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009B1 - 광각 줌렌즈 - Google Patents

광각 줌렌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009B1
KR0172009B1 KR1019950030457A KR19950030457A KR0172009B1 KR 0172009 B1 KR0172009 B1 KR 0172009B1 KR 1019950030457 A KR1019950030457 A KR 1019950030457A KR 19950030457 A KR19950030457 A KR 19950030457A KR 0172009 B1 KR0172009 B1 KR 017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group
refractive power
wide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04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467A (ko
Inventor
이해진
Original Assignee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대원, 삼성항공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대원
Priority to KR10199500304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009B1/ko
Priority to US08/533,432 priority patent/US5724192A/en
Priority to GB9519535A priority patent/GB2293463B/en
Priority to JP7247541A priority patent/JPH08179210A/ja
Priority to DE19535826A priority patent/DE19535826A1/de
Priority to FR9511262A priority patent/FR2725043A1/fr
Priority to CN95119103A priority patent/CN1067770C/zh
Publication of KR9600114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4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14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 G02B15/1431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 G02B15/143103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having three groups only the first group being positive arranged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5/00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 G02B15/14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 G02B15/22Optical objectives with means for varying the magnification by axial movement of one or more lenses or groups of lenses relative to the image plane for continuously varying the equivalent focal length of the objective with movable lens means specially adapted for focusing at close distances

Abstract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은 모두 구면 렌즈로 구성되고,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은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전체가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변배를 수행하며 조건 -5.0 (Rla1+ Rla2)/(Rla1- Rla2) -2.0(Rla1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반경, Rla2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상면측의 곡률 반경)을 만족하는 광각 줌렌즈는, 광각단에서의 화각은 넓어지고 망원단에서의 전장은 짧아져서 수차 발생은 감소되고, 광각단에서 필요한 백초점거리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제2렌즈군에서는 각 렌즈의 초점거리와 소재의 분산을 적절히 조합하여 축외수차 특히 배율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으며, 컴팩트한 렌즈계를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광각 룸 렌즈
제1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구성도이고,
제2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중간단에서의 구성도이고,
제3도는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구성도이고,
제4도는 이 발며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5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6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7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8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9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구면 수치도이고,
제11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12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13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14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15도는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16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17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18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19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20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21도는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22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23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24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고,
제25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구면 수차도이고,
제26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비점 수차도이고,
제27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왜곡 수차도이다.
이 발명은 광각 줌렌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렌즈 셔터 카메라에 있어서, 3개의 렌주군으로 이루어지고 광각단에서 넓은 화각을 가지며, 2.5배 이상의 줌비를 얻을 수 있는 광각 줌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렌즈 셔터용 카메라는 소형화와 함께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광각 줌 렌즈가 장착된 것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상기 렌즈 셔터 카메라는 전문가가 아닌 일반 대중이 많이 사용하고 있으므로 소형화와 함께 저렴한 가격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이 렌즈셔터 카메라의 소형화가 요구됨에 따라 컴팩트한 줌렌즈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최근에는 넓은 화각을 가지는 렌즈를 채용하는 추세가 증가되고 있으며, 또한, 수평방향으로 넓은 각도의 사진을 찍는 파노라마(panorama) 촬영이 가능한 장치를 부착한 카메라가 많이 나오고 있다.
상기의 추세에 따른 광각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정(positive)의 초점거리인 렌즈군과 부(negative)의 초점거리인 2개의 렌즈군으로 구성되는 형태가 있으며, 상기 형태를 가지는 종래의 기술로는 일본 공개 특허 소 63-16142와, 동 특허 평5-19166의 광각 줌렌즈에 기재되어 있다.
상기의 2개의 렌즈군 구성과 달리 정, 정, 부의 3개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동 특허 평 4-165319와 동 특허 평6-72476에 기재되어 있고, 부, 정, 부의 3개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형태로서 동 평 4-97112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2군 형태의 줌렌즈에서는 줌비를 3배 정도까지 늘이게 되면, 제2렌즈군의 배율변화가 커지기 때문에, 줌잉(zooming)에 의한 수차변동이 커져서 수차보정이 상당히 힘들게 된다.
