节点钢筋的转换连接结构及实施方法
KR100235117B1 (ko) 알씨 기둥용 기성철망조립체 및 그것을 이용한 기둥시공방법
JP2017061803A (ja) 柱用アンカーボルトの位置決め治具及び鋼製柱脚部の施工方法
JP4372642B2 (ja) 柱状構造物の構築方法
JP2020066910A (ja) ピット構造及びそれの構築方法
JP2018150692A (ja) 鉄骨柱の露出型柱脚構造及びその施工方法
JP7288390B2 (ja) 基礎の施工方法及び基礎
CN216615497U (zh) 一种用于钢箱梁的临时支架
KR102646851B1 (ko) 현장시공을 최소화할 수 있는 기둥구조물
WO2005042866A1 (en) Construction method of shear wall type structure using for plural direction deck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