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8293B1 -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8293B1
KR0168293B1 KR1019960045938A KR19960045938A KR0168293B1 KR 0168293 B1 KR0168293 B1 KR 0168293B1 KR 1019960045938 A KR1019960045938 A KR 1019960045938A KR 19960045938 A KR19960045938 A KR 19960045938A KR 0168293 B1 KR0168293 B1 KR 01682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valve
range
hydraulic pressure
pres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59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244A (ko
Inventor
유평환
Original Assignee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병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병재
Priority to KR10199600459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8293B1/ko
Priority to DE19745405A priority patent/DE19745405A1/de
Priority to JP09299396A priority patent/JP3122986B2/ja
Publication of KR1998002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8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8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 F16H61/0204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electric for gearshift control, e.g. control functions for performing shifting or generation of shift signal
    • F16H61/0206Layout of electro-hydraulic control circuits, e.g. arrangement o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0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 F16H61/0262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characterised by the signals used the signals being hydraulic
    • F16H61/0276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ydraulic control units, e.g. valves
    • F16H2061/0288Relay valve, e.g. valve arranged between shift valve and serv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2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 F16H2061/1204Detecting malfunction or potential malfunction, e.g. fail safe; Circumventing or fixing failures for malfunction caused by simultaneous engagement of different ratios resulting in transmission lock state or tie-up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Transmission Device (AREA)

Abstract

전진 4속과 후진 1속의 변속단을 얻을 수 있는 다이렉트 컨트롤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되, 밸브의 수를 감소시키고 유압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 코스트를 감소시키며 변속충격을 줄여 변속감을 향상시키며, 유압 편차를 감소시켜 제어시 안정성 및 응답성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엔진의 구동시에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에 의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트랜스밋션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고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관로와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밸브와;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와;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며 압력 조절밸브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변환이 이루어진 유압 관로와 연결되어 토오크 컨버터의 댐퍼 클러치의 작동/ 비작동을 시키는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와; 오일펌프로부터 토출된 라인압이 레귤레이터 밸브를 통하여 일정한 라인압으로 변환되어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와 연결되는 관로상에 설치되며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로 일정압을 공급하고 오일 탱크와 연결되는 또 다른 리턴 관로가 연결되는 컨버터 피이드 밸브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며 시프트 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밸브 스풀을 이동시켜 후진 압, 드라이브 압, 2레인지 압, L레인지 압을 배출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며, 드라이브 압 관로와 후진 압 관로를 연장하여 라인압 및 드라이브 압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관로가 연결되는 매뉴얼 밸브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1,3,4 솔레노이드 밸브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며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을 공급 받기 위하여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마찰요소 제어부와; 각 변속단 별로 복수개가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제1마찰요소, 제2마찰요소, 제3마찰요소, 제4마찰요소, 제5마찰요소, 제6마찰요소, 제7마찰요소와;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 또는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나오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상기한 다수의 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 시키기 위한 제1,2,3,4,5 스위치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압 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하고 조립 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 코스트를 절감시키며, 변속 충격을 감소시켜 변속감을 향상시키고 변속시 응답성을 향상시키며 안정성을 도모하기 위한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변속기는 토오크 컨버터와, 이 토오크 컨버터에 연결되어 있는 다단 변속 메카니즘을 가지고 있으며,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변속기어 메카니즘의 기어단중 어느 하나의 기어단을 선택하기 위한 유압작동 마찰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자동차용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은, 오일펌프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제어 밸브를 통하여 마찰요소를 선택하여 작동시킴으로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적절한 변속이 자동적으로 행하여질 수 있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유압제어 시스템은 오일펌프로부터 발생된 유압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수단과, 변속모드를 형성시켜 줄 수 있는 수동 및 자동 변속 컨트롤 수단과, 변속시 원활한 변속모드 형성을 위해 변속감 및 응답성을 조절하는 유압 컨트롤 수단과, 토오크 컨버터의 댐퍼 클러치 작동을 위한 댐퍼 클러치 컨트롤 수단과, 각 마찰요소에 적절한 유압공급을 분배하는 유압분배 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통상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자동차용 자동 변속기는 엔진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함께 구동하는 펌프 임펠러와, 변속기의 입력축에 연결되어 함께 작동하는 터어빈 런너와, 상기한 임펠러와 터어빈 런너 사이에 배치된 스테이터를 포함하는 유체 토오크 컨버터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유체가 터어빈 런너로부터 임펠러로 들어갈 때 펌프 임펠러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스테이터의 보조작용으로 엔진에 의해 구동하는 펌프 임펠러에 의해 유체는 순환하게 된다. 자동 변속은 각 변속단마다 클러치 또는 브레이크와 같은 마찰요소의 작동에 의해 유성기어 장치에서 변속비가 바뀌어져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한 마찰요소는 유압제어장치의 다수의 밸브들에 의해 유압의 흐름방향이 바뀌어 선택적으로 작동하게 되는데, 매뉴얼 밸브는 운전자의 변속레버의 선택 위치에 포트 변환이 이루어져 오일 펌프로부터 유체압을 공급받도록 되어 있으며, 이 유체압을 각 솔레노이드 밸브로 공급 할 수 있는 관로로 연결을 이루고 있다.