상기의 부, 정, 부의 형태의 3군 형태의 줌렌즈는 광각단에서 레트로포커스(retrofocus) 타입의 구성이 용이하여, 광각단에서 백초점거리(back focal length)의 확보 및 수차 보정은 가능하지만, 망원단에서의 망원 렌즈 타입의 구성이 어렵게 되어 전장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상기의 정, 정, 부의 형태에서는 광각단에서 백초점 거리가 긴 레트로 포커스 타입의 구성을 구현하기 어려우며, 광각단에서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간격이 늘어나기 때문에 광각단에서의 파노라마 장치 등을 설치하기 위한 백초점거리를 확보하기가 어렵고, 제2렌즈군을 통과한 빛이 제3렌즈군의 높은 위치를 지나기 때문에 발생하는 축외수차를 보정하기가 어렵다.
그러나, 상기 3군 타입의 줌렌즈에서 제1렌즈군에 부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제1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는 정의 초점 거리가 되면서 어느 정도 백초점 거리가 길어지는 레트로포커스 타입을 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렌즈군의 부의 렌즈의 초점거리가 짧아질수록 레트로포커스 타입의 렌즈를 구성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동시에 제1렌즈군의 다른 정의 렌즈의 초점거리도 짧아져야 하므로 제1렌즈군에서 발생하는 수차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발생한다.
상기한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를 길게 구성하거나, 비구면 렌즈를 사용하여 발생되는 수차를 보정할 수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줌렌즈의 전장이 길어지게 되어 컴팩트한 줌렌즈를 구현하기 힘들고 원가 발생이 상승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부, 정, 부의 형태의 3군 줌렌즈는 광각단에서 레트로포커스 타입의 구성이 용이하여 광각단에서 백초점거리의 확보는 가능하지만, 망원단에서의 망원렌즈 타입의 구성이 어렵게 되어 전장이 길어지는 단점이 발생한다.
그러므로, 이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정, 정, 부의 3군 형태의 줌렌즈에서, 제1렌즈군에 물체측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2매의 렌즈만을 사용하고, 제3렌즈군은 짧은 부의 초점거리를 가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컴팩트한 광각 줌렌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의 구성은,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부2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부2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제2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을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를 수행한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fw은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합성초점거리이고, f1은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 f12w는 광각단에서의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f2i는 제2렌즈군(Ⅱ)에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 렌즈의 초점거리이고, vd2i는 상기 제2렌즈군(Ⅱ)에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 렌즈의 아베수이고, f2는 제2렌즈군(Ⅱ)의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이 발명으 다른 구성은,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은 모두 렌즈로 구성되고,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은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전체가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변배를 수행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여 이루어진다.
상기의 Rla1은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la2는 상기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상면측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의 구성에 의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한다.
상기의 Rlb1은 제1렌즈군의 제1b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la2는 상기 제1렌즈군의 제1b렌즈의 상면측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한다.
상기의 R2dl은 제2렌즈군의 제2d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이고, R2d2는 상기 제2렌즈군의 제2d렌즈의 상면측의 곡률 반경을 나타낸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한다.
상기의 t2c는 제2렌즈군의 제2c렌즈의 광축상의 두께이며, 상기 t2d는 제2렌즈군의 제2d렌즈의 광축상의 두께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구성에 의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포함하여 만족한다.
상기의 Lt는 상기의 광각 줌렌즈의 망우너단에서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물체측면 렌즈면에서 상면까지 광축상의 거리이며, fT는 상기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합성 초점 거리를 나타내고, 상기 f3는 상기 제3렌즈군의 초점 거리이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이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구조와 작용을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이 발명의 4가지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에 대한 설명을 기술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에 도시되어 있듯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는 대상물 즉, 피사체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순서적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소정의 간격만큼 떨어져 있는 제1렌즈군(Ⅰ)과 제2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으로 구성된다.
