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0509B1 - 마스크롬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스크롬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0509B1
KR0170509B1 KR1019950037734A KR19950037734A KR0170509B1 KR 0170509 B1 KR0170509 B1 KR 0170509B1 KR 1019950037734 A KR1019950037734 A KR 1019950037734A KR 19950037734 A KR19950037734 A KR 19950037734A KR 0170509 B1 KR0170509 B1 KR 01705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substrate
mask rom
protrusion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4232A (ko
Inventor
신진
Original Assignee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용,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주용
Priority to KR101995003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0509B1/ko
Publication of KR9700242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42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05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05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02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change their surface-physical characteristics or shape, e.g. etching, polishing, cutting
    • H01L21/306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 H01L21/308Chemical or electrical treatment, e.g. electrolytic etching using mas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낸드형 마스크롬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11)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돌출부를 가지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돌출부 측벽에 절연층 스페이서(12')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노출된 상기 기판의 표면에 게이트 산화층(14)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15, 16)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종래에 비하면 약 30%정도의 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집적도를 향상시키며, 접적화시버즈 빅에 의한 액티브 영역의 감소를 고려할 필요 없고, 또한 얕은 결함 트랜지스터로 메모리 셀을 구성할 경우, 기판의 식각 깊이를 낮출 수 있어, 소자간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마스크롬 제조 방법
제1도는 종래 마스크롬의 평면도.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마스크롬의 제조 과정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해 마스크롬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기판 12' : 질화층 스페이서
14 : 게이트 산화층 15 : 폴리실리콘층
16 : 텅스턴 실리사이드 층
본 발명은 마스크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낸드(NAND)형 마스크롬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종래 NAND형 마스크롬의 일예시 평면도로서, 이를 참조로 하여 종래 기술을 살펴보기로 한다.
종래에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티브 영역(2), 필드 산화 영역(1) 및 게이트 영역(3)으로 형성된다.
이때, 필드 산화막 영역(1)은 소자간을 전기적으로 절연시켜 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그러나, 필드 산화 영역은 실제메모리 셀 지역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버즈 빅(bird's beak)의 발생으로 인하여 집적도를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점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전체 칩 사이즈를 증가시키는 주 원인이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판을 식각하여 단차를 생성시킨 후 단차 측벽에 절연 스페이서를 형성하여 인접하는 셀 스트링간을 전기적으로 격리시킴으로써, 집적도를 향상시키는 마스크롬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당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낸드형 마스크롬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돌출부를 가지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제1 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돌출부 측벽에 절연층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제2 단계; 및 노출된 상기 기판의 표면에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3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a도 내지 제2d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NAND형 마스크롬의 제조 과정도이다.
본 실시예는 먼저, 제2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기판(11)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돌출부를 가지도록 단차를 형성한다.
이어서, 제2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차가 형성된 기판(11)의 표면을 따라 절연층인 질화층(12)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제2c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 식각을 수행하여 돌출부의 측벽에 질화층 스페이서(12')를 형성한다. 이때, 노출되는 기판(11)의 표면에는 산화층(13)이 얇게 형성되어 표면을 안정화 시킨다. 이 산화층(13)은 습식식각 법으로 제거한다. 질화층 스페이서(12')의 크기는 노출되는 기판(11)의 크기(A,A')가 동일하도록, 즉 A=A'가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2d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노출된 기판의 표면에 게이트 산화층(14)을 형성한 후, 전체구조 상에 폴리실리콘층(15), 텅스턴 실리사이드층(16)이 차례로 적층된 구조의 게이트 전극을 형성한다.
전술한 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마스크롬에 있어서, 특히 제2d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질화층 스페이서(12')가 소자간 분리층으로 사용됨으로써, 평면적으로 차지하는 면적이 종래 필드 산화층에 비해 작을 것임이 분명하다. 특히, 본 발명은 버즈 빅이 존재하지 않아 보다 넓은 액티브 영역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특징은 본 마스크롬의 평면도인 제3 도를 살펴보면 쉽게 알 수 있다. 참고적으로, 도면(제3 도)에서 21은 돌출부, 22는 식각되어 단차를 형성하는 부분, 23은 게이트 전극, 24는 전원 전압(Vcc)콘택부, 25는 비트 라인(bit line)콘택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다음의 효과가 있다.
첫째, 종래에 비하여 약 30% 정도의 셀 면적을 감소시킬 수 있어 집적도를 향상시킨다.
둘째, 집적화시 버즈 빅에 의한 액티브 영역의 감소를 고려할 필요없다.
셋째, 얕은 결합(shallow junction) 트랜지스터로 메모리 셀을 구성할 경우, 기판의 식각 깊이를 낮출 수 있어, 소자간 단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2)

  1. 낸드형 마스크롬 제조 방법에 있어서, 반도체 기판을 선택적으로 식각하여 돌출부를 가지도록 단차를 형성하는 제1단계; 상기 반도체 기판의 돌출부 측벽에 절연층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제2단계; 및 노출된 상기 기판의 표면에 게이트 산화층을 형성한 후, 게이트 전극을 형성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층 스페이서는 질화층 스페이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크롬 제조 방법.
KR1019950037734A 1995-10-27 1995-10-27 마스크롬 제조방법 KR01705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734A KR0170509B1 (ko) 1995-10-27 1995-10-27 마스크롬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734A KR0170509B1 (ko) 1995-10-27 1995-10-27 마스크롬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232A KR970024232A (ko) 1997-05-30
KR0170509B1 true KR0170509B1 (ko) 1999-02-01

Family

ID=19431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734A KR0170509B1 (ko) 1995-10-27 1995-10-27 마스크롬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050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82262A1 (ko) 2018-03-23 2019-09-26 홍잉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20190111722A (ko) * 2018-03-23 2019-10-02 잉 홍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4232A (ko) 1997-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22684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using a selective disposal spacer technique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manufactured thereby
KR100350055B1 (ko) 다중 게이트 절연막을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295929B1 (ko) 트렌치격리부형성및반도체디바이스제조방법
KR100214917B1 (ko) 반도체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7745903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S63155769A (ja) フローティングゲート素子の製造方法
US6136657A (en) Method for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different gate oxide layers
US6800895B2 (en) Vertical split gate flash memory cell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KR100398304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0170509B1 (ko) 마스크롬 제조방법
US6258696B1 (en) System and method for fabricating semiconductor device and isolation structure thereof
US6919611B2 (en) Semiconductor memory reducing current consumption and narrow channel effec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JP3104666B2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KR0135690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 제조방법
KR100545175B1 (ko)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트랜치 아이솔레이션 형성방법
KR100267010B1 (ko)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20000007209A (ko) 단차성 절연막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형성 방법
KR100214279B1 (ko) 반도체소자의 제조방법
KR100289750B1 (ko)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0884472B1 (ko) 플래시 메모리의 제조 방법
KR0144922B1 (ko) 고밀도 반도체 메모리장치의 제조방법
KR19990000764A (ko) 반도체장치의 소자격리방법
KR100293715B1 (ko) 고집적 반도체 기억소자 제조방법
KR20010059986A (ko) 퓨즈 박스 형성 방법
KR20020061255A (ko) 고전압 트랜지스터와 저전압 트랜지스터를 갖는 반도체소자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2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