상기한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은 밸브의 수가 많고, 회로가 복잡하여 조립 공정이 복잡하여 생산 코스트가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중립 레인지에서 주행 레인지 또는 후진 레인지로 변속시에 다수의 마찰요소가 동시에 작동하게 되어 변속 충격이 증대되며, 온도 및 많은 밸브들의 리크로 인하여 유압편차 역시 증대되어 제어의 안정성 및 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진 4속과 후진 1속의 변속단을 얻을 수 있는 다이렉트 컨트롤 자동변속기를 제공하되, 밸브의 수를 감소시키고 유압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하여 생산 코스트를 감소시키며 변속충격을 줄여 변속감을 향상시키며, 유압 편차를 감소시켜 제어시 안정성 및 응답성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엔진의 구동시에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에 의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트랜스밋션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의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고 오일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유압관로와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밸브와;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와;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며 압력 조절밸브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변환이 이루어진 유압 관로와 연결되어 토오크 컨버터의 댐퍼 클러치의 작동/ 비작동을 시키는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와; 오일펌프로부터 토출된 라인압이 레귤레이터 밸브를 통하여 일정한 라인압으로 변환되어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와 연결되는 관로상에 설치되며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로 일정압을 공급하고 오일탱크와 연결되는 또 다른 리턴 관로가 연결되는 컨버터 피이드 밸브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며 시프트 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밸브 스풀을 이동시켜 후진 압, 드라이브 압, 2레인지 압, L레인지 압을 배출 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며, 드라이브 압 관로와 후진 압 관로를 연장하여 라인압 및 드라이브 압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관로가 연결되는 매뉴얼 밸브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1,3,4 솔레노이드 밸브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며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을 공급 받기 위하여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마찰요소 제어부와; 각 변속단 별로 복수개가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제1마찰요소, 제2마찰요소, 제3마찰요소, 제4마찰요소, 제5마찰요소, 제6마찰요소, 제7마찰요소와;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 또는 매뉴얼 밸브로 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나오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상기한 다수의 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 시키기 위한 제1,2,3,4,5 스위치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마찰요소는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4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 2레인지 1속, 2속, L레인지에서 작동되고,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에서 비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2마찰요소는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 2속, 3속,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작동되고,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4속에서 비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3마찰요소는 후진 레인지 및 드라이브 온 상태의 3속,4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3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2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1속,2속 및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4마찰요소는 2레인지 2속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및 주행레인지 전 변속단에서 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5마찰요소는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4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제외한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및 주행레인지 전 변속단에서 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6마찰요소는 드라이브 온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3속,4속,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2속,3속, 2레인지 2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레인지 그리고 중립 레인지 및 후진 레인지 드라이브 온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1속, 2레인지 1속, L레인지에서 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7마찰요소는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와 L레인지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드라이브 온ㆍ오프 상태의 주행레인지 및 2레인지의 전변속단에서 비작동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마찰요소 제어부는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1,2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역시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3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관로와 연결되어 제4마찰요소 및 제5마찰요소를 트랜스밋션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와, 오일펌프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6마찰요소 및 제7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스위치 밸브는 상기한 제1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제1,2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유압을 공급하며, 오일펌프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를 통하여 역시 유압을 공급받아 제2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고 이 유압 관로를 분지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1마찰 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제1스위치 밸브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나오는 유압을 공급받고, 이 유압이 제4마찰요소, 제5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오는 2레인지 압 관로를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유압을 입력받아 밸브 스풀을 연동 가능하게 하며,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에 의하여 역시 밸브 스풀을 이동가능하게 관로를 연결하되 매뉴얼 밸브의 2레인지 압 관로와 대향하도록 하고 밸브 스풀의 면적차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스위치 밸브와, 제1스위치 밸브에서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밸브스풀을 이동시키고 제2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밸브스풀을 이동시키고 제2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제5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스위치 밸브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스위치 밸브를 연결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 분지 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 가능하게 하며, 제5스위치 밸브로부터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며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어 이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7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4스위치 밸브와,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 및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오는 L레인지 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입력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 가능하게하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공급받는 유압을 제6마찰요소에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역시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공급받은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에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제7마찰요소를 작동시키는 제5스위치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2,3,4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의 외관을 이루며 다수의 유압포트가 형성되는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관로 또는 오일펌프로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소정의 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을 배출시키는 제2포트와, 상기 제2포트와 연결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밸브체의 선단부에 리턴시키는 리턴 관로를 포함하며 이 리턴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와, 2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를 포함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3포트로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랜드와, 상기한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랜드와, 역시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2포트와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랜드를 포함하는 밸브스풀과; 상기 밸브체내에 밸브 스풀의 일측을 탄지하여 고정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밸브스풀의 외주에 고정배치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스위치 밸브는 밸브바디의 일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는 관로가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1포트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는 제2포트와, 오일펌프로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와, 상기한 제3포트로 연결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라인압이 입이되도록 연결되어 이를 통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는 제4포트와, 상기한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1마찰요소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5포트와, 상기 제5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2포트를 통하여 제1마찰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제6포트와, 상기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2마찰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압 관로로 연결되는 제7포트를 포함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이 작용하여 밸브스풀을 이동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2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6포트 및 제7포트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랜드와, 상기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7포트로 인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3랜드로 이루어지는 밸브스풀을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밸브스풀의 랜드는 그 단면적이 제1,2랜드에 비하여 제3랜드가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2스위치 밸브는 매뉴얼 밸브의 2레인지 관로와 연결되며 이 유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을 이동시켜 포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며 이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켜 포트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포트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공급받아 제3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제5마찰요소를 제어하는 제4포트와, 상기 제2포트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제4마찰요소를 제어하는 제5포트와, 제4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또다른 배출포트를 형성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으로 밸브스풀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제4포트와 이 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며 또한 제2포트와 제4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2랜드와, 상기한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제5포트 및 제5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는 배출포트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3랜드와, 상기 제3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을 받아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4랜드를 형성하는 밸브 스풀로 이루어 자동 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밸브스풀에 형성된 랜드는 제2,3,4랜드의 단면적에 비하여 제1랜드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3스위치 밸브는 밸브 바디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제1스위치 밸브의 제7포트를 연결하는 관로와 연결되며 밸브스풀을 이동 가능하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스위치 밸브의 제4포트와 연결되는 유압관로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와, 제1스위치 밸브와 상기 제1포트로부터 제5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3포트와, 상기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가 형성되는 밸브체와; 제1포트를 통하여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제2포트와 3포트 그리고 제3포트와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2랜드를 포함하는 밸브스풀과; 상기 밸브 스풀의 제2랜드측을 탄지하여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이 제1랜드를 가압하는 힘의 방향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4스위치 밸브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부터 유압이 토출되어 제5스위치 밸브를 거쳐 인입되는 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포트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로 공급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 관로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아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2포트와, 제5스위치 밸브로 부터 나오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와, 상기 제3포트로 인입된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인입되며 제7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4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이 이동 가능한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며 제3포트와 제4포트를 필요에 따라 연통시키는 제2랜드와, 상기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4포트와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3랜드를 포함하는 밸브 스풀과; 상기 제3랜드를 탄지하여 제1랜드 측에서 인입되는 유압의 압력에 대향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밸브스풀의 랜드는 제2,3랜드의 단면적에 비하여 제1랜드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제5스위치 밸브는 매뉴얼 밸브로 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이 관로를 통하여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 시킬 수 있는 제1포트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매뉴얼 밸브의 L 레인지 관로와 연결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하는 방향과 대향하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제3포트와, 제2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로 공급하는 제4포트와, 또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의 제1포트 및 제6마찰요소를 공급하기 위한 제5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시키는 배출포트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시키는 또 다른 배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며 제4포트와 