이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1)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2)로 이루어져 전체척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Ⅰ)과; 양오목인 제2a렌즈(3)와, 상기 제2a렌즈(3)와 접합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b렌즈(4)와, 양볼록인 제2c렌즈(5)와, 상기 제2c렌즈(5)와 접합되고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d렌즈(6)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e렌즈(7)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f렌즈(8)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Ⅱ)과;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a렌즈(9)와, 물체측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b렌즈(10)와, 물체측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c렌즈(11)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Ⅲ)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2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 사이에 조리개가 장착되어 있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제1렌즈군(Ⅰ)과 제2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 모두 구면 렌즈로 구성되며, 상기 제1렌즈군(Ⅰ)과 제2렌즈군(Ⅱ) 사이의 간격은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렌즈군(Ⅰ)과 제2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의 전체가 물체쪽으로 이동하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변배를 수행한다.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기 광각 줌렌즈는 물체측으로부터 정, 정, 부의 초점거리를 가지는 3군 줌렌즈로서, 제1렌즈군의 첫 번째 렌즈의 물체측 렌즈면을 오목이면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커스 렌즈를 사용하고, 짧은 부의 초점 거리를 가지는 제3렌즈군을 사용하면서 전체 렌즈를 구면 렌즈로 구성함으로써, 광각단에서의 파노라마 장치를 장착하는데 충분한 백초점 거리를 얻으면서, 망원단에서는 텔레 포토 타입의 렌즈계가 구성되어 컴팩트한 광각 줌렌즈로 구현되기 위하여 상기한 조건들을 만족한다.
상기한 조건식(1∼9)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의 조건식(1)은 수차보정이 양호하면서 고배율의 줌비를 얻을 수 있도록 광각단에서 상기 제1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의 합성횡배율을 규정한 식이다.
상기 조건식(1)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각단에서의 전장은 짧아지지만 백초점거리도 짧아지고 제2렌즈군을 지나는 빛이 제3렌즈군의 주변쪽을 지나게 되어 발생되는 수차가 커지게 된다.
또한, 렌즈의 비점수차 및 상면의 만곡을 동시에 보정하기 위한 페쯔발의 합(petzval's Sum)도 과잉보정되어, 오히려 상면의 굴곡이 커지고 색수차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조건식(1)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차보정을 용이해지지만, 렌즈계의 전장이 길어져서 컴팩트한 광각 줌렌즈를 구현하지 못하게 된다.
상기 조건식(2)는 상기 제1렌즈군(Ⅰ)과 제2렌즈군(Ⅱ)의 합성초점거리를 규정하는 식으로서, 상기 조건식(1)이 만족되는 경우에 조건식(2)에 의하여 광각단에서 렌즈계가 컴팩트하게 구성되도록 제2렌즈군의 초점거리가 결정이된다.
상기 조건식(2)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각단에서의 렌즈계의 전장은 짧아지지만, 페쯔발의 합도 과잉보정되어서 상면의 굴곡도 커지고 색수차도 발생하게 된다.
상기 조건식(2)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수차보정은 용이하지만 전장이 길어지고, 제3렌즈군(Ⅲ)의 초점거리도 길어져소 렌즈계 전체의 백초점거리가 길어지며 제3렌즈군(Ⅲ)의 외경도 커지게 된다.
상기 조건식(3)은, 정, 정, 부로 이루어지는 3군 렌즈에서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 상기 제2렌즈군(Ⅱ)과 제3렌즈군(Ⅲ)의 간격이 멀어지게 되면 발생하는 상면주변의 수차 중 특히 색수차를 보정하기 위한 조건식이다.
