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9477B1 -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물품건조방법 - Google Patents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물품건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9477B1
KR0169477B1 KR1019900008933A KR900008933A KR0169477B1 KR 0169477 B1 KR0169477 B1 KR 0169477B1 KR 1019900008933 A KR1019900008933 A KR 1019900008933A KR 900008933 A KR900008933 A KR 900008933A KR 0169477 B1 KR0169477 B1 KR 01694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dehydrating agent
fluorine
article
containing alcoh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8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0218A (ko
Inventor
유끼오 오무레
마사히로 노구찌
나오요시 하나따니
Original Assignee
야마다 미노루
다이낑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다 미노루, 다이낑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다 미노루
Publication of KR9100002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02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9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94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2/00Displacing liquid, e.g. from wet solids or from dispersions of liquids or from solids in liquids, by means of another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B01D53/28Selection of materials for use as drying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7/00Compositions of detergents based essentially on non-surface-active compounds
    • C11D7/50Solvents
    • C11D7/5004Organic solvents
    • C11D7/5018Halogenated solv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5/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5/005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not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dipping them into or mixing them with a chemical liquid, e.g. organic; chemical, e.g. organic, dewatering aids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물품건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탈수제를 사용하는 물품탈수방법을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은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이 탈수제를 사용하는 탈수반응에 의한 물품건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백분율은 중량에 의거한다.
많은 경우에, 반도체 제조용 실리콘 웨이퍼, 도금물품, 광학렌즈, 다양한 금속부품 등(이후부터 물품으로 간략히 칭함)은 공정 마지막 단계에서 또는 마지막 단계에 가까운 단계에서 물로 세척된다. 이들 물품의 표면에 남아있는 수분은 녹같은 얼룩의 형성 및 녹의 발생을 야기하여 물품성능에 큰 영향을 미친다.
상기 물품들을 효과적으로 탈수시키기 위해 이제까지 널리 사용되어 온 탈수제는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등 알코올류,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등 클로로플루오로 하이드로카본류 (이후부터 CFCs로 칭함) 및 CFC, 알코올과 혼합하거나 또는 여기에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함으로써 제조된 조성물이다.
그러나, 고인확성인 이소프로판올과 에탄올은 취급시에 화기를 수반하는 문제가 있다. CFC 기재 탈수제는 이러한 문제가 없다. 그러나 근년에 어떤 종류의 CFCs는 대기에 방출될 때 성층권의 오존층을 고갈시킴으로써 지상의 인류를 포함하는 생태계에 매우 유해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전세계적 협약은 주요 오존 고갈 CFCs의 소비 및 제조에 제한을 두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불연성 또는 비인확성이고 현재 다량으로 널리 사용되는 CFC 기재 탈수제를 대치할 수 있는 신규 탈수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은 이후의 기술내용으로부터 분명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의 탈수제와 물품탈수방법을 제공한다.
(1) 불소 함유 알코올을 포함하는 탈수제
(2) 불소 함유 알코올과 물을 포함하는 탈수제 및
(3) 불소 함유 알코올 또는 불소 함유 알코올과 물을 포함하는 탈수제속에 물품을 침지시키는 것과, 침지 후에 물품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이 잔여수로 적셔진 물품의 탈수 및 건조방법.
본 발명자들이 수행한 광범위한 연구에 따라, 불소 함유 알코올을 단독으로 또는 물과 조합하여 포함하는 조성물은 물품 탈수에 유용한 탈수제에 요구되는 특성들에 있어서 탁월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본 발명은 이러한 새로운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졌다.
본 발명에서 불소 함유 알코올로서 유용한 것은 분자 당 적어도 2 불소원자와 적어도 2 탄소원자를 갖는 알코올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이러한 불소 함유 알코올의 예는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2
상기 식에서, a, c, e, g 및 i는 각각 1~5 범위내의 정수를 나타내고 b, d, f, h 및 j는 각각 1~3 범위내의 정수를 나타낸다.