제4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고 제2포트와 제4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랜드와, 상기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고 배치되고 제2포트와 제5포트 그리고 제5포트와 이 제5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는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랜드와 상기 제3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을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4랜드를 포함하는 밸브 스풀과; 상기 밸브 스풀의 제4랜드에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파킹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에서 오일펌프로부터 나온 라인압이 제1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를 통하여 제7포트로 공급되어 제2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오프 상태로 듀티 제어되어 제5스위치 밸브의 제2포트를 거쳐 제4포트로 공급되고, 이 유압은 제4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를 통하여 제4포트로 공급되어 제7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후진 레인지에서는 제2,7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의 후진압 관로를 통하여 제3솔레노이드 밸브로 인입되고 이 제3솔레노이드 밸브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듀티 제어됨으로서 제3마찰요소로 직접 유압이 공급되어 제3마찰요소가 추가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중립 레인지에서 주행레인지 1속으로의 변속은 제2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드라이브 압이 제1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제1마찰요소를 추가로 작동시키고, 역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서 제7마찰요소의 작동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은 제1,2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 됨으로서 제6마찰요소를 추가로 제어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의 변속시에는 제1,2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상태로 되어 제1,2,6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3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어 제3마찰요소를 추가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변속시에 제1,2,3,6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 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가 온 상태로 듀티 제어되며 제2마찰요소의 작동을 해제시키고, 제4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상태로 듀티 제어되어 제5마찰요소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 오프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에 제1,2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어 제6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오버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변속시에 제1,2,6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1,3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제2,3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2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에 제1,2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4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제6,4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주행레인지1속에서 L레인지로 변속시에 제1,2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 상태로 제어함으로서 제7마찰요소가 추가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을 제공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의 유압제어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마찰요소 작동표 및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표.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솔레노이드 밸브의 구조를 상세하게 도시한 구조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스위치 밸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스위치 밸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스위치 밸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4스위치 밸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5스위치 밸브의 구조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후진 레인지로 변속시의 유압회로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중립레인지에서 주행레인지 1속을 나타내는 유압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환하는 유압회로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변환하는 유압회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변환하는 유압 회로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레인지 오버 드라이브 오프 상태에서 1속에서 2속으로 변환하는 유압회로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레인지 오버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2속에서 3속으로 변환하는 유압회로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2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의 변환상태를 도시한 유압 회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주행레인지 1속에서 L레인지로 변환하는 상태를 도시한 유압회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이하, 도면을 첨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압 회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시프트 레버가 중립 레인지로 선택된 상태의 유압제어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이 유압 제어 시스템은 엔진의 크랭크 축과 변속기 사이에 위치하여 동력을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2)와; 상기 토오크 컨버터의 펌프 드라이브 허브에 설치되어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 및 이 드라이브 기어에 치차 결합된 드리븐 기어를 보유하는 오일펌프(4)와; 상기 오일펌프(4)에서 생성된 유압을 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일정한 압으로 변환시키는 압력 조절 밸브(6)와; 상기한 오일펌프(4)에서 생성된 유압을 가변시켜 토오크 컨버터(2)의 댐퍼 클러치를 작동/비작동시키는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과; 운전자의 의지대로 소정의 변속단을 구현하기 위하여 시프트 레버와 연동되어 압력조절 밸브(6)의 유압을 공급받아 각 마찰요소에 전달하기 위한 매뉴얼 밸브(12)와; 상기한 압력조절 밸브(6)에서 조절된 유압 및 매뉴얼 밸브(12)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공급받아 작동이 이루어지는 다수의 마찰요소와; 상기 마찰요소에 오일펌프(4)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또는 매뉴얼 밸브(12)를 거쳐 나오는 드라이브 압을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듀티제어 되어 마찰요소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마찰요소 제어부(A)와; 상기 마찰요소 제어부(A)에 의하여 제어된 압을 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다수의 스위치 밸브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오일펌프(4)의 토출구 측에는 중립 레인지 및 후진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로 모드가 바꾸어 질때 라인압을 적절하게 가변시킬 수 있는 압력조절밸브(6)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 압력 조절밸브(6)는 유압 관로를 통하여 토오크 컨버터(2)로 유압을 공급하는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와 연결되는데, 이 유압관로 상에는 유압을 공급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컨버터 피이드 밸브(10)가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한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는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6솔레노이드(S6)밸브에 의하여 오일펌프(4)로 부터 나오는 관로와 연결되어 이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을 선택적으로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에 공급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킴으로서 토오크 컨버터(2)와 연결되는 관로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댐퍼 클러치의 작동/비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압력조절밸브(6)는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5솔레노이드 밸브(S5)와 유압관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 제5솔레노이드 밸브(S5)는 오일펌프(4)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오일펌프(4)에서 나오는 라인압 관로를 더욱 연장하여 매뉴얼 밸브(12)에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하며, 이 매뉴얼 밸브(12)로 라인압이 인입되어 드라이브 압 및 후진압 관로가 상기 압력 조절밸브(6)와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압력 조절밸브(6)는 매뉴얼 밸브(12)로 인입되는 라인압 및 후진압을 각 변속시에 적정한 압력을 유지하도록 하는데, 이는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부하 정도에 따라 제어되는 제5솔레노이드(S5)가 듀티 제어 되면서 매뉴얼 밸브(12)로 인입되는 유압의 압력을 가변시킨다.
그리고 오일펌프(6)에서 나오는 라인압 및 매뉴얼 밸브(12)를 거쳐 나오는 드라이브 압에 의하여 직접 제어되거나 마찰요소 제어부(A) 및 다수의 스위치 밸브의 제어에 의하여 각 변속단별로 작동하는 다수의 마찰요소가 드라이브 압, 2레인지 압, L레인지 압 그리고 후진압 관로로 연결되고 있다. 이러한 마찰요소는, 제2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마찰요소는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4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작동되고,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에서 비작동으로 이루어지는 제1마찰요소(C1)와;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그리고 후진레인지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 2속, 3속,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작동되고,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4속에서 비작동으로 이루어지는 제2마찰요소와(B4); 후진 레인지 및 드라이브 온 상태의 3속,4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3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2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1속,2속 및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비작동되는 제3마찰요소와(C2); 2레인지 2속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및 주행레인지 전 변속단에서 비작동되는 제4마찰요소(B3)와;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4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제외한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및 주행레인지 전 변속단에서 비작동되는 제5마찰요소(C3)와; 드라이브 온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3속,4속,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2속,3속, 2레인지 2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레인지 그리고 중립 레인지 및 후진 레인지 드라이브 온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1속, 2레인지 1속, L레인지에서 비작동되는 제6마찰요소(B2)와;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와 L레인지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드라이브 온ㆍ오프 상태의 주행레인지 및 2레인지의 전변속단에서 비작동되는 제7마찰요소(B1); 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상기한 마찰요소 제어부(A)는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 되는 다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는 매뉴얼 밸브(12)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1,2마찰요소(C1)(B4)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와; 오일펌프로(4)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어 제6마찰요소(B2) 및 제7마찰요소(B1)를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S2)와; 매뉴얼 밸브(12)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3마찰요소(C2)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와; 매뉴얼 밸브(12)로 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4마찰요소(B3) 및 제5마찰요소(C3)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S4)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솔레노이드 밸브는, 제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밸브의 외관을 이루며 다수의 유압포트가 형성되는데 매뉴얼 밸브(12)의 드라이브 압 관로 또는 오일펌프(4)로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1포트(50)와, 상기 제1포트(50)로 인입된 유압을 소정의 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을 배출시키는 제2포트(52)와, 상기 제2포트(52)와 연결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밸브체(54)의 선단부에 리턴시키는 리턴 관로(56)를 포함하며 이 리턴 관로(56)와 연결되는 제3포트(58)와, 제2포트(52)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60)를 포함하는 밸브체(54)와; 상기 밸브체(54)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3포트(58)로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랜드(62)와, 상기한 제1랜드(62)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1포트(50)와 제2포트(5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랜드(64)와, 역시 제2랜드(64)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2포트(52)와 배출포트(60)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랜드(66)를 포함하는 밸브스풀(68)과; 상기 밸브체(54)내에 밸브스풀(68)의 일측을 탄지하여 고정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70)와, 상기 밸브스풀(68)의 외주에 고정배치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72)로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한 스위치 밸브는 상기한 제1솔레노이드 밸브(S1)로 부터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제1,2마찰요소(C1)(B4)를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유압을 공급하며, 오일펌프(4)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를 통하여 역시 유압을 공급받아 제2마찰요소(B4)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함과 동시에 이 관로의 일측을 분지하여 밸브스풀을 이동가능하게 하고, 매뉴얼 밸브(12)의 드라이브 압 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 받아 제1마찰 요소(C1)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스위치 밸브(100)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S4)로부터 나오는 유압을 공급받고, 이 유압이 제4마찰요소(B3), 제5마찰요소(C3)를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 밸브(12)로 부터 나오는 2레인지 압을 입력 받아 밸브 스풀을 연동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어 이를 통한 유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을 이동가능하게 하는 제2스위치 밸브(102)와, 제1스위치 밸브(100)와 제2마찰요소(B4)를 연결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분지 관로와 연결되며 이 분지 관로를 통하여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이 이동하며 제2스위치 밸브(102)에서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제5마찰요소(C3)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스위치 밸브(104)와, 제5스위치 밸브(108)에서 나오는 유압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와 제2스위치 밸브(S2)를 연결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 분지 관로를 통하는 유압을 입력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며 제5스위치 밸브(S5)에서 나오는 또다른 유압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입력 받아 제7마찰요소(B1)를 작동시키는 제4스위치 밸브(106)와, 매뉴얼 밸브(12)로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 및 매뉴얼 밸브(12)로부터 나오는 L레인지 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입력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제2솔레노이드 밸브(S2)를 통하여 공급받는 유압을 제6 또는 제7마찰요소(B1 또는 B2)에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제5스위치 밸브(10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있다.