상기 조건식(3)의 상한값 및 하한값의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광각단에서 상면의 비축에서 배율색수차가 발생하게 되며, 색수차 중에서 색파장 C-line 과 e-line 에 대한 색수차의 보정이 힘들게 되어 조리개를 조여서 촬영하는 경우에도 색번짐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조건식(4)는 제1a렌즈의 형상을 규정하는 계수(shape factor)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조건식(4)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a렌즈의 굴절력이 강해져서 발생되는 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지고,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a렌즈의 굴절력이 약해지고, 백초점 거리의 확보가 힘들게 된다.
상기의 조건식(5)는 제1b렌즈의 형상을 규정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조건식(5)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b렌즈의 곡률 반경이 작아져서, 오히려 고차 수차의 발생을 초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조건식(5)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1b렌즈의 곡률 반경이 져거 제1a렌즈에서 발생되는 수차를 보정하기가 힘들어지고, 제1렌즈군의 초점 거리가 길어져서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상기의 조건식(6)은 제2d렌즈의 형상을 규정하는 것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건식(6)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색수차가 과잉 보정되어 잔류 색수차가 커지게 된다.
또한, 상기 조건식(6)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물체쪽의 렌즈면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고 제2d렌즈의 굴절력이 약해져서 고차 수차가 발생되고 색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진다.
상기의 제2c렌즈와 제2d렌즈는 접합 렌즈로서 색수차를 보정하는 한편, 컨센트릭계(concentric)를 구성함으로써, 상면 만곡을 보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조건식(7)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의 제2렌즈군의 두께가 두꺼워져 렌즈계의 소형화가 힘들고, 주변 광량이 감소하게 된다. 또한, 조건식(7)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컨센트릭계의 구성이 어려워짐에 따라 상면 만곡 등의 수차 보정이 힘들어진다.
상기 조건식(8)과 조건식(9)는 렌즈계를 소형화를 위한 것으로, 상기 조건식(8)의 상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3렌즈군의 굴절력이 강해지고 렌즈계의 소형화에는 유리하지만, 렌즈면의 곡률 반경이 작아지면서 발생되는 고차 수차의 보정이 어려워지고, 또한, 상기 조건식(8)의 하한값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렌즈계의 소형화가 어려워진다.
상기한 조건들을 만족하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다음 표1과 같다.
다음의 f는 초점거리를 말하며, ri(i=1∼9)는 굴절면의 곡률반경, (i=1∼9)는 렌즈의 두께 또는 렌즈간의 거리를 말하며, N은 렌즈의 d-line 굴절률, 그리고 vd는 렌즈의 아베수, m은 전체 렌즈계의 배율, w는 반화각을 말한다.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다음 표1과 같으며,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 Fno는 3.8∼10.25이고, 초점거리 f는 29.012㎜∼86.971㎜이고, 반화각 w는 36.61°∼13.8°이고, 뒷초점거리 fB는 8.5㎜∼54.076㎜이다.
이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1) ∼ 식(9)에 기술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다음 표2와 같으며,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 Fno는3.7∼10.26이고, 초점거리 f는 29.019㎜∼86.513㎜이고, 반화각 w는 37.08°∼13.91°이고, 뒷초점거리 fB는 8.483㎜∼56.38㎜이다.
이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1)∼식(9)에 기술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다음 표3와 같으며,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 Fno는3.7∼10.3이고, 초점거리 f는 28.998㎜∼86.868㎜이고, 반화각 w는 36.72°∼13.85°이고, 뒷초점거리 fB는 8.491㎜∼53.477㎜이다.
이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1)∼식(9)에 기술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실시예값은 다음 표4와 같으며,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광각 줌렌즈의 조리개치 Fno는3.7∼8.48이고, 초점거리 f는 29.003㎜∼77.963㎜이고, 반화각 w는 36.87°∼15.28°이고, 뒷초점거리 fB는 8.499㎜∼46.963㎜이다.
이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상기 식(1)∼식(9)에 기술된 조건값은 다음과 같다.
