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1977B1 -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1977B1
KR0171977B1 KR1019950016858A KR19950016858A KR0171977B1 KR 0171977 B1 KR0171977 B1 KR 0171977B1 KR 1019950016858 A KR1019950016858 A KR 1019950016858A KR 19950016858 A KR19950016858 A KR 19950016858A KR 0171977 B1 KR0171977 B1 KR 01719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film
sog
semiconductor device
manufacturing
sol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6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3622A (ko
Inventor
박상훈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16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1977B1/ko
Publication of KR9700036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36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19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19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19Smoothing of the dielectr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041Cleaning
    • H01L21/02057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 H01L21/0206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 H01L21/02065Cleaning during device manufacture during, before or after processing of insulating layers the processing being a planarization of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25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 H01L21/022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 H01L21/0228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for the formation of the insulating layer formation by a deposition process liquid deposition, e.g. spin-coating, sol-gel techniques, spray coat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296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 H01L21/02318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 H01L21/0233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 H01L21/0234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formation of the layer post-treatment treatment by exposure to a gas or vapour treatment by exposure to a plasm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미크론급 소자를 제조시 금속 배선간의 절연막을 평탄화하기 위한 SOG 에치백 후에 SOG와 산화막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접착 문제를 해결케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실리콘 기판상에 필드 산화막, 게이트 산화막, 게이트 전극, 산화막 스페이서를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한 다음에, 제1절연용 산화막, 제2절연용 산화막, 금속 배선, 제3절연용 산화막, SOG를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지체없이 N2분위기에서 열처리하며, 상기 하부 금속 배선이 노출되도록 상기 SOG을 에치백한 다음, 제4절연용 산화막을 형성하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OG 에치백 공정시에 인-시튜 Ar 플라즈마 처리 및 솔벤트 세정을 실시하여 SOG와 산화막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SOG와 산화막간의 접착력을 향상케 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제1도는 종래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반도체소자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반도체소자의 요부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1 : 실리콘 기판 2,22 : 필드 산화막
3.23 : 게이트 산화막 4,24 : 게이트 전극
5,25 : 산화막 스페이서 6,26 : 제1절연용 산화막
7,27 : 제2절연용 산화막 8,28 ; 하부 금속 배선
9,29 : 제3절연용 산화막 10,30 : SOG
11,31 : 제4절연용 산화막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서브미크론급 소자를 제조시 금속 배선간의 절연막을 평탄화하기 위한 SOG 에치백후에 SOG와 산화막의 계면과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서브 미크론급 소자를 제조함에 있어서, 금속 배선간의 절연막의 평탄화가 매우 중요함은 주지의 사실이다. 블랭키드 W(blaket tungsten) 증착과 에치백 사용을 필요로 하는 비아 필링(via filling)의 경우, W 잔류물을 피하면서 과도 식각에 의한 플러그 축소(plug recession)을 줄이기 위하여 요구되는 높은 수준의 여러 가지 평탄화 방법중에서, 스핀 온 글래스(spin-on-glass, 이하 SOG) 공정이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SOG 막은 갭 필링 능력(gap filling capability)과 평탄화 정도(planarization performance)때문에, 서브 미크론급 소자를 위한 층간 절연 방법에 사용되는 주요한 물질로 [SiOa(CH3)b(OC2H5)c(OH)d]n의 구조(여기서 a, b, c, d는 상수이며 n=5∼100)를 갖는 분자량 500∼10,000의 실록산(siloxane) SOG가 있다. 그렇지만, 상기 실록산 SOG는 많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음이 보고되었다. 그 중 하나는 SOG와 산화막의 계면에서 발생되는 문제이다.
즉, 제1도를 참고하여 종래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실리콘 기판(1)상에 필드 산화막(2), 게이트 산화막(3), 게이트 전극(4), 산화막 스페이서(5), 제1절연용 산화막(6), 제2절연용 산화막(7), 하부 금속 배선(8), 제3절연용 산화막(9), SOG(1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런다음, 하부 금속 배선(8) 표면이 노출되도록 상기 SOG(10)을 에치백한 다음, 제4절연용 산화막(11)을 형성한다.
이때, 소정의 식각 장치에서 CF4/CHF3가 포함된 혼합 가스에 의한 SOG 부분 에치백(partial etchback, 이하 PEB) 이후에 SOG(10)와 제4절연용 산화막(11) 사이의 계면에서 갈라짐(delamination) 현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현상은 SOG(10)를 식각하는 동안, SOG(10) 표면에 탄화불소(fluorocarbon)계 폴리머가 형성되어 제4절연용 산화막(11)과 좋은 접착(adhesion) 특성을 갖지 못해서, 다시 말하면 낮은 표면 에너지를 가지면서 피복된 물질과 약한 반응을 하기 때문에, 계면 불량(interface failure)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 수율이나 신뢰성에 나쁜 영향을 주게 된다. 현재 0.35㎛ 이하의 디자인 룰(design rule)을 갖는 다층 금속 배선을 채용한 고집적 로직(LOGIC) 소자에 있어서, 모든 박막의 분리(decohesion) 현상이 반도체 제조시 중요한 제조 수율 및 신뢰성 문제를 일으키므로, 계면 접착(interface adhesion) 개선에 의해 상기 문제점을 반드시 해결할 필요가 있었다.
상기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Ar 플라즈마 처리 및 솔벤트 세정을 SOG 에치백 후에 실시하여 SOG와 산화막 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반도체 소자이 금속 배선 패턴에 SOG막을 도포하고, 에치백하여 평탄화를 이루는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OG 에치백 공정이후에 인-시튜 Ar 플라즈마 처리 및 솔벤트 세정을 실시하여 SOG와 산화막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Ar 플라즈마 처리 및 솔벤트 세정을 SOG 에치백 후에 실시하여 SOG와 산화막 간의 접착력을 향상케하여 반도체소자의 제조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21) 상에 필드 산화막(22), 게이트 산화막(23), 게이트 전극(24), 산화막 스페이서(25)를 공지의 방법으로 형성한 다음에, 약 3,000∼5,000Å의 BPSG막과 같은 제1절연용 산화막(26), 약 500∼1,000Å의 TEOS막과 같은 제2절연용 산화막(27), Ti/TiN 및 Al 합금막으로 된 하부 금속 배선(28), 약 1,000∼3,000Å의 TEOS막과 같은 제3절연용 산화막(29), 약 3,000∼6,000Å의 SOG(30)을 순차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나서, 지체없이 약 400∼450℃의 N2분위기에서 열처리하고, 상기 하부 금속 배선(28)이 노출되도록 상기 SOG(30)을 다음과 같은 조건으로 에치백한다. 그 다음으로 Ar 플라즈마 및 솔벤트 세정을 실시하고 TEOS-O3과 같은 제4절연용 산화막(31)을 약 10,000∼13,000Å 두께로 형성한다.
이때, 상기 SOG(30)의 에치백 조건은
100∼500 mT의 압력
300∼1000 W의 전력
30∼100 Gauss의 자장
20∼200S CCM의 CHF4
5∼50 SCCM의 CF4
50∼200 SCCM의 Ar
이며, 인-시튜(in-situ) Ar 플라즈마 처리방법은
100∼500 mT의 압력
50∼500 W의 전력
30∼100 Gauss의 자장
50∼200 SCCM의 Ar
의 조건으로 실시하며, 상기 솔벤트 세정 조건은
솔벤트 85℃, 30분
솔벤트 50℃, 5분
이소프로필 알코올 세정 2분
CO2분사 초순수 세정 3분
회전 건조 10분
으로 하여 세정을 실시하였다. 여기서 솔벤트라 함은 반도체 제조시 금속 배선 형성 이후의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ACT-935, ACT-690, ACT-CMI, R-10, R-502등과 같은 감광막 제거용 화학용액(chemicals)을 지칭한다.
이상에서 자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금속 배선간의 평탄화를 이룩하기 위하여 SOG막을 금속 배선간에 충진하고, 에치백 후에 Ar 플라즈마 처리 및 솔벤트 세정을 실시하여 SOG와 산화막간의 접착력을 향상케 하여 반도체 소자의 제조 수율 및 신뢰성을 향상케 한다.