상기 제1스위치 밸브(100)는, 제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밸브바디의 일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매뉴얼 밸브(12)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는 관로가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1포트(150)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S1)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는 제2포트(152)와, 오일펌프(4)로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154)와, 상기한 제3포트(154)로 연결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라인압이 인입되도록 연결되어 이를 통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는 제4포트(156)와, 상기한 제1포트(150)로 인입된 유압을 제1마찰요소(150)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5포트(158)와, 상기 제5포트(156)와 연결되며 상기 제2포트(152)를 통하여 제1마찰요소(150)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제6포트(160)와, 상기 제2포트(152) 및 제3포트(154)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2마찰요소(B4)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압 관로로 연결되는 제7포트(162)를 포함하는 밸브체(164)와; 상기 밸브체(164)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며 제1포트(150)로 인입된 유압이 작용하여 밸브스풀을 이동시키는 제1랜드(166)와, 상기 제1랜드(166)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2포트(152)로 인입된 유압을 제6포트 (160)및 제7포트(162)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랜드(168)와, 상기 제2랜드(168)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3포트(154)로 인입된 유압을 제7포트(162)로 인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3랜드(170)로 이루어지는 밸브스풀(172)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한 밸브스풀의 랜드는 그 단면적이 제1,2랜드(166)(168)에 비하여 제3랜드(170)가 작게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2스위치 밸브(102)는, 제5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매뉴얼 밸브(12)의 2레인지 관로와 연결되며 이 유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을 이동시켜 포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200)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S4)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202)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S3)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며 이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켜 포트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포트(204)와, 상기 제2포트(202)로 공급된 유압을 공급받아 제3스위치 밸브(104)를 통하여 제5마찰요소(C3)를 제어하는 제4포트(206)와, 상기 제2포트(202)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제4마찰요소(B3)를 제어하는 제5포트(208)와, 제4포트(206)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210)와, 상기 제5포트(208)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또다른 배출포트(212)를 형성하는 밸브체(214)와; 상기 밸브체(214)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포트(200)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으로 밸브스풀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랜드(216)와, 상기 제1랜드(216)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제4포트(206)와 이 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210)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며 또한 제2포트(202)와 제4포트(206)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2랜드(218)와, 상기한 제2랜드(218)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제2포트(202)로 공급된 유압을 제5포트(208) 및 제5포트(208)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는 배출포트(212)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3랜드(220)와, 상기 제3랜드(220)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3포트(204)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을 받아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4랜드(222)를 형성하는 밸브스풀(224);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밸브스풀(224)에 형성된 랜드는 제2,3,4랜드(218)(220)(222)의 단면적에 비하여 제1랜드(216)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4랜드(222)에 탄성력을 가하도록 탄성부재(221)가 개재되는 구조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3스위치 밸브(104)는, 제6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밸브 바디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제1스위치 밸브(100)의 제7포트(162)를 연결하는 관로와 연결되며 밸브스풀을 이동가능하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250)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S3)와 제2스위치 밸브(102)의 제4포트(206)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252)와, 상기 제2포트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제5마찰요소(3)를 제어하는 제3포트(254)와, 상기 제3포트(254)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256)가 형성되는 밸브체(258)와; 제1포트(250)를 통하여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1랜드(260)와, 상기 제1랜드(260)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제2포트(252)와 3포트(254) 그리고 제3포트(254)와 배출포트(256)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2랜드(262)를 포함하는 밸브스풀(264)과; 상기 밸브스풀(264)의 제2랜드(262)측을 탄지하여 제1포트(250)로 인입된 유압이 제1랜드(260)를 가압하는 힘의 방향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266)로 이루어지고 있다.
제4스위치 밸브(106)는, 제7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제2솔레노이드 밸브(S2)로 부터 유압이 토출되어 제5스위치 밸브(108)를 거쳐 인입되는 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포트(300)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와 제2스위치 밸브(102)의 제3포트(204)로 공급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 관로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아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2포트(302)와, 제5스위치 밸브(108)로 부터 나오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304)와, 상기 제3포트(304)로 인입된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인입되며 제7마찰요소(B1)를 제어하기 위한 제4포트(306)와, 상기 제4포트(306)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308)로 이루어지는 밸브체(310)와; 상기 제1포트(300)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가능한 제1랜드(312)와, 상기 제1랜드(312)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2포트(302)및 제3포트(304)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며 제3포트(304)와 제4포트(306)를 필요에 따라 연통시키는 제2랜드(314)와, 상기 제2랜드(314)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4포트(306)와 배출포트(308)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3랜드(316)를 포함하는 밸브 스풀(318)과; 상기 제3랜드(316)를 탄지하여 제1랜드(300) 측에서 인입되는 유압의 압력에 대향하는 탄성부재(3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한 밸브스풀(318)의 랜드는 제2,3랜드(314)(316)의 단면적에 비하여 제1랜드(312)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지고 있다.