이상에서와 같이 이 발명의 실시예에서 렌즈셔터용 카메라에 있어서, 정, 부, 정의 3군으로 제 1렌즈군에 물체측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렌즈와 정의 렌즈인 2매의 렌즈만을 사용하는 줌렌즈를 구성하므로서, 광각단에서의 화각을 넓어지고 망원단에서의 전장을 줄어져 수차의 발생은 줄이면서 광각단에서의 필요한 백초점거리를 얻을 수 있으며, 제2렌즈군에서는 각 렌즈의 초점거리와 소재의 분산을 적절히 조합하여 축외수차 특히 배율색수차를 보정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광각 줌렌즈를 제공하고자 하는 데 있다.

Claims (10)

  1.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양면이 오목하고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a렌즈와, 상기 제2a렌즈와 접합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b렌즈와, 양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c렌즈와, 상기 제2c렌즈와 물체측 오목면이 접합되고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d로 이루어진 제1부2렌즈군과; 양면이 복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e렌즈와, 상측면이 볼록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f렌즈로 이루어진 제2부2렌즈군으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상측면이 볼록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a렌즈와, 양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b렌즈와, 물체측면이 오목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c렌즈로 이루어지며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 이루어지며,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을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변배를 수행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f1: 제1렌즈군의 초점거리
    fw: 광각 줌렌즈의 광각단에서의 합성초점거리
    f12w: 광각단에서의 상기 제1렌즈군와 제2렌즈군의 합성 초점거리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f2i: 제2렌즈군(Ⅱ)에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 렌즈의 초점거리
    vd2i: 제2렌즈군(Ⅱ)에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 렌즈의 아베수
    f2:제2렌즈군(Ⅱ)의 초점거리
  3. 물체측으로부터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이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변배를 수행하는 광각 줌렌즈에 있어서, 상기 제2렌즈군이 물체측으로부터 양면이 오목한 렌즈와, 상기 양면이 오목한 렌즈에 접합된 렌즈와, 양면이 볼록한 렌즈와, 상기 양면이 볼록한 렌즈와 물체측 오목면이 접합된 매니스커스 렌즈로 이루어지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 렌즈.
    f2i: 제2렌즈군(Ⅱ)에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 렌즈의 초점거리
    vd2i: 제2렌즈군(Ⅱ)에서 물체측으로부터 i번째 렌즈의 아베수
    f2:제2렌즈군(Ⅱ)의 초점거리
  4.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져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그리고 제3렌즈군은 모두 구면 렌즈로 구성되고,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간격은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전체가 물체측으로 이동하면서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의 변배를 수행하며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Rla1: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
    Rla2: 제1렌즈군의 제1a렌즈의 상면측면의 곡률 반경
  5.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Rlb1: 제1렌즈군의 제1b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
    Rlb2: 상기 제1렌즈군의 제1b렌즈의 상면측면의 곡률 반경
  6.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양면이 오목한 제2a렌즈와, 상기 제2a렌즈와 접합되고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b렌즈와, 양면이 볼록한 제2c렌즈와, 상기 제2c렌즈와 접합되고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2d렌즈와,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e렌즈와,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f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지며,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의 사이의 간격은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전체가 물체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Rld1: 제1렌즈군의 제1d렌즈의 물체측면의 곡률 반경
    Rld2: 상기 제2렌즈군의 제2d렌즈의 상면측면의 곡률 반경
  7.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은 모두 구면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8. 제8항에 있어서, 상기한 광각 줌렌즈는 다음의 조건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하는 광각 줌렌즈.
    t2c: 제2렌즈군의 제2c렌즈의 광축상의 두께
    t2d: 제2렌즈군의 제2d렌즈의 광축상의 두께
  9. 물체측으로부터 물체측면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매니스커스 렌즈인 제1a렌즈와,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b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군과;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군과; 상면측이 볼록인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a렌즈와, 물체측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b렌즈와, 물체측이 오목인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c렌즈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군으로 이루어지고, 광각단에서 망원단으로 변배시에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늘어나고, 상기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 사이의 간격은 줄어들면서, 상기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의 전체가 물체쪽으로 이동하면서 다음의 조건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0.20 f3/ fT-0.12
    1.05 LT/ fT1.20
    f3: 상기 제3렌즈군의 초점거리
    fT: 상기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의 합성 초점 거리
    LT: 상기의 광각 줌렌즈의 망원단에서 제1렌즈군의 제1렌즈a의 물체측면 렌즈면에서 상면까지 광측상의 거리.