이를 불소 함유 알코올 중에서, 트리플루오로에탄올(이후부터 3FE로 칭함, 비점 77℃), 테트라플루오로프로판올(이후부터 4FP로 칭함, 비점 107℃) 및 펜타플루오로프로판올(이후부터 5FP로 칭함, 비점 81℃)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불연성인 5FP 이다. 이들 불소 함유 알코올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둘을 혼합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수제를 불소 함유 알코올과 물로부터 형성된 조성물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조성물은 조성물량의 약 20%, 바람직하게는 약 10%의 양으로 물을 함유할 수 있다. 10% 이하의 물함량을 갖는 혼합물로부터 형성된 탈수제의 사용은 물품 표면에 존재하는 물을 효과적으로 치환할 수 있다. 그러나, 물함량이 10% 이상으로 증가되면, 사용되는 탈수제의 치환 능력이 감퇴된다. 20% 초과량의 물함량을 갖는 탈수제를 사용하면 원하는 효과를 창출할 수 없다. 4FP와 물의 혼합물(4FP / 물 = 72.5/27.5)과 5FP와 물의 혼합물(5FP / 물 = 94/6)의 혼합물은 둘 다 공비 조성물을 형성하며 따라서 물의 효과적인 제거에 유용하다. 3FE와 물의 혼합물은 공비 조성물은 아니지만 공비 조성물과 유사한 조성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의 탈수제는 필요하다면 소량의 공지된 안정화제를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수제를 사용하는 물품의 탈수 및 건조는 CFC 기재 탈수제 또는 유사한 공지된 탈수제를 사용하는 탈수 및 건조방법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및 같은 장치로써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탈수방법 및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그 예를 제1도에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되는 탈수장치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인 제1도에서, 잔여수로 적셔진 표면을 갖는 물품(나타내어지지 않음)을 1차 수조(1) 내에 저장된 본 발명의 탈수제 속에 침지하며 여기에서 물이 불소 함유 알코올(하기 방법에서,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알코올로서 5FP가 사용된다.)로써 치환되어 물품을 탈수시킨다.
높은 정도의 물품탈수를 이루기 위해서는, 1차 수조(1)내 침지로써 처리된 물품을 2차 수조(2)에 보내어 물품을 본 발명의 탈수제에 미 침지시킨다. 1차 수조(1)로부터 방출되고 그 속에 존재하는 물은 물분리기(3)을 사용하여 제거된 실질적으로 5FP 만으로 구성되는 탈수제를 2차 수조(2)에 공급하기 때문에, 높은 정도의 탈수수준이 이루어진다.
물품을 더 높은 정도까지 탈수하는 것이 필요한 경우, 2차 수조(2)내 침지 완료 후에 얻어진 물품을 증기화된 5FP를 함유하고 가열수단(5)을 구비한 오목부(sump) (6) 위의 증기지대(4)에 공급하여 물품을 5FP의 증기와 접촉시켜, 물품의 탈수를 더 계속한다. 증기지대(4) 위에 구비된 냉각관(7)은 증기지대로부터 발생하는 5FP의 증기를 축합하고 5FP를 오목부(6)로 되돌리는 기능을 한다.
물분리기(3)은 특정 유형에 제한되지 않으며 불소 함유 알코올로부터 물을 분리할 수 있는 어떠한 것일 수도 있다. 예를들어, 5FP가 불소 함유 알코올로서 사용되는 경우, 5FP와 물이 용해도 차로 인해 약 15℃ 이하의 저온에서 쉽게 분리가능한 현상을 이용하여 5FP를 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정류에 의해 불소 함유 알코올과 물을 분리할 수 있다. 또한, 특수한 막을 사용하여 물을 제거하는 기법을 이용하여 분리를 수행할 수 있다.
제1도에 2개의 수조와 1개의 오목부를 구비한 장치를 사용하는 물품탈수의 예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에 사용가능한 장치는 이 유형에 제한되지 않는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되는 장치의 구조는 물품 표면을 적신 잔이수의 양, 원하는 물품탈수 정도, 물품탈수 시설의 등급 등에 따라 다양하다. 예를들어, 유용한 장치는 1개의 수조 또는 오목부를 구비하거나 1개의 수조와 1개의 오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나아가, 탈수는 분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수제는 오존층 고갈 등과 같은 환경 파괴 문제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탈수제는 물품의 표면을 적신 잔여수를 제거하는 능력이 탁월하다.