제5스위치 밸브(108)는 매뉴얼 밸브(12)로 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이 관로를 통하여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시킬 수 있는 제1포트(350)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S2)와 연결되는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352)와, 매뉴얼 밸브(12)의 L 레인지 관로와 연결되며 제1포트(350)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하는 방향과 대향하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제3포트(354)와, 제2포트(352)로 인입된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3포트(318)로 공급하는 제4포트(356)와, 또 제2포트(352)로 공급된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1포트(300) 및 제6마찰요소(B2)로 공급하기 위한 제5포트(358)와, 상기 제4포트(356)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시키는 배출포트(360)와, 상기 제5포트(358)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시키는 또 다른 배출포트(3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체(364)와; 상기 밸브체(364)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포트(350)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 가능하다 형성되며 제4포트(354)와 제4포트(356)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360)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랜드(366)와, 상기 제1랜드(366)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고 제2포트(352)와 제4포트(356)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랜드(368)와, 상기 제2랜드(368)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포트(352)와 제5포트(358) 그리고 제5포트(358)와 이 제5포트(358)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는 배출포트(362)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랜드(370)와 상기 제3랜드(370)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3포트(354)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을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4랜드(372)를 포함하는 밸브 스풀(374)과; 상기 밸브 스풀(374)의 제4랜드(372)에 탄지되는 탄성부재(376)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은, 엔진이 구동을 시작하게 되면 오일펌프(4)의 구동기어가 회전되면서 오일팬 내의 오일을 흡입하여 토출을 시작하게 된다. 이때 토출되는 오일은 관로를 통하여 라인압으로 배출되는데 이 라인압의 일부는 압력조절밸브측(6)으로 인입되고 또 다른 일부의 유압은 매뉴얼 밸브(12)로 인입되며, 또 일부의 유압은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의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6솔레노이드 밸브(S6) 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라인압의 또 다른 일부는 압력 조절밸브(6)의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기 위한 제6솔레노이드 밸브(S5)측으로 인입된다. 따라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5솔레노이드 밸브(S5)가 듀티 제어되고, 각 변속단에 따른 적정한 압력으로 바꾸어 라인압을 변환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변환된 라인압은 컨버터 피이드 밸브(10)를 통하여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로 인입되고 역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6솔레노이드 밸브(S6)에 의하여 토오크 컨버터(2) 내의 댐퍼 클러치를 작동 또는 비작동 시키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에서 컨버터 피이드 밸브(10) 측으로 전달되는 유압의 압력이 규정치보다 클경우에는 오일 필터를 통하여 오일 탱크로 귀환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이 오일펌프(4)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변환되어 매뉴얼 밸브(12) 또는 직접 스위치 밸브 등을 통하여 마찰요소를 제어하게 되는데 이는 각변속단별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시프트 레버에 의하여 연동하는 매뉴얼 밸브(12)는, 제1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중립 또는 파킹 상태로 밸브 스풀이 고정되고, 이 매뉴얼 밸브(12)로 인입되는 라인압은 아무런 작용을 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펌프(4)에서 토출되는 라인압 관로가 분지되어 제1스위치 밸브(100)의 제3포트(154)측으로 연결되고 이를 통하여 라인압이 인입된다. 이때 상기 제3포트(154)측으로 인입되는 관로가 분지되어 제4포트(156)측으로 인입되어 제3랜드(170)를 가압하게 된다. 그러므로 밸브 스풀(172)은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되어 제3포트(154)와 제7포트(162)를 연통시켜 제2마찰요소(B4)로 유압이 인입된다. 따라서 제2마찰요소(B4)가 작동하게 된다.
한편 오일펌프(4)에서 나오는 라인압이 제2솔레노이드 밸브(S2)의 제1포트(50)로 인입되어 제2포트(52)를 거쳐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2포트(352)를 통하여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밸브 스풀(374)은 탄성부재(376)에 의하여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제2포트(352)와 제4포트(356)가 개방되어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3포트(304)로 공급된다. 이때 밸브 스풀(318)은 탄성부재(32)에 의하여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되어 고정되는 상태로 위치하고, 상기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3포트(304)로 공급된 유압은 제4포트(306)을 통하여 제7마찰요소(B1)로 공급되고 제7마찰요소(B1)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 한편으로 오일 펌프(4)를 통하여 제6솔레노이드 밸브(S6)로 공급된 유압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오프 상태로 듀티 제어 됨으로서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의 밸브 스풀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압력 조절밸브(6)를 통하여 컨버터 피이드 밸브(10)를 거쳐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측으로 인입되는 유압은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의 댐퍼 클러치를 해제하는 유압포트로 유압이 공급되어 토오크 컨버터(2) 댐퍼 클러치를 비작동시키는 상태로 작용한다. 따라서 파킹 및 중립 레인지에서는 제2,7마찰요소(B4)(B1)의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후진 레인지]
시프트 레버가 후진 레인지의 위치로 변환되면, 제9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와 연동하는 매뉴얼 밸브(12)의 밸브 스풀이 이동하여 후진 레인지 위치로 이동하고 압력 조절밸브(6)와 연결되어 있는 매뉴얼 밸브(12)의 후진압 관로가 오픈되어 후진 압에 필요한 압력으로 적정하게 조절된다. 그리고 매뉴얼 밸브(12)의 후진 압 관로와 연결되어 있는 제7마찰요소(B1)에 유압이 공급되어 작동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3솔레노이드 밸브(S3)가 오프 제어 됨으로서 제3마찰요소(C2)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후진 레인지에서는 파킹 및 중립 레인지에서 제2,7마찰요소(B4)(B1)이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3마찰요소(C2)가 추가로 작동하는 것이다. 이는 후진레인지로의 변환시에 작동하는 마찰요소를 최소로 줄임으로서 변속 충격을 감소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토오크 컨버터(2)의 댐퍼 클러치는 파킹 및 중립레인지 상태와 동일한 작용으로 비작동상태로 있게 되는데 이의 상세한 설명은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에서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의 중립 레인지에서 주행레인지 1속]
시프트 레버를 주행레인지 1속으로 변환시키게 되면, 제10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와 연동되어 있는 매뉴얼 밸브(12)의 밸브 스풀이 주행레인지 고정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오일펌프(4)를 통하여 인입되는 유압이 드라이브압 관로를 통하여 각 솔레노이드 밸브측으로 인입된다. 이때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1)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면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의 제1포트(50)를 통하여 제2포트(52)를 거쳐 제1스위치 밸브(100)측으로 인입된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의 제2포트(52)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은 제1스위치 밸브(100)의 제2포트(152)로 인입되고, 이때 제1스위치 밸브(100)는 라인(F1)에 의해 제4포트(156)에 작동되어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이므로, 바로 제6포트(160)으로 연결되고, 중간에서 분지되어 제1포트(158)에 작동되어 제1랜드(166)를 가압하고 있는 라인압에 의하여 제3랜드(170)를 가압하는 압력을 극복하여 밸브 스풀(172)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랜드의 면적차이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면 제1랜드(166)에 의하여 제6포트(160)가 폐쇄되고 제5포트(158)가 개방되어 제1마찰요소(C1)을 작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포트(152)로 인입된 유압은 제7포트(162)를 통하여 제2마찰요소(B4)를 작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S2)는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온상태로 듀티제어되고, 매뉴얼 밸브(12)를 통하여 드라이브 압이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1포트(300)측으로 인입되어 밸브 스풀(374)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4포트(356)와 배출포트(360)을 연통시킨다. 따라서 제7마찰요소(B1)을 작동시키고 있던 유압은 제4스위치 밸브(106)를 통하여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4포트(356)를 통하여 배출포트(360)로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제7마찰요소(B1)가 해제되고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의 배출포트(60)를 통하여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와 제4스위치 밸브(106)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관로에 차있던 유압이 배출된다. 따라서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에서는 제1,2마찰요소(C1)(B4)가 작동하고 제7마찰요소(B1)의 작동이 해제되는 것이다.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의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