Claims (4)

  1.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패턴에 SOG막을 도포하고, 에치백하여 평탄화를 이루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SOG 에치백 공정시에 인-시튜 Ar 플라즈마 처리 및 솔벤트 세정을 실시하여 SOG와 산화막간의 접착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시튜 Ar 플라즈마 처리는 100∼500 mT의 압력, 50∼500 W의 전력, 30∼100 Gauss의 자장, 20∼200 SCCM의 Ar의 조건으로 실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벤트 세정은 솔벤트 85℃에서 30분, 솔벤트 50℃에서 5분, 이소프로필 알코올 세정 2분, CO2분사 초순수 세정 3분, 회전 건조 10분의 조건하에서 실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솔벤트는 금속 배선 형성 이후의 공정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CT-935, ACT-690, ACT-CMI, R-10, R-502등과 같은 감광막 제거용 화학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50016858A 1995-06-22 1995-06-22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01719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858A KR0171977B1 (ko) 1995-06-22 1995-06-22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6858A KR0171977B1 (ko) 1995-06-22 1995-06-22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622A KR970003622A (ko) 1997-01-28
KR0171977B1 true KR0171977B1 (ko) 1999-03-30

Family

ID=194178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6858A KR0171977B1 (ko) 1995-06-22 1995-06-22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19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6307B1 (ko) * 1997-10-25 2005-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소자제조장치및이를이용한디가스공정,식각공정및열처리공정
KR100741099B1 (ko) * 2005-12-20 2007-07-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3622A (ko) 1997-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19791A (en) TEOS intermetal dielectric preclean for VIA formation
US7125792B2 (en) Dual damascene structure and method
US6103619A (en) Method of forming a dual damascene structure on a semiconductor wafer
KR0179292B1 (ko) 반도체소자의 다층배선 형성방법
US6232237B1 (en)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KR0179289B1 (ko) 금속배선 형성방법
US7091612B2 (en) Dual damascene structure and method
US5897374A (en) Vertical via/contact with undercut dielectric
KR100386110B1 (ko) 반도체 소자의 콘택홀 형성 방법
US6413438B1 (en) Method of forming via hole by dry etching
JP2003303880A (ja) 積層層間絶縁膜構造を利用した配線構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0171977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254567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플러그 형성 및 절연막 평탄화 방법
KR100909175B1 (ko) 듀얼 다마신 패턴 형성 방법
KR100571406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제조 방법
KR100935188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20010058209A (ko) 이중 다마신 공정을 이용한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197994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배선 콘택홀 형성방법
KR20010061614A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홀 형성방법
KR100399901B1 (ko) 반도체장치의금속층간절연막형성방법
KR101181271B1 (ko) 반도체 소자의 금속 배선 형성 방법
KR100458078B1 (ko) 반도체장치의금속배선형성방법
KR100640965B1 (ko) 반도체 소자의 형성방법
KR100265828B1 (ko) 반도체소자 제조방법
KR20040061097A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