게다가, 불소 함유 알코올로서 5FP의 사용은 탈수제가 불연성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취급에 특히 유리하다. 3FE 또는 4FP의 사용은 또한, 이들 알코올은 연소시에 발화하고 소량의 열을 방출하는데 다량의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등과 같은 공지 탈수제와 비교할 때 매우 안전하다.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등과 비교할 때 본 발명의 탈수제는 저온으로 냉각될 때 물로부터 쉽게 분리할 수 있다.
덧붙여, 공비 조성 또는 공지 조성과 유사한 조성으로써 형성된 본 발명의 용매는 조절하기 쉽고, 당연한 일로서 희수 및 반복 사용을 위해 반복하여 증기화 및 축합될 때에도 사용된 성분들의 비율에 변화가 거의 또는 전혀 수반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특징을 더욱 상세히 밝히기 위한 실시예가 하기에 주어진다.
[실시예 1]
미리 철저히 세척하고 물로 적신 유리 시편(크기 : 50㎜ × 50㎜ × 5㎜)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어진 각각의 탈수제에 예정된 시간 동안 침지하고, 건조 부흐너(Buchner) 깔때기 속에 담고 특정량의 무수메탄올로 세척한다. 사용된 무수 메탄올을 수집하고 칼 피셔 법으로 분석하여 그 안의 수분량을 측정한다. 이 물의 양은 A라 한다.
유리 시편을 탈수제에 침지하지 않고 시편을 건조시키지않고 사용된 메탄올 내의 수분량을 측정하는 것만 제외하고 상기와 같은 방법을 되풀이 한다. 이 물의 양은 B라 한다. 탈수율 C (%)를 하기 공식에 따라 결정한다.
C = (B-A) / B × 100 (%)
하기 표 2 에 결과를 나타낸다.
상기 방법은 모두 실온에서 수행되었다.
Figure kpo00003
Figure kpo00004
세라믹 시편을 사용하는 것만 제외하고 상기와 같은 방식으로 탈수시험을 수행한다. 하기 표 3 에 결과가 주어진다.
Figure kpo00005
표 2 및 3 의 결과는 본 발명의 탈수제 1~6이 탈수능력에 있어서 이소프로판올과 에탄올 같은 공지의 탈수제에 필적하거나 또는 그보다 우수함을 보여준다.

Claims (3)

  1. 적어도 하나의 불소 함유 알코올 또는 적어도 하나의 불소 함유 알코올과 물을 포함하는 탈수제 속에 물품을 침지시키고, 침지 후에 물품을 건조시키는 것으로 이루어지는, 표면이 잔여수로 적셔진 물품의 탈수 및 건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탈수제가 적어도 하나의 불소 함유 알코올을 포함하는, 탈수에 의한 물품건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탈수제가 적어도 하나의 불소 함유 알코올과 물을 포함하는, 탈수에 의한 물품건조방법.
KR1019900008933A 1989-06-19 1990-06-18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물품건조방법 KR01694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56403A JPH0321688A (ja) 1989-06-19 1989-06-19 含フッ素アルコール系脱水剤および物品の脱水乾燥方法
JP156403-1989 1989-06-19
JP1-156403 1989-06-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0218A KR910000218A (ko) 1991-01-29
KR0169477B1 true KR0169477B1 (ko) 1999-01-15

Family

ID=15626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8933A KR0169477B1 (ko) 1989-06-19 1990-06-18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물품건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87386A (ko)
EP (1) EP0403962B1 (ko)
JP (1) JPH0321688A (ko)
KR (1) KR0169477B1 (ko)
DE (1) DE69021943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25978A (en) * 1991-04-19 1992-06-30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 displacement composition and a method of use
US5089152A (en) * 1991-04-19 1992-02-18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Water displacement composition
EP0516029B1 (en) * 1991-05-28 1995-04-05 Daikin Industries, Limited A method of desiccating articles
US5789359A (en) * 1993-05-17 1998-08-04 Kabushiki Kaisha Toshiba Detergent, method of cleaning, and apparatus for cleaning
WO1996012571A1 (fr) * 1994-10-19 1996-05-02 Kabushiki Kaisha Toshiba Agent, procede et materiel de nettoyage
DE19506404C1 (de) * 1995-02-23 1996-03-14 Siemens Ag Verfahren zum Freiätzen (Separieren) und Trocknen mikromechanischer Komponenten