시프트 레버는 상술한 주행레인지에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고 주행레인지 2속으로 변속을 위하여, 제11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듀티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S2)가 오프 되어 드라이브 압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인입된다. 이때 제2솔레노이드 밸브(S2)의 제1포트(50)를 통하여 유압이 인입되고, 밸브스풀(68)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되어 고정상태가 되어 제2포트(52)와 연통되어 제5스위치 밸브(S5)의 제2포트(352)로 유압이 인입된다. 이때 매뉴얼 밸브(12)의 드라이브 압 관로를 통하여 토출되는 유압은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1포트(350)측으로 인입되어 밸브 스풀(374)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2포트(352)와 제5포트(358)을 연통시키게 된다. 그러므로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352)은 제5포트(358)을 거쳐 제6마찰요소(B2)를 제어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2속에서는 제1,2,6 마찰요소(C1)(B4)(B2)가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2속으로의 변환시에서 제1,2마찰요소(C1)(B4)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6마찰요소(B2)만을 추가하여 작동시킴으로서 변속에 필요한 최소한의 마찰요소만을 작동시킴으로서 오버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2속으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주행레인지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
시프트 레버는 상술한 바와 같이 주행레인지에 고정되며 따라서 매뉴얼 밸브(12)의 밸브스풀 역시 주행레인지 상태로 고정되고 있다. 그리고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변환은, 제12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한 2속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S3)가 오프상태로 제어가 이루어지면서 이 밸브의 제1포트(50)를 통하여 제2포트(52)로 연통되어 제3마찰요소(C2)를 제어하게 되는 데, 이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의 밸브스풀(68)이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제2랜드(66)가 배출포트(60)를 폐쇄함과 동시에 제1,2포트(50)(52)를 연통시킴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는 제6솔레노이드 밸브(S6)가 온 상태로 듀티 제어되면서 오일펌프(4)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이 차단된다. 따라서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8)는 그내부에 배치되어 있는 탄성부재에 의하여 도면에서 좌측으로 밸브 스풀이 이동하면서 컨버터 피이드 밸브(10)를 통과한 오일이 토오크 컨버터(2) 내의 댐퍼 클러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유압 포트로 인입된 댐퍼 클러치가 작동함으로 엔진의 동력을 마찰요소에 직접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3속에서 4속]
상술한 주행레인지 3속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1)는, 제13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온 상태로 제어되어 제2마찰요소(B4)가 해제된다. 상기 제2마찰요소(B4)의 해제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이 온 제어 되면서 밸브 스풀(68)이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제1포트(50)를 차단하여 이로 인입되던 드라이브 압을 차단함과 동시에 제2포트(52) 및 배출포트(60)를 연통시켜 제2마찰요소(B4)를 제어하고 있던 유압이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의 배출포트(60)를 통하여 배출이 이루어짐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3솔레노이드 밸르(S2)(S3)는 3속에서와 마찬가지로 오프 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제4솔레노이드 밸브(S4)가 오프상태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듀티제어된다. 따라서 제4솔레노이드 밸브(S4)로 인입된 라인압은 제2스위치 밸브(102)의 제2포트(202)측으로 인입되고 제4포트(206)를 통과하여 제3스위치 밸브(104)의 제2포트(252)로 입력이 이루어지고 이는 다시 제3포트(254)로 공급되어 제5마찰요소(C3)가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오버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
제14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오버 드라이브 온상태에 주행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오버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오버 드라이브 오프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
오버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의 변속은, 제15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의 작동상태 즉, 제1,6마찰요소(C1)(B2)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1,3솔레노이드 밸브(S1)(S3)가 오프 상태로 듀티 제어된다. 따라서 제2,3마찰요소(B4)(C2)의 작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솔레노이드 밸브(S1)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마찰요소(B4)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S3)에 의하여 작동이 이루어지는 제3마찰요소(C2)의 작동 상태는 상술한 바의 설명으로 대치한다.
[2레인지 1속에서 2속]
시프트 레버를 2레인지 위치로 운전자가 주행상태에 따라 이동시키면, 제16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와 연동되어 있는 매뉴얼 밸브(12)의 밸브스풀이 이동하여 오일펌프(4)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이 매뉴얼 밸브(12)로 인입되고 2레인지의 드라이브 관로에 라인압이 인입되어 이를 통하여 제2스위치 밸브(102)의 제1포트(200)로 인입된다. 상기와 같이 제2스위치 밸브(102)의 제1포트(200)로 인입되는 유압은 밸브 스풀(224)을 도면에서 우측으로 이동시켜 제2포트 및 제5포트(202)(208)를 개방시킨다. 따라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S4)가 개방되어 제2스위치 밸브(102)의 제2포트(202) 및 제5포트(208)을 거쳐 제4마찰요소(B3)가 작동하게 된다. 그리고 계속해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2솔레노이드 밸브(S2)가 오프상태로 제어되고 이를 통하여 인입되는 유압은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2포트(352)와 제5포트(358)를 거쳐 제6마찰요소(B2)로 인입되어 작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2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시에는 제1,2,4,6마찰요소(C1)(B4)(B3)(B2)의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주행레인지 1속에서 L 레인지]
시프트 레버를 L레인지 상태로 이동시키면, 제17도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이와 연동되어 있는 매뉴얼 밸브(12)의 밸브 스풀이 이동하여 L레인지 관로를 통하여 오일펌프(4)의 유압이 배출될 수 있도록 된다. 따라서 L레인지 압 관로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은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3포트(354)로 인입되어 밸브 스풀을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5스위치 밸브(108)는 제2포트(352)와 제4포트(356)가 개방된다. 그리고 오일펌프(4)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 관로는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3포트(304)로 인입되어 밸브 스풀을 도면에서 좌측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3포트(304)와 제4포트(306)가 연통된다. 이때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TCU)에 의하여 제2솔레노이드 밸브(S2)가 오프 제어되어 오일펌프(4)에서 토출되는 유압이 제2솔레노이드 밸브 (S2)의 제1포트(50)를 거쳐 제2포트(52)를 통하여 제5스위치 밸브(108)의 제2포트(352), 제4포트(356)를 지나게 된다. 제5스위치 밸브(108)를 통과한 유압은 제4스위치 밸브(106)의 제2포트(302)및 제4포트(306)를 통과하여 제7마찰요소(B1)를 제어하게 된다. 따라서 L레인지 상태에서는 제1,2,7마찰요소(C1)(B4)(B1)의 작동이 이루어짐으로서 변속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은, 밸브의 수를 감소시켜 유압회로를 간단하게 구성함으로서 생산 코스트를 줄일 수 있으며, 오일의 압력 편차를 감소시켜 작동시 안정성 및 응답성을 향상을 도모할 뿐 만 아니라, 변속시에 최소의 마찰요소만이 작동하게 함으로서 변속충격을 감소시켜 변속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9)

  1. 엔진의 구동시에 함께 회전하는 드라이브 기어에 의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는 오일펌프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이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고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관로와 연결되는 레귤레이터 밸브와; 엔진의 구동력을 변속기의 입력축으로 전달하는 토오크 컨버터와;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가 이루어지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와 유압 관로로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며 압력 조절밸브를 통하여 일정한 압력으로 변환이 이루어진 유압 관로와 연결되어 토오크 컨버터의 댐퍼 클러치의 작동/ 비작동을 시키는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와; 오일펌프로부터 토출된 라인압이 레귤레이터 밸브를 통하여 일정한 라인압으로 변환되어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와 연결되는 관로상에 설치되며 컨버터 클러치 레귤레이터 밸브로 일정압을 공급하고 오일탱크와 연결되는 또 다른 리턴 관로가 연결되는 컨버터 피이드 밸브와; 오일펌프에서 토출되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며 시프트 레버의 선택 위치에 따라 이와 연동되는 밸브 스풀을 이동시켜 후진 압, 드라이브 압, 2레인지 압, L레인지 압을 배출 할 수 있는 관로가 형성되며, 드라이브 압 관로와 후진 압 관로를 연장하여 라인압 및 드라이브 압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관로가 연결되는 매뉴얼 밸브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1,3,4솔레노이드 밸브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듀티제어되며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을 공급 받기 위하여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 로 이루어지는 마찰요소 제어부와; 각 변속단 별로 복수개가 선택적으로 작용하는 제1마찰요소, 제2마찰요소, 제3마찰요소, 제4마찰요소, 제5마찰요소, 제6마찰요소, 제7마찰요소와; 오일펌프로 부터 토출되는 라인압 또는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그리고 솔레노이드 밸브에서 나오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며 상기한 다수의 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 시키기 위한 제1,2,3,4,5스위치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제1마찰요소는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4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작동되고,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에서 비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제2마찰요소(B4)는 파킹레인지 및 중립레인지 그리고 후진레인지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2속,3속,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3속,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작동되고,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4속에서 비작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제3마찰요소(C2)는 후진 레인지 및 드라이브 온 상태의 3속,4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3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2속 그리고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1속,2속 및 2레인지 1속,2속, L레인지에서 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제4마찰요소(B3)는 