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9750B1 -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9750B1
KR100289750B1 KR1019980016337A KR19980016337A KR100289750B1 KR 100289750 B1 KR100289750 B1 KR 100289750B1 KR 1019980016337 A KR1019980016337 A KR 1019980016337A KR 19980016337 A KR19980016337 A KR 19980016337A KR 100289750 B1 KR100289750 B1 KR 1002897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film
silicon
gate electrode
forming
semiconductor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6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84520A (ko
Inventor
홍승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16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9750B1/ko
Publication of KR1999008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8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97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97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97Formation of self-aligned vias or contact plugs, i.e. involving a lithographically uncritical ste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104Forming layers
    • H01L21/0210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 H01L21/02109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 H01L21/02112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 H01L21/02123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 H01L21/0217Forming insulating materials on a substrat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ayer, e.g. type of material, porous/non-porous, pre-cursors, mixtures or laminat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ayer the material containing silicon the material being a silicon nitride not containing oxygen, e.g. SixNy or SixByNz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System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105After-treatment
    • H01L21/311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 H01L21/31144Etching the insulating layers by chemical or physical means using mask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0Manufacture or treatment of 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olid 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or of parts thereof;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71Manufacture of specific parts of devices defined in group H01L21/70
    • H01L21/768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 H01L21/76801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 H01L21/76802Applying interconnections to be used for carrying current between separate components within a device comprising conductors and dielectrics characterised by the formation and the after-treatment of the dielectrics, e.g. smoothing by forming openings in dielectric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of which they are formed
    • H01L29/49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 H01L29/4983Metal-insulator-semiconductor electrodes, e.g. gates of MOSFET with a lateral structure, e.g. a Polysilicon gate with a lateral doping variation or with a lateral composition variation or characterised by the sidewalls being composed of conductive, resistive or dielectric material

Abstract

여기에 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은 실리콘 질화 물질 대신에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 (silicon-rich nitride material)을 사용하여 게이트 전극 패턴 양 측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실리콘 질화 물질을 사용할 때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를 들면,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 저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pn 접합의 열화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의 특성에 따라 게이트 스페이서의 선택비가 후속 공정의 자기 정렬 매립 콘택 홀을 형성할 때 층간 절연막에 비해서 높기 때문에, 안정된 공정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기 정렬 콘택 홀을 가지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METHOD OF FABRICAT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SELF ALIGNED CONTACT HOLE)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장치의 게이트 전극 패턴 양 측벽들에 게이트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들 (dynamic random access memories; DRAMs)과 같은 고집적 반도체 장치들에 있어서, 절연 물질의 특성, 리소그래픽 (lithography), 셀 구조 및 배선 물질에 대한 새로운 정보(지식)가 요구된다. 메가 비트급 이상의 DRAM에 있어서, 콘택 홀 영역은 셀 크기의 감소에 따라 감소되어야 한다. 전형적인 64 메가-비트 (mega-bit) DRAM은 대략 0.3-0.4㎛의 디자인 룰을 가지며, 따라서 콘택 홀은 배선폭 (feature size;F) 이하의 크기, 예를 들면, 0.5㎛ 이하로 형성된다.
주변 구조 (peripheral structure), 즉 게이트 전극 또는 비트 라인이 오정렬된 마스크 (mis-aligned mask)의 결과로서 종종 노출된다. 결과적으로, 게이트 전극이 스토리지 전극 (storage electrode)에 연결되거나 비트 라인과 스토리지 전극 콘택 사이의 전기적 절연이 악화되어서 DRAM의 신뢰성을 크게 감소시킨다.
오정렬된 마스크에 의해서 생기는 주변 구조의 노출 없이 콘택 홀 영역을 확실하게 확보하기 위한 몇 가지 방법들이 제안되었다. 그러한 하나의 방법은 자기 정렬 콘택 홀 (self-aligned contact hole)을 형성하는 것이다.