  1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렌즈군과 제2렌즈군과 제3렌즈군은 모두 구면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각 줌렌즈.
KR1019950030457A 1994-09-26 1995-09-18 광각 줌렌즈 KR01720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0457A KR0172009B1 (ko) 1994-09-26 1995-09-18 광각 줌렌즈
US08/533,432 US5724192A (en) 1994-09-26 1995-09-25 Wide-angle zoom lens
GB9519535A GB2293463B (en) 1994-09-26 1995-09-25 Three group zoom lens system
JP7247541A JPH08179210A (ja) 1994-09-26 1995-09-26 広角ズームレンズ
DE19535826A DE19535826A1 (de) 1994-09-26 1995-09-26 Zoom-Linsensystem
FR9511262A FR2725043A1 (fr) 1994-09-26 1995-09-26 Objectif du type zoom grand-angle
CN95119103A CN1067770C (zh) 1994-09-26 1995-09-26 广角变焦距镜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9940024144 1994-09-26
KR94-24144 1994-09-26
KR1019950030457A KR0172009B1 (ko) 1994-09-26 1995-09-18 광각 줌렌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467A KR960011467A (ko) 1996-04-20
KR0172009B1 true KR0172009B1 (ko) 1999-05-01

Family

ID=26630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0457A KR0172009B1 (ko) 1994-09-26 1995-09-18 광각 줌렌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24192A (ko)
JP (1) JPH08179210A (ko)
KR (1) KR0172009B1 (ko)
CN (1) CN1067770C (ko)
DE (1) DE19535826A1 (ko)
FR (1) FR2725043A1 (ko)
GB (1) GB229346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2325A (ja) * 1995-03-20 1996-10-11 Minolta Co Ltd ズームレンズ
JP3569473B2 (ja) * 1999-12-27 2004-09-22 ペンタック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
JP4156777B2 (ja) * 2000-05-23 2008-09-24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CN101387742B (zh) * 2007-09-14 2010-09-29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光学变焦镜头
CN102998780B (zh) * 2011-09-09 2015-07-22 佳能企业股份有限公司 变焦镜头
JPWO2014129170A1 (ja) * 2013-02-19 2017-02-02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系、交換レンズ装置及びカメラシステム
CN104020551B (zh) * 2014-05-22 2016-08-17 秦皇岛视听机械研究所 只使用两种光学材料的数字短焦投影镜头
CN104267485A (zh) * 2014-10-24 2015-01-07 余德生 远光程多级放大变焦镜头
CN105044883B (zh) * 2015-08-31 2017-08-22 广东奥普特科技股份有限公司 16mm定焦机器视觉镜头
EP3422070B1 (en) * 2016-02-24 2020-09-09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Zoom lens system, image pickup device having zoom lens system, and vehicle having image pickup device
CN108885331B (zh) * 2016-03-29 2019-09-24 富士胶片株式会社 变焦透镜及摄像装置
CN107346058B (zh) * 2016-05-06 2022-02-22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环景镜头
CN108761730B (zh) * 2018-06-26 2024-03-29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摄像镜头
CN115097612B (zh) * 2022-07-20 2024-01-30 舜宇光学(中山)有限公司 定焦镜头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6142A (ja) * 1986-07-05 1988-01-23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駆動力制御装置
US4983027A (en) * 1988-03-31 1991-01-08 Minolta Camera Kabushiki Kaisha Compact zoom lens system with a high zoom ratio
US4978204A (en) * 1988-09-08 1990-12-18 Asahi Kogaku Kogyo Kabushik Kaisha High zoom-ratio zoom lens system for use in a compact camera
DE4013659C2 (de) * 1989-04-28 1995-04-13 Asahi Optical Co Ltd Varioobjektiv für Kompaktkameras