CN114034163A (zh) * 2021-11-11 2022-02-11 中国建筑材料科学研究总院有限公司 陶瓷坯干燥方法及干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9061A (en) * 1966-10-18 1970-04-28 Us Navy Method and compositions for displacing organic liquids from solid surfaces
SE429907B (sv) * 1978-09-13 1983-10-03 Asea Ab Elektrisk hogspenningsgenomforing for ett metallkapslat, tryckgasisolerat stellverk
JPS55131675A (en) * 1979-03-31 1980-10-13 Daikin Ind Ltd Method and washing liquid for removing adhering water from surface of article
EP0083450B1 (en) * 1981-12-28 1985-03-20 Daikin Kogyo Co., Ltd. Working fluids for rankine cycle
JPS58204100A (ja) * 1982-05-24 1983-11-2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表面清浄化用組成物
JPS5932517A (ja) * 1982-08-18 1984-02-22 Toyota Motor Corp 自動車ウィンドのモ−ルディング取付構造
DE3600778A1 (de) * 1986-01-14 1987-07-16 Polygram Gmbh Verfahren zum auffuellen und/oder aufbereiten von behandlungsfluessigkeiten
DE3609426C2 (de) * 1986-03-20 1997-04-24 Kali Chemie Ag Lösungsmittelgemische
JPS63162001A (ja) * 1986-12-26 1988-07-05 Central Glass Co Ltd 脱水用組成物
JPS63308826A (ja) * 1987-06-10 1988-12-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押ボタンスイッ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087386A (en) 1992-02-11
KR910000218A (ko) 1991-01-29
DE69021943D1 (de) 1995-10-05
EP0403962A3 (en) 1993-02-03
JPH0321688A (ja) 1991-01-30
EP0403962B1 (en) 1995-08-30
EP0403962A2 (en) 1990-12-27
DE69021943T2 (de) 1996-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16029B1 (en) A method of desiccating articles
US4828751A (en) Solvent composition for cleaning silicon wafers
US6589355B1 (en) Cleaning processes using hydrofluorocarbon and/or hydrochlorofluorocarbon compounds
EP1027414B1 (en) Compositions and processes for drying substrates
US5082503A (en) Method for removing contaminants from the surfaces of articles
KR950006293B1 (ko) 고체 표면 세척 및/또는 건조용 1,1,1,3,3-펜타플루오로부탄 및 메탄올 기재의 조성물
US5445757A (en) Compositions comprising pentafluorobutane and use of these compositions
KR100248175B1 (ko) 오염물 제거를 위한 비-수성 세척공정
KR980700133A (ko) 세정방법 및 세정장치(Cleaning Method and Cleaning Apparatus)
KR0169477B1 (ko) 불소 함유 알코올을 기재로 하는 탈수제 및 물품건조방법
JP2010512448A (ja) ヘプタフルオロシクロペンタンを含む共沸様混合物
TWI279261B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cleaning contaminated articles
KR890003466B1 (ko) 트리클로로트리플루오로에탄, 에탄올, 아세톤, 니트로메탄 및 헥산의 공비성조성물
JPH03504871A (ja) 1,1―ジクロロ―1―フルオロエタンおよびメタノールの共沸混合物様組成物
KR20000065084A (ko) 데카플루오로펜탄조성물
JPH05202390A (ja) フッ素含有エーテルを含む組成物及びそれらの組成物の使用
JP3266936B2 (ja) 水除去用組成物及び物品の水除去方法
JP2769406B2 (ja) 半導体基板の洗浄方法
KR900000882B1 (ko) 융제 잔류물 제거용 용매 블렌드
JP2572524B2 (ja) フッ素化アルコール含有水切り溶剤
US6281184B1 (en) Cleaning or drying compositions based on 43-10mee and on trichloroethylene
JPH06234998A (ja) 物品表面清浄法
US5049301A (en) Azeotrope-like compositions of 1,1-dichloro-1-fluoroethane; dichlorotrifluoroethane; and methyl formate
JP3017342B2 (ja) 水切り用溶剤組成物
JPH05302909A (ja) 洗浄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る洗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