자기 정렬 콘택 홀을 형성하는 방법의 경우, 마스크를 사용하지 않고 콘택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콘택 홀 크기는 주변 구조의 높이, 콘택 홀들이 형성되는 절연 물질의 두께, 그리고 식각 방법에 의존한다. 그러므로, 자기 정렬 콘택 홀을 형성하는 것이 고집적 반도체 장치를 구현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다. 자기 정렬 콘택 공정 (self-aligned contact process, 이후 SAC 공정이라 칭함)을 사용하여 비트 라인/스토리지 전극(bit line/storage electrode)용 패드 (pad)를 형성함으로써, 사진 식각 공정 (photo-etching process)을 사용하여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를 들면, 디자인 룰의 감소에 따른 오정렬 마진 (misalign margin)의 부족, 홀이 완전히 형성되지 않는 현상 (not-open), 콘택간 브리지 현상 등이 해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반도체 장치 (예를 들면, DRAM)의 게이트 전극 (16)은 게이트 산화막 (gate oxide layer), 다결정 실리콘 (polycrystalline silicon) 및 실리콘 질화막 (silicon nitride)으로 구성된다. SAC 공정을 이용하여 비트 라인 및 스토리지 전극용 패드를 형성할 때, 게이트 전극 및 반도체 기판 상에 형성되는 층간 절연막, 예를 들면, BPSG와 다른 식각비 (etching rate)를 가지는 절연 물질로 게이트 스페이서 (gate spacer)가 형성된다. 게이트 스페이서는, 일반적으로, 실리콘 질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그런데 도2에서 B로 표시한 부분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층간 절연막과의 선택비 (selectivity) 향상을 위해 사용되는 실리콘 질화막의 경우, 잔류 응력 (residual stress)이 크다. 그러한 잔류 응력으로 인해서, 하부 막질 또는 반도체 기판은 많은 영향을 받는다. 예를 들면, 하부 막질 즉, 게이트 산화막의 경우에 있어서, 게이트 스페이서로 사용되는 실리콘 질화막의 응력으로 인해서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이 나빠져, 게이트 산화막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의 경우, 그러한 실리콘 질화막의 응력으로 인해서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pn 접합의 특성 (접합 누설 전류) 악화가 초래될 수 있다.
또한, 식각선택비의 차이가 부족하여 C로 표시한 부분과 같이 SAC 패드 홀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게이트 스페이서의 상부에 손상이 발생한다.
도2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나타내는 도면으로, 참조번호10은 기판, 12는 소자 격리 영역, 14는 게이트 산화막, 16은 게이트 전극, 18은 실리콘 질화막, 26은 절연막을 각각 표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잔류 응력이 작은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 (silicon-rich nitride material)을 사용하여 게이트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트 라인/스토리지 전극용 패드를 형성할 때 실리콘 질화 물질에 비해서 높은 선택비를 가지는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로 형성되는 게이트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신뢰도가 높은 자기 정렬 매립 콘택 홀을 형성하는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스페이서 및 자기 정렬 콘택 홀을 형성하는 방법을 보여주는 단면도들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반도체 장치의 게이트 스페이서 형성에서 응력이 크게 작용함을 설명하기 위해 단면도에 화설표를 표시한 개념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 : 반도체 기판 12 : 소자 격리 영역
14 : 게이트 산화막 16 : 게이트 전극
18 : 실리콘 질화막 20 : 게이트 전극 패턴
22 :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 24 : 게이트 스페이서
26 : 절연막 28 : 자기 정렬 콘택 홀
30 : 포토레지스트
(구성)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특징에 의하면, 게이트 전극 패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집적 회로를 덮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의 측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절연막은 실리콘-리치 질화막으로 형성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디램 셀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 상부의 상기 제 2 절연막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 레지스터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에 자기 정렬 매립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게이트 전극 패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집적 회로를 덮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의 측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 상부의 상기 제 2 절연막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 레지스터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에 자기 정렬 매립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절연막은 실리콘-리치 질화막으로 형성된다.