GB2265991B (en) * 1989-04-28 1993-12-22 Asahi Optical Co Ltd High zoom-ratio lens system for covering wide angle for compact camera
JPH0331809A (ja) * 1989-06-29 1991-02-12 Olympus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
JPH0467114A (ja) * 1990-07-09 1992-03-03 Olympus Optical Co Ltd 変倍レンズ
JPH0497112A (ja) * 1990-08-09 1992-03-30 Olympus Optical Co Ltd 広角ズームレンズ
JP2915987B2 (ja) * 1990-10-30 1999-07-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広角を包括するコンパクトカメラ用高変倍ズームレンズ
US5331463A (en) * 1991-03-04 1994-07-19 Olympus Optical Co., Ltd. Wide angle zoom lens system
JP3063248B2 (ja) * 1991-07-17 2000-07-12 株式会社ニコン 広角ズームレンズ
JP3149227B2 (ja) * 1991-09-13 2001-03-26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H0588085A (ja) * 1991-09-24 1993-04-09 Asahi Optical Co Ltd ズームレンズ
JP3133435B2 (ja) * 1991-10-22 2001-02-05 旭光学工業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
JPH0667093A (ja) * 1992-08-20 1994-03-11 Minolta Camera Co Ltd 高倍率ズームレンズ
US5530593A (en) * 1992-09-11 1996-06-25 Nikon Corporation Zoom lens
US5793533A (en) * 1992-10-15 1998-08-11 Asahi Kogaku Kogyo Kabushiki Kaisha Zoom lens system
JPH06273669A (ja) * 1993-03-19 1994-09-30 Nikon Corp コンパクトなズームレンズ
US5566026A (en) * 1993-06-25 1996-10-15 Samsung Aerospace Industries, Ltd. Zoom lens
GB2280278A (en) * 1993-06-28 1995-01-25 Samsung Aerospace Ind Three group zoom len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9519535D0 (en) 1995-11-29
DE19535826A1 (de) 1996-03-28
GB2293463B (en) 1998-11-04
US5724192A (en) 1998-03-03
JPH08179210A (ja) 1996-07-12
KR960011467A (ko) 1996-04-20
CN1150252A (zh) 1997-05-21
FR2725043A1 (fr) 1996-03-29
GB2293463A (en) 1996-03-27
CN1067770C (zh) 2001-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97513B2 (en) Zoom lens system
US6671103B2 (en) Zoom lens and optical apparatus using the same
US7283314B2 (en) Zoom lens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US6844986B2 (en) Zoom lens and image tak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7268811B2 (en) Zoom lens system
US6781768B2 (en) Zoom len system
KR100247292B1 (ko) 소형 줌 렌즈
US7102829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device having zoom lens system
JPH08320435A (ja) 広角ズームレンズ
US6040949A (en) Simple wide-angle zoom lens
JP2003050352A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KR0172009B1 (ko) 광각 줌렌즈
US6906868B2 (en) Zoom lens system
JP3619117B2 (ja) ズームレンズ及びそれを用いた光学機器
US6741399B2 (en) Four-group zoom lens
JP4205461B2 (ja) ズームレンズ、カメラおよび携帯情報端末装置
JPH09127415A (ja) 2群ズームレンズ
US6421186B2 (en) Zoom lens system
JP4799210B2 (ja) ズーム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システム
KR0124951B1 (ko) 광각 줌 렌즈
KR100310435B1 (ko) 광각줌렌즈
JP4799209B2 (ja) ズーム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カメラシステム
KR20020085847A (ko) 줌렌즈 시스템
US6924939B2 (en) Zoom lens system,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orporating such zoom lens system
US6429978B2 (en) Zoom lens and optical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002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