2레인지 2속에서만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및 주행레인지 전 변속단에서 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제5마찰요소(C3)는 드라이브 온 상태의 주행레인지 4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제외한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 및 주행레인지 전 변속단에서 비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제6마찰요소(B2)는 드라이브 온상태의 주행레인지 2속,3속,4속,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2속,3속, 2레인지 2속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파킹 레인지 그리고 중립 레인지 및 후진 레인지 드라이브 온상태의 주행레인지 1속, 드라이브 오프 상태의 1속, 2레인지 1속, L레인지에서 비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제7마찰요소(B1)는 파킹 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 그리고 후진 레인지와 L레인지에서 작동이 이루어지고, 드라이브 온ㆍ오프 상태의 주행레인지 및 2레인지의 전변속단에 비작동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마찰요소 제어부는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1,2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와, 역시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3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제4마찰요소 및 제5마찰요소를 트랜스밋션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4솔레노이드 밸브와, 오일펌프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어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의 듀티 제어에 의하여 제6마찰요소 및 제7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 또는 비작동시키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스위치 밸브는 상기한 제1솔레노이드 밸브로 부터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제1,2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가능하도록 유압을 공급하며, 오일펌프로 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를 통하여 역시 유압을 공급받아 제2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유압을 공급하고 이 유압 관로를 분지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제1마찰 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제1스위치 밸브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로부터 나오는 유압을 공급받고, 이 유압이 제4마찰요소, 제5마찰요소에 선택적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매뉴얼 밸브로 부터 나오는 2레인지 압 관로를 연결하여 이를 통하여 유압을 입력 받아 밸브 스풀을 연동가능하게 하며,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에 의하여 역시 밸브 스풀을 이동가능하게 관로를 연결하되 매뉴얼 밸브의 2레인지 압 관로와 대향하도록 하고 밸브 스풀의 면적차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이동이 이루어지는 제2스위치 밸브와, 제1스위치 밸브에서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밸브스풀을 이동시키고 제2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을 입력받아 제5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3스위치 밸브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스위치 밸브를 연결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 분지 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 가능하게 하며, 제5스위치 밸브로 부터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며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부터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어 이 관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유압에 의하여 제7마찰요소를 선택적으로 작동시키는 제4스위치 밸브와, 매뉴얼 밸브로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 및 매뉴얼 밸브로 부터 나오는 L레인지 관로를 통하여 유압을 입력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가능하게 하며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공급받는 유압을 제6마찰요소에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역시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부터 공급받은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에 공급하여 선택적으로 제7마찰요소를 작동시키는 제5스위치 밸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제1,2,3,4솔레노이드 밸브는 밸브의 외관을 이루며 다수의 유압포트가 형성되는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 또는 오일펌프로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1포트와, 상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소정의 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을 배출시키는 제2포트와, 상기 제2포트와 연결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밸브체의 선단부에 리턴시키는 리턴 관로를 포함하며 이 리턴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와, 2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를 포함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삽입되며 제3포트로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되는 제1랜드와, 상기한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1포트와 제2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랜드와, 역시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2포트와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랜드를 포함하는 밸브스풀과; 상기 밸브체내에 밸브 스풀의 일측을 탄지하여 고정 배치되며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와, 상기 밸브스풀의 외주에 고정배치되며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제1스위치 밸브는 밸브바디의 일측에 수납공간을 형성하며, 매뉴얼 밸브의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는 관로가 선단부에 연결되는 제1포트와, 제1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유압관로와 연결되는 제2포트와, 오일 펌프로부터 나오는 라인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와, 상기한 제3포트로 연결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라인압이 입이되도록 연결되어 이를 통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 시킬 수 있는 제4포트와, 상기한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1마찰요소에 작용하도록 하기 위한 제5포트와, 상기 제5포트와 연결되며 상기 제2포트를 통하여 제1마찰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연결되는 제6포트와, 상기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통하여 선택적으로 제2마찰요소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유압 관로로 연결되는 제7포트를 포함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내장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이 작용하여 밸브스풀을 이동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2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6포트 및 제7포트로 선택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제2랜드와, 상기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7포트로 인입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3랜드로 이루어지는 밸브스풀을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밸브스풀의 랜드는 그 단면적이 제1,2랜드에 비하여 제3랜드가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4. 제9항에 있어서, 제2스위치 밸브는 매뉴얼 밸브의 2레인지 관로와 연결되며 이 유압에 의하여 밸브스풀을 이동시켜 포트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제4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며 이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켜 포트 변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제3포트와, 상기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공급받아 제3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제5마찰요소를 제어하는 제4포트와, 상기 제2포트를 통하여 유압을 공급받아 선택적으로 제4마찰요소를 제어하는 제5포트와, 제4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또다른 배출포트를 형성하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내부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으로 밸브스풀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제4포트와 이 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며 또한 제2포트와 제4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2랜드와, 상기한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제5포트 및 제5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는 배출포트와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3랜드와, 상기 제3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고정되며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을 받아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키기 위한 제4랜드를 형성하는 밸브스풀; 로 이루어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밸브스풀에 형성된 랜드는 제2,3,4랜드의 단면적에 비하여 제1랜드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6. 제9항에 있어서, 제3스위치 밸브는 밸브 바디의 내부에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제1스위치 밸브의 제7포트를 연결하는 관로와 연결되며 밸브스풀을 이동가능하도록 유압이 공급되는 제1포트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와 연결되는 유압관로를 분지하여 이 분지관로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는 제2포트와, 제5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공급받는 제3포트와, 상기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가 형성되는 밸브체와; 제1포트를 통하여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며 제2포트와 3포트 그리고 제3포트와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방하기 위한 제2랜드를 포함하는 밸브스풀과; 상기 밸브 스풀의 제2랜드측을 탄지하여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이 제1랜드를 가압하는 힘의 방향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탄성부재로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7. 