(작용)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서, 게이트 스페이서가, 잔류 응력이 큰, 실리콘 질화 물질 대신에, 잔류 응력이 작은,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실시예)
본 발명의 신규한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에 의하면, 도 1b, 도 1c 그리고 도 1d를 참조하면, 실리콘 질화 물질 대신에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 (silicon-rich nitride material)을 사용하여 게이트 전극 패턴 (20) 양 측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 (24)가 형성된다. 이로써, 실리콘 질화 물질을 사용할 때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 (예를 들면,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 저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pn 접합의 열화 등)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의 특성에 따라 게이트 스페이서의 선택비가 후속 공정의 자기 정렬 매립 콘택 홀을 형성할 때 층간 절연막에 비해서 높기 때문에, 안정된 공정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게이트 스페이서 및 자기 정렬 매립 콘택 홀 형성 공정이 도 1a 내지 도 1e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장치 특히, 다이나믹 랜덤 액세스 메모리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DRAM) 장치에 제공되는 메모리 셀들 각각은, 일반적으로, 하나의 스위칭 트랜지스터 (a switching transistor) (또는, 선택 트랜지스터)와 하나의 저장 커패시터 (a storage capacitor)로 구성된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DRAM 장치의 셀 배열 스킴에 따르면, 잘 알려진 바와 같이, MOSFET로 구성되는 두 개의 메모리 셀들이 하나의 활성 영역 (active area)에 형성되고, 각 메모리 셀의 드레인/소오스 영역 (미도시됨)은 서로 공유되어서 하나의 비트 라인에 연결된다. 그리고, 하나의 활성 영역에 형성되는 두 개의 메모리 셀들은 다른 활성 영역에 형성되는 메모리 셀들과 STI (Shallow Trench Isolation)라 불리는 소자 격리 영역에 의해서 격리 또는 절연된다.
도 1a를 참조하면, 2 개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들 및 저장 커패시터들이 형성되는 (COB 구조로 형성됨) 반도체 기판 (10)의 활성 영역이 전술한 소자 격리 영역 (12)에 의해서 정의된다. 이 분야의 통상적인 제조 공정에 따라 스위칭 트랜지스터 및 저장 커패시터로 구성되는 집적 회로 중 스위칭 트랜지스터가 형성된다. 즉, 게이트 산화막 (14), 게이트 전극 (16), 그리고 캡핑막 (capping layer)으로 기능하는 실리콘 질화막 (18)으로 구성되는 게이트 전극 패턴 (20)이 반도체 기판 (10)의 활성 영역에 형성된다. 여기서, 게이트 전극 패턴 (20)을 구성하는 게이트 전극 (16)을 구성하는 다결정 실리콘막 대신에 다결정 실리콘막과 실리사이드막이 적층된 게이트 전극 (16)이 사용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 다음에, 통상의 증착 공정 (deposition process)을 사용하여 게이트 전극 패턴 (20) 및 반도체 기판 (10)을 덮는 절연 물질 (22)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 물질 (22)은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이며, 상기 물질은 실리콘 질화 물질에 비해서 실리콘 함량이 많다. 상기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은 증착 공정이 수행될 때 실리콘 조성비를 조절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이때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이란 문자를 통해 해석될 수 있는 바와 같이 통상의 실리콘 질화막인 Si3N4에 비하여 실리콘 원자수의 비율이 높은 물질을 의미한다. 상기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은 통상의 실리콘 질화 물질에 비해서 잔류 응력 (residual stress)이 적고, 습식 또는 건식 식각 공정시 통상의 실리콘 질화 물질에 비해서 높은 선택비를 가진다.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 (22)이 증착된 후 식각 공정이 수행되면,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 전극 패턴 양측 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 (24)들이 형성된다. 통상의 실리콘 질화 물질 대신에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을 사용하여 게이트 스페이서 (24)를 형성함으로써, 실리콘 질화 물질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게이트 스페이서로 인해서 생기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방지될 수 있다. 즉, 도 ld의 A로 표시한 부분에서 도 2의 B로 표시한 부분의 화살표에 비해 작은 화살표로 표시된 바와 같이 실리콘 질화 물질의 큰 잔류 응력으로 인해서 게이트 산화막 (14)의 특성 저하,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pn 접합의 열화 등이 개선될 수 있다.