제9항에 있어서, 제4스위치 밸브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로 부터 유압이 토출되어 제5스위치 밸브를 거쳐 인입되는 관로와 연결되어 밸브 스풀의 위치를 가변시키는 제1포트와, 제3솔레노이드 밸브와 제2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로 공급되는 관로를 분지하여 이 관로와 연결되어 유압을 공급받아 밸브 스풀을 가변시키는 제2포트와, 제5스위치 밸브로 부터 나오는 유압 관로와 연결되는 제3포트와, 상기 제3포트로 인입된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인입되며 제7마찰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4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포트로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가능한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2포트 및 제3포트를 선택적으로 폐쇄하며 제3포트와 제4포트를 필요에 따라 연통시키는 제2랜드와, 상기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4포트와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3랜드를 포함하는 밸브 스풀과; 상기 제3랜드를 탄지하여 제1랜드 측에서 인입되는 유압의 압력에 대향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밸브스풀의 랜드는 제2,3랜드의 단면적에 비하여 제1랜드의 단면적이 작게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19. 제9항에 있어서, 제5스위치 밸브는 매뉴얼 밸브로 부터 나오는 드라이브 압 관로와 연결되어 이 관로를 통하여 인입되는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을 이동 시킬 수 있는 제1포트와, 제2솔레노이드 밸브와 연결되는 관로를 통하여 유압이 공급되는 제2포트와, 매뉴얼 밸브의 L 레인지 관로와 연결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하는 방향과 대향하도록 유압을 공급하는 제3포트와, 제2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로 공급하는 제4포트와, 또 제2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제4스위치 밸브의 제1포트 및 제6마찰요소로 공급하기 위한 제5포트와, 상기 제4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시키는 배출포트와, 상기 제5포트로 공급된 유압을 배출시키는 또 다른 배출포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밸브체와; 상기 밸브체의 내측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제1포트로 인입된 유압에 의하여 밸브 스풀이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며 제4포트와 제4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연통시키는 제1랜드와, 상기 제1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고 제2포트와 제4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랜드와, 상기 제2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배치되고 제2포트와 제5포트 그리고 제5포트와 이 제5포트로 인입된 유압을 배출하는 배출포트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3랜드와 상기 제3랜드와 소정의 거리를 이격하여 제3포트로 인입된 유압의 압력을 받아 밸브 스풀을 이동시키는 제4랜드를 포함하는 밸브 스풀과; 상기 밸브 스풀의 제4랜드에 탄지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20. 제9항에 있어서, 파킹레인지 및 중립 레인지에서 오일펌프로부터 나온 라인압이 제1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를 통하여 제7포트로 공급되어 제2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오프 상태로 듀티 제어되어 제5스위치 밸브의 제2포트를 거쳐 제4포트로 공급되고, 이 유압은 제4스위치 밸브의 제3포트를 통하여 제4포트로 공급되어 제7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1. 제9항에 있어서, 후진 레인지에서는 제2,7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의 후진압 관로를 통하여 제3솔레노이드 밸브로 인입되고 이 제3솔레노이드 밸브가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듀티 제어됨으로서 제3마찰요소로 직접 유압이 공급되어 제3마찰요소가 추가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시스템.
  22. 제9항에 있어서,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중립 레인지에서 주행레인지 1속으로의 변속은 제2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매뉴얼 밸브를 통하여 나오는 드라이브 압이 제1스위치 밸브를 통하여 제1마찰요소를 추가로 작동시키고, 역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온 상태로 제어되면서 제7마찰요소의 작동의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3. 제9항에 있엇, 오버 드라이브 온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의 변속은 제1,2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 됨으로서 제6마찰요소를 추가로 제어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4. 제9항에 있어서,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의 변속시에는 제1,2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상태로 되어 제1,2,6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3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어 제3마찰요소를 추가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5. 제9항에 있어서, 오버 드라이브 온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3속에서 4속으로 변속시에 제1,2,3,6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 되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가 온 상태로 듀티 제어되어 제2마찰요소의 작동을 해제시키고, 제4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상태로 듀티 제어되어 제5마찰요소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6. 제9항에 있어서, 오버 드라이브 오프 상태에서 주행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에 제1,2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되어 제6마찰요소가 작동함과 동시에 제1솔레노이드 밸브가 온 상태로 제어되어 제2마찰요소의 작동이 해제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7. 제9항에 있어서, 오버 드라이브 오프상태에서 주행레인지 2속에서 3속으로 변속시에 제1,6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1,3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제2,3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8. 제9항에 있어서, 2레인지 1속에서 2속으로 변속시에 제1,2마찰요소가 작동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4솔레노이드 밸브가 오프 상태로 제어되어 제6,4마찰요소가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29. 제9항에 있어서, 주행레인지1속에서 L레인지로 변속시에 제1,2마찰요소가 작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트랜스밋션 제어 유닛에 의하여 제어되는 제2솔레노이드 밸브를 오프 상태로 제어함으로서 제7마찰요소가 추가로 작동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KR1019960045938A 1996-10-15 1996-10-15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KR01682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938A KR0168293B1 (ko) 1996-10-15 1996-10-15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DE19745405A DE19745405A1 (de) 1996-10-15 1997-10-14 Hydrauliksteuersystem für ein Automatikgetriebe
JP09299396A JP3122986B2 (ja) 1996-10-15 1997-10-15 自動車の後輪懸架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5938A KR0168293B1 (ko) 1996-10-15 1996-10-15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244A KR19980027244A (ko) 1998-07-15
KR0168293B1 true KR0168293B1 (ko) 1999-01-15

Family

ID=19477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5938A KR0168293B1 (ko) 1996-10-15 1996-10-15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22986B2 (ko)
KR (1) KR0168293B1 (ko)
DE (1) DE197454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0528B1 (ko) * 1999-12-28 2002-01-15 이계안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376689B1 (ko) * 2000-12-30 2003-03-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444068B1 (ko) * 2002-06-27 2004-08-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6속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US9574654B2 (en) * 2013-06-05 2017-02-2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Hydraulic control system with ETRS for a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132064A (ja) 1998-05-22
JP3122986B2 (ja) 2001-01-09
DE19745405A1 (de) 1998-04-16
KR19980027244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625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KR19980027185A (ko) 차량용 자동변속기 유압 제어 시스템
JP2954707B2 (ja) 自動車用自動変速システム
KR100222820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변속제어 시스템
KR0168293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KR0168112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US5637056A (en) Automatic transmission system for automotive vehicle
KR100227899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제어 시스템
KR10022593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JP3568051B2 (ja) 自動変速機の油圧制御装置
KR100208152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196797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KR0168101B1 (ko) 자동차용 4속 자동변속기의 유압제어 시스템
KR100222829B1 (ko)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40243A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KR19980036509A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79434B1 (ko) 차량용 자동변속기의 유압 제어 시스템
KR100254218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의 유압 제어시스템
KR19980045467A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 시스템
JPH1089468A (ja) 車両用自動変速制御システムのクリープ制御装置
KR100208153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0168379B1 (ko) 자동차용 자동 변속시스템
KR19980036507A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KR100216466B1 (ko) 자동변속기용 유압 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JPH06221429A (ja) 自動変速機のバルブボディ配設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0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