실리콘-리치 질화막을 사용하여 게이트 스페이서 (24)가 형성된 후, 반도체 기판 (10) 전면에 절연 물질이 형성된다. 그리고, 도 ld를 참조하면, 비트 라인/스토리지 전극용 콘택 홀 영역을 정의하기 위한 포토 레지스트 패턴이 게이트 전극 패턴 상부의 상기 절연 물질 상에 형성된다. 그리고, 포토 레지스트 패턴 (미도시됨)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자기 정렬 콘택 공정이 수행되면, 도 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기 정렬 매립 콘택 홀 (28)들이 형성된다. 자기 정렬 콘택 공정이 수행되는 동안에, 앞서 형성된 게이트 스페이서 (24)에 의해서 게이트 전극 (16)이 보호될 뿐만 아니라, 오정렬 마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때, 게이트 스페이서 (24)가 실리콘 질화 물질에 비해서 높은 선택비를 가지는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로 형성되었기 때문에, 자기 정렬 콘택 공정이 안정되게 수행될 수 있음은 이 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습득한 자들에게 자명하다. 이후, 잘 알려진 스택 구조로 된 DRAM (COB 구조) 공정 기술에 따라 반도체 장치 (예를 들면, 메모리 셀)가 제조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리콘 질화 물질 대신에 실리콘 함량이 많고 그리고 잔류 응력이 적은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을 사용하여 게이트 스페이서를 형성함으로써, 게이트 산화막의 특성, 반도체 기판에 형성되는 pn 접합의 특성(접합 누설 전류) 등이 향상되고, 반도체 기판의 표면 결함이 감소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실리콘 질화 물질에 비해서 높은 선택비를 가지는 실리콘-리치 질화 물질을 사용하여 게이트 스페이서를 형성함에 따라 후속 자기 정렬 콘택 공정이 안정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Claims (4)

  1. 게이트 전극 패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집적 회로를 덮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의 측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절연막은 실리콘-리치 질화막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디램 셀의 스위칭 트랜지스터로서 기능하는 제조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 상부의 상기 제 2 절연막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 레지스터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에 자기 정렬 매립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부가적으로 포함하는 제조 방법.
  4. 게이트 전극 패턴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의 집적 회로가 형성된 반도체 기판 상에 상기 집적 회로를 덮는 제 1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표면이 노출될 때까지 상기 제 1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의 측벽들 상에 게이트 스페이서들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반도체 기판 전면에 제 2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게이트 전극 패턴 상부의 상기 제 2 절연막 상에 포토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포토 레지스터 패턴을 마스크로 사용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을 식각하여 상기 제 2 절연막에 자기 정렬 매립 콘택홀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 1 절연막은 실리콘-리치 질화막으로 형성되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 방법.
KR1019980016337A 1998-05-07 1998-05-07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1002897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337A KR100289750B1 (ko) 1998-05-07 1998-05-07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16337A KR100289750B1 (ko) 1998-05-07 1998-05-07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520A KR19990084520A (ko) 1999-12-06
KR100289750B1 true KR100289750B1 (ko) 2001-05-15

Family

ID=37517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6337A KR100289750B1 (ko) 1998-05-07 1998-05-07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97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65702B (zh) * 2014-11-03 2019-12-10 深圳市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Amoled背板的制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84520A (ko) 1999-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1736B1 (en) Method for fabricating a capacitor of a semiconductor device and a capacitor made thereby
USRE46890E1 (en) Method of form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ontact pad on source/drain region in peripheral circuit area
US7696570B2 (en) Transistors of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hannel region in a channel-portion hole and methods of forming the same
US7462899B2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local etch stopp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9980015253A (ko) 반도체 기판의 유기물 제거용 세정장치
KR100268431B1 (ko) 자기 정렬 콘택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327123B1 (ko) 디램셀캐패시터의제조방법
KR100275551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의 콘택 형성 방법
US6417097B1 (en) Methods of forming a contact structure in a semiconductor device
KR100268421B1 (ko) 커패시터 및 그의 제조 방법
US6503789B1 (en) Contact structure for a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0151385B1 (ko) 반도체 메모리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6218241B1 (en) Fabrication method for a compact DRAM cell
KR100334572B1 (ko) 반도체 장치의 자기정렬 콘택 형성 방법
US5723374A (en) Method for forming dielectric spacer to prevent poly stringer in stacked capacitor DRAM technology
KR100268422B1 (ko) 반도체 장치의 콘택 패드 및 그의 형성 방법
US6903022B2 (en) Method of forming contact hole
KR100289750B1 (ko) 자기정렬콘택홀을가지는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US6483140B1 (en) DRAM storage node with insulating sidewalls
JPH1197529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100480905B1 (ko) 반도체장치의제조방법
KR20090101853A (ko) 콘택과 셀 게이트 전극 간의 개선된 분리를 제공하기 위한 반도체 장치를 제조하는 방법
KR20000003877A (ko) 반도체 장치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0212419B1 (ko) 디램의 전하저장전극 콘택홀 형성방법
KR100541697B1 (ko) 